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470Y1 -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470Y1
KR200392470Y1 KR20-2005-0015145U KR20050015145U KR200392470Y1 KR 200392470 Y1 KR200392470 Y1 KR 200392470Y1 KR 20050015145 U KR20050015145 U KR 20050015145U KR 200392470 Y1 KR200392470 Y1 KR 200392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uter
switch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오코리아
Priority to KR20-2005-0015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컴퓨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컴퓨터의 전면에 마련되고 복수개의 아이콘이 표현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현된 아이콘의 후방에 내장되는 파워 스위치, 홀드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 상기 표시부에 표현된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콘의 후방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램프로 이루어진 조명부; 상기 스위치부에 설치된 각 스위치에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컴퓨터에 내장된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컴퓨터에 내장된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Touch switch module for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되어 컴퓨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100)의 전면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101)와 컴퓨터를 재 부팅 할 수 있는 리셋스위치(10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합성수지 성형물인 고정부에서 얇게 연장된 탄성 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고정부가 컴퓨터의 내면에 형성된 스크류 보스에 스크류로 체결됨으로써, 컴퓨터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상태에서 누른 후 손을 떼면 탄성지지편에 부여된 탄력으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컴퓨터의 내부에는 탄성지지편의 단부가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와 근접하게 놓인다.
즉, 컴퓨터 전방에서 푸시버튼을 누르면 탄성지지편의 단부에 의하여 택트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이다.
상기한 택트 스위치는 일종의 푸시형 스위칭소자로서 내부에 기계적으로 접촉되는 접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종래의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의 접점이 불량해지고 확실한 조작을 위해 푸시버튼을 비교적 세게 누르게 되므로 회로기판상에서 택트스위치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지는 등 고장이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푸시버튼을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은 합성수지 성형물로서 그 성형상태에 따라 탄성정도가 일정하지 않고 성형 후에도 변형되기 쉽다. 때문에 거기에 형성된 푸시버튼의 돌출정도가 인접하는 다른 부품(컴퓨터의 전면)들과 일치되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는가 하면, 변형정도가 심해서 택트스위치의 조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스위치에 사용되는 푸시버튼은 항상 정해진 방향으로 눌러야 동작되는 것이므로 조작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장의 문제점 및 사용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접점이 아닌 인체(손가락)의 가벼운 접촉만으로 동작하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은 컴퓨터의 전면에 마련되고 복수개의 아이콘이 표현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현된 아이콘의 후방에 내장되는 파워 스위치, 홀드 스위치 및 리셋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 상기 표시부에 표현된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콘의 후방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램프로 이루어진 조명부; 상기 스위치부에 설치된 각 스위치에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컴퓨터에 내장된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컴퓨터에 내장된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모듈이 구비된 컴퓨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1)의 전면에 표시부(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표시부(10)에는 복수개의 아이콘이 표현되어 있되, 그 아이콘은 파워 아이콘(11), 하드 아이콘(12), 홀드 아이콘(13) 및 리셋 아이콘(14)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0)의 후방에는 스위치부(20)가 내장되어 있되, 그 스위치부(20)는 파워 스위치(21), 홀드 스위치(22) 및 리셋 스위치(2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의 후방에는 각 아이콘(11,12,13,14)의 동작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조명부(30)가 내장되어 있되, 그 조명부(30)는 각 아이콘(11,12,13,14)을 표시할 수 있도록 파워 램프(31), 하드 램프(32), 홀드 램프(33) 및 리셋 램프(34)와 전원의 공급상태 즉, 사용 가능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준비 램프(3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20)는 각 스위치에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40)에는 그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컴퓨터에 내장된 메인보드(2)와 연결하는 신호 출력부(5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부(50)에는 출력되는 신호와 동시에 신호음이 발생되도록 신호음 발생부(60)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부분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70)가 연결되어 있고, 그 전원부(70)에는 컴퓨터에 내장된 전원공급장치(3)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단자(71)와, 입력된 전원을 외부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출력단자(7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1)에 전기를 연결하면 사용자가 컴퓨터(1)의 사용 가능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조명부(30)의 준비 램프(35)가 점등되는 것이고, 이때 파워 램프(31), 하드 램프(32), 홀드 램프(33) 및 리셋 램프(34)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표시부(10)를 접촉하면 그 접촉된 표시부(10)의 내측에 내장된 스위치부(20)가 감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제어부(40)에서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서 준비 램프(35)는 소등되고, 파워 램프(31), 하드 램프(32), 홀드 램프(33) 및 리셋 램프(34)는 점등된다.
상기 제어부(40)에서는 접촉된 위치 및 접속 시간을 확인한다.
즉, 접촉 위치가 파워 스위치(21)이고 접촉 시간이 소정시간(예 : 1초 이상)경과되면 컴퓨터(1)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는 신호 출력부(50)를 통하여 컴퓨터(1)의 메인보드로 전달됨과 동시에 신호음 발생부(60)에서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 발생되는 것이며, 조명부(30)의 준비 램프(35)는 소등시키고, 파워 램프(31), 하드 램프(32), 홀드 램프(33) 및 리셋 램프(34)는 점등시킨다.
상기 메인보드에서는 신호 출력부(5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시간에 의해서 컴퓨터(1)를 동작(온 또는 오프)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이 소정시간(예 : 4초) 이하일 경우에는 컴퓨터를 온 시키고 소정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전달되면 컴퓨터를 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는 메인보드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 위치가 리셋 스위치(23)이고 접촉 시간이 소정시간(예 : 2초 이상) 경과되면 컴퓨터(1)가 리셋 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는 신호 출력부(50)를 통하여 컴퓨터(1)의 메인보드로 전달됨과 동시에 신호음 발생부(60)에서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 발생되는 것이며, 조명부(30)의 준비 램프(35)는 소등시키고, 파워 램프(31), 하드 램프(32), 홀드 램프(33) 및 리셋 램프(34)는 점등시킨다.
상기 접촉 위치가 홀드 스위치(22)이고 접촉 시간이 소정시간(예 : 1초 이상) 경과되면 신호음 발생부(60)에서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음이 발생되고 스위치의 조작을 방지하도록 파워 스위치(21) 및 리셋 스위치(23)를 통하여 입력되는 감지값을 차단하고, 조명부(30)의 준비 램프(35), 파워 램프(31), 리셋 램프(34)는 소등시키고 홀드 램프(33)는 점등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홀드 상태에서는 파워 스위치(21) 및 리셋 스위치(23)의 조작이 방지되는 것이고, 이때 홀드 스위치(22)를 2초 이상 접촉하면 홀드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20)에 감지값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5초이상 경과하면 조명부(30)의 준비 램프(35)가 점등되고, 파워 램프(31), 하드 램프(32), 홀드 램프(33) 및 리셋 램프(34)는 소등되는 준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의 전면에 설치된 터치 스위치 모듈에서 사용자의 접촉위치 및 시간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스위치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 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표시부에 표현된 복수개의 아이콘을 통하여 스위치의 위치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컴퓨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모듈이 구비된 컴퓨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터치스위치 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 3 : 전원공급장치
10 : 표시부 11 : 파워 아이콘
12 : 하드 아이콘 13 : 홀드 아이콘
14 : 리셋 아이콘 20 : 스위치부
21 : 파워 스위치 22 : 홀드 스위치
23 : 리셋 스위치 30 : 조명부
31 : 파워 램프 32 : 하드 램프
33 : 홀드 램프 34 : 리셋 램프
35 : 준비 램프 40 : 제어부
50 : 신호 출력부 60 : 신호음 발생부
70 : 전원부 71 : 전원입력단자
72 : 전원출력단자

