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362Y1 -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362Y1
KR200391362Y1 KR20-2005-0013355U KR20050013355U KR200391362Y1 KR 200391362 Y1 KR200391362 Y1 KR 200391362Y1 KR 20050013355 U KR20050013355 U KR 20050013355U KR 200391362 Y1 KR200391362 Y1 KR 200391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r
lever
rotatably coupled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핀 쿠오
Original Assignee
하이 핀 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 핀 쿠오 filed Critical 하이 핀 쿠오
Priority to KR20-2005-0013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스테핑(stepping) 운동기구는 베이스부(base)의 정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는 상부를 각각 갖는 한 쌍의 바(bar)를 포함한다. 하나의 휠(wheel)과 두개의 크랭크(crank)는 베이스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두개의 링크(link)는 크랭크와 바 사이에 연결되고, 두개의 빔(beam)은 바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면의 로드(rod)를 각각 포함하고, 두개의 지레는 크랭크에 부착되며, 두개의 폴(pole)은 발 지지물을 지지하도록 빔과 지레 사이에 연결된다. 두개의 암(arm)은 바와 빔 사이에 연결된다. 발 지지물의 움직임 스트로크(stroke)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 장치는 빔, 바 및 암 그리고 폴과 지레 사이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빔에 대한 암의 하부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EXERCISER HAVING ADJUSTABLE MECHANISM}
본 고안은 스테핑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움직임 또는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갖는 스테핑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형적인 스테핑 운동기구가 스테핑 또는 워킹(walking) 등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타원형의 움직임 경로 또는 타원형 스트라이드(stride)에 따라 움직이는 한 쌍의 발 지지물을 포함하며,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작동 또는 시동에 대한 저항력이나 정지력을 적용하기 위한 브레이크(brake) 장치와 같은 것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쿠오에 의한 미국특허 6,277,054호(U.S. Patent No. 6,277,054)에는 타원형의 움직임 경로 또는 타원형 스트라이드에 따라 움직이는 한 쌍의 발 지지물 및 조절 장치 즉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움직임, 작동 또는 시동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스테핑 운동기구 중 하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또는 작동을 조절하기 전에, 스테핑 운동기구의 작동을 정지해야만 한다. 즉,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는 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동안에 조절될 수 없다.
스테핑 운동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고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스테핑 운동기구가 작동하거나 시동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스위치 버튼을 갖는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또는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핸들바(handlebar)의 상부에 배치 또는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또 다른 전형적인 스테핑 운동기구를 고안하였다.
예를 들면, 쿠오에 의한 미국특허 6,620,079호(U.S. Patent No. 6,620,079)에는 타원형의 움직임 경로 또는 타원형 스트라이드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발 지지물,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조절 장치 즉 움직임, 작동 또는 시동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스테핑 운동기구가 작동하거나 시동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또는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핸들바의 상부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버튼을 포함하는 또 다른 전형적인 스테핑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형적인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또는 작동은 사용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없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핑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테핑 운동기구를 정지시키지 않고, 스테핑 운동기구가 작동하거나 시동하는 동안에,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스테핑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국면에 따르면, 상부로 연장되는 포스트를 갖는 정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포스트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도록 제동되는 핸들(handle)을 갖는 상부 및 하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바, 베이스부의 후면부 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휠, 휠에 연결되고 상기 휠과 같이 회전하며, 각각 자유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크랭크, 크랭크의 자유단과 바의 하부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바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부착되는 회전축 로드를 갖는 정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빔, 빔의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폴, 각각 폴이 지레에 대해 움직이거나 미끄러지도록, 크랭크 각각의 자유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폴 각각에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지레,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폴 또는 지레 중 하나에 배치된 한 쌍의 발 지지물, 암의 하부가 회전축 핀 각각으로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움직이거나 조절되도록, 포스트에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상부를 각각 포함하고, 회전축 로드를 가지고 빔의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암 및 발 지지물의 움직임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빔, 바 및 암 사이 그리고 폴과 지레 사이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회전축 핀 각각을 향하거나 멀리 떨어지도록 암의 하부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스테핑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이외의 본 고안의 목적 및 이점은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여 하기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테핑 운동기구는 스테핑 운동기구의 정면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거나 정면부 상에 제공되는 포스트(11)를 포함하고, 스테핑 운동기구의 후면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거나 후면부 상에 제공되는 스테이(stay;12)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를 갖는다. 제어 박스(10)와 같은 것은 운동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포스트(11)의 상부에 배치된다.
