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983Y1 -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 Google Patents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983Y1
KR200391983Y1 KR20-2005-0013372U KR20050013372U KR200391983Y1 KR 200391983 Y1 KR200391983 Y1 KR 200391983Y1 KR 20050013372 U KR20050013372 U KR 20050013372U KR 200391983 Y1 KR200391983 Y1 KR 200391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window frame
living room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3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5-0013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9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983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창틀과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틀은, 창문을 위치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거실바닥에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는 오목한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실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거실바닥에 설치시 이 거실바닥면과 그 상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고정창틀부재; 및 판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창문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가 구름접촉됨으로써 상기 창문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와, 이 레일부의 양측벽과 본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레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는, 창문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정자세 상태와, 창문이 설치될 수 없도록 상기 레일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실확장이 가능한데 특징이 있으며,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and a window system using the same. The so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to the living room floor in one direction to support the window to be moved in position, provided with a concave accommodating part which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living room floor When the living room floor is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and its upper surface is fixed window frame member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a rai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guide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ndow by rolling contact between the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and the guide roll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and both side walls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ail portion. And a pair of guide grooves respectively formed therebetween, the rail members being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wherein the rail members are provided with the rails upwards so that windows can be installed. When 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electively in any one of a forward posture state and a reverse posture state in which the rail part faces downward so that a window cannot be install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ving room.

본 고안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상기 바닥창틀 상에 창문이 끼워져 지지되며, 이 창문들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창문에는 실링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Window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is fitted to the support window frame, the window is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to prevent the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windows.

Description

바닥창틀 및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본 고안은 발코니와 거실 사이의 바닥에 설치되어 창문을 지지하는 바닥창틀과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을 발코니까지 확장할 때 확장시공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거실바닥창틀과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and a window system using the s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floor between the balcony and the living room, and more specifically, the living room floor frame is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the expansion when the living room is extended to the balcony And a window system u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발라의 경우, 발코니 외측에 발코니 창을 설치하고,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는 별도의 거실창을 설치하여 거실과 발코니가 분리되게 시공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발코니를 거실로 전용하여 거실면적을 확장하고자 아파트의 시공시에 함께 설치된 거실창을 떼어내고 거실확장공사를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bala, a balcony window is installed outside the balcony, and a separate living room window is installed between the living room and the balcony so that the living room and the balcony are separated. However,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remove the living room windows 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apartment to expand the living area by converting the balcony into the living room and to carry out the living room expansion work.

그러나, 거실창의 바닥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종래의 바닥창틀은 상기한 바와 같은 거실확장공사를 매우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바닥창틀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실바닥창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outsole supporting the bottom part of the living room window has a problem of making the living room extension work very difficult as described above. 1 and 2 show a conventional outsole.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iving room floor frame, Figure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거실바닥창틀(P)은 마루(L)의 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마루(L)와 발코니(B) 사이에 설치되어 마루(L)와 발코니(B)를 분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거실바닥창틀(P)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그 하부는 시멘트 소재 등의 마루(L)의 내부에 수용되서 설치되며, 그 상부는 상기 마루(L)의 상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거실바닥창틀(P)의 상부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창문(1)이 끼워지는 가이드홈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부(3)의 중앙에는 가이드레일(4)이 형성되어 있다. 창문(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2)는 상기 가이드레일(4) 상에 구름접촉되게 지지되므로써, 상기 창문(1)은 이 거실바닥창틀(P)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1 and 2, the conventional living room sole frame (P) extends in one direction of the floor (L), is installed between the floor (L) and the balcony (B) is a floor (L) and the balcony ( B) is being separa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iving room sole frame (P) is composed of one member formed integrally, the lower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loor (L), such as cement material is installed, the upper portion of the floor (L) It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The guide groove part 3 into which the window 1 shown by a virtual line is fitted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is living-room floor frame P, and the guide rail 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is guide groove part 3. . The roller 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1 is supported in rolling contact on the guide rail 4, so that the window 1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living room floor frame P.

