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778Y1 - 음료병 - Google Patents

음료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778Y1
KR200392778Y1 KR20-2005-0012440U KR20050012440U KR200392778Y1 KR 200392778 Y1 KR200392778 Y1 KR 200392778Y1 KR 20050012440 U KR20050012440 U KR 20050012440U KR 200392778 Y1 KR200392778 Y1 KR 200392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body
water
main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20-2005-0012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병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내부에 음료가 내장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이 메인 바디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메인 마개로 구성된 음료병에 있어서, 상단부가 메인 바디의 메인 마개가 결합되는 상부면에 밀착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메인 바디상의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방된채 하부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서브 바디와; 서브 바디의 대략 중심 외주면에 마련되어 서브 바디를 상,하로 구획하는 차단판과; 서브 바디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서브 바디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서브 마개와; 서브 바디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메인 바디상의 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개재물;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메인 바디에 개재물이 수용된 서브 바디를 장,탈착 할 수 있게됨으로써 물의 맛 뿐만 아니라 정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특히 소비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킨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음료병{drink bottle}
본 고안은 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저장하여 판매 또는 공급하는 음료병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물에 관한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고, 특히 가정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으로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일반 상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을 사다먹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수기를 사용하여 물을 음용함에 있어서는, 반복적인 정수기의 청소가 필요로 하고, 고가의 정수기를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일반 상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은 고가의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대량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이들 물들은 지하수를 사용하여 멸균과 정수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지만, 최상의 물을 음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전부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외국으로부터 물을 수입하여 음용하고 있는 실정인바, 외화 낭비의 문제점도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병을 구성하고 있는 메인 바디상에 소비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수 및 기타 물에 이로움을 주는 물질을 개재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물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물병은, 내부에 음료가 내장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이 메인 바디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메인 마개로 구성된 음료병에 있어서, 상단부가 메인 바디의 메인 마개가 결합되는 상부면에 밀착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메인 바디상의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방된채 하부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서브 바디와; 상기 서브 바디의 대략 중심 외주면에 마련되어 서브 바디를 상,하로 구획하는 차단판과; 상기 서브 바디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서브 바디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서브 마개와; 상기 서브 바디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메인 바디상의 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개재물;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개재물은, 숯, 옥, 세라믹, 은, 금, 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개재물들은 부직포 내부에 쌓여진채 서브 바디상에 개재되는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병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병은, 내부에 음료가 내장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100)를 구비한다.
이 메인 바디의 상단부에는 메인 바디 내부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메인 마개(200)가 마련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메인 바디(100)의 내부에는 서브 바디(300)가 개재되는 바, 이 서브 바디(300)의 상단부는 메인 바디의 상부면에 즉, 메인 마개(200)가 결합되는 부분에 밀착되어 음용시 서브 바디(300)의 유출을 방지시킨다.
또한 서브 바디(300)의 상부 외주면에는 물의 유출이 방지되지 않도록 관통구멍(310)이 적어도 1곳이상 복수 마련된다.
한편, 서브 바디(300)의 하단부가 개방된 상태이며, 하부 외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320)이 형성되어 서브 바디(30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 바디(300)는 대략 중심부에 마련되는 차단판(400)을 통해 상,하로 구획된 상태가 된다.
이는 후술하는 개재물(600)이 물과 함께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서브 바디(300)의 하단부에는 개방 상태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서브 마개(500)가 마련된다.
한편, 서브 바디(300)의 하단부에는 개재물(600)이 수용되는 바, 이 개재물로는 숯, 옥, 세라믹, 은, 금, 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숯은, 물의 맛을 향상시키고, 멸균 및 정수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써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들 개재물(600)들은, 부직포(미도시)에 쌓여진채 서브 바디(300)상에 개재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바, 이는 혹 물과 개재물(600)이 직접 접촉될때 발생될 수 있는 물의 색 변화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물병은, 통상의 메인 바디(100)상에 서브 바디(300)를 개재할 수 있고, 이 서브 바디(300)상에 개재물(600)을 수용하여 물의 맛 뿐만 아니라 좀더 향상된 정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된다.
또한 손쉽게 서브 바디(300)를 메인 바디(100)상에 장,탈착이 가능하여 일회용이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일반 물병 뿐만 아니라 대형 정수기용 물병에도 사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병에 의하면, 메인 바디에 개재물이 수용된 서브 바디를 장,탈착 할 수 있게됨으로써 물의 맛 뿐만 아니라 정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특히 소비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병의 분리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메인 바디200 : 메인 마개
300 : 서브 바디310,320 : 관통구멍
400 : 차단판500 : 서브 마개
600 : 개재물

Claims (3)

  1. 내부에 음료가 내장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메인 바디와, 이 메인 바디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메인 마개로 구성된 음료병에 있어서,
    상단부가 메인 바디의 메인 마개가 결합되는 상부면에 밀착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메인 바디상의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방된채 하부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서브 바디와;
    상기 서브 바디의 대략 중심 외주면에 마련되어 서브 바디를 상,하로 구획하는 차단판과;
    상기 서브 바디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서브 바디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밀폐시키는 서브 마개와;
    상기 서브 바디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개재되어 메인 바디상의 물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개재물;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물은, 숯, 옥, 세라믹, 은, 금, 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물들은 부직포 내부에 쌓여진채 서브 바디상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병.
KR20-2005-0012440U 2005-05-03 2005-05-03 음료병 KR200392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440U KR200392778Y1 (ko) 2005-05-03 2005-05-03 음료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440U KR200392778Y1 (ko) 2005-05-03 2005-05-03 음료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778Y1 true KR200392778Y1 (ko) 2005-08-19

Family

ID=4369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440U KR200392778Y1 (ko) 2005-05-03 2005-05-03 음료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7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2654B2 (en) Water bottle with filter
US20150014252A1 (en) Water bottle coupled with filtration device
ATE248549T1 (de) Wiederverwendbarer giessdeckel für einen behälter geeignet zum aufnehmen von trinkbaren flüssigkeiten für menschlichen verzehr
KR200392778Y1 (ko) 음료병
US20060045936A1 (en) Cup
US20190152800A1 (en) Chakra Crystal Water
KR20040015695A (ko) 음료수 용기
JP3126287U (ja) 水改質装置
KR200410741Y1 (ko) 맥반석이 든 생수병
JPH04104881A (ja) 飲料水の浄化容器
KR200307804Y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WO2005030634A3 (en) Bottled water cooler and dispenser with filter
KR200234144Y1 (ko)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GB2425044A (en) Cup
CN220926427U (zh) 移动多功能净水容器
KR20090095747A (ko) 휴대용 정수 필터
US20080047884A1 (en) Filtration device having viewing window
KR102380908B1 (ko) 필터 카트리지, 이를 구비하는 정수 필터 조립체 및 휴대용 정수 물통
KR102241182B1 (ko) 음료용기 주입구 결합형 정수필터
CN210697033U (zh) 一种保温杯
CN2910897Y (zh) 家用饮水矿化过滤器
KR200315109Y1 (ko) 한번에 마시도록 된 술잔
CN100515284C (zh) 一种杯子
KR200178032Y1 (ko) 먹는 샘물병의 간이정수용 필터
JP3121531U (ja) 浄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