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438Y1 -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438Y1
KR200393438Y1 KR20-2005-0015578U KR20050015578U KR200393438Y1 KR 200393438 Y1 KR200393438 Y1 KR 200393438Y1 KR 20050015578 U KR20050015578 U KR 20050015578U KR 200393438 Y1 KR200393438 Y1 KR 200393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ignal
sound
join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우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5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4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4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이음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진동센서를 부착한 후, 이 진동센서에 증폭기를 연결하고, 이 증폭기에 헤드폰을 연결하여 진동센서의 진동신호가 증폭기를 거쳐 헤드폰을 통해 소리신호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시험시에 동일 주행조건에서 시험자가 상기 헤드폰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직접 귀로 들어서 그 소리가 차량 실내의 문제시되는 이음 노이즈와 같은 음색인지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위치의 이음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state transmission noise evaluating equipment in a vehicle interior, and after attaching a vibration sensor at a position at which a noise is expected to be connected, an amplifier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sensor, and a headphone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to connect the vibration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Can be output as a sound signal through the headphone through the amplifier, and during the test under the same driving conditions, the tester directly listens to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headphone, and if the sound is the same as the noise of the joint of the car interior. The main point is to make it possible to compare the two,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joint occurs.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음 발생 예상 위치에 가속도계를 부착한 상태에서 시험자가 헤드폰을 통해 들리는 소리를 귀로 듣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쉽게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고, 직접 이음 발생 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리로 듣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의 문제시되는 관심 노이즈와 쉽게 비교가 가능하며, 이음 노이즈의 원인 분석 및 판단이 쉽다. 또한, 종래와 같이 고가의 신호분석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평가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to find the cause because the tester only needs to listen to the sound heard through the headphones with the accelerometer attached to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joint,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sition of the joint is directly generated. Because it is listening, it can be easily compared with the noise of interest in the room, and it is easy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cause of the nois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valuation cost is greatly reduced because expensive signal analysis equipment or software is not used as in the prior art.

Description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종 부품에서 간섭, 부딪힘, 긁힘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소음, 즉 이음(잡소리, abnormal noise)에 기인하는 실내 고체 전달 노이즈의 원인 분석을 위한 평가 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solid-state transmission noise in a vehicle interior, and more particularly, indoor solid due to abnormal noise generated by interference, bumps, scratches, etc. in various parts of the vehicle. An evaluation apparatus for analyzing the cause of the transmission noise.

일반적으로, 신차 개발을 위해서는 내구성, 주행성, 제동성 등 차량의 각종 성능을 평가하는 주행시험을 실시하여 차량 시판 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이나 위험성을 예방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develop a new car, a driving test for evaluating various performances of a vehicle, such as durability, driving performance, and braking performance, is performed to prevent various problems or risks that may occur after the market.

이러한 주행시험은 해당 부품이나 장치 또는 차량의 개발단계는 물론 신차 개발 후에도 시험자가 직접 차량을 주행하면서 실시되거나 다이나모 메타와 같은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되고 있다. These driving tests are conducted by the tester driving the vehicle directly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corresponding parts, devices, or vehicle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 new vehicle, or by using various equipment such as dynamo meta.

그리고, 주행시험시에는 차량 외부 소음과 더불어 실내 소음을 측정하여 분석하는 작업을 실시하는데,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 정도가 차량 성능 및 만족도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 되므로 소음의 측정 및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In addition, during the driving test, indoor noise and indoor noise are measured and analyzed. Sin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vehicle is a major criterion for judging vehicl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noise is very important. can do.

예컨대,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엔진 소음 등을 진단하거나, 각종 이음(잡소리, abnormal noise) 등에 의해 차량 실내로 전달되는 고체 전달 노이즈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diagnose an engine noise generated while driving a vehicle or to identify a cause of solid-state transmission noise transmitted to a vehicle interior by various noises (abnormal noise), and to find an improvement solution for the problem. .

