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447Y1 -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 Google Patents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447Y1
KR200392447Y1 KR20-2005-0014769U KR20050014769U KR200392447Y1 KR 200392447 Y1 KR200392447 Y1 KR 200392447Y1 KR 20050014769 U KR20050014769 U KR 20050014769U KR 200392447 Y1 KR200392447 Y1 KR 200392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tton
guide hole
connector
elastic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7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형환
Original Assignee
장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환 filed Critical 장형환
Priority to KR20-2005-0014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4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447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44C11/002Ornamental chains composed of pear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 형태의 장신구 끝단과 끝단을 길죽한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착탈구를 밀어 넣어 결합을 하고,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된 버튼의 누름부를 누르는 원터치 작용으로 상기 착탈구를 케이스와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신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variety of ornaments, in particular, the push-and-release button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end of the ring-shaped ornaments gilded, the buttons protruding on the top of the case The one-touch action of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ornament relates to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e.

따라서 본 고안은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아주 간단한 원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그 체결을 완료하고, 의도치 않은 움직임에 쉽게 그 결합이 해체되지 않은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connecting ornaments to complete the fastening using a very simple one-touch method, and has a rigid fastening structure that is not easily disassembled in unintentional movement.

또한 본 고안은 그 버튼을 살짝 가압하는 작동만으로 손쉽게 결합을 해체할 수 있기에 착용자가 장신구를 풀려 할 때에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ismantled even when the wearer tries to loosen the jewelry because it can be easily dismantled by simply pressing the button.

더불어 본 고안의 연결구는 그 결합의 형태도 매끈한 형태이고, 그 크기가 작아 사용이 편리하지만 의도치 않은 움직임과 진동에 의해서는 해체될 가능성이 없어 장신구 자체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In additio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ooth form of the coupling, the size is small and convenient to use, but there is no possibility of disassembly by unintentional movement and vibration,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jewelry itself.

Description

장신구 연결구{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The ornament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각종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 형태의 장신구 끝단과 끝단을 길죽한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착탈구를 밀어 넣어 결합을 하고,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된 버튼의 누름부를 누르는 원터치 작용으로 상기 착탈구를 케이스와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신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variety of ornaments, in particular, the push-and-release button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end of the ring-shaped ornaments gilded, the buttons protruding on the top of the case The one-touch action of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ornament relates to a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e.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핸드폰 줄, 키걸이 등 다양한 장신구가 있는데, 이들에게는 서로 간을 연결해주는 연결수단(연결구)이 있다. In general, necklaces, bracelets, anklets, earrings, cell phone straps, key chains, such as a variety of accessories, they have a connection means (connectors) that connect each other.

실례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연결구는 내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장된 상태의 곡선관(60)의 상부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선관(60)의 내부로 동일한 곡면으로 굽은 연동구(61)를 내장하되, 상기 곡선관(60)의 가이드공(62)으로 상기 연동구(61)와 일체된 버튼(63)을 돌출시킨 형태가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most common type of connector is formed with a guide hol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urved tube 60 in the state that the elastic spring is embedded therein, the same curved surface into the interior of the curved tube 60 Built-in bent linkage 61, there is a form protruding the button 63 integrated with the linkage 61 to the guide hole 62 of the curved tube (60).

즉, 상기 버튼(63)을 가압하여 연동구(61)를 곡선관(6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하고, 장신구의 연결고리(64)를 상기 연동구(61)에 끼우거나 빼내는 방식으로 사용을 한다.That is, by pressing the button 63 to push the linkage 61 into the interior of the curved tube 60, the use of the method by inserting or removing the connecting ring 64 of the ornament to the linkage (61). do.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연결수단(연결구)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type of connection means (connectors) there are many problems.

첫째, 너무 오래된 방식이기에 치장을 위해 사용하는 장신구에 사용하기에는 이제는 식상된 방식이다. First, it is too old to be used for ornaments that are too old to be worn.