상기한 바와 같이, 거실을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실창(1)을 떼어내고 거실바닥창틀(P)을 마루(L)로부터 분리해내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거실바닥창틀(P)을 분리시킬 때 종래의 거실바닥창틀(P)은 마루(L)의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사의 규모가 커지게 되어 매우 불편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거실확장을 하면서 이 거실바닥창틀(P)을 분리시켜 내지 않게 되면 마루(L)에 거실바닥창틀(P)이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며, 보행시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ving room is to be expanded, the living room window 1 should be removed and the living room window frame P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floor L. However, when separating the conventional living room window frame (P), the conventional living room window frame (P) is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loor (L) is not easy to separate it, but also to increase the scale of construction It was very uncomfortable. Due to this problem, if the living room floor frame (P) is not separated while the living room is extended, the living room floor frame (P) is in a protruding state on the floor (L), thereby hurting the aesthetics and walking when walking. Not only was there a risk of falling, there w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clean.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실확장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바닥창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닥창틀을 이용한 창호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frame with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living room expans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틀은, 창문을 위치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거실바닥에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는 오목한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실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거실바닥에 설치시 이 거실바닥면과 그 상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고정창틀부재; 및 판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창문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가 구름접촉됨으로써 상기 창문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와, 이 레일부의 양측벽과 본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레일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는, 창문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정자세 상태와, 창문이 설치될 수 없도록 상기 레일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실확장이 가능하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So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long as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in one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window to move the position, provided with a concave receiving portion is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ed window frame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the living room floor and its upper surface being located on the same plane when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And a rai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guide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ndow by rolling contact between the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and the guide roll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and both side walls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ail portion. And a pair of guide grooves respectively formed therebetween, the rail members being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wherein the rail members are provided with the rails upwards so that windows can be installed. When 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electively in any one of a forward posture state and a reverse posture state in which the rail part faces downward so that a window cannot be install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expand the living room.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레일부재가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레일부재의 본체부 저면이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il member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reverse pos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rail member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레일지지부와, 이 레일지지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부재가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레일부재의 가이드레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창틀부재에는 레일보호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member of the rail member includes a rail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a guide rail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rail support portion, wherein the rail member is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Whe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protection groove is formed in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so that the guide rail of the rail member can be inserted.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이 베이스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부와, 이 격벽부의 양측벽과 베이스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창틀부재 수용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마감해주는 마감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마감재는, 상기 격벽부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정자세 상태와, 상기 격벽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실확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base plate, the partition wall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to protru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and both side walls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base plate Comprising a pair of receiving grooves each formed in the, and is separably received at the end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receiv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nishing material for closing the rail member, the finishing material, the partition wall facing upwards It can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of any one of the forward posture state and the reverse posture state that the partition wall facing downward, the living room can be extended whe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sture state desirabl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격벽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수직벽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벽부와, 상기 수평벽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제1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벽부 사이에, 상기 고정창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nd a pair of vertical wall par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rizontal wall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 the horizontal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wall portion, and a first cover part detachably fitt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In the bas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base plat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for screwing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마감재는, 상기 격벽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이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2결합공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제2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ishing material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late extending from the partition wall spac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the second coupling for screwing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And a top plate portion in which a ball is formed; The base plat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and a second cover part detachably fitted to and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본 고안의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호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거실바닥에 일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닥창틀과, 상기 바닥창틀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으로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둘레에 결합되어 이 유리판을 보호하는 창짝을 구비하는 2개의 창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2개의 창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창문은, 상기 바닥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창짝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창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창문의 창짝 하부 모서리에는, 상기 창문들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Window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in one direction long and the window frame, which is supported by the window frame,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glass plate and the glass plate And two windows provided with a window sill protecting the glass plat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two windows is rotatable in a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ill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frame. It is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that can be coupled, and at the lower edge of the window of at least one of the two window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material is provided to prevent the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windows.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실링재는, 상기 어느 하나의 창문의 창짝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이 창짝의 하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짝의 하부와 바닥창틀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하방연장부와, 상기 두 개의 창문들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창문의 창짝에 접촉되는 측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방연장부와 측방연장부는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window so as to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window of any one of the windows,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bottom and bottom of the window A downward extension for preventing wind from entering the window frame, and a lateral extens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side of the fixing part to prevent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two windows,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window of the other window; Preferably, the downward extension portion and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하방연장부는 상기 실링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측방연장부는 상기 실링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xtension part is dispos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lateral extension part is disposed one at each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창문은 모두 그 하부에 상기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창틀 상에서 위치이동가능한 창문이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수용부는 이 고정창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2개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재도 상기 2개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windows are provided with the guide roller in the lower portion, the window is movable on the window frame,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rail members are also accommodated in the two receiving por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과 이를 이용한 창호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a window frame and a window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의 고정창틀부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의 레일부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과, 이 바닥창틀을 이용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닥창틀이 거실확장을 위하여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xed window frame member of the sole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member of the sole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ole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window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utsole, Figure 6 is a posture frame shown in FIG.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changed stat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50)은 후술할 창문(90)을 위치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방향을 따라 거실바닥(L)에 설치된다. 이 바닥창틀(50)은 고정창틀부재(10)와 레일부재(2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ole frame 5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window 9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moved, is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L) along one direction. The outsole 50 has a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and a rail member 20.

상기 고정창틀부재(10)는 상기 거실바닥(L),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바닥 중 발코니(B)와의 경계선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창틀부재(10)가 거실바닥(L)에 설치되면, 이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은 상기 거실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즉, 상기 고정창틀부재(10)는 거실바닥(L)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고정창틀부재(10)에는 오목하게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이 수용부(12)는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2개 배치된다. 상기 2개의 이격된 수용부(12)들 사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분리벽(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수용부(12)의 각 중앙부에는 레일보호홈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보호홈부(13)는 후술할 가이드레일(25)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것으로서, 상기 수용부(12)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다.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boundary line with the balcony (B) of the living room floor (L), more specifically the living room floor. When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L,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living room floor surface. That is,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installed in a stat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living room floor (L). Receiving portion 12 is formed in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concave, the receiving portion 12 is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commodation portion 12 is disposed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A separation wall 14 is formed between the two spaced apart receiving portions 12 to protrude upward. Rail protection grooves 13 are formed at each central portion of the two accommodation portions 12. The rail protection groove 13 is a portion into which the guide rail 25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is formed concav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portion 12, and is dispos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t is.

