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36Y1 -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36Y1
KR200393336Y1 KR20-2005-0015623U KR20050015623U KR200393336Y1 KR 200393336 Y1 KR200393336 Y1 KR 200393336Y1 KR 20050015623 U KR20050015623 U KR 20050015623U KR 200393336 Y1 KR200393336 Y1 KR 200393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emical
amount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석
Original Assignee
김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석 filed Critical 김성석
Priority to KR20-2005-0015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로서, 이는 수도 계량기를 통해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물탱크 내의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의 농도 등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를 구동시켜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을 물탱크에 공급함으로써, 맑은 물에 대한 국민의 시대적 요망에 부응하고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A Device for automatically inputting Disinfectant}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를 통해 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탱크 내의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의 농도 등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를 구동시켜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을 물탱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에는 세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소소독을 행하고 있지만, 취수장(취수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잔류염소의 농도가 비례적으로 감소하므로, 병원성 세균이 번식 성장할 우려가 있다.
특히, 지하수를 취수하여 간이 상수도로 사용하는 지역의 경우, 치아염소산칼슘을 지역에서 자치적으로 투입할 것을 주민들에게 권장하고 있으나,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주민들로서는 통상적인 소독작업을 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고체로 된 치아염소산칼슘 정제를 매일 정기적으로 정량 투입하는 일도 상당히 번거로운 것이다.
또한, 최종 음용수 중의 염소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지만, 치아염소산칼슘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투입할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치아염소산칼슘 정제의 부피변화에 의한 용해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의 농도를 적절하게 맞추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에 가깝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작업으로 치아염소산칼슘을 투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치아염소산칼슘을 하루에 일정량씩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 투입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자동 투입장치의 경우, 전력소모가 크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가이며 금속성 부품이 염소산에 노출되어 부식됨으로써 고장이 잦아 관리 및 보전작업이 힘이 드는 실정이다.
그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52659호(2004. 06. 23 공개)의 “유속을 이용한 약품 투입장치”는 유체의 흐름이 빠르면 약품의 투입량이 많아지고 유체의 흐름이 느리면 약품의 투입량이 적어지며, 유체의 흐름이 정지된 경우에는 약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정량의 물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이 일정하게 되지 못한다. 특히, 유체의 흐름이 느린 장시간 동안의 경우 다량의 유체가 흘러가는데도 불구하고 약품의 투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3550호(2000. 03. 15 공고)의 “약품 자동 투입장치”는 상하로 뚫린 약품 통로를 형성하는 저장통부 하부에 설치되고,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시간에 따라 회전하며 약품 낙하구를 통하여 약품을 자동적으로 낙하시키는 회전판부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양에 관계없이 정량의 약품이 투입되는 것이므로 물의 양에 따라 약품의 혼합비가 달라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27727호(2001. 04. 06 공고)의 “간이 상수도 정제형 약품 자동 투입장치”는 모터로 회전축을 회전시켜 카트리지에 수용된 정제형 고체 소독약을 안내 파이프를 통해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물의 양에 관계없이 정제형 고체 소독약이 투입될 뿐더러 배터리나 태양전지의 사용으로 고장이 잦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92149호(2001. 03. 06 공고)의 “상수도용 약품 자동 투입기”는 약품이 녹거나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와 습기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되도록 하면서, 상수도의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시간대에 따라 일정량의 약품을 자동 투입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소독으로 안정된 멸균을 이루어 위생적인 수돗물을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나, 이는 탱크 물의 양에 따라 약품 투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배터리의 사용으로 고장이 잦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1128호(2002. 03. 26 공고)의 “정수약품 자동 투출장치”는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식수로 사용하는 상수원의 소독을 위하여 정수약품 자동 투출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치아염소산칼슘과 같은 정제형의 약품을 투입할 경우 물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습기로부터 정제형의 약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투출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수리비가 적게 들고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원으로 공급하는 것이나, 이 역시 물의 양에 관계없이 정제형 약품이 투여될 뿐더러 태양전지의 사용으로 고장이 잦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 계량기를 통해 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탱크 내의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의 농도 등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를 구동시켜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을 물탱크에 일정하게 공급함으로써, 맑은 물에 대한 국민의 시대적 소망에 부응하고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물이 수용된 물탱크 내의 약품농도에 이상에 발생하거나, 혹은 물탱크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탱크에 약품이 잔류하지 않을 때, 관리자의 이메일이나 전화로 이를 알리는 문자 음성메시지를 자동 송출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탱크 내에 투입된 약품 함유량이나 약품탱크 내에 잔류하는 약품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는,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pipe) 