둘째, 상기 버튼이 뾰족하여 가압시 손가락이 아플 소지가 많으며, 너무 작아 잘 작동시키기가 어렵다.Second, when the button is pointed, the finger tends to hurt when pressed, and is too small to operate well.

셋째, 특히 목걸이의 연결구로 사용될 때 손가락의 감각만으로 작동을 시켜야 하기에 분해와 해체가 어렵다. Third,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dismantle, especially when used as a connector of the necklace to operate only by the sense of the finger.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 도 2와 3에서 보이는 구형상의 연결수단(연결구)이다.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to solve this method is the spherical connecting means (connectors) shown in Figs.

즉, 이러한 연결구는 만일 진주와 같이 볼(구) 형상의 목걸이 등의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해서 사용될 때 더욱 미관상 바람직한 형태인데, 그 구형상의 연결구(100)의 구성과 그 착탈의 방법을 살펴보면, 도 2와 3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외형이 볼 형상으로 된 연결볼(70)이 있고, 그 측단부에는 "ㅗ"자 형상의 결합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such a connector is more aesthetically preferable when used to wear jewelry, such as a necklace (ball) shaped like a pearl,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pherical connector 100 and its detachment method, Figure 2 As shown in Fig. 3 and Fig. 3, there is a connection ball 70 having an overall shape of a ball shape, and a coupling hole 71 having a "ㅗ" shape is formed at the side end thereof.

즉, 상기 연결볼(70)은 그 내부가 빈 공간부(72)를 가진 상태로 그 측단에 결합구멍(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멍(71)의 타측에는 진주(80) 등의 보석을 꽤는 연결끈(81)이 결합될 수 있는 고리(73)가 달려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nection ball 70 has a coupling hole 71 formed at the side end thereof in a state having an empty space 72 therein, and the pearl 80 at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hole 71. The jewelry is quite a ring 73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tie 81 is attached.

그리고 타측의 연결끈(81)에는 상기 연결볼(70)에 착탈될 수 있는 탄성걸이구(60)가 결합되어 있는데, 도 2와 3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61)에 의해 연결끈(81)에 연결되고, 쐐기형상의 몸체(62,63)를 가지며 상측으로 꺽어진 상부몸체(62)의 끝단부에는 좌우측의 일부를 떼어낸 결합홈(64)이 구성되어 있다.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trap 81 is coupled to the elastic hook 60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ball 7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onnecting string 81 by the ring 61 The coupling groove 6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body 62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body and has wedge-shaped bodies 62 and 63 and is bent upward.

따라서 상기 탄성걸이구(60)를 잡아 상부와 하부의 몸체(62,63)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연결볼(7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구멍(71)에 끼워 넣고, 가압한 손가락의 힘을 풀게 되면 그 몸체 절곡부(66)의 탄성에 의해 상부몸체(62)와 하부몸체(63)는 그 간격을 벌려 상기 연결볼(70)에 연결되는 것이다.Therefore, while holding the upper and lower body (62, 63) while holding the elastic hook (6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71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ball 70, to release the pressure of the finger pressed When the upper body 62 and the lower body 63 by the elasticity of the body bent portion 66 i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ll 70 to open the gap.

즉, 상기 탄성걸이구(60)의 결합홈(64)이 "ㅗ" 형상의 결합구멍(71)에 꽉 끼이게 되어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upling groove 64 of the elastic hanger 60 is tightly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71 of the "ㅗ" shape will not be pulled out.

물론 그 연결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탄성걸이구(60)의 상부몸체(62)를 가압하여 상부몸체(62)와 하부몸체(63)의 간격을 좁히면 상기 결합구멍(71)에서 결합홈(64)이 빠져 나와 쉽게 착탈할 수 있다. Of course, if you want to dismantle the connection, press the upper body 62 of the elastic hanger 60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upper body 62 and the lower body 63 is coupled in the coupling hole 71 The groove 64 comes out and can be easily detached.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연결구(100)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By the way, the connector 100 of this type has a number of problems in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첫째, 실질적으로 목걸이나 팔찌 등의 다양한 장신구를 치장하고 다니면서 장신구가 쓸리는 경우도 있고, 따라서 상기 탄성걸이구(60)의 상부몸체(62)가 의도치 않은 상태에서 쉽게 눌릴 소지가 많다.First, there are cases in which ornaments are swept while wearing various ornaments such as necklaces or bracelets, and thus, the upper body 62 of the elastic hanger 60 may be easily pressed in an unintended state.