상기 레일부재(20)는 본체부(21)와, 레일부(22) 및 가이드홈부(2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21)는 얇은 판형상으로 일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부(21)의 양측에는 이 본체부(2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26)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레일부(22)는 후술할 창문(9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70)가 구름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이 창문(90)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부(22)는 상기 본체부(2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레일부(22)는 레일지지부(24a,24b)와 가이드레일(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지지부(24a,24b)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호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각각은 상기 본체부(21)에 대하여 돌출된 두 개의 측벽부(24a,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 개의 측벽부(24a,24b)사이는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5)은 상기 레일지지부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레일지지부의 두 개의 측벽부(24a,24b)와 상기 플랜지부(26) 및 상기 본체부(21)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2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부(23)는 상기 레일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다. 이 한 쌍의 가이드홈부(23)도 상기 본체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레일부재(20)는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수용부(12)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부재(20)의 본체부(21)는 상기 고정창틀부재(10)에 나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며, 이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레일부재(20)를 수용부(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결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상기 레일부재(20)를 상기 수용부(12)위에 놓아두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부재(20)는 2개 마련되어 상기 고정창틀부재(10)에 마련된 2개의 수용부(12)에 각각 수용된다.The rail member 2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1, a rail portion 22, and a guide groove portion 23. The main body portion 21 is disposed long in one direction in a thin plate shap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21, flange portions 26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21 are provided. The rail portion 22 is a portion in which the guide roller 7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 rolling contact, and is used to guide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ndow 90. The rail portion 22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 This rail part 22 consists of rail support parts 24a and 24b and the guide rail 25. As shown in FIG. The rail support portions 24a and 24b are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 That is, two side wall portions 24a and 24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e protru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21, and the two side wall portions 24a and 24b are interconnected. It is. The guide rail 25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support, and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A pair of guide grooves 23 are formed concave between the two side wall portions 24a and 24b of the rail support portion, the flange portion 26 and the main body portion 21. The guide groove portion 23 is disposed on both sides with the rail portion 22 therebetween. The pair of guide grooves 23 are also arrang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 The rail member 20 is detachably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21 of the rail member 20 is coupled to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by screws (not shown), and when the screw coupling is released, the rail member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2. However, such a screw coupling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nd the rail member 20 may be placed on the receiving portion 12 without any additional coupling mea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rail members 20 are provided and accommodated in two receiving portions 12 provided in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respectively.

한편, 상기 레일부재(20)는 정자세 상태와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수용부(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정자세 상태는 후술할 창문(9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된 상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22)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부(12)에 설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역자세 상태는 후술할 창문(90)이 설치될 수 없도록 된 상태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22)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부(12)에 설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이 역자세 상태는 상기 정자세 상태에서 레일부재(2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20)가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이 레일부재(20)의 저면(21a)은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는 거실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레일부재(20)의 저면(21a)과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과 거실바닥면은 모두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되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틀(50)은 거실바닥(L)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거실확장공사가 용이해진다. 또한, 이렇게 레일부재(20)가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되면, 레일부재(20)의 가이드레일(25)은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레일보호홈부(13)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반면, 상기 레일부재(20)가 정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상기 레일부(22)에 후술할 창문(90)의 가이드롤러(70)가 지지되고 창문(90)의 하측 양단부(68a,68b)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부(23)에 각각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창문(90)이 바닥창틀(50)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ail member 20 may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 any one of a forward posture state and a reverse posture state. The postur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window 9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and as shown in FIG. 5, it is a state in which the rail unit 22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 to face upward. . In addition, the reverse posture state is a state that the window 90 to be described later can not be installed, as shown in Figure 6, the rail portion 22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to face downwards Say the status. That is, the reverse postur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rail member 20 is turned upside down in the normal posture state. As shown in FIG. 6, when the rail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 in a reverse posture state, the bottom surface 21a of the rail member 20 is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10a, and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living room floor, the bottom surface 21a and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of the rail member 20 The upper surface 10a and the living room floor surface of (10) are both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le fram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living room floor (L), it is easy to expand the living room. In addition, when the rail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in the reverse posture, the guide rail 25 of the rail member 20 is provided in the rail protection groove 13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serted and prot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il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 in a normal posture state, the guide roller 70 of the window 90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by the rail part 22 and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90. Both ends 68a and 68b may be fitted into the pair of guide grooves 23 so that the window 90 may be installed on the sole frame 50.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틀(50)은 마감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마감재(30)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so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nishing material (30). The finish 30 is shown in FIGS. 7 to 10.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의 마감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7은 마감재가 정자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마감재가 역자세 상태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마감재가 도 5에 도시된 바닥창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9는 창문이 설치될 수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창문이 설치될 수 없는 상태의 사시도이다.7 and 8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of the out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material in a posture state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material in a reverse position.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material shown in Figure 7 is coupled to the sole frame shown in Figure 5,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can be installed, Figure 10 is a window can be installed It is a perspective view without a state.

