KR200393503Y1 - A fixing bracket of pipe - Google Patents

A fixing bracket of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503Y1
KR200393503Y1 KR20-2005-0015164U KR20050015164U KR200393503Y1 KR 200393503 Y1 KR200393503 Y1 KR 200393503Y1 KR 20050015164 U KR20050015164 U KR 20050015164U KR 200393503 Y1 KR200393503 Y1 KR 200393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racket body
connecting rod
fix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1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석원
Original Assignee
(주)오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946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9350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션테크 filed Critical (주)오션테크
Priority to KR20-2005-0015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5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5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은, 파이프 고정공(112,114)이 구비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브라켓 몸체(110)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상부면에 융착 고정된 상부연결봉(130)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몸체(110)의 하부에는 보강용 하부연결봉(190)이 추가로 더 융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브라켓 몸체(110)와 일체로 연장성형된 난간고정용 포스트(11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연결봉(130)의 양단에 고정되는 브라켓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연결봉의 양단부를 감싸 지지하도록 상부로 돌출성형된 지지턱이 추가로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턱의 상부면에 난간고정용 포스트(116)가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상구조물의 폭에 따라 상부연결봉(130)의 길이 및 브라켓 몸체의 수를 조절하여 다양하고 안전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ixing bracket. Pipe fix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bracket body 110 is provided with pipe fixing holes (112, 114);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is fus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for reinforcemen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110 is further fusion fixed. And the handrail fixing post 116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110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10 which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jaw protruded upward to surround and support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The handrail fixing post 116 can be molded in the same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nd safe pipe fixing bracke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and the number of the bracket bod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ater structure.

Description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A fixing bracket of pipe}A fixing bracket of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구조물의 저부를 구성하는 부력재가 내장된 다수개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ixing b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for fixing a plurality of pipes with a buoyancy material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water structure.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장을 비롯하여 수상낚시터나 수변 산책로 등과 같이 사용자가 물이나 갯벌에 빠지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수상구조물이 설치된다. 상기 수상구조물의 저부에는 부력을 가지는 다수개의 부력재가 구비되어 수상구조물이 침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의 수상구조물을 구성하는 부력재는 원통형의 스티로폼을 나무판재로 이루어진 발판의 저부에 위치시킨 후에 밧줄로 묶어 고정시켰으나, 이는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시 쉽게 파손되어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수질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In general, aquatic structures such as cage farms, water fishing hooks and waterside promenades are installed so that users do not fall into water or tidal flats. A bottom portion of the water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oyancy materials having buoyancy to prevent the water structure from sinking. The buoyancy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waterborne structure is fixed to a cylindrical styrofoam on the bottom of the footboard made of wooden boards and then tied with a rope, but this is easily damaged during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contributing not only to economic loss but also to contaminating water quality. Functioned.