상에 구성된 수도 계량기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고, 이를 중앙 콘트롤 박스(center control box)에 전달하는 수량 광센서;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에 투입된 약품의 농도를 감지하는 약품 농도센서; 상기 수량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나, 상기 약품 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약품농도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를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약품탱크의 약품을 물탱크에 투입하여 물탱크 내의 약품농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 콘트롤 박스;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약품탱크에 수용된 약품을 정해진 시간동안 물탱크에 투입하는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 및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상기 물탱크에 정량의 약품을 1회 투입할 물의 양과 상기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에 의해 정량의 약품이 물탱크에 투여된 회수 및 약품이 희석된 상태로 물탱크에 수용된 물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량 광센서는, 상기 수도 계량기의 10리터, 100리터, 1톤을 계수하는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다수의 발광 및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및 수광소자는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는, 상기 물탱크에 정량의 약품을 1회 투입할 물의 양에 따라 10리터, 100리터, 1톤의 물을 감지하는 수도 계량기의 회전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량 광센서의 다수의 발광 및 수광소자의 선택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물탱크에 정량의 약품을 1회에 투입할 물의 양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약품탱크에 잔류하는 약품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는 상기 잔량센서에 의해 감지된 약품탱크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거나, 또는 상기 약품 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탱크의 약품농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통신모뎀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관리자의 단말기에 이메일(E-mail)이나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지하수 등과 같은 취수원으로부터 물탱크(13)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 상에 구성된 수도 계량기(12)는 도1에서와 같이 파이프를 통해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도2에서와 같이 수량표시부(22)에 계량 표시하는 기기이다. 이는 서로 다른 물의 양, 즉 10리터, 100리터, 1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단위량의 물이 통과함에 따라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판(23a)(23b)(23c)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회전판(23a)(23b)(23c)은 서로 연동된다. 즉, 10리터짜리 회전판이 10회전하면 100리터짜리 회전판이 1회전하고, 100리터짜리 회전판이 10회전하면 1톤짜리 회전판이 1회전하고, 그 결과는 수량 표시부(22)를 통해 숫자로 표시된다.
또한, 취수원으로부터 물탱크(13)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각 회전판(23a)(23b)(23c)에는 중앙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이어지는 반사판(24a)(24b)(24c)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2의 회전판(23a)(23b)(23c)의 반사판(24a)(24b)(24c)에 대응되게 배열된 도3의 수량 광센서(11)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판(24a)(24b)(24c)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소자로 수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3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량 광센서(11)는 여러 쌍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된 것으로서 물탱크(13)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 상에 구성된 수도 계량기(12)의 회전판(23a)(23b)(23c)의 회전을 감지하여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읽어내고, 그 결과를 중앙 콘트롤 박스(10)에 전달한다.
여기서, 수량광센서(11)는 수도 계량기(12)의 10리터, 100리터, 1톤을 계수하는 회전판(23a)(23b)(23c)의 회전을 감지하는 여러 쌍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25a)(25b)(25c)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중앙 콘트롤 박스(10)의 제어로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물탱크(13)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서로 다른 단위로 감지한다.
또한, 중앙 콘트롤 박스(10)에는 약품 농도센서(26)가 접속되어 있는데, 이는 물탱크(13)에 공급되는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의 양을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으로만 조절하지 않고, 물에 희석된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의 농도까지도 감안하여 조절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공급되는 음용수로 사용 가능한 물의 염소 농도는 4 내지 6 ppm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앙 콘트롤 박스(1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양에 비하여 약품의 농도가 감소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물탱크(13)에 희석된 약품의 농도가 4 내지 6 ppm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탱크(13)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을 조절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약품 투입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콘트롤 박스(10)는
수량 광센서(11)로부터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에 대한 정보와, 약품 농도센서(26)로부터 물탱크(13)에 희석된 약품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중앙 콘트롤 박스(10)는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의 양과, 물탱크(13)에 희석된 약품의 농도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20)를 온/오프 시키는 시간간격을 달리하여 물탱크(13)에 투입되는 약품 양을 조절한다.
또한, 중앙 콘트롤 박스(10)는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20) 뿐만 아니라, 약품 투입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물의 양을 설정하고, 약품 투입이 이루어지기까지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표시하는 약품 희석 물량 설정 및 표시부(14)와,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20)의 구동으로 물탱크(13)에 공급된 약품이 공급된 회수를 표시하는 약품 희석회수 표시부(15) 및 수도 계량기(12)를 통해 물탱크(13)에 물의 양과 이에 투입된 약품의 총량을 표시하는 약품 희석수량 표시부(16)를 구동시켜 물탱크(13)에 공급되는 물과 약품의 양을 조절 및 표시한다.