이는 상기 상부몸체(62)가 약간의 충격에 의해 그 탄성력의 방향에 반하는 방향으로 접히여 상기 연결볼(70)에서 쉽게 빠질 수 있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upper body 62 is fol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force by a slight impac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onnecting ball (70).

만일 이렇게 연결볼(70)과 탄성걸이구(60)의 결합이 해체된다면, 귀중품에 속하는 장신구를 잃어버릴 소지도 있으며, 그에 따라 착용자는 의도치 않은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If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ball 70 and the elastic hanger 60 is dismantl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jewelry belonging to valuables may be lost, and thus the wearer may bring an unintended economic loss.

둘째, 상기 탄성걸이구(60)를 많이 사용하여 상부몸체(62)와 하부몸체(63)를 자주 접어주는 동작이 계속됨으로 그 탄성력은 약해지고, 더 나아가서는 그 절곡부(66)가 끊어지는 현상도 발생될 소지가 많다.Second, since the operation of frequently folding the upper body 62 and the lower body 63 by using a lot of the elastic hook (60) is continued, the elastic force is weakened, and further, the bent portion 66 is broken phenomenon There is also a lot of potential to occur.

물론 이러한 현상도 귀중품인 장신구를 잃어버릴 소지도 발생될 수 있기에 주의를 요한다.Of course, these phenomena can also cause loss of valuables, so be careful.

셋째, 연결볼(70)의 측단으로 불쑥 돌출된 탄성걸이구(60)의 상부몸체(62)와 하부몸체(63)는 그 미관상 매끈하지 못하다.Third, the upper body 62 and the lower body 63 of the elastic hanger 60 protruding suddenly to the side end of the connecting ball 70 is not aesthetically smooth.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각종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 형태의 장신구 끝단과 끝단을 길죽한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착탈구를 밀어 넣어 결합을 하고, 케이스의 상부에 돌출된 버튼의 누름부를 누르는 원터치 작용으로 상기 착탈구를 케이스와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신구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s to a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various ornaments, in particular, by putting the detachable outlet in the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ring-shaped ornament end gilded, The one-touch action to press the pressing portion of the button protruding on the top of the case is to provide an ornament connec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and the case.

따라서 본 고안은,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길죽한 형상의 몸체 상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존재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개구의 끝단에서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중심부에 성형된 가이드공이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단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장형의 기둥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케이스의 넓이보다 넓은 상태로 일체된 누름부와, 상기 몸체와 누름부간의 연결부위에 좌우로 패인 스톱홈이 구성된 버튼과;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공에 끼워지되, 끝단이 상하로 돌출된 걸림턱과 타단은 장신구 연결고리가 부착된 머리부로 구성된 착탈구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탄성스프링을 누른 상태로 버튼이 내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고정돌기가 상기 버튼의 스톱홈에 끼워져 탄성스프링의 인장력에도 버튼이 빠지지 않고, 상기 착탈구의 일측단인 걸림턱은 케이스의 가이드공에 끼워져 버튼의 안내공에 걸리는 장신구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ornaments, such as necklaces, bracelets, anklets, the accommodation space present in the inside of the elongated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fixed to protrude into the receiving space from the end of the opening A case including a protrusion and a guide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An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The body is formed with a guide hol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elongated pillar accommodat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elastic spring, the pressing portion integrated in the stat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ase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body and the pressing portion A button configured to have a recessed stop groove;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case, the end is protruding up and down the engaging jaw and the other end is a detachable opening consisting of a head attached to the ornament link; The button is embedd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case while the elastic spring is pressed,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case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of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does not fall out in the tension force of the elastic spring, the locking step is one end of the detachable open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jewelry connector that is fitted in the guide hole of the button is caught in the guide hole.