상기 고정창틀부재(10)는 거실바닥(L)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되므로, 이 고정창틀부재(10)의 양측에는 일반적으로 거실의 벽(미도시)이 위치되며, 이 거실의 양측 벽에는 벽면창틀부재(미도시)가 거실의 벽면의 높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이 벽면창틀부재는 상기 거실의 벽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돌출된 단부가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벽면창틀부재가 고정창틀부재(10)의 위쪽에 돌출되게 배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레일부재(20)의 길이가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길이와 동일하다면, 상기 레일부재(2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는 상기 벽면창틀부재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이 레일부재(20)가 상기 수용부(12)에 한번 설치되면 이 수용부(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곤란해질 수 있다. 즉, 고정창틀부재(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레일부재(20)가 정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이 레일부재(20)를 수용부(12)로 부터 분리한 후 역자세 상태로 자세변경시켜 수용부(12)에 수용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10)에서는, 상기 레일부재(20)의 길이를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함으로서, 이 레일부재(20)가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되었을 때, 레일부재(20)의 양측단부가 상기 벽면창틀부재(미도시)의 하부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부재(20)의 양단부에는 이 레일부재(20)의 마감을 위한 상기 마감재(30)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 Since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installed to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living room floor (L), both sides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are generally located walls (not shown) of the living room, both sides of the living room The wall window frame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living room. In addition, the wall frame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 to the wall of the living room so that the protruding end is disposed above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As described above, if the length of the rail member 2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 a state where the wall frame member is protruded above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the rail member The longitudinal side ends of the 20 may be located under the wall frame member, so that the rail member 20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receiving portion 12 once the rail member 2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That is, when the rail member 20 formed in the same length as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2 in a normal posture, the rail member 2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art 12 and then reversed.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ture in the posture state and accommodate the accommodation portion 12. Therefore, in the sole fram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length of the rail member 20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the rail member 20 is the receiving portion When accommodated in 12,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20 do not extend to the bottom of the wall frame member (not shown). Accordingly, the finish member 30 for finishing the rail member 20 needs to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ail member 20.

상기 마감재(30)는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수용부(12)의 양단부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레일부재(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재(30)는 베이스판(31)과, 격벽부(33)와, 수용홈부(3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31)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판(31)의 양단에는 이 베이스판(31)에 대하여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격벽부(33)는 상기 베이스판(31)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이 베이스판(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격벽부(33)는, 상기 베이스판(31)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벽부(33a,33b)를 구비한다. 이 한 쌍의 수직벽부(33a,33b)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다. 또한, 이 베이스판(31)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벽부(33a,33b)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벽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부(33)는, 상기 레일부재(20)의 레일부(22)에 대응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수평벽부(33c)에는 이 수평벽부(33c)를 관통하는 제1관통공(35a)이 형성된다. 이 제1관통공(35a)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공(35a)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부(33)는 이 제1관통공(35a)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제1덮개부(35b)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31)에는 이 베이스판(31)을 관통하는 제1결합공(35c)이 형성되는데, 이 제1결합공(35c)은 상기 마감재(30)와 고정창틀부재(10)를 나사(b)에 의하여 상호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수직벽부(33a,33b)사이에 배치된다.The finishing material 30 is accommodated at both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respectively, and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ail member 20. The finishing material 30 includes a base plate 31, a partition 33, and a receiving groove 34. The base plate 31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31,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32 which ar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31 are provided. The partition portion 3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31 and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31. The partition wall portion 33 includes a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33a and 33b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ase plate 31.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33a and 3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The base plate 31 is also provided with horizontal wall portions 33c fo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33a and 33b.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portion 33 has a cross-section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ail portion 22 of the rail member 20. A first through hole 35a penetrating the horizontal wall portion 33c is formed in the horizontal wall portion 33c. The first through hole 35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through hole 35a, the partition 33 has a first cover part 35b that is detachably fitt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35a. 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31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35c) penetrating the base plate 31, the first coupling hole (35c) is th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Are screwed to each other by screws (b), and are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33a, 33b).

한편, 상기 마감재(30)는 상판부(36)를 구비한다. 이 상판부(36)는 상기 베이스판(3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되어, 이 베이스판(3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 상판부(36)는 상기 격벽부(33)로부터 상기 베이스판(31)의 폭방향으로 따라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32)까지 연장된다. 이 상판부(36)에는 대략 그 중앙부에 제2결합공(36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결합공(36c)은 상기 마감재(30)와 고정창틀부재(10)를 나사(b)에 의하여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31)에는 이 베이스판(31)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36a)이 형성되며, 이 제2관통공(36a)은 상기 상판부(36)에 형성된 제2결합공(36a)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관통공(36a)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판(31)은 이 제2관통공(36a)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제2덮개부(36b)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nish 30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36. The upper plate portion 36 is spac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31,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ase plate 31. In addition, the upper plate portion 36 is formed on both sid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late 31 from the partition portion 33 and extends to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32. In the upper plate portion 36, a second coupling hole 36c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reof. The second coupling hole 36c is for screwing the finishing material 30 and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by screws b. On the other hand, the base plate 31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36a penetrating the base plate 3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6a has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36 ( I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36a). In addition,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through hole (36a), the base plate 31 is provided with a second cover portion (36b) detachably fit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36a).