이러한 종래의 수상구조물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부력재 및 고정브라켓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development of buoyancy materials and fixing bracke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onventional waterborne structures.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7831호에는, 중앙에 형성된 중앙고정판과, 상기 중앙고정판의 양측끝단부 상부에 형성된 두 개의 손잡이난간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난간지지대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난간대고정체결공과, 상기 손잡이난간지지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물고정통공과 브라켓고정용밧줄통공이 상하로 구비된 브라켓트측면돌출부와, 상기 중앙고정판의 중간부이며 두 개의 손잡이난간대삽입공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일정공간을 두고 상부에 형성된 작업발판안치대와, 상기 작업발판안치대에 형성된 다수개의 작업발판지지체결공과, 상기 중앙고정판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대형파이프고정통공과, 상기 두 개의 대형파이프고정통공의 사이에 파이프보정보강대에 의하여 연결된 소형파이프고정통공과, 상기 두 개의 대형파이프고정통공의 외측 상부에 형성된 두개의 수평중심지지추통공으로 구성되는 가두리 양식장용 브라켓의 구조가 기술되어 있다.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17831 has a central fixing plate formed in the center, two handle railing support formed on the upper end of both ends of the central fixing plate, and a plurality of handrail fix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rail support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ll and the handrail support, the bracket side projection is provided up and down the net fixing hole and the bracket fixing hole through the hole, and the middle of the central fixing plate and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wo handrail inserting hole A work scaffold stabiliz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by a plurality of supports, a plurality of work scaffold support fastening holes formed on the work scaffold stabilizer, a lower cover formed under the central fixing plate, and formed inside the lower cover. A pipe between two large pipe fixing holes and the two large pipe fixing holes A structure of a cage for cages is described, which is composed of a small pipe fixed through hole connected by a beam information pole and two horizontal center support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two large pipe fixed through holes.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9-005931호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공기가 저장되고 양단이 캡으로 밀봉되어 부력을 갖도록 이루어진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를 구속하기 위해 양측 저면에는 밴드수단이 결합되고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요홈부가 형성된 협지편이 돌출되고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한쌍의 지지편이 돌출된 고정브라켓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발판부재가 체결나사로 고정된 종편부재가 구비된 가두리 양식장의 폰툰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And,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5931, a buoyancy member having a constant length and air is stored therein and both ends are sealed with a cap to have buoyancy, and band means are provided on both bottom surfaces to restrain the buoyancy member. A clamping piece having a recess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coupled thereto is protruded and has a fixed bracket on which a pair of support pieces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piece member having a fixed length and a plurality of scaffold members fixed on the upper surface by a fastening screw. A description of the pontoons of caged farms is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은 이러한 가두리 양식장 및 폰툰의 부력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은, 두개 내지 세개의 대형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통공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개 내지 세개의 고정통공을 형성한 브라켓으로 성형하는 것은, 2m 이상의 폭을 가지는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제작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즉, 부력부재인 대형파이프의 지름이 300㎜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고정되는 대형파이프의 간격을 고려한다면, 더 많은 수의 대형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통공을 가지는 브라켓을 성형한다는 것은 금형의 한계에 의해 불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age for fixing buoyancy pipes of cages and pontoons is provided with fixing holes to fix two to three large pipes. As described above, the molding of the bracket having two to three fixed through holes is performed because the production of a mold for molding a product having a width of 2 m or more is practically difficult. That is, since the diameter of large pipes, which are buoyancy members, is usually 300 mm or more, considering the spacing of large pipes to be fixed, it is difficult to mold a bracket having fixed holes for fixing a larger number of large pipes. It is impossible by

따라서, 이러한 브라켓을 이용하여 2m 이상의 폭을 가지는 수상발판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별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a water scaffold having a width of 2m or more using such a bracket, it is cumbersome to fix a plurality of brackets using a separate connecting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브라켓만을 이용하여 원하는 폭만큼의 많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때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많은 파이프에 브라켓을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하여 파이프를 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파이프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 파이프를 2개씩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으로 고정하고, 제1브라켓의 우측에 고정된 파이프와 제2브라켓에 고정된 좌측 파이프를 제3브라켓으로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전방에 위치한다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후방에도 제3브라켓과 동일한 파이프를 고정하는 또다른 브라켓을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4개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4개의 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3개 이상의 브라켓이 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s many pipes as the desired width using only the brackets. In this case, the pipes may be fixed by arranging the brackets in a zigzag direction on many pip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to fix four pipes, two pipes are fixed by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nd the pipe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left pipe fixed to the second bracket are attached to the third bracket. You can fix it with And if the third bracket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four pipes more firmly by using another bracket for fixing the same pipe as the third bracket in the rear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t is possible to fix it. That is, three or more brackets are required to fix four pipes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경우에는, 다량의 브라켓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난간지지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작업발판을 조립할 때 간섭을 받게 되어 조립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In this case, not only has a disadvantage of having a large amount of brackets, but also the handrail support protruding upward protrudes in a zigzag direction, which is interfered when assembling the working footing, causing inconvenience in assembly.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개의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fixing bracket which is devi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hich is configured to stably fix a plurality of pipes.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폭뿐만 아니라 높이를 가지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fixing bracket having a variety of height as well as width.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은, 파이프 고정공이 구비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융착 고정되는 상부연결봉 및 하부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at least one bracket body provided with a pipe fixing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fusion-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봉의 양단에는 브라켓 몸체와 일체로 연장성형된 난간고정용 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결봉의 두께 및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가능하다.And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andrail fixing post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bracket body. The thickness and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rod can be variously manufactured as needed.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봉의 양단에 고정되는 브라켓 몸체의 상부면에는 상부연결봉의 양단부를 감싸도록 상부로 돌출성형된 지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턱의 상부면에 난간고정용 포스트가 성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which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support jaw protruded upward to surround the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ost for fixing the railing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Of course.