본 고안은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구란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ornaments, such as necklaces, bracelets, anklets.

그러나 그 결합의 형태와 구성 간의 유기적인 결합, 그에 따라 발생되는 체결의 안전성과 미감의 독특함에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However, the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form and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the safety and aesthetics of the resulting fastening is characterized in great detail with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

도 4 내지 도 9에서처럼, 길죽한 형상의 몸체(11) 상단부가 개구(12)된 상태로 내부에 존재하는 수용공간(13)과, 상기 개구(12)의 끝단에서 수용공간(13) 내부로 돌출된 고정돌기(14)와, 상기 몸체(11)의 일측면 중심부에 성형된 가이드공(15)이 구성된 케이스(10)가 있고,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20)가 있다.4 to 9, the accommodating space 13 exist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elongated body 11 is opened 12, and protrudes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3 from the end of the opening 12. There is a fixed protrusion 14 and the case 10 is composed of a guide hole 15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11, the elastic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case 10 There is a spring 20.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20)의 상단 수용공간(13)에 수용되는 장형의 기둥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공(31)이 형성된 몸체(32)와, 몸체(32)의 상단에 케이스(10)의 넓이보다 넓은 상태로 일체된 누름부(33)와, 상기 몸체(32)와 누름부(33)간의 연결부위에 좌우로 패인 스톱홈(34)이 구성된 버튼(30)이 있고, 상기 케이스(10)의 가이드공(15)에 끼워지되, 끝단이 상하로 돌출된 걸림턱(41)과 타단은 장신구 연결고리(42)가 부착된 머리부(43)로 구성된 착탈구(40)가 있다.In addition, the body 32 is formed with a guide hole 31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elongated pillar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iving space 13 of the elastic spring 20, the width of the case 10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32 In the wider state, there is a pressing part 33 and a button 30 formed with a stop groove 34 recesse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dy 32 and the pressing part 33, and the case 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5, the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41 and the other end has a detachable opening 40 consisting of a head portion 43 is attached to the ornament connecting ring 42.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에 탄성스프링(20)을 누른 상태로 버튼(30)이 내장되어, 상기 케이스(10)의 고정돌기(14)가 상기 버튼(30)의 스톱홈(34)에 끼워져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에도 버튼(30)이 빠지지 않고, 상기 착탈구(40)의 일측단인 걸림턱(41)은 케이스(10)의 가이드공(15)에 끼워져 버튼(30)의 안내공(31)에 걸리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utton 30 is embedded in the housing space 13 of the case 10 while the elastic spring 20 is press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4 of the case 10 stops at the button 30. The button 30 is inserted into the 34 and the tension spring of the elastic spring 20 does not fall out, and the engaging jaw 41, which is one end of the detachable opening 40, is fitted into the guide hole 15 of the case 10. It is caught by the guide hole 31 of (30).

즉, 도 4와 5에 도시된 것처럼, 길죽한 형상의 몸체 일측면에는 장신구를 메달을 수 있는 연결고리(42)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10) 속에 상기 버튼(30)을 삽입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utton 30 is inserted into the case 10 in which the connecting ring 42 capable of medalizing ornaments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of the elongated shape.

상기 버튼(30)의 형상도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수용공간(13)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 몸체(32)가 끼워진다.The shape of the button 30 is fitted with a body 3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receiving space 13 inside the case 10.

이때 상기 수용공간(13)이나 버튼(30)의 몸체(32)의 단면 외형은 원형보다는 다각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ody 32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 or button 30 is preferably a polygonal shape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이유는 다각형의 형상의 수용공간(13)에 끼워진 다각형의 버튼 몸체(32)는 회전하진 않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the polygonal button body 32 fitted in the polygonal receiving space 13 does not rotate.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버튼(30)이 끼워지기 전에 도시된 탄성스프링(20)이 먼저 끼워지는데, 상기 탄성스프링(20)은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에 수용된 상태에서 항상 버튼(30)을 상부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주고 있다.Then, the elastic spring 20 shown before the button 30 is fitted to the case 10, the elastic spring 20 is fitted in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case 10 in the state The force is alway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button 30 upward.