통상 차량에서 측정되는 소음으로는 엔진 소음, 팬 소음, 에어컨 컴프레서 소음, 바람소리 등과 같이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이 있는데, 이러한 소음들은 그 원인을 알고 있는 것으로서, 엔진 rpm/주행속도에 연동하여 그 크기 및 주파수 특성이 바뀌며, 그 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Normally, the noises measured in the vehicle include noises generated normally such as engine noises, fan noises, air conditioner compressor noises, wind noises, and the like, and these noises are known, and their size and size are linked to the engine rpm / driving spee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hange, and improvements have been made in many studies.

그러나, 주행하는 차량에서는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소음 외에, 마운트, 로어암, 어퍼암, 쇽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 도어 등과 같은 각종 부품에서 간섭, 부딪힘, 긁힘 등에 의한 이음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traveling vehicle, in addition to the normal noise as described above, various components such as mounts, lower arms, upper arms, shock absorbers, springs, suspensions, doors, and the like may generate noises due to interference, bumps, scratches, and the like.

이러한 이음에 의한 고체 전달 노이즈는 엔진 rpm/주행속도와 전혀 관계 없는 예기치 못한 소음이며, 외부 노면 충격 등에 의해 발생된다.Solid noise transmitted by these joints is an unexpected nois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engine rpm / running speed and is generated by external road impacts and the like.

특히, 이음은 발생되서는 안되는 비정상적인 소음으로서, 이것이 차량 실내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불안을 야기시킬 수 있고, 그 자체가 승객의 불만사항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 원인을 찾아서 제거해야 한다.In particular, the noise is an abnormal noise that should not be generated, and if it is transmitted inside the vehicle, it may cause anxiety for the driver and itself can be a complaint to the passenger, so the cause must be identified and removed. .

한편, 차량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11)을 차량(1)의 실내에 설치하여 그를 통해 입력되는 소음신호를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terior, as shown in Figure 1, the microphone 11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method for analyzing the noise signal input through it Is used.

이러한 방법에서 마이크로폰(11)이 검출한 신호는 신호분석장비(12)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이 신호분석장비(12)는 컴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다 상세히는 마이크로폰(11)을 통해 측정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13), 잡음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14), 측정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하드 디스크)(15), 이 저장수단(15)에 저장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수단(16), 분석된 데이터를 주파수별 음압 레벨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모니터)(17) 등으로 구성된다. In this method, the signal detected by the microphone 11 is analyzed by the signal analysis equipment 12, which includes a computer and the like, and more specifically, measured by the microphone 11 An amplification means 13 for amplifying the signal, a filtering means 14 for filtering noise, a storage means (hard disk) 15 for storing the measured signal, and a frequency of a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means 15 Frequency analysis means 16, and display means (monitor) 17 for outputting the analyzed data at the sound pressure level for each frequency.

이와 같은 신호분석장비(12)에서는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마이크로폰(11)의 신호를 대상으로 주파수 분석, 노이즈 분석 등을 수행하고, 또한 소리를 재생하기도 한다.In such a signal analysis device 12, frequency analysis, noise analysis, etc. are performed on the signal of the microphone 11 using software or the like, and also a sound is reproduced.

그러나, 차량 실내에 마이크로폰(11)을 설치하고 그 신호를 신호분석장비(12)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종래 방법의 경우, 이음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신호의 발생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stalling the microphone 11 in a vehicle interior and analyzing the signal using the signal analysis device 12, it is almost impossible to find the cause of the abnormal signal generation such as a joint.

즉, 실내 소음만으로는 이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부분이 이음에 의한 소음인지, 이음이 어디에서 발생되고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없으며, 특히 신호분석장비를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폰(실내 소음)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복합된 실내 노이즈 중에 문제시되는 노이즈 부분(고객의 불만사항임)만을 찾아내어 그 소음원을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That is, indoor noise alone cannot determine whether noise is caused by a joint, which part is noise due to a joint, and where the joint is generated.In particular, when using signal analysis equipment, a microphone (indoor noise) is used.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noise source by finding only the noise part (which is a complaint of the customer) out of many complex indoor noises.