또한, 상기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는 소정의 간격만큼의 이격공간을 가지도록 상부연결봉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racket bodies are fix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 to have a separation space of a predetermined interval.

다음에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200,300)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사시도이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3 is a perspective view shown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ipe fixing bracket 100, 200,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은, 한쌍의 파이프 고정공(112,114)이 형성된 제1브라켓 몸체(110)와, 한쌍의 파이프 고정공(122,124)이 형성된 제2브라켓 몸체(110,120)와, 상기 제1브라켓 몸체(110) 및 제2브라켓 몸체(120)의 상부면과 접합되는 상부연결봉(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 몸체(110) 및 제2브라켓 몸체(120)의 하부면에 추가로 융착되는 하부연결봉(190)이 더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pipe fix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body 110 having a pair of pipe fixing holes 112 and 114 and a pair of pipe fixing holes 122 and 124. ) Is formed of a second bracket body (110, 120),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120.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120.

상기 제1브라켓 몸체(110)는, 일측 상부로 돌출 성형된 난간고정용 포스트(1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 몸체(110)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을 추가로 더 성형하여, 상기 지지턱의 상부에 난간고정용 포스트(116)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2브라켓 몸체(120)는, 제1브라켓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일측에 상부로 돌출 성형된 지지턱 및 난간고정용 포스트(126)가 성형된다.The first bracket body 110 is provided with a handrail fixing post 116 protruding to one side. In addition, the first bracket body 110 may further form a support jaw protruding upward to form a railing fixing post 116 on the support jaw. And the second bracket body 120, like the first bracket body 110, the support jaw and the handrail fixing post 126 protruded upward on one side is molded.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 몸체(110) 및 제2브라켓 몸체(120)는 상부연결봉(130)에 소정의 간격에 해당되는 이격공간(140)을 가지도록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합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 몸체(110,120) 및 상부연결봉(130)을 수지재로 성형하여 열융착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본딩재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120 are joined to have a spaced space 140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Such bonding can take many forms. For example, the bracket bodies 110 and 120 and the upper connecting rods 130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fixed by thermal fusion, or may be joined using a separate bonding material.

한편, 상기 한쌍의 브라켓 몸체(110,120)는, 이격공간(14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부연결봉(130)에 부착된다. 이는, 브라켓 몸체(110,1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돌출성형된 난간고정용 포스트(116,126)가 상부연결봉(130)의 양단부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Meanwhile, the pair of bracket bodies 110 and 120 are attach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140. This, the handrail fixing posts 116 and 126 protruded upward on one side edges of the bracket bodies 110 and 120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상기 상부연결봉(130)의 저부면과 브라켓 몸체(110,120)의 상부면이 접촉되어 부착되는 수평 융착부(132)만으로도, 한쌍의 브라켓 몸체(110,120)가 상부연결봉(130)에 부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브라켓 몸체(110,120)의 일측에 별도로 구비된 지지턱과 상부연결봉(130)의 양단을 추가로 부착하여 수직 융착부(134)를 이루는 것에 의하여 결속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 pair of bracket bodies 110 and 120 is attach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only by the horizontal fusion portion 132 to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bracket bodies 110 and 120 contact and are attached. Further, by attaching both ends of the support jaw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separate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bracket bodies 110 and 120, it becomes possible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y forming a vertical fusion unit 134.

