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74Y1 - 변압기용 애자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74Y1
KR200393374Y1 KR20-2005-0016519U KR20050016519U KR200393374Y1 KR 200393374 Y1 KR200393374 Y1 KR 200393374Y1 KR 20050016519 U KR20050016519 U KR 20050016519U KR 200393374 Y1 KR200393374 Y1 KR 200393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transformer
engaging
elastic core
cor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무
Original Assignee
권태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무 filed Critical 권태무
Priority to KR20-2005-0016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압기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전선과 변압기의 내부에 위치한 내부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압기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날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선단부에 관통공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된 애자관체와, 상기 애자관체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편의 전면에 상기 애자관체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결합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편의 배면에 변압기의 내부전선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통전연결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변압기용 애자에 있어서,
상호 밀착 결합되는 애자관체의 걸림턱과 통전연결단자의 걸림지지편 사이에 탄성 재질의 탄성코어부싱이 내재되어 상기 애자관체의 걸림턱과 통전연결단자의 걸림지지편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애자{AN INSULATOR FOR TRANSFORMER}
본 고안은 변압기용 애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변압기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전선과 변압기의 내부에 위치한 내부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된 변압기용 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용 애자는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인 변압기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입되는 고압의 외부전선을 지탱하며, 또한 상기 외부전선을 변압기의 내부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시켜주는 절연재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자기나 유리 및 기타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용 애자의 종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에 지지 결합되는 애자관체(11)와, 상기 변압기의 내부전선(21)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애자관체(11)에 지지 결합되는 통전연결단자(12)와, 외부전선(22)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통전연결단자(1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13)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애자관체(11)는 내부에 중공부(11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날개판(11b)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a)의 선단부에는 상기 통전연결단자(12)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11c)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1c)의 중앙부위에는 통전연결단자(12)가 부분적으로 통과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11d)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d)의 내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11e)이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전연결단자(12)는 상기 애자관체(11)의 걸림턱(11c)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편(12a)의 전면에는 상기 애자관체(11)의 관통공(11d)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12c)를 갖는 결합샤프트(1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편(12a)의 배면에는 변압기의 내부전선(21)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12d)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지지편(12a)과 인접된 결합샤프트(12b) 상에는 상기 애자관체(11)의 걸림홀(11e)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2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13)는 외부전선(22)이 연결되는 클립부(13a)에 상기 통전연결단자(1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하우징(13b)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하우징(13b)의 내부에는 상기 통전연결단자(12)의 결합샤프트(12b)에 형성된 수나사부(12c)가 체결되는 암나사공(13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변압기용 애자(10)는 대부분 변압기가 실외에 설치되는 관계로 강풍이나 눈 비 직사광선 등과 같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각 부품들이 수축 팽창을 반복함은 물론 변압기 내부에 담긴 유체의 고온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재질이 상이한 애자관체(11)와 통전연결단자(12)의 결합부위 즉 애자관체(11)의 걸림홀(11e)과 통전연결단자(12)의 걸림돌기(12e)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통전연결단자(12)의 걸림돌기(12e)가 팽창되면서 애자관체(11)의 걸림홀(11e) 내벽을 압박하여 결국에는 상호 결합된 애자관체(11) 또는 통전연결단자(12)가 변형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애자관체(11)의 선단부에 지지 결합된 통전연결단자(12)를 클램프(13)에 결합할 경우 상기 통전연결단자(12)의 결합샤프트(12b)에 형성된 수나사부(12c)를 클램프(13)의 연결하우징(13b)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통전연결단자(12)와 클램프(13)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수나사부(12c)와 암나사부를 조금이라도 무리하게 체결하게되면 취성에 약하면서도 수축 및 팽창 변화가 거의 없는 애자관체(11)의 걸림턱(11c) 또는 