따라서 상기 버튼(30)이 이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에 의해 케이스(10)의 외부로 튀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별도의 배려를 하고 있는데, 이 구성이 바로 케이스(10)의 개구(12) 부근에 형성된 고정돌기(14)이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button 30 from popping out of the case 10 by the tension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0,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consideration, this configuration is the opening of the case 10 It is the fixing protrusion 14 formed in the vicinity of (12).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는 몸체를 압착하여 내부로 돌출된 형태로 돌출시킬 수도 있고, 사출성형시 돌출시킬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protrusion may protrude in a form in which the body is compressed to protrude inward, or may protrude during injection molding.

도 4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0)의 개구(12)에서 수용공간(13)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4)가 상기 버튼(30)의 몸체(32)와 누름부(33) 간의 연결부위에 형성시킨 스톱홈(34)에 걸릴 수 있게 제작하는 것이다.4 to 6, a fixing protrusion 14 protruding inwardly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 from the opening 12 of the case 10 is the body 32 and the pressing part 33 of the button 30. ) To be caught in the stop groove 34 formed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즉, 상기 버튼(30)의 몸체(32)는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과 거의 밀착된 상태로 끼워지며, 상기 케이스(10)의 고정돌기(14)는 상기 버튼 몸체(32)의 측면에 성형된 스톱홈(34)에 끼워 들어가는 것이다.That is, the body 32 of the button 30 is fit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case 10, the fixing protrusion 14 of the case 10 is the button body 32 It will fit into the stop groove 34 formed on the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버튼(30)의 누름부(33)가 가압 됐을 경우, 상기 버튼(30)의 몸체(32)는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을 누르고,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13)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누름부(33)의 가압이 풀렸을 경우에는 상기 버튼(30)은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에 의해 돌출되는데, 이때 그 돌출되고 가압되는 그 버튼(30) 몸체(32)의 연동공간만큼을 스톱홈(34)으로 파 놓은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ressing portion 33 of the button 30 is pressed, the body 32 of the button 30 presses the tension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0,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case 10 When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ortion 33 is released, the button 30 is protrude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0, at which time the interlocking of the body 32 of the button 30 is protruded and pressed As much space as the stop groove 34 is dug.

결국 상기 스톱홈(34)은 가이드공의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돌기(14)는 그 가이드공에 끼워진 가이더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stop groove 34 serves as a guide hole, and the fixing protrusion 14 serves as a guider fitted to the guide hole.

그런데 여기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돌기(14)는, 케이스(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성형 되어, 양측의 스톱홈(34)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as shown here, the fixing projections 14 formed in the case 10,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ase 10 is molded, it can be fitted into the stop groove 34 on both sides.

물론 상기의 고정돌기(14)가 일측에만 구성되어 하나의 스톱홈(34)에 끼워져 작용을 해도 무방하지만, 2개로 양쪽에서 지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이다.Of course, the fixing protrusion 14 is configured only on one side and may be fitted into one stop groove 34 to act,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support it from both sides.

한편 본 발명의 요부로 또 다른 구성이 도 4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구(40)를 가진다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6, has a removable port 40.

이 착탈구(40)의 끝단인 머리부(43)에도 케이스(10)의 측단에 형성된 장신구 연결고리(42)가 부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실질적으로 착탈이 되는 구성이 바로 케이스(10)와 이 착탈구(40)이다.The ornament 43, which is formed at the side end of the case 10, is also attached to the head 43, which is the end of the detachable opening 40, and thus, the detachable structure is the case 10 and the detachable structure. Sphere 40.