그리고 상기 브라켓 몸체(110,120)의 하부면과 하부연결봉(190)의 상부면이 접촉되어 부착되는 하부융착부(192)에 의하여 한쌍의 브라켓 몸체(110,120)을 더욱 강하게 결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nd it is possible to more strongly bind the pair of bracket body (110, 120) by the lower fusion portion 19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10,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in contact.

이와 같이, 제1브라켓 몸체(110) 및 제2브라켓 몸체(120)는 상부연결봉(130) 및 하부연결봉(190)을 상부 및 하부에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10)으로 완성되는 것이다.As such,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120 are completed by the pipe fixing bracket 110 by joining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

상기 상부연결봉(130) 및 하부연결봉(190)은,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사각형태의 상부연결봉(130) 및 하부연결봉(190)을 도시하였으나, 제1브라켓 몸체(110) 및 제2브라켓 몸체(120)의 상하부에 접합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모양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부연결봉(130)은 도 4에 도시한 바닥재(F)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성형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반원, 원형, 타원, 역삼각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상부연결봉(130) 및 하부연결봉(190)이 적용가능하다. 물론, 브라켓 몸체(110,120)과 상부연결봉(130) 및 하부연결봉(190)이 접촉되는 수평융착부(132), 수직융착부(134), 하부융착부(192)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상으로 성형하여 긴밀하게 접촉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The upper connecting rods 13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s 190 are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o have a buoyancy. Although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have a rectangular shape in the drawing,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bracket body 1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120. In particular,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should be molded so that the flooring material (F)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having various cross sections, such as semicircles, circles, ellipses, and inverted triangles, are applicable. Of course, the bracket body 110, 120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190, the horizontal fusion unit 132, the vertical fusion unit 134, the lower fusion unit 192 is molded in a shap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Naturally, it should be in close contact.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200,3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봉(230,330)에는 난간고정용 포스트(216,226,316,326)가 구비된 제1브라켓 몸체(210,310) 및 제2브라켓 몸체(220,320)가 양단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1브라켓 몸체(210,310) 및 제2브라켓 몸체(22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브라켓 몸체(250,350)를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간브라켓 몸체(250,350)는 제1브라켓 몸체(210,310) 및 제2브라켓 몸체(220,320)와 소정의 간격에 해당되는 이격공간(240,340)을 가지도록 부착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210,220,250,310,320,350)의 상부면과 상부연결봉(230,330)의 저부가 부착되는 수평융착부(232,332)와, 제1브라켓 몸체(210,310) 및 제2브라켓 몸체(220,320)에 의하여 상부연결봉(230,330)의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부착되는 수직융착부(234,334)에 의하여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210,220,250,310,320,350)와 상부연결봉(230,3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2 and 3 are for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ipe fixing bracket (200,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irst bracket body (210,3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220,320) having the railing fixing posts (216,226, 316, 326) are attached to both ends, respectively, in the upper connecting rod (230,330), the first bracket body (210,310) It is possible to attach at least one intermediate bracket body (250, 350) between the second bracket body (220,320). The intermediate bracket bodies 250 and 350 may be attached to have spaced spaces 240 and 340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first bracket bodies 210 and 310 and the second bracket bodies 220 and 32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racket body (210,220,250,310,320,350) and the horizontal fusion portion (232,332)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necting rods (230,330), the upper by the first bracket body (210,310) and the second bracket body (220,320)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210, 220, 250, 310, 320, and 350 are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s 230 and 330 by vertical fusion portions 234 and 334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s 230 and 330.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연결봉(230,330)과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210,220,250,310,320,350)에는 파이프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통 성형된 다수개의 파이프 고정공(212,214,222,224,252,254,312,314,322,324,352,354)이 구비된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에는 각각 2개씩의 파이프 고정공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상기 파이프 고정공의 수를 달리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bracket bodies 210, 220, 250, 310, 320 and 350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s 230 and 33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pe fixing holes 212, 214, 222, 224, 252, 254, 312, 314, 322, 324, 352 and 354 through which the pipes can be inserted.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are shown as having two pipe fixing holes, respective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by varying the number of pipe fixing hol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한, 상기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210,220,250,310,320,350)의 하부면과 하부연결봉(230,330)의 상부면이 부착되는 하부융착부(292,392)에 의하여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210,220,250,310,320,350)와 하부연결봉(290,39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하부연결봉(290,390)에 의하여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210,220,250,310,320,350)의 하부를 더욱 견고하게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racket bodies 210, 220, 250, 310, 320, 35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s 290, 390 are combined by the lower fusion portions 292, 392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racket bodies 210, 220, 250, 310, 320, 350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lower connecting rods 230, 330. . As a result, the lower connection rods 290 and 390 may further strengthen the lower portions of the bracket bodies 210, 220, 250, 310, 320, and 350.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한 사용실시예를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using a pipe fixing brack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우선,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다수개의 파이프(P)를 각각의 파이프 고정공(112,114,122,124)에 삽설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다수개의 파이프(P)를 따라 다수개의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렇게 하여, 다수개의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에 파이프(P)들이 고정되면, 손잡이용 난간(H)을 난간고정용 포스트(116,126)에 끼워 조립한다. 그리고 바닥재(F)를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 상부에 설치하여 수상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First, a plurality of pipes P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are inserted into the pipe fixing holes 112, 114, 122, and 124,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 plurality of pipe fixing brackets 100 are positioned along the plurality of pipes P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way, when the pipes P are fixed to the plurality of pipe fixing brackets 100, the handrail H is fitted to the handrail fixing posts 116 and 126. And the flooring material (F) is installed on the pipe fixing bracket 100 to complete the water structure.