한편, 상기 마감재(30)는 정자세 상태와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수용부(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정자세 상태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된 격벽부(33)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부(12)에 설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역자세 상태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부(33)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수용부(12)에 설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즉, 이 역자세 상태는 상기 정자세 상태에서 마감재(3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이다. 상기 레일부재(20)가 정자세 상태로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이 마감재(30)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자세 상태로 수용부(12)에 수용됨으로써 후술할 창문(90)이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레일부재(20)가 역자세 상태로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이 마감재(30)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자세 상태로 수용됨으로써 창문(90)이 설치될 수 없으며 거실확장이 가능해진다. 상기 마감재(30)가 정자세 상태로 수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나사(b)는 상기 베이스판(31)에 마련된 제1결합공(35c)을 통해 상기 고정창틀부재(10)에 체결되어, 상기 마감재(30)를 고정창틀부재(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반면, 상기 마감재(30)가 역자세 상태로 수용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나사(b)는 상기 상판부(36c)에 형성된 제2결합공(36c)을 통해 상기 고정창틀부재(10)에 체결되어, 상기 마감재(30)를 고정창틀부재(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finishing material 30 may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 any one of the normal posture state and the reverse posture state. As shown in FIG. 7 and FIG. 9, the postur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artition 33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part 12 so as to face upward. In addition, the reverse posture state, as shown in Fig. 8 and 10, refers to a state tha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so that the partition portion 33 is directed downward. That is, this reverse postur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nish 30 is reversed in the normal posture state. When the rail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 in a normal posture,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also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 in a posture as shown in FIG. This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hand, if the rail mem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as shown in FIG. 10, the finishing material 30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so that the window 90 may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living room. When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accommodated in a normal posture, the screw (b) shown in FIG. 7 is fastened to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35c provided in the base plate 31. , The finish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accommodated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the screw (b) shown in Figure 8 to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through the second coupling hole (36c)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36c) It is fastened, and detachably couples the finishing material 30 to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30)가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12)에 수용되면, 이 마감재(30)의 저면은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는 거실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레일부재(20)의 저면(21a)과 고정창틀부재(10)의 상면(10a)과 거실바닥면은 모두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되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틀(50)은 거실바닥(L)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거실확장공사가 용이해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 in a reverse posture st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30 is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living room floor, the bottom surface 21a and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of the rail member 20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living room and the living room floor are both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le fram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living room floor (L), it is easy to expand the living room.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호시스템(100)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바닥창틀(50)과, 이 바닥창틀(50)에 끼워져 지지되는 2개의 창문(90)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창호시스템(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바닥창틀(50)은 그 구성이 상기한 바닥창틀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ow system 100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indow frame 50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wo windows 90 which are fitted to and supported by the window frame 50. In describing the window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outsole 5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outso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2개의 창문(90)은 각각 유리판(6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판(60)은 이른바 이중유리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창문(90)은 각각 상기 유리판(60)의 둘레에 결합되어 이 유리판(60)을 보호하기 위한 창짝(6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창문(90) 중 어느 하나의 창문(90)은 상기 바닥창틀(50) 상에서 위치이동되지 않는 고정창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창문(90)만 위치이동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창문(90)은 모두 바닥창틀(50) 상에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창짝(65)의 하부에 가이드롤러(70)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롤러(70)는 상기 바닥창틀(50)의 레일부재(20)에 마련된 가이드레일(25)상에 지지되어 이 가이드레일(25)과 구름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짝(65)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롤러(70)는 상기 창문(9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2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70)의 양측에는 상기 창짝(65)의 하단부(68a,68b)가 배치되며, 이 창짝(65)의 하단부(68a,68b)들은 각각 상기 레일부재(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홈부(23)에 각각 삽입되게 배치되다. 한편, 상기 창짝(65)의 양측 하단부(68a,68b)의 내측면과 레일부(22)의 양 측벽부(24a,24b) 사이에는 바람막이부재(66)가 설치된다. 이 바람막이부재(66)는 상기 창짝(65)의 하면과 상기 레일부재(20) 사이에 형성된 틈을 막아주어 이 틈을 통해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the two windows 90 each have a glass plate 60. In this embodiment, the glass plate 60 is made of so-called double glass. In addition, the two windows 90 are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glass plate 60, respectively, and have a window 65 for protecting the glass plate 60. In addition, any one of the two windows 90 of the window 90 is a fixed window which is not moved on the sole frame 50 and at least one other window 90 may be moved, but in this embodiment In the two windows 90 are both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7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65 to be movable on the sole frame 50. The guide roller 70 is supported on the guide rail 25 provided in the rail member 20 of the sole frame 50 to be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25,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65 Rotatably coupled. Two or more guide rollers 70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ow 90. Lower ends 68a and 68b of the window 65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roller 70, and the lower ends 68a and 68b of the window 65 are formed in a pair of rail members 20, respectively. It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23,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 windscreen member 66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s of both lower end portions 68a and 68b of the window 65 and both sidewall portions 24a and 24b of the rail portion 22. The windshield 66 prevents a wind from entering through the gap by blocking a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ow 65 and the rail member 20.

상기 2개의 창문(90)중 어느 하나의 창문(90)의 창짝(65) 하부 모서리에는 실링재(8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링재(80)는 상기 2개의 창문(90)들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링재(80)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One of the two windows 90 is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80 at the lower edge of the window sills 65 of one of the windows 90. This sealing material 80 is to prevent the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two windows (90). Such a sealing material 80 is shown in FIGS. 11-13.

도 11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창호시스템의 실링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링재가 창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실링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material of the window system shown in FIG. 5,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aterial shown in FIG. 11 is coupled to a window, and FIG. 13 is a view of the sealing material shown in FIG.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for demonstrating a use state.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재(30)는 고정부(83)와, 하방연장부(84)와, 측방연장부(85)를 구비한다.11 to 13, the sealing member 30 includes a fixing part 83, a downward extension part 84, and a lateral extension part 85.