또한, 실제 측정되는 실내 소음에서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미세 노이즈 영역의 구분은 거의 불가능하고, 특히 미세 이음 노이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분석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생도 거의 안되며, 이음 노이즈의 대부분이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므로 측정 및 분석이 어렵다.In addi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distinguish the fine noise region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from the actual measured indoor noise, and in particular, the fine noise noise is not only easy to analyze by software, but also hardly reproduced. Are difficult to measure and analyze.

물론 이음 등에 의한 비정상적인 신호발생에 대한 원인 파악에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를 거쳐서 찾아내기도 하나, 고가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신호분석장비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비용이 소요되어야 하고, 측정 및 분석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Of course, finding the cause of abnormal signal generation due to noise, etc. through time and trial and error can be found, but it requires a lot of investment cost to equip signal analysis equipment including expensive software. I need time.

또한, 이음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해 특정하게 제시된 방향도 없으며, 원인 분석을 위한 효과 및 신뢰성도 높지 않다.In addition, there is no specific direction for the cause analysis of the joint, and the effect and reliability for the cause analysis are not high.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실내의 문제시되는 이음 노이즈에 대하여 정확하면서도 보다 간편한 원인 분석 및 판단이 가능하고, 종래와 같은 고가의 신호분석장비나 소프트웨어가 불필요하여 장비 구축에 대한 투자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asily cause cause analysis and judgment on the noise of a problem in the room, and expensive signal analysis equipment or software as in the prior art is unnecessar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olid-state transmission noise evaluation equipment in a vehicle interior,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investment cost for equipment construc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는,The solid transmission noise evaluation equipment of the vehicle in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주행 중인 차량에서 이음 발생이 의심되는 부품이나 그 가까운 위치 또는 이음 전달경로에 부착시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와;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by attaching to a part suspected of occurrence of a noise in a driving vehicle, a near position thereof, or a joint transmission path;

이 진동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진동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와;An amplifier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vib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electrical vibration signal;

이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헤드폰;A headphon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nd output the sound signal;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t is made, including.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센서가 외부 진동에 의해 내부 질량체가 움직이면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vibration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lerometer outputs a voltage signal while the internal mass moves by the external vib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차량의 각종 부품에서 간섭, 부딪힘, 긁힘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소음, 즉 이음(잡소리, abnormal noise)에 기인하는 실내 고체 전달 노이즈의 원인 분석을 위한 평가 장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luation equipment for analyzing the cause of the noise of the indoor solid due to abnormal noise, that is, abnormal noise caused by interference, bumps, scratches, etc. in various parts of the vehicle.

특히, 본 고안은 차량 실내에서 들리는 고체 전달 노이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음 발생이 의심되는 부품이나 그 가까운 위치 또는 이음 전달경로에 진동센서를 부착한 후, 이 진동센서에 증폭기(앰프)를 연결하고, 이 증폭기에 헤드폰을 연결하여, 차량 주행 중에 진동센서의 진동신호가 증폭기를 거쳐 헤드폰을 통해 소리신호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시험시에 동일 주행조건에서 시험자가 상기 헤드폰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를 직접 귀로 들어서 그 소리가 차량 실내의 문제시되는 이음 노이즈와 같은 음색인지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위치의 이음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solid transmission noise heard in the vehicle interior, after attaching a vibration sensor to the part suspected of occurrence of the noise or its adjacent position or the joint transmission path, an amplifier (amplifier) is attached to this vibration sensor And a headphone connected to the amplifier, so that the vibration signal of the vibration sensor can be output as a sound signal through the headphone through the amplifier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the tester outputs the headphone through the headphone under the same driving conditions during the test. The main point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ound is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comparing the sound directly with the ear and comparing the sound with the same sound as the noise in the vehicle interior.

이러한 본 고안의 평가 장비는 같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이 같은 소리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헤드폰을 통해 소리가 들릴 경우 그 소리가 차량 실내에서 들리는 소리와 같은 소리인지를 비교하여 만약 같을 경우 그 부품이 실내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노이즈의 발생원 또는 전달원임을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The evalu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with the idea that the signals of the same frequency band have the same sound characteristics. When the sound is heard through the headphones, the sound is compared with the sound of the vehicle interior. If it is the same, it is easy to determine that the component is the source or transmission source of the noise that is in question indoors.