상기 수상구조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은 수상구조물의 폭(W)을 결정하는 주요 구성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와 같이, 제1브라켓 몸체 및 제2브라켓 몸체 사이에 중간브라켓의 수는 수상구조물의 폭(W)에 따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중간브라켓의 수가 증가할 경우에는 상부연결봉(130)의 길이도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 수와 이격공간(140)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In manufacturing the water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the pipe fixing bracket 100 is the main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width (W) of the water structure. Therefore, as in various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3, the number of intermediate brackets between the first bracket body and the second bracket body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ater phase structure. Of course, when the number of intermediate brackets increases, it is obvious that the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should also be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bracket bodies and the space 140.

그리고, 상기 이격공간(140)은 상황에 따라 꼭 형성하여야 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격공간(140)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를 서로 인접하게 위치시켜 상부연결봉(13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pace 140 is not necessarily 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the space 140 is not required,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ttach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 130. It is possib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은, 수상구조물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된 상부연결봉 및 하부연결봉에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를 부착시켜 제작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anufactured by attaching a plurality of bracket body to the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cut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at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we will be able to achieve this more effectively. Therefor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연결봉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 몸체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상구조물의 폭을 고려하여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게 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낚시터, 요트장, 수변 산책로 등과 같은 다양한 수상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at least one bracket body to the upper connecting rod can be expected to provide an advantage of providing a pipe fixing bracket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water structure. This will be able to provide a variety of water structures, such as fishing grounds, yachts, waterfront trails.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봉의 두께에 따라 수상구조물의 바닥재와 수면과의 높이차를 조절할 수 있어 파도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겪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borne structu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thereby minimizing user's inconvenience caused by waves.

또한, 수평융착부 및 수직융착부에 의하여 상부연결봉과 결합된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를 견고하여 지지하며, 하부융착부에 의하여 다수개의 브라켓 몸체의 하부를 보강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상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coupled with the upper connecting rod by the horizontal welding portion and the vertical welding portion, and to reinforce the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bracket bodies by the lower welding portion so as to produce a stable water structur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 fixing bracke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수상구조물의 부분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tructure for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ipe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0,200,300 .....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100,200,300 ..... Pipe fixing bracket

110,120,210,220,250,310,320 350 ..... 브라켓 몸체110,120,210,220,250,310,320 350 ..... Bracket Body

112,114,212,214,252,254,312,314,322,324,352,354 ..... 파이프 고정공112,114,212,214,252,254,312,314,322,324,352,354 ..... Pipe anchors