휠(13)과 한 쌍의 크랭크(14, 15)는 회전축 스핀들(pivot spindle;17)에 의해 스테이(12) 상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지지를 받으며, 서로 같이 회전하고 회전축 스핀들(17)에 의해 베이스부(1)에 대해 회전한다. 크랭크(14, 15)는 전형적인 사이클링(cycling) 장치들과 같이 상대 크랭크(14, 15)로부터 연장되고, 크랭크(14, 15) 각각은 크랭크(14, 15)에 부착되는 회전축(16)을 갖는 자유단을 포함한다. 휠(13)은 운동기구의 작동에 대한 저향력을 제공하기 위해 저항 장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핑 운동 기구의 움직임, 작동 또는 시동에 대한 저항력이나 정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 다른 휠 즉 웨이트(weight;18)가 더 제공되고, 베이스부(1)의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브레이크 장치(19)가 더 제공되고, 웨이트(18)를 정지시키거나 웨이트(18)에 대한 자기 정지력과 같은 정지력을 적용하기 위해 웨이트(18)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바(2) 각각은 샤프트(shaft;21)와 함께 포스트(11)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즉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중심부 또는 상부를 포함하고, 샤프트(21) 각각은 샤프트(21)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는 속이 빈 챔버(chamber;23)를 포함(도 5 및 도 6)하며, 샤프트(21) 각각은 샤프트(21) 각각의 중심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샤프트(21)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slot;24)을 포함한다. 각각의 바(2)는 바에 부착되거나 바 상에 제공되는 회전축 핀(pivot pin;20)을 갖는 바닥단을 더 포함한다.
한 쌍의 링크(30) 각각은 각각의 회전축(16)에 의해 크랭크(14, 15)의 자유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30) 각각은 각각의 바(2)에 회전이 가능하고 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결합되고, 바(2) 및 크랭크(14, 15)와 함께 연결되도록 또 다른 단 즉 정면부(3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링크(30)의 정면부(32)는 바(2) 각각의 슬롯(24)에 미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맞물린 샤프트(3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0)의 정면부(32)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slide;34)는 하나 이상의 바퀴 즉 롤러(roller;35)와 같은 바(2) 각각의 속이 빈 챔버(23) 내에 미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맞물리고, 슬라이드(34)에 결합되고 슬라이드(34)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33)를 포함한다. 튜브(36) 및 슬라이드(34)가 바(2)에 대한 볼트(bolt;37)를 회전함으로써 각각의 바(2)를 따라 움직이고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튜브(36)는 바(2) 각각의 슬라이드(34)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 또는 하부 및 튜브(36)의 다른 단을 관통하는 볼트(37)를 포함한다.