상기 실링재(80)는 상기 2개의 창문(90)들 사이를 통해 바람이 거실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2개의 창문(90)이 모두 닫혀지게 되면, 어느 하나의 창문(90)에서 그 일측에 창문(9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창짝(65)과 다른 하나의 창문(90)에서 타측에 창문(9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창짝(65)은 상호 마주하게 되며, 이 창짝(65)들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틈이 형성되면 바람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상기 상호 마주하는 창짝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재(88)를 부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2개의 창문(90)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호 마주하게 되는 창짝(65)에 보강재(88)를 부착시키면, 이 보강재(88)들이 상기 틈을 막아주므로 창문(90)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분리벽(14)에 걸리게 되므로 이 보강재(88)를 창문(90)의 높이 전체에 걸쳐 부착시킬 수는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창 A(65)의 하부와 바닥창틀(50) 사이의 틈 및 및 보강재(88)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의 창짝(65)들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는 바람을 막을 수가 없게 된다. 이렇게 상기 창 A(65)의 하부와 바닥창틀(50) 사이의 틈 및 및 보강재(88)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의 창짝(65)들 사이의 틈을 막아주기 위하여, 상기 하방연장부(84)와 측방연장부(85)가 마련된다. The sealing material 80 is for preventing wind from entering the living room through the two windows (90). When the two windows 90 are closed, the window pair 65 which is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indow 90 on one side of one window 90 and the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90 The window sills 65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indow 90 face each other, and a gap is generally formed between the window sills 65. When the gap is formed, the wind may enter, so it is common to attach the reinforcement 88 as shown in FIG. 12 to the mutually facing windows. With both windows 90 closed, attaching the reinforcement 88 to the mutually opposite window 65, the wind enters between the windows 90 as these reinforcements 88 block the gap. Is prevented. However, the reinforcement 88 cannot be attached to the entire height of the window 90 because it is caught by the dividing wall 14, and thus,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A 65 and the sole frame 50.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wind coming into the gap between the gap and the window sills 65 in the portion where the reinforcement 88 is not attached. In order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A 65 and the sole frame 50 and the gap between the window 65 of the portion where the reinforcing material 88 is not attached, the downward extension 84 And side extension portions 85 are provided.

상기 고정부(83)는 상기 2개의 창문(90) 중 어느 하나의 창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의 우측 거실바닥(L)쪽에 배치된 창문(90)의 창짝(65) 하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 고정부(83)는 상기 창짝(65)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수직부(81)와, 상기 창짝(65)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수직부(81)로부터 연장형성된 수평부(8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부(81)에는 상기 창짝(65)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결합공(미도시)들이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미도시)가 체결된 상태에서 나사머리가 보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나사결합공에 끼워지는 삽입재(86)를 구비한다. 상기 하방연장부(84)는 상기 고정부(8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방연장부(84)는 상기 실링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측방연장부(85)는 상기 고정부(83)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창문 즉, 도 13의 좌측 발코니(B)쪽에 배치된 창문(90)의 창짝(65)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방연장부(85)는 상기 실링재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83)의 양 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상기 하방연장부(84)와 측방연장부(8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분리벽(14)과 겹쳐져 이 분리벽(14)과 접촉되므로,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창문(90)이 바닥창틀(50) 상에서 위치이동될 때, 상기 실링재(80)의 하방연장부(84)와 측방연장부(85)는 상기 분리벽(14)과 계속적으로 접촉되므로, 이 하방연장부(84)와 측방연장부(85)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portion 83 is fixed to any one of the two windows 9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edge of the window sill 65 of the window 90 disposed on the right living room floor L side of FIG. 13. Part. The fixing portion 83 includes a vertical portion 81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65 and a horizontal portion 82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81 so as to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of the window 65. Equipp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portion 81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crew coupling holes (not shown) for screwing with the window 65, the screw head in the state in which the screw (not shown) is fastened Inserts 86 are fitted to the screwing holes to prevent them from being seen. The lower extension portion 84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83,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xtension portion 84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80) Is placed.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85 is formed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side of the fixing portion 83, the window sill 65 of the window 9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ndow, that is, the left side balcony (B) of FIG. Contact with In this embodiment,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85 is disposed one each at both ends of the sealing member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83. As shown in FIG. 13, the lower extension part 84 and the side extension part 85 overlap with the separation wall 14 and contact the separation wall 14, so that the flexible material may be bent. Is done. That is, when the window 90 is moved on the sole frame 50, the downward extension portion 84 and the side extension portion 85 of the sealing material 80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separation wall 14 The lower extension portion 84 and the side extension portion 85 are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flexibly bent.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닥창틀(50)과 창호시스템(100)에서, 거실과 발코니를 분리하고 그 사이에 창호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레일부재(20)와 마감재(30)를 정자세 상태로 설치하고, 창문(90)을 이 바닥창틀(50)에 끼워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발코니(B)를 터서 거실을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설치되어 있던 창문(90)을 바닥창틀(50)로부터 분리해내고, 상기 레일부재(20)와 마감재(30)를 역자세 상태로 설치한다. 이렇게 레일부재(20)와 마감재(30)를 역자세 상태로 고정창틀부재(10)에 설치하면, 상기 바닥창틀(50)은 거실바닥(L)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으므로, 이 바닥창틀(50) 위에 장판을 까는 등의 방식을 통해 매우 용이하게 거실을 확장할 수 있다. 종래의 바닥창틀의 경우 거실바닥에 대하여 바닥창틀이 돌출되어 있어 거실확장이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에 따라 매우 용이하게 거실을 확장할 수 있다. In the outsole frame 50 and the window system 100 composed of the above configuration, if you want to separate the living room and balcony and install the window between the user, the user is in a posture state with the rail member 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30 The window 90 may be inserted into this outsole 50 and used. However, when the user wants to expand the living room by opening the balcony (B), the window 90, which has been installed, is separated from the sole frame 50, and the rail member 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30 are in reverse posture. Install it. When the rail member 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30 are installed in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10 in the reverse posture, the sole frame 50 does not protrude from the living room floor L, so the sole frame 50 It's very easy to expand your living room, for example, by placing a floor covering on i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utsole frame, the outsole frame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living room floor, but it is not easy to expand the living room.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시스템에서는 거실확장이 용이하면서도, 창문들 사이 및 창문과 바닥창틀 사이를 통해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indow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expand the living roo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windows and between the window and the window fr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창틀을 통해 거실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ving room can be easily extended through the so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창호시스템은 거실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실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indow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not only can easily expand the living room, but also effectively prevent the wind from entering the living room.