이와 같이 의심되는 부품에 진동센서를 부착하여 그로부터 헤드폰을 통해 직접 이음 노이즈를 들을 경우, 실내에서 문제시되는 노이즈를 뚜렷이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부품의 이음 발생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그 부품에서 이음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진동센서의 부착위치를 옮겨서 다른 의심되는 부품을 동일한 방법으로 추적하게 되면 이음 발생 부분을 쉽고 정확히 찾을 수 있다.If you attach a vibration sensor to such a suspected part and hear the noise from the headphone directly from it, you can clearly see the noise in question in the room. Even if this does not occur, if you mov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vibration sensor to track other suspicious parts in the same way, it is easy and accurate to find the joint.

이러한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장비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서 진동센서를 부착시킨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attached to the vibration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이음 발생되는 부분을 찾기 위한 과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소음 데이터와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process for finding the portion of the j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noise data and vibr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고안의 평가 장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 발생이 의심되는 부품이나 그 가까운 위치 또는 이음 전달경로에 부착시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21)와, 이 진동센서(21)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2)와, 이 증폭기(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헤드폰(23)을 포함한다.First, the evalu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vibration sensor 21 for detecting the vibration by attaching to the component suspected of occurrence of the joint or its adjacent position or the joint transmission path, and the vibration sensor ( And an amplifier 22 for amplifying the vibration signal output from 21 and a headphone 23 for output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22 as a sound signal.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진동센서(21)는 시험자가 판단하여 이음 발생이 의심되는 부품이나 그 가까운 위치 또는 이음 전달경로에 부착하는데, 그 부착위치의 예로서 엔진 마운트, 로워암, 어퍼암, 쇽업소버, 스프링, 서스펜션, 도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vibration sensor 21 is attached to a part suspected of occurrence of a joint or a nearby position or a joint transmission path as judged by a tester, and examples of the attachment position include an engine mount, a lower arm, an upper arm, a shock absorber. Can be attached to springs, suspensions, doors, etc.

상기 진동센서(21)로는 가속도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가속도계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로서, 통상 내부에 질량체(mass)가 있어 가속도계가 외부 진동을 받으면 질량체가 움직이면서 미세한 전압신호가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An accelerometer may be used as the vibration sensor 21. The accelerometer is a device that converts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 general, there is a mass therein, and when the accelerometer receives external vibration, a fine voltage signal is generated as the mass moves. It is supposed to be.

이 가속도계(2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신호는 상기 증폭기(22)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수준으로 증폭이 이루어진다.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accelerometer 21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amplifier 22.

상기 증폭기(22)는 가속도계(21)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역할 외에, 가속도계가 외부 전원을 필요하므로 가속도계(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 증폭기(22)에 헤드폰(23)을 연결하는 경우 헤드폰의 스피커가 울리게 되며, 이와 같이 가속도계(21)에서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는 증폭기(22)를 거쳐 헤드폰(23)에서 소리신호로 출력된다.In addition to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ccelerometer 21, the amplifier 22 also supplies power to the accelerometer 21 because the accelerometer requires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headphone 23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22. When connected, the speaker of the headphone rings, and thus the accele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accelerometer 21 is output as a sound signal from the headphone 23 via the amplifier 22.

결국, 시험자는 실차 내부에서 들리는 이음과 같은 음색이 헤드폰(23)을 통하여 나타나는지, 같은 주행조건에서 발생하는지만 확인하면 원인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ester can determine the cause by checking whether the same sound as the sound heard inside the vehicle appears through the headphone 23, but it occurs under the same driving conditions, and if such equipment is used, the cause can be determined quickly and accurately. Can be.