그럼 그 착탈의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단의 중심부에는 도시된 가이드공(15)이 형성되어 있다.Then,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etachment in detail, the guide hole 15 shown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end of the case 10 is formed.

물론 이 가이드공(15) 내부는 수용공간(13)이고, 전술된 것처럼 상기 수용공간(13)에는 버튼(30)의 몸체(32)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Of course, the inside of the guide hole 15 is a receiving space 13, and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32 of the button 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

또한 상기 버튼(30)의 몸체(32)에도 상기 가이드공(15)과 동일한 크기의 안내공(31)이 형성되어 있는데, 아무런 가압력이 누름부(33)에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가이드공(15)보다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guide hole 31 having the same size as the guide hole 15 is formed in the body 32 of the button 30, but in the state where no pressing force acts on the pressing part 33, it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tension spring of the elastic spring 20 maintains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guide hole 15 of the case 10.

그러나 상기 버튼(30)의 누름부(33)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10)의 가이드공(15)과 버튼(30)의 안내공(31)은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도 6에는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However, when the pressing portion 33 of the button 30 is pressed, the guide hole 15 of the case 10 and the guide hole 31 of the button 30 coincid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State is shown).

이 작동은 아주 중요한데, 만일 도시된 착탈구(40) 즉 착탈구(40)의 끝단인 걸림턱(41)부위가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가이드공(15)을 관통하고 들어가 상기 버튼(30)의 안내공(31)에 끼워지게 되면, 수용공간(13)의 내부에 비치한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이 버튼(30)에 작용을 하여 버튼(3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할 것이다.This operation is very important, if the removable opening 40, that is, the locking jaw 41, which is the end of the removal opening 40, penetrates through the guide hole 15 formed in the case 10 and the button 30 Whe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 of), the tensil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0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13 acts on the button 30 to impart a force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button 30 something to do.

따라서 상기의 상승 방향의 힘은 상기 착탈구(40)의 걸림턱(41)에 버튼 몸체(32)의 안내공(31)을 꽉 끼우는 결과를 가져오기에 버튼(30)의 누름부(33)를 가압하지 않는다면 쉽게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results in fitting the guide hole 31 of the button body 32 to the locking jaw 41 of the detachable opening 40. If it is not pressurized, it will not come out easily.

그러나 상기 버튼(30)의 누름부(33)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30)의 몸체(32)는 탄성스프링(20)의 인장력을 누르고 하향하여 버튼 몸체(32)의 안내공(31)과 케이스(10)에 성형된 가이드공(15)의 수준을 동일선상으로 유지시킬 것이기에 쉽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pressing portion 33 of the button 30 is pressed, the body 32 of the button 30 presses down the tensile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0 and downwards to guide holes 31 of the button body 32. And the level of the guide hole (15) molded in the case 10 will be kept in the same line because it can be easily taken out.

즉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detachable by one-touch method.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착탈구(40)는 다양한 실시예의 형태의 걸림턱(41)으로 제작이 가능하다.By the way, the removable por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as a locking step 41 of the various embodiments.

즉,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착탈구(40)의 걸림턱(41)은, ""형과 ""형 또는 반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7, the engaging jaw 41 of the removable port 40, " "Brother and" "It can be manufactured in a mold or semicircle.

""형은 도 7a에 도시하였고, ""형은 도 7b에 도시하였으며, 반원형은 도 7c에 도시하고 있다." "Type is shown in Figure 7a," The mold is shown in Fig. 7b and the semicircle is shown in Fig. 7c.

이 걸림턱(41)의 형태는 모두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공(15)에 상기 착탈구(40)가 끼워질 때, 그 걸림턱(41)이 쉽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특징인데, 버튼(30)의 누름부(33)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30)의 몸체(32)에 성형된 안내공(31)이 상기 케이스(10)의 가이드공(15)의 수준보다 상승된 위치에 있기에 더욱 그렇다.All of the shape of the locking jaw 4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41 can be easily inserted when the mounting hole 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5 of the case, the button (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art 33 of 30 is not pressed, the guide hole 31 formed in the body 32 of the button 30 is raised from the level of the guide hole 15 of the case 10. Even more so.