도 1은 종래의 거실바닥창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iving room sole frame.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의 고정창틀부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xed window frame member of the out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의 레일부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member of the out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과, 이 바닥창틀을 이용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indow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indow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window fram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닥창틀이 거실확장을 위하여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ole frame illustrated in FIG. 5 is changed in posture for expanding the living room.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틀의 마감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7은 마감재가 정자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마감재가 역자세 상태인 경우의 사시도이다. 7 and 8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of the outs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material in a posture state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material in a reverse position.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마감재가 도 5에 도시된 바닥창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9는 창문이 설치될 수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창문이 설치될 수 없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material shown in Figure 7 is coupled to the sole frame shown in Figure 5,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can be installed, Figure 10 is a window can be installed It is a perspective view without a state.

도 11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창호시스템의 실링재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material of the window system shown in FIG. 5.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링재가 창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aterial shown in FIG. 11 is coupled to a window.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실링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sealing material shown in FIG. 1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창호시스템 10 ... 고정창틀부재100 ... window system 10 ... fixed window frame member

20 ... 레일부재 30 ... 마감재20 ... rail member 30 ... finish

50 ... 바닥창틀 60 ... 유리판50 ... Sole 60 ... Glass

70 ... 가이드롤러 80 ... 실링재70 ... guide roller 80 ... sealing material

90 ... 창문90 ... windows

Claims (10)

창문을 위치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거실바닥에 길게 설치되는 바닥창틀로서, Sole frame which i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floor along one direction so as to support the window movably,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는 오목한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실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거실바닥에 설치시 이 거실바닥면과 그 상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고정창틀부재; 및A fixed window frame member having a concave accommodating part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living room floor,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being disposed on the same plane when the living room floor and its upper surface are installed on the living room floor; And 판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창문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가 구름접촉됨으로써 상기 창문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와, 이 레일부의 양측벽과 본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레일부재;를 구비하며, A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and a rail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guide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ndow by rolling contact between the guide roll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ail portion And a pair of guide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rail members, the rail members being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상기 레일부재는, 창문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정자세 상태와, 창문이 설치될 수 없도록 상기 레일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실확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창틀.The rail member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any one of a normal posture state in which the rail part faces upward so that a window can be installed, and a reverse posture state in which the rail part faces downward so that the window cannot be installed. Receivable, the out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ving room can be extended whe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in the revers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부재가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레일부재의 본체부 저면이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창틀.When the rail member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reverse posture,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ail member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레일지지부와, 이 레일지지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며,The rail part of the rail member includes a rail support part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part, and a guide rail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ail support part. 상기 레일부재가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경우, 상기 레일부재의 가이드레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창틀부재에는 레일보호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창틀.When the rail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in the posture state, the window frame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so that the guide rail of the rail member is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protection groove is concave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이 베이스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부와, 이 격벽부의 양측벽과 베이스판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창틀부재 수용부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마감해주는 마감재를 더 구비하며,A pair formed between the base plate, a partition wall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so as to protru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nd disposed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base plate; It is made to include a receiving groove of th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losing material which is detachably received at the end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receiving portion for closing the rail member, 상기 마감재는, 상기 격벽부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정자세 상태와, 상기 격벽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실확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창틀.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in any one of a normal posture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part faces upward, and a reverse posture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part faces downward, and in the reverse posture state. Sol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ving room if accommodat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격벽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수직벽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벽부와, 상기 수평벽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제1덮개부를 구비하며;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base plate, and a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rizontal wall portion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s, and formed through the horizontal wall portion A first cover part and a first cover part detachably fitt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벽부 사이에, 상기 고정창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창틀.The base frame, the bottom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wall portion, the first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base plate for screwing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마감재는, 상기 격벽부로부터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이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를 더 구비하며;The finishing material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late extending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spac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nd further comprises a top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for screwing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Equipped;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제2결합공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제2덮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창틀. The base plate is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hole and penetrates through the base plate, and a second lid portion detachably fit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to be coupled. window frame. 거실바닥에 일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바닥창틀과, 상기 바닥창틀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으로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둘레에 결합되어 이 유리판을 보호하는 창짝을 구비하는 2개의 창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window system comprising a window frame that is installed in one direction long in the living room floor, the window frame is fitted to the support window frame, and comprises two windows coupled to the glass plat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glass plate to protect the glass plate. , 상기 2개의 창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창문은, 상기 바닥창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창짝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At least one of the two windows, the guide roll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sole, 상기 2개의 창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창문의 창짝 하부 모서리에는, 상기 창문들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가 구비되어 있으며;At the lower edge of the window edge of at least one of the two windows, a sealing material is provided to prevent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windows; 상기 바닥창틀은,The sole frame,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는 오목한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실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창틀부재와,A fixed window frame member provided with a concave accommodating part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living room floor; 판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창문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가 구름접촉됨으로써 상기 창문의 위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레일부와, 이 레일부의 양측벽과 본체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수용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레일부재를 구비하며, A plate-shaped main body portion and a rail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guide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ndow by rolling contact between the guide roll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ow,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ail portion It has a pair of guide grooves each formed in the, and provided with a rail member detachably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창문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가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정자세 상태와, 상기 창문이 설치될 수 없도록 상기 레일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는 역자세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역자세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실확장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The rail member may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any one of a normal posture state in which the rail part faces upward so that the window can be installed, and a reverse posture state in which the rail part faces downward so that the window cannot be installed. A window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ving room can be extended whe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n the reverse postur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실링재는, The sealing material, 상기 어느 하나의 창문의 창짝의 측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이 창짝의 하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창짝의 하부와 바닥창틀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하방연장부와, 상기 두 개의 창문들 사이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창문의 창짝에 접촉되는 측방연장부를 구비하며,A fixing part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window so as to protrude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window of any one of the windows, and a lower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to prevent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bottom of the window and the sole of the window frame An extension part and a lateral extension part extending laterally from a side of the fixing part to prevent wind from entering between the two windows,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window of the other window; 상기 하방연장부와 측방연장부는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The downward extension portion and the side extension portion is a window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하방연장부는 상기 실링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측방연장부는 상기 실링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The lower extension portion is arrang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the window exten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disposed at each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2개의 창문은 모두 그 하부에 상기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창틀 상에서 위치이동가능한 창문이며,The two windows are windows that can be moved on the sole frame with the guide roller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고정창틀부재의 수용부는 이 고정창틀부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2개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재도 상기 2개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시스템.And two receiving portions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window frame member, and the rail member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two receiving portions.
KR20-2005-0013372U 2005-05-12 2005-05-12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KR2003919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372U KR200391983Y1 (en) 2005-05-12 2005-05-12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372U KR200391983Y1 (en) 2005-05-12 2005-05-12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983Y1 true KR200391983Y1 (en) 2005-08-09