통전연결단자(12)의 걸림지지편(12a)이 상호 밀착되면서 압박하여 결국에는 애자관체(11) 또는 통전연결단자(12)가 변형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변압기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전선과 변압기의 내부에 위치한 내부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하면서도 조립성이 뛰어나도록 구성된 변압기용 애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날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선단부에 관통공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된 애자관체와, 상기 애자관체의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편의 전면에 상기 애자관체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결합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편의 배면에 변압기의 내부전선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통전연결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변압기용 애자에 있어서,
상호 밀착 결합되는 애자관체의 걸림턱과 통전연결단자의 걸림지지편 사이에 탄성 재질의 탄성코어부싱이 내재되어 상기 애자관체의 걸림턱과 통전연결단자의 걸림지지편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변압기용 애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변압기용 애자(100)는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날개판(11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1)의 선단부에 관통공(114)을 갖는 걸림턱(113)이 형성된 애자관체(110)와, 상기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편(121)의 전면에 상기 애자관체(110)의 관통공(1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클램프(1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나사부(122a)를 갖는 결합샤프트(1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편(121)의 배면에 변압기의 내부전선(210)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123)가 일체로 형성된 통전연결단자(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변압기용 애자(100)에 있어서,
상호 밀착 결합되는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과 통전연결단자(120)의 걸림지지편(121) 사이에 탄성 재질의 탄성코어부싱(140)이 내재되어 상기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과 통전연결단자(120)의 걸림지지편(121)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이 밀착되는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 주연부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이 탄력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압박걸림돌기(113a) 또는 압박걸림요홈(113b)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애자관체(11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은 경우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통전연결단자(120)의 결합샤프트(122)가 끼워지는 끼움공(14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42)이 구비된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에는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의 경사면(142)이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경사밀착홈(115)이 관통공(114)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 접촉면적을 넓혀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애자관체(11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의 경사면(142)이 밀착되는 애자관체(110)의 경사밀착홈(115)에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의 경사면(142)이 탄력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압박걸림돌기(115a) 또는 압박걸림요홈(115b)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애자관체(11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8a와 도 8b와 도 8c와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밀착되어 면인 통전연결단자(120)의 걸림지지편(121)에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이 탄력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압박걸림돌기(121a) 또는 압박걸림요홈(121b)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통전연결단자(12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은 탄력성이 뛰어나면서도 통전되지 않는 절연제인 고무, 화이바, 하이카콜크, 프레스보드 등 기타 변압기의 가스켓이나 패킹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된 도면부호 131은 외부전선(220)이 연결되는 클립부이고, 132는 상기 통전연결단자(120)의 결합샤프트(12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하우징이며, 133은 상기 통전연결단자(120)의 결합샤프트(122)에 형성된 수나사부(122a)가 체결되는 암나사공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변압기용 애자는 상호 밀착되어 결합됨과 아울러 열팽창계수가 다른 애자관체와 통전연결단자 사이에 외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수축 팽창하는 탄성코어부싱이 내재되어 상기 애자관체와 통전연결단자의 체적변화에 따른 외력에 의해 능동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애자관체와 통전연결단자 사이에 간격 및 진동을 보정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외부 환경의 영향에 따라 통전연결단자의 결합샤프트가 팽창 수축하고, 그로 인해 애자관체가 파손되어 전기누설, 스파크 등에 의한 전력 공급의 차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애자관체의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변압기용 애자는 구성 부품인 애자관체와 탄성코어부싱과 통전연결단자를 조립하는 경우, 상기 통전연결단자의 결합샤프트에 끼워진 콘 형상의 탄성코어부싱이 비교적 길이가 긴 애자관체의 중공부를 지나 경사밀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통전연결단자의 결합샤프트를 애자관체의 관통공으로 유도하여 삽입하기 때문에 변압기용 애자의 생산에 따른 조립작업에 대한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정확하면서도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압기용 애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변압기용 애자의 주요부인 통전연결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변압기용 애자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와 도 8b와 도 8c와 도 8d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압기용 애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변압기용 애자