각각의 바(2)는 각각의 바(2)의 속이 빈 챔버(23) 내에 결합되는 케이스(casing;25)를 더 포함한다. 모터(26)는 각각의 케이스(25)에 부착되거나 결합되고, 케이스(25) 내부로 연장되는 피니언(pinion;27)을 포함한다. 기어(28)와 볼트(37)가 피니언(27)을 통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되거나 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튜브(36)와 슬라이드(34)가 모터(26)에 의해 각각의 바(2)를 따라 움직이거나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기어(gear;28)는 케이스(25) 내에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되고, 볼트(37)에 결합되며, 감속 기어 장치(29)에 의해 모터(26)의 피니언(27)과 맞물리거나 연결된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0)의 정면부(32)는 각각의 바(2)의 슬롯(24)에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맞물린 샤프트(33)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샤프트(33) 및 슬라이드(34)는 모터(26)와 볼트(37) 각각에 의해 바(2)에 대해 조절되거나 움직임으로써, 크랭크(14, 15)와 바(2) 사이의 연결은 바(2)에 대해 움직이거나 조절되는 링크(30)의 정면부(3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바(2)에 대한 링크(30)의 정면부(32)의 연결 및 조절은 상기된 출원인인 쿠오의 선행 미국특허 6,277,054호 및 미국특허 6,620,079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6), 볼트(37), 튜브(36) 및 슬라이드(34)는 바(2)에 대한 링크(30)의 정면부(32)를 움직이거나 조절하기 위한 조절 또는 움직임 수단 또는 장치(38)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링크(30)의 정면부(32)는 종래의 공기 또는 수압 조절 장치, 기어 및/또는 트래킹(tracking) 장치, 쇠사슬(sprocket-and-chain) 장치, 도르래 및 벨트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조절 수단 또는 장치(38)를 가지고 바(2)에 대해 움직이거나 조절될 수 있다.
한 쌍의 빔(40) 각각은 각각의 회전축 핀(20)에 의해 바(2, 3)의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빔(40) 각각은 각각의 빔(40) 내에 형성되는 속이 빈 챔버(41)를 포함(도 7 및 도 8)하고, 빔(40) 각각은 빔(40) 각각의 정면부에 형성되고 회전축 핀(20)의 정면에 제공되며 빔(40)의 챔버(41)와 통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42)을 포함한다. 각각의 빔(40)은 폴(44)을 빔(40) 각각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거나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빔(40)에 부착되거나 각각의 빔(40) 상에 제공되는 회전축 핀(43)을 갖는 후면부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지레(45) 각각은 각각의 지레(45)에 폴(44)을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연결하고, 폴(44)이 각각의 지레(45)에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연결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축(16)에 의해 크랭크(14, 15)의 자유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지레(45) 각각은 각각의 지레에 배치되는 한 쌍 이상의 휠 또는 롤러(46)을 포함한다. 한 쌍의 발 지지물(47)은 지지물(47) 상의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서, 각각 폴(44) 또는 지레(45) 상에 제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빔(40)은 하나 이상의 휠 또는 롤러(51)를 가지고 빔(40)의 속이 빈 챔버(41) 내에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각각 회전축 로드(pivot rod;48)에 연결되는 팔로우어(follower;50)를 포함한다. 각각의 빔(40)은 모터(52)에 의해 회전되거나 구동되도록 빔(40)의 속이 빈 챔버(41) 내에 배치되는 모터(52) 및 빔(40)의 속이 빈 챔버(41) 내에 배치되고 모터(52)에 연결되는 감속 기어 장치(53)를 포함한다. 볼트(54)가 감속 기어 장치(53)를 통한 모터(52)에 의해 회전되거나 구동되고, 팔로우어(50)와 회전축 로드(48)가 모터(52)에 의해 각각의 빔(40)을 따라 움직이고 작동되도록 볼트(54)는 감속 기어 장치(53)에 결합되거나 연결되고, 팔로우어(50)로 관통된다.
모터(52)와 볼트(54) 및 팔로우어(50)와 회전축 로드(48)는 빔(40)에 대해 회전축 로드(48)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 수단 또는 장치(55)일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 로드(48)는 종래의 공기 또는 수압 조절 장치, 종래의 기어 및/또는 트래킹 장치, 쇠사슬 장치, 도르래 및 벨트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움직이거나 조절하는 수단 즉 조절 장치(55)를 가지고 빔(40)에 대해 움직이거나 조절될 수 있다.