즉,상기""형이나 반달형의 걸림턱(41)은 상기 케이스(10)의 가이드공(15)에서 약 반쯤만이 보이는 버튼 몸체(32)의 안내공(31)에 밀어 끼우게 되면, 그 외주면의 테이퍼진 부분이나 라운드진 반달형의 외주면이 미끄러지며 상기 버튼(30)의 안내공(31)을 밀어 내리면서 끼워져 들어갈 수 있게 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locking jaw 41 of the type or half moon type is pushed into the guide hole 31 of the button body 32 visible only about half from the guide hole 15 of the case 10, the tapere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tial or round half-moon type slides and allows the guide hole 31 of the button 30 to be pushed down.

그리고 본 고안의 도면에서 보이는 상기 버튼(30)의 안내공(31)에는, 그 안내공(31) 내측 하단에서 돌출된 단턱부(P)를 구성하여 걸림턱(41)과 걸릴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guide hole 31 of the button 30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figure the stepped portion (P)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guide hole 31 to be caught with the locking jaw 41 desirable.

즉, 상기 안내공(31)의 하단에서 단턱부(P)를 돌출시켜 끼워지는 착탈구(40)의 걸림턱(41)이 끼워졌을 때 단턱부(P)가 착탈구(40)가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atching jaw 41 of the detachable opening 40 which is fitted by protruding the stepping portion P from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le 31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opening 40 is removed. It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아주 간단한 원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그 체결을 완료하고, 의도치 않은 움직임에 쉽게 그 결합이 해체되지 않은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that connects ornaments to complete the fastening using a very simple one-touch method, and has a rigid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is not easily dismantled by unintentional movement.

또한 본 고안은 그 버튼을 살짝 가압하는 작동만으로 손쉽게 결합을 해체할 수 있기에 착용자가 장신구를 풀려 할 때에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ismantled even when the wearer tries to loosen the jewelry because it can be easily dismantled by simply pressing the button.

더불어 본 고안의 연결구는 그 결합의 형태도 매끈한 형태이고, 그 크기가 작아 사용이 편리하지만 의도치 않은 움직임과 진동에 의해서는 해체될 가능성이 없어 장신구 자체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In additio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ooth form of the coupling, the size is small and convenient to use, but there is no possibility of disassembly by unintentional movement and vibration, there is no fear of losing the jewelry itself.

도 1은 종래 장신구 연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ornaments connector,

도 2는 종래 장신구 연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ornaments connector,

도 3은 종래 장신구의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of the conventional ornaments are coupled,

도 4는 본 고안의 장신구 연결구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ornamen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 연결구의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ornamen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장신구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namen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7은 본 고안의 장신구 연결구의 케이스와 착탈구의 일실시예들을 도시한 실시예시도,Figure 7 is an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case and the detachment of the ornamen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장신구 연결구가 목걸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nament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necklace,

도 9는 본 고안의 장신구 연결구가 체결된 발찌의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ure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nklets that the fastener orna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 shown>