도 3a는 가속도계(21)를 엔진 마운트(2)의 서포트 브라켓(3)에 부착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가속도계(21)를 로워암(4)에 부착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3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ccelerometer 21 is attached to the support bracket 3 of the engine mount 2, and FIG. 3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ccelerometer 21 is attached to the lower arm 4.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장비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에서 문제시되는 이음의 원인 분석과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ause of the joint in question in the vehicle interior using the equipment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우선, 주행 중인 차량의 실내에 비정상적인 고체 전달 노이즈가 전달되는 경우, 시험자가 차량 실내에 전달되는 관심의 이음 노이즈를 미리 청취한 뒤, 그 원인을 찾기 위하여 가속도계(21)를 이음 발생이 의심되는 부분에 부착시킨다.First, when abnormal solid transmission noise is transmitted to a room of a driving vehicle, a tester listens in advance to the noise of interest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then the accelerometer 21 is suspected of occurrence of a joint to find the cause. Attach to.

이어, 가속도계(21)를 차량 실내의 증폭기(22)에 연결하고, 이 증폭기(22)에 헤드폰(23)을 연결한 다음, 같은 주행조건에서 상기 헤드폰(23)을 사용해 그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귀로 듣는다.Then, the accelerometer 21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22 in the vehicle interior, the headphones 23 are connected to the amplifier 22, and the sound output therefrom is returned to the ears using the headphones 23 under the same driving conditions. Listen

이때, 실차 내부에서 들리는 이음과 헤드폰(23)을 통해 들리는 소리를 비교하여 실차 내부의 이음과 같은 음색이 헤드폰에서 나타나는지를 확인한다.At this time, by comparing the sound heard through the headphone 23 and the sound heard inside the vehicle, it is checked whether a tone such as the sound inside the vehicle appears in the headphones.

만약, 같은 소리라 판단되면 현재 가속도계(21)가 부착된 위치가 이음 발생의 원인이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헤드폰(23)을 통해 이음과 같은 소리가 들리지 않는 다면 다른 부분에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If it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sound, the position where the accelerometer 21 is currently attached may be a cause of the occurrence of the sound. If the sound such as the sound is not heard through the headphones 23, the cause should be found in another part. .

이 경우 가속도계(21)의 부착위치를 이음 발생이 예상되는 다른 위치에 부착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이음 발생의 원인을 찾게 되며, 계속해서 찾지 못하는 경우 가속계(21)의 위치를 계속 옮겨가면서 이음이 발생되는 부분을 찾는다.In this case, by attach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accelerometer 21 to another position where the joint is expected to be found, the cause of the joint is found in the same way, and if it is not found continuously, the joint is continuously moved while moving the position of the accelerometer 21. Find the par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어느 부위에서 어떠한 부품이 이음을 내는지를 확인한 후에는 그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엔진 마운트의 경우 그 위치 조정, 러버 플레이트 조정, 형상 및 장착구조 개선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After confirming which part makes a joint in which part through the above process, measures are taken to improve it.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ine mount, its position adjustment, rubber plate adjustment, shape and mounting structure improvement, etc. Action may be taken.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실제 시험시에 시험자가 같은 주행조건에서 가속도계(21)의 위치를 옮겨가면서 헤드폰(23)을 통해 들리는 소리를 직접 귀로 듣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쉽게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고, 실내에서 들리는 미세한 노이즈까지 뚜렷한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ster only needs to listen directly to the sound heard through the headphones 23 while moving the position of the accelerometer 21 under the same driving conditions, the cause can be easily f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early identify the cause of the fine noise heard in the room.

즉, 가속도계를 노이즈 발생이 예상되는 위치에 부착시켜 그 위치로부터 직접 진동신호를 검출 및 이를 소리신호로 출력시키므로, 실내 소음에서 여러 복합되어 있는 노이즈 중에서 문제시되는 노이즈 부분만을 발생원으로부터 직접 들을 수 있고, 실내 미세 소음의 영역만을 필터링한 후 증폭하여 듣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 원인 분석 및 판단이 쉽다. That is, by attaching an accelerometer to a location where noise is expected to be detected, and detecting a vibration signal directly from the location and outputting it as a sound signal, only the noise part in question among the various complex noises in the room noise can be directly heard from the source. It has the same effect as filtering and amplifying and listening only to the room's fine noise area, so it is easy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cause.