여기서, 중앙 콘트롤 박스(10)는 물탱크(13)에 정량의 약품을 1회 투입할 물의 양에 따라 10리터, 100리터, 1톤(1,000리터)의 물을 감지하는 수도 계량기(12)의 회전판(23a)(23b)(23c), 즉 회전판(23a)(23b)(23c)상에 구성된 반사판(24a)(24b)(24c)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량 광센서(11)를 구성하는 여러 쌍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25a)(25b)(25c)의 선택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약품 희석 물량 설정 및 표시부(14)에 의해 설정된 물의 양을 충분히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수량 광센서(11)를 구성하는 여러 쌍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25a)(25b)(25c)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는 중앙 콘트롤 박스(10)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양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함이기도 하다. 특히, 물탱크(13)에 약품을 1회 투입하기 위한 물의 단위량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10)로부터 약품 투입을 위한 지시명령을 받은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20)는 약품탱크(18)에 수용된 약품을 정해진 시간동안 물탱크(13)에 투입한다. 이때 약품탱크(18)에 수용되어 있는 약품을 물탱크(13)에 투입하는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20)는 타이머(21)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만 구동되어 1회에 정량의 약품을 물탱크(13)에 투입한다. 물론, 약품탱크(18)로부터 물탱크(13)로 1회 투입되는 약품의 양은 관리자 등이 타이머(21)의 시간 조정으로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천세산업(주)에서 제조 판매하는 AX 시리즈 등을 일컫는다.)는 내약품성이 우수한 접액부와 콤팩트하고 견고한 구조의 다이아프램의 왕복동펌프로서, 이는 보일러 약품, 염소멸균제, 식품첨가물 등의 약액주입에서부터 이화학분야, 수처리, 폐수처리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의 정량주입에 적용된다.
이의 동작원리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편심기구에 의해 슬라이더 샤프트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샤프트 선단에 조립된 다이아프램이 왕복운동하면, 펌프 헤드 내의 용적이 증감됨과 동시에 펌프 헤드 내에 정압과 부압이 교대로 발생하여 액체의 흡입 및 토출이 행해진다.
즉, 다이아프램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펌프 헤드 내에는 부압하는데, 이때 토출측의 체크볼은 유로를 막아 토출측 배관속 약품의 역류를 막는다. 또한, 흡입측의 체크볼은 유로를 열기 때문에 펌프 헤드 내에 약품이 유입된다. 반대로, 다이아프램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펌프 헤드 내에 정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흡입측의 체크볼은 유로를 막고 토출측은 열려져서 약품이 배출된다.
뿐만 아니라, 약품탱크(18)에는 약품탱크(18)에 잔류하는 약품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센서(19)가 구성되고, 이로서 중앙 콘트롤 박스(10)는 잔량센서(19)로부터 제공되는 약품 잔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약품탱크(18)에 잔류하는 약품 잔량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이에 본 고안은 관리가 용이하고 물탱크(13)에 보다 정확한 양의 약품을 투입하기 위해, 잔량센서(19)에 의해 감지된 약품탱크(18)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떨어지거나 또는 약품 농도센서(26)에 의해 감지된 물탱크(13)의 약품농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중앙 콘트롤 박스(10)가 통신모뎀(17)과 도시되지 않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관리자의 단말기에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 콘트롤 박스(10)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물탱크(13)에 공급되는 수량이나 이에 희석되는 약품량 및 약품이 희석된 물의 농도 변화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물 관리를 위한 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국 간이상수도 및 광역 상수도 가압장과 단말시설이나 학교급수 시설 및 군부대 급수공급시설 등과 같이 지하수를 이용하는 모든 급수시설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를 통해 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나 탱크 내의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의 농도 등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를 구동시켜 염소 등과 같은 약품을 물탱크에 일정하게 공급함으로써, 맑은 물에 대한 국민의 시대적 소망에 부응하고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이 수용된 물탱크 내의 약품농도에 이상에 발생하거나, 혹은 물탱크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탱크에 약품이 잔류하지 않을 때, 관리자의 이메일이나 전화로 이를 알리는 문자 및 음성 메시지를 자동 송출함으로써, 관리자는 현장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탱크의 약품 희석량이나 약품탱크의 약품상태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2는 수도 계량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수량 광센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앙 콘트롤 박스 11 : 수량 광센서
12 : 수도 계량기 13 : 물탱크
14 : 약품 희석 물량 설정 및 표시부
15 : 약품 희석 회수 표시부 16 : 약품 희석 수량 표시부
17 : 통신모뎀 18 : 약품탱크
19 : 잔량 센서 20 :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
21 : 타이머 22 : 수량 표시부
23a, 23b, 23c : 회전판 24a, 24b, 24c : 반사판