116,126,216,226,316,326 ..... 난간고정용 포스트116,126,216,226,316,326 ..... Handrail fixing post

130,230,330 ..... 상부연결봉 132,232,332 ..... 수평융착부130,230,330 ..... upper connecting rod 132,232,332 ..... horizontal fusion

134,234,334 ..... 수직융착부 190,290,390 ..... 하부연결봉134,234,334 ..... vertical welded 190,290,390 ..... lower connecting rod

Claims (7)

파이프 고정공이 구비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브라켓 몸체와;At least one bracket body provided with a pipe fixing hole; 상기 브라켓 몸체와 융착 고정되는 상부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Pipe fixing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bracket connecting the bracket body and the upper connecting r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몸체는, 그 하부에는 융착 고정되는 하부연결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The bracket fixing pipe of claim 1, wherein the bracket body further comprises a lower connection rod fused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몸체는, 상부연결봉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는 제1브라켓 몸체 및 제2브라켓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The bracket for bracket of claim 2, wherein the bracket body comprises a first bracket body and a second bracket body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connecting ro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몸체 및 제2브라켓 몸체 사이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중간브라켓 몸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The pipe fixing bracket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intermediate bracket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acket body and the second bracket bod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몸체, 제2브라켓 몸체, 중간브라켓 몸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만큼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연결봉 및 하부연결봉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The bracket for fixing a pip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bracket body, the second bracket body, and the intermediate bracket body are attached to the upper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to form a space spac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몸체 및 제2브라켓 몸체에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racket body and the second bracket body, 상부로 연장성형된 난간고정용 포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Pipe fixing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ailing fixing post extending to the top.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몸체 및 제2브라켓 몸체에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racket body and the second bracket body, 상부로 연장성형된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상측에 난간고정용 포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A bracket for fixing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jaw extend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railing fixing post is provided on the support jaw.
KR20-2005-0015164U 2005-05-27 2005-05-27 A fixing bracket of pipe KR2003935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64U KR200393503Y1 (en) 2005-05-27 2005-05-27 A fixing bracket of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64U KR200393503Y1 (en) 2005-05-27 2005-05-27 A fixing bracket of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503Y1 true KR200393503Y1 (en) 2005-08-22

Family

ID=4369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164U KR200393503Y1 (en) 2005-05-27 2005-05-27 A fixing bracket of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50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15A (en) 2019-08-14 2021-02-24 주창혁 Pontoo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415A (en) 2019-08-14 2021-02-24 주창혁 Ponto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4052A1 (en) Floating frame and its components for aquaculture
US4223629A (en) Marine dock section
KR100944183B1 (en) Joint block of buoyancy tube for floating construction
US20110079464A1 (en) Modular stage assembly
KR101433504B1 (en) Double pipe using Buoyance body module
JP4922576B2 (en) Floating structure
KR101009264B1 (en) Floating assembly for water surface structure
KR200393503Y1 (en) A fixing bracket of pipe
KR101122060B1 (en) A floating marine structure using a pontoon with the center hole
KR20100005101U (en) Joint bracket for a floating construction
KR101385630B1 (en) Frame assembly for deck-road
KR20120132269A (en) A buoyancy structure
KR101078604B1 (en) A prefabricated fence
JP4488934B2 (en) Groundwater tank filler
KR20120007987U (en) The float for a farm
KR101761072B1 (en) Stepping block for confining nursery
CN107792305A (en) A kind of concrete plastic pier and its assemble method
KR102086588B1 (en) Deck Having Truss Girder With Flat Bar
KR20210062474A (en) A Easy Assembling Float Assembly
JP6458178B1 (en) Float units, floats and floating structures
KR100542638B1 (en) An assembling pool
PT715039E (en) COVERAGE ELEMENT
CN214942720U (en) Damaged wooden column flat-head pier connection reinforcing structure based on FRP intelligent sensing
KR100456229B1 (en) Floating Structure For Breeding Fishes
KR200403600Y1 (en) Structure assembly of the s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0214

Effective date: 20120627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