Claims (4)

  1. 컴퓨터(1)의 전면에 마련되고 복수개의 아이콘이 표현된 표시부(10);
    상기 표시부(10)에 표현된 아이콘의 후방에 내장되는 파워 스위치(21) 및 리셋 스위치(23)로 이루어진 스위치부(20);
    상기 표시부(10)에 표현된 아이콘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콘의 후방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램프로 이루어진 조명부(30);
    상기 스위치부(20)에 설치된 각 스위치에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
    상기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컴퓨터에 내장된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신호 출력부(50) 및
    상기 컴퓨터에 내장된 전원공급장치(3)와 연결되어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50)에는 출력되는 신호와 동시에 신호음이 발생되도록 신호음 발생부(6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0), 조명부(30) 및 스위치부(20)에는 홀드 기능을 갖는 홀드 아이콘(13), 홀드 램프(33) 및 홀드 스위치(22)가 각각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70)에는 전원공급장치(3)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단자(71)와, 외부장치를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출력단자(72)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KR20-2005-0015145U 2005-05-27 2005-05-27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KR200392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45U KR200392470Y1 (ko) 2005-05-27 2005-05-27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145U KR200392470Y1 (ko) 2005-05-27 2005-05-27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470Y1 true KR200392470Y1 (ko) 2005-08-17

Family

ID=4369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145U KR200392470Y1 (ko) 2005-05-27 2005-05-27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4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8450B2 (en) Remote control having a capacitive touch surface and a mechanism for awakening the remote control
US10175652B2 (en)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JP4858787B2 (ja) 入力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US7852255B2 (en) Motion activated remote control back-lighting
CN102968198B (zh) 触控笔
JP2012014703A (ja) タッチ式透明キーボード
US10312032B1 (en) Push switch with dual sensing mode
TWI564756B (zh) 觸控筆
KR100358425B1 (ko) 전원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시스템 및전원 스위치 입력 처리 방법
US20050162394A1 (en) Mode switch apparatus implemented with a capacitive touchpad for an optical mouse
JP2000278383A (ja) 携帯機器の表示照明構造及び表示照明方法。
KR200392470Y1 (ko) 컴퓨터용 터치스위치 모듈
JP2008041484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ATE416472T1 (de) Bedienungsanordnung mit kupplungserkennungseinrichtung
JP5040819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部品
JP200805991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TWI446265B (zh) 開關機裝置
JP6418485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8147872A (ja) 制御装置
JP6887152B2 (ja) コントローラ
TWI795771B (zh) 開關及操作裝置
CN211193874U (zh) 触控装置及手部外骨骼设备
JP2007115440A (ja) スイッチ装置
TW202416312A (zh) 鍵盤裝置
KR200408255Y1 (ko) 컴퓨터용 터치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