25a, 25b, 25c : 발광 및 수광소자 26 : 약품 농도센서

Claims (5)

  1.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 상에 구성된 수도 계량기의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고, 이를 중앙 콘트롤 박스에 제공하는 수량 광센서;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에 투입된 약품의 농도를 감지하는 약품 농도센서;
    상기 수량 광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나 상기 약품 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약품농도에 따라,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를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약품탱크의 약품이 물탱크에 투입되어 물탱크 내의 약품농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 콘트롤 박스;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약품탱크에 수용된 약품을 정해진 시간동안 물탱크에 투입하는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상기 물탱크에 정량의 약품을 1회 투입할 물의 양과 상기 다이아프램 소형 정량펌프에 의해 정량의 약품이 물탱크에 투여된 회수 및
    약품이 희석된 상태로 물탱크에 수용된 물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광센서는, 상기 수도 계량기의 10리터, 100리터, 1톤을 계수하는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다수의 발광 및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및 수광소자는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의 제어로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물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는, 상기 물탱크에 정량의 약품을 1회 투입할 물의 양에 따라 10리터, 100리터, 1톤의 물을 감지하는 수도 계량기의 회전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량 광센서의 다수의 발광 및 수광소자의 선택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물탱크에 정량의 약품을 1회에 투입할 물의 양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탱크에 잔류하는 약품의 잔량을 감지하는 잔량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중앙 콘트롤 박스는 상기 잔량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약품탱크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로 내려가거나 또는 상기 약품 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물탱크의 약품농도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통신모뎀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관리자의 단말기에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KR20-2005-0015623U 2005-06-01 2005-06-01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KR200393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623U KR200393336Y1 (ko) 2005-06-01 2005-06-01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623U KR200393336Y1 (ko) 2005-06-01 2005-06-01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607A Division KR20060124922A (ko) 2005-06-01 2005-06-01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36Y1 true KR200393336Y1 (ko) 2005-08-18

Family

ID=4369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623U KR200393336Y1 (ko) 2005-06-01 2005-06-01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0431B2 (en) SPA chemistry monitor and treatment unit
CA2501066C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alt solution
US6789024B1 (en) Flow calculation system
JP6235465B2 (ja) 次亜塩素酸ナトリウムまたは次亜塩素酸を製造する装置及び水処理システム一般
JP2014518329A5 (ko)
EP1773480B1 (en) Dosing system for dosing of a liquid additive into a pressurized water supply line
US10577256B1 (en) Water monitoring device with replaceable reagent cartridge
KR20060124922A (ko)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KR200393336Y1 (ko) 수도 계량기로부터 얻어진 물의 양과 약품농도에 따라 약품투입이 조절 가능한 약품 자동 투입장치
KR102017062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수 관로 염소 투입장치
KR100905670B1 (ko) 원격제어 염소 자동 투입장치
KR101832930B1 (ko) 아연이온화와 미세기포세정방식을 갖는 잔류염소 관리시스템
KR100437901B1 (ko) 염소투입장치
KR100757209B1 (ko) 간이상수도 시스템
KR100703565B1 (ko) 고체염소 예상교환시기를 예측가능한 확산작용을 이용한 무동력 고체염소 포화용액 공급장치 및 공급방법
CN214031868U (zh) 污水处理回流污泥量控制系统
KR20070016176A (ko) 유량신호발생 수량계를 이용하고 선택스위치를 설치한소독약품 적량투입장치
US20220169546A1 (en) Water monitoring device with replaceable reagent cartridge
CN219469727U (zh) 一种药剂可精细化投加的农饮水供水装置
CN215924502U (zh) 一种饮用水自动消毒系统
KR102250699B1 (ko) 염소투입장치
JP3696457B2 (ja) 電解水希釈生成装置
KR200268713Y1 (ko) 염소투입장치
CN220351829U (zh) 一种自来水智能投加消毒装置
CN219039022U (zh) 一种具有清理结构的自来水检测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