또한, 본 고안에서 진동으로 측정한 신호는 고가의 신호분석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음 노이즈가 잘 들리고 측정하기에도 편리하며, 가속도계를 차량에 붙이고 주행하면서 헤드폰으로 듣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the signal measured by vib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hear the noise noise and convenient to measure even without the use of expensive signal analysis equipment or software, and simply attach the accelerometer to the vehicle and listen with headphones while driving.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의 장점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Advantages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본 고안의 평가 장비에 의하면 데이터로 나타내지 않고 시험자가 귀를 통해 직접 소리를 들어 원인을 판단하기 때문에 평가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으나, 다만 가속도계를 사용하였을 때 참고자료로서 도 5의 데이터를 첨부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evalu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ster directly determines the cause of the sound through the ear without representing the data, there is no separate data for evaluation. However, when the accelerometer is used, the data of FIG. 5 is used as a reference. It is attached and described as follows.

도 5의 좌측 (a)도면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차량 실내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측정한 소음 데이터로서, 'SOUND QUALITY'라는 고가의 소프트웨어 및 신호분석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한 데이터(Hz-dB)이다.The left (a) of FIG. 5 is noise data measured by installing a microphone inside a vehicle as in the related art, and is data (Hz-dB) analyzed using expensive software and signal analysis equipment called 'SOUND QUALITY'.

여기서, 이음 노이즈의 주파수 영역은 네모로 표시한 영역인데, 실제 이 주파수 영역이 이음이라는 것을 찾기가 어려우며, 이 데이터로는 원인 접근이 쉽지 않다. Here, the frequency domain of the joint noise is a square regio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at the frequency domain is actually a joint, and this data is not easy to approach the cause.

즉, 실내 소음으로는 이음이 어디에서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가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noise occurs from the room noise.

반면, 도 5의 우측 (b)도면은 로워암에서 접촉 간섭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는 결과로서, 로워암에 가속도계를 부착한 후 여기서 측정한 신호를 신호분석장비를 이용하여 데이터(Hz-가속도 단위의 로그 스케일)화 한 것이며, 데이터에서 보듯이 네모로 나타낸 이음 부분이 확실히 구별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right (b) of FIG. 5 is a result of the noise generated by contact interference in the lower arm. After attaching the accelerometer to the lower arm, the signal measured here is measured using a signal analysis device. Logarithmic scale), as shown in the data, squared joints are clearly distinguisha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에 의하면, 이음 발생 예상 위치에 진동센서를 부착한 후, 이 진동센서에 증폭기를 연결하고, 이 증폭기에 헤드폰을 연결하여, 차량 주행 중에 해당 위치에서 발생되는 이음을 시험자가 상기 헤드폰을 통해 직접 귀로 들어 차량 실내의 문제시되는 이음과 비교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olid-state transmission noise evaluation equipment of the vehicle in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ttaching a vibration sensor at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joint, the amplifier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sensor, the headphone is connected to the amplifier, By allowing the tester to directly enter the ear through the headphone and compare it with the problem joint in the vehicle interior, the joint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시험시 이음 발생 예상 위치에 가속도계를 부착한 상태에서 시험자가 헤드폰을 통해 들리는 소리를 귀로 듣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쉽게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1) The tester only needs to listen to the sound heard through the headphones with the accelerometer attached to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joint, so the cause can be found very easily.

2) 이음 발생 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 후 소리로 듣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의 문제시되는 관심 노이즈와 쉽게 비교가 가능하고, 실내에서 들리는 미세한 노이즈까지 뚜렷한 원인 파악이 가능하다. 즉, 문제시되는 노이즈 부분만을 발생원으로부터 직접 들을 수 있고, 실내의 미세한 관심 노이즈 영역만을 필터링한 후 증폭하여 듣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이음 노이즈의 원인 분석 및 판단이 쉽다. 2)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cation of the joint is amplified and listened to by sound, it can be easily compared with the noise of interest in the room,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apparent noise even in the room. That is, only the noise part in question can be directly heard from the source, and since it has the effect of filtering and amplifying and hearing only the minute noise area of interest in the room, it is easy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cause of the noise noise.