한 쌍의 암(arm;60)이 더 제공되고, 암(60) 각각은 각각의 회전축 핀(62)에 의해 바(2, 3) 상부 또는 중심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61)를 포함하며, 암(60) 각각은 각각의 회전축 로드(48)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63)를 포함한다. 바(2), 빔(40) 및 암(60) 사이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기 위하여, 암(60)의 하부(63)와 회전축 로드(48)는 모터(52)에 의해 각각의 빔(40)을 따라 움직이고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60)의 하부(63)와 회전축 로드(48)가 회전축 핀(20) 또는 바(2)의 바닥단을 향하거나 멀리 움직이고 조절되는 경우, 회전축 핀(43)이나 빔(40)의 후면부는 회전축 핀(20)이나 바(2)의 바닥단에 대해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거나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발 지지물(47)의 움직임 스트라이드 또는 움직임 스트로크가 조절될 수도 있다.
발 지지물(47)의 움직임 스트라이드 또는 움직임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위치(70)는 바(2)의 핸들(22) 상부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바(2) 중 하나의 상부에 더 제공되고 배치될 수 있으며, 바(2)에 대해 위아래로 링크(30)의 정면부(32)를 조절하고, 크랭크(14, 15) 및 바(2) 사이의 연결을 조절하도록 모터(26)를 작동하거나 시동하기 위해서, 모터(26)에 연결된다.
발 지지물(47)의 움직임 스트라이드 또는 움직임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또 다른 스위치(80)가 나머지 바(2)의 핸들(2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과 같이, 나머지 바(2)의 상부에 더 제공되고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 핀(20) 또는 바(2)의 바닥단을 향하거나 멀리 떨어진 암(60)의 하부(63)를 조절하고, 빔(40), 폴(44) 및 지레(45) 사이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모터(52)를 작동하거나 시동하기 위해서, 나머지 모터(52)에 연결된다.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작동 또는 시동에 대한 저항력 또는 정지력의 조절을 제공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장치(19) 또는 휠(13)의 정지 작동은 스위치(70, 80) 중 하나에 의해 작동되거나 시동될 수 있다. 스위치(70, 80)는 발 지지물(47)의 움직임 스트라이드 또는 움직임 스트로크와 브레이크 장치(19) 또는 휠(13)의 정지 작동이 운동기구를 정지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스테핑 운동기구를 작동하는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시동되거나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바(2)의 핸들(22)의 상부를 잡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작동되거나 시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스테핑 운동기구는 스테핑 운동기구를 정지시키지 않고, 스테핑 운동기구가 작동되거나 시동되는 동안에, 스테핑 운동기구의 움직임 스트로크 또는 작동을 쉽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핑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테핑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스테핑 운동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 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테핑 운동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 7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이다.

Claims (5)

  1. 상부로 연장되는 포스트(post)를 갖는 정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상기 포스트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도록 제공되는 핸들(handle)을 갖는 상부 및 하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바(bar);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후면부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휠(wheel);
    상기 휠에 연결되고 상기 휠과 같이 회전하며, 각각 자유단을 포함하는 한 쌍의 크랭크(crank);
    상기 크랭크의 상기 자유단과 상기 바의 상기 하부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link);
    회전축 핀(pivot pin)에 의해 상기 바의 상기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부착되는 회전축 로드(rod)를 갖는 정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빔(beam);
    상기 빔의 상기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폴(pole);
    상기 크랭크 각각의 상기 자유단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 각각에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지레;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폴 또는 상기 지레 중 하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발 지지물;
    상기 포스트에 회전이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상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로드를 가지고 상기 빔의 상기 후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암(arm); 및
    상기 발 지지물의 움직임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빔, 상기 바 및 상기 암 사이 그리고 상기 폴과 상기 지레 사이의 연결 관계를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축 핀 각각을 향하거나 멀리 떨어지도록 상기 암의 상기 하부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레는 각각 상기 폴이 상기 지레에 대해 움직이거나 미끄러지도록 하며,
    상기 한 쌍의 암 각각은 