10; 케이스 11; 몸체10; Case 11; Body

12; 개구 13; 수용공간12; Opening 13; Space

14; 고정돌기 15; 가이드공14; Fixing protrusion 15; Guide ball

20; 탄성스프링 30; 버튼20; Elastic spring 30; button

31; 안내공 32; 몸체31; Guide 32; Body

33; 누름부 34; 스톱홈33; Press 34; Stop home

40; 착탈구 41; 걸림턱40; Release 41; Jam

42; 연결고리 43; 머리부42; Link 43; Head

Claims (4)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있어서,In the connector which connects ornaments such as a necklace, a bracelet, an anklet, 길죽한 형상의 몸체 상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존재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개구의 끝단에서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중심부에 성형된 가이드공이 구성된 케이스와;A case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existing inside the opened upper end of the body having a zigzag shap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open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guide hole formed at one sid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과;An elastic spr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상기 탄성스프링의 상단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장형의 기둥 중심부를 관통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상단에 케이스의 넓이보다 넓은 상태로 일체된 누름부와, 상기 몸체와 누름부간의 연결부위에 좌우로 패인 스톱홈이 구성된 버튼과;The body is formed with a guide hol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elongated pillar accommodat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elastic spring, the pressing portion integrated in the stat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ase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body and the pressing portion A button configured to have a recessed stop groove;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공에 끼워지되, 끝단이 상하로 돌출된 걸림턱과 타단은 장신구 연결고리가 부착된 머리부로 구성된 착탈구가;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case, the end is protruding up and down the engaging jaw and the other end is a detachable opening consisting of a head attached to the ornament link;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탄성스프링을 누른 상태로 버튼이 내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고정돌기가 상기 버튼의 스톱홈에 끼워져 탄성스프링의 인장력에도 버튼이 빠지지 않고, 상기 착탈구의 일측단인 걸림턱은 케이스의 가이드공에 끼워져 버튼의 안내공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구.The button is embedd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case while the elastic spring is pressed,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case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of the button so that the button does not fall out in the tension force of the elastic spring, the locking step is one end of the detachable opening The ornament connector which is inserted in the guide hole of the button and hangs in the guide hole of the butt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고정돌기는,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ase, 케이스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모두 성형되어, 스톱홈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구.Ornament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mol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ase, can be fitted into the stop groo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탈구의 걸림턱은,The locking jaw of the detachable opening is ""형과 ""형 또는 반원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구." "Brother and" Ornament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r semi-circle can be selectively appli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의 안내공에는,In the guide hole of the button, 그 안내공 내측 하단에서 돌출된 단턱부를 구성하여 걸림턱과 걸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구Ornament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rotrusion formed from the inner lower end of the guide hole so as to catch the hooking
KR20-2005-0014769U 2005-05-25 2005-05-25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KR2003924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769U KR200392447Y1 (en) 2005-05-25 2005-05-25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769U KR200392447Y1 (en) 2005-05-25 2005-05-25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447Y1 true KR200392447Y1 (en) 2005-08-17

Family

ID=4369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769U KR200392447Y1 (en) 2005-05-25 2005-05-25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44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795B1 (en) 2010-09-15 2012-11-27 김소연 String connector for cellular mobile phone
KR101743744B1 (en) 2016-01-15 2017-06-05 오선인터내셔날(주)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KR101936680B1 (en) * 2017-12-12 2019-0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elet for preventing loss of usb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795B1 (en) 2010-09-15 2012-11-27 김소연 String connector for cellular mobile phone
KR101743744B1 (en) 2016-01-15 2017-06-05 오선인터내셔날(주)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KR101936680B1 (en) * 2017-12-12 2019-0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Bracelet for preventing loss of us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89B1 (en) Ear ring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KR100802100B1 (en) Locking apparatus for chain type accessories
KR200392447Y1 (en)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JP4990880B2 (en) Self-locking connection device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KR20090006171U (en) Fixer for accessary
CN1969708A (en) Clasp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10342305B2 (en) Interchangeable ring
KR200385559Y1 (en) The connection unit to connect a personal ornaments
KR200275820Y1 (en) Connect/disconnect Adapter of String Binder Unit for Accessories
CN208243061U (en) A kind of gadget facilitating combination
KR200331806Y1 (en) Conclusion structure of accessories
CN220403315U (en) Multifunctional elastic buckle fitting and jewelry
KR101511329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JP5191912B2 (en) Trinkets for jewelry
KR200269199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KR200493263Y1 (en) Locking devece for jewelry
KR102617781B1 (en) Locking device for ornaments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KR100531179B1 (en) Hanger of accessory for personal ornament
KR101126304B1 (en) One touch type ear-ring apparatus
KR200210901Y1 (en) Union apparatus for personal ornaments
JP3145052U (en) Pulley for jewelry
KR200457609Y1 (en) Connector for accessory
CA2621143C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