3) 진동으로 측정한 신호가 고가의 신호분석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잘 들리므로, 정확한 측정 및 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장비에 대한 투자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3) Since the signal measured by vibration can be heard without using expensive signal analysis equipment or software, accurate measurement and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investment cost for the equipment is greatly reduc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실내 소음 측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interior noise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비의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서 진동센서를 부착시킨 예를 도시한 사시도,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sensor is att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서 이음 발생되는 부분을 찾기 위한 과정의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process for finding the portion where the joint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소음 데이터와 본 고안에 의한 진동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noise data and vibr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차량 2 : 엔진 마운트1: vehicle 2: engine mount

3 : 서포트 브라켓 4 : 로워암3: support bracket 4: lower arm

11 : 마이크로폰 12 : 신호분석장비11: microphone 12: signal analysis equipment

21 : 진동센서(가속도계) 22 : 증폭기21: vibration sensor (accelerometer) 22: amplifier

23 : 헤드폰23: headphones

Claims (2)

주행 중인 차량에서 이음 발생이 의심되는 부품이나 그 가까운 위치 또는 이음 전달경로에 부착시켜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와;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by attaching to a part suspected of occurrence of a noise in a driving vehicle, a near position thereof, or a joint transmission path; 이 진동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진동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와;An amplifier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vib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vibration sensor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electrical vibration signal; 이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헤드폰;A headphone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nd output the sound signal;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 Solid transmission noise evaluation equipment of the vehicle interio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진동센서가 외부 진동에 의해 내부 질량체가 움직이면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의 고체 전달 노이즈 평가 장비.And the vibration sensor is an accelerometer which outputs a voltage signal while the internal mass moves by external vibration.
KR20-2005-0015578U 2005-06-01 2005-06-01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KR2003934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78U KR200393438Y1 (en) 2005-06-01 2005-06-01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78U KR200393438Y1 (en) 2005-06-01 2005-06-01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242A Division KR20060099793A (en) 2005-03-15 2005-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438Y1 true KR200393438Y1 (en) 2005-08-22

Family

ID=4369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78U KR200393438Y1 (en) 2005-06-01 2005-06-01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43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nuit The sound quality of vehicle interior noise: a challenge for the NVH-engineers
CN106840375B (en) A kind of turbocharger extraordinary noise test method and its device
JP2019164106A (en) Abnormal noise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
CN107192562A (en) Shock absorber Abnormal Sound Trouble is quickly positioned and diagnostic test device
KR200600997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CN103813255A (en) Method for testing performance of automobile audio device
KR200393438Y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structure-borne noise of vehicle
CN110784815B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coustic performance of product
JP4298635B2 (en) Axle bearing monitoring method for rolling stock by measuring axle box sound
CN215116630U (en) Circuit board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KR101945372B1 (en) jig for testing error noise of door trim and method for testing error noise of door trim using ths same
JPH08159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sound-insulation performance of floor
KR100418117B1 (en) A monitoring device for vibrating strucutres in a vehicle
JP2022010840A (en) Fault diagnosis method, noise measuring device, and fault diagnosis system
BR102012004933B1 (en) method for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shock absorbers in a motor vehicle, equipment for checking the durability of shock absorbers and shock tester
CN205067043U (en) Frock of car brake caliper abnormal sound rack test
KR1002241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utomobile power train noise
JP3908379B2 (en) Vibration detector and vibration inspection device
CN110595611A (en) Battery pack sloshing test method and system
CN205105372U (en) Sound acquisition system
JP5926855B2 (en) Abnormal sound inspection method for vehicles
Krishnapur et al. Brake rattle: Vibration and noise testing
CN220874735U (en) Performance test device for microphone with active noise reduction function
KR100574839B1 (en) An automatic device for attaching of vibration pickup and a monitoring device for vibrating structures
CN113923579B (en) Loudspeaker detection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