110 : 애자관체 111 : 중공부
112 : 날개판 113 : 걸림턱
113a : 압박걸림돌기 113b : 압박걸림요홈
114 : 관통공 115 : 경사밀착홈
115a : 압박걸림돌기 115b : 압박걸림요홈
120 : 통전연결단자 121 : 걸림지지편
121a : 압박걸림돌기 121b : 압박걸림요홈
122 : 결합샤프트 122a : 수나사부
123 : 전선연결부 130 : 클램프
131 : 클립부 132 : 연결하우징
133 : 암나사공 140 : 탄성코어부싱
141 : 끼움공 142 : 경사면
210 : 내부전선 220 : 외부전선

Claims (5)

  1.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날개판(11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11)의 선단부에 관통공(114)을 갖는 걸림턱(113)이 형성된 애자관체(110)와, 상기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지지편(121)의 전면에 상기 애자관체(110)의 관통공(1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나사부(122a)를 갖는 결합샤프트(1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지지편(121)의 배면에 변압기의 내부전선(210)이 연결되는 전선연결부(123)가 일체로 형성된 통전연결단자(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변압기용 애자(100)에 있어서,
    상호 밀착 결합되는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과 통전연결단자(120)의 걸림지지편(121) 사이에 탄성 재질의 탄성코어부싱(140)이 내재되어 상기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과 통전연결단자(120)의 걸림지지편(121)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이 밀착되는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 주연부에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이 탄력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압박걸림돌기(113a) 또는 압박걸림요홈(113b)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은 내부에 상기 통전연결단자(120)의 결합샤프트(122)가 끼워지는 끼움공(141)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42)이 구비된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애자관체(110)의 걸림턱(113)에는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의 경사면(142)이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경사밀착홈(115)이 관통공(114)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의 경사면(142)이 밀착되는 애자관체(110)의 경사밀착홈(115)에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의 경사면(142)이 탄력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압박걸림돌기(115a) 또는 압박걸림요홈(115b)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
  5.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코어부싱(140)과 밀착되어 면인 통전연결단자(120)의 걸림지지편(121)에 상기 탄성코어부싱(140)이 탄력적으로 수축 팽창되면서 끼워져 지지 결합되는 압박걸림돌기(121a) 또는 압박걸림요홈(121b)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애자.
KR20-2005-0016519U 2005-06-09 2005-06-09 변압기용 애자 KR200393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19U KR200393374Y1 (ko) 2005-06-09 2005-06-09 변압기용 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19U KR200393374Y1 (ko) 2005-06-09 2005-06-09 변압기용 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74Y1 true KR200393374Y1 (ko) 2005-08-18

Family

ID=4369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19U KR200393374Y1 (ko) 2005-06-09 2005-06-09 변압기용 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702B1 (ko) * 2005-11-08 2006-02-13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현수형 탄소 애자
KR200460375Y1 (ko) 2010-09-20 2012-05-21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1차부싱 밀봉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702B1 (ko) * 2005-11-08 2006-02-13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현수형 탄소 애자
KR200460375Y1 (ko) 2010-09-20 2012-05-21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1차부싱 밀봉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258380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防水構造、それを用いた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01758232U (zh) 一种电缆连接头
US9997877B2 (en) Receptacle with non-conductive retaining pin
KR200393374Y1 (ko) 변압기용 애자
CN108155492B (zh) 接线器
CN210866576U (zh) 一种电连接器插孔
CN219018019U (zh) 螺纹端头插座连接器
JP2021503153A (ja) 防水接続端子及び電気製品
CN101950898B (zh) 一种快速连接的电缆连接头
RU2003133174A (ru) Муфта кабельного удлинителя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CN111180165A (zh) 变压器套管的头部组件及变压器套管
US1190525A (en) Terminal connector.
CN220021768U (zh) 一种导电线连接头
KR20070040998A (ko) 컨넥터
CN220627795U (zh) 一种用于电子管与管座接触的栅极装置
CN219018006U (zh) 连接器插头
CN219696795U (zh) 一种厨衣柜灯用感应开关接头结构
EP3675291B1 (en) Low voltage electrification track system
CN212848007U (zh) 变压器套管
CN215955540U (zh) 电插接件
CN219393834U (zh) 一种电源连接器组件
CN210926408U (zh) 自锁插头
CN111224265A (zh) 连接器
CN218730442U (zh) 一种电气元件快速安装挂件结构及安全型电容器
KR200357975Y1 (ko) 직류전원장치용 접속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