Family

ID=4369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372U KR200391983Y1 (en) 2005-05-12 2005-05-12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983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89B1 (en) * 2008-04-22 2010-09-02 주식회사 쓰리에스 케미칼 Window frame structure of sealing
KR101016203B1 (en) 2008-01-07 2011-02-28 (주)신창산업 A Gap Sealing Device of the Sliding Window
KR101031126B1 (en) * 2009-02-24 2011-04-27 전기권 Sliding door structure
KR101228180B1 (en) * 2007-01-05 2013-01-30 (주)엘지하우시스 Window frame of stairs structure
KR20210032029A (en) 2019-09-15 2021-03-24 이준범 Window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80B1 (en) * 2007-01-05 2013-01-30 (주)엘지하우시스 Window frame of stairs structure
KR101016203B1 (en) 2008-01-07 2011-02-28 (주)신창산업 A Gap Sealing Device of the Sliding Window
KR100979489B1 (en) * 2008-04-22 2010-09-02 주식회사 쓰리에스 케미칼 Window frame structure of sealing
KR101031126B1 (en) * 2009-02-24 2011-04-27 전기권 Sliding door structure
KR20210032029A (en) 2019-09-15 2021-03-24 이준범 Window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1983Y1 (en) Window frame and window system using the window frame
CA2000409C (en) Shower unit panel
KR101999086B1 (en) Built-in rail sliding window
GB2295636A (en) Threshold for sliding window/door
KR101759322B1 (en) All-in-one lower rail for folding doors that serve both finish and additional construction
KR200434720Y1 (en) Rail freey window system for living room
JP5734716B2 (en) Bathroom fittings
JP4104564B2 (en) Sash window
KR200385604Y1 (en) Window frame for living room
JP4198659B2 (en) Sash window
JP3629249B2 (en) Adjustable width adjustable pillar for condominium
JP3242583B2 (en) Bathroom door lower frame and watertight structure between lower frame and bathroom door
KR200279148Y1 (en) Windbreak brush which can also be used as Absortion rubber frame for strengnthened glass door
JP3828526B2 (en) Opening device
JP3278580B2 (en) Sliding door of unit bathroom
JP3414234B2 (en) Bathroom sliding door lower frame structure
JP3970227B2 (en) Sash window
JP4970350B2 (en) Panel member for joinery and joinery
JP5626803B2 (en) Bathroom fittings
JP4056483B2 (en) Sash window
JP2017110389A (en) Fittings
JP2008111298A (en) Sash
JP4833114B2 (en) Joinery and drainage members
JP2733747B2 (en) Sliding door
JP4739974B2 (en) Mounting structure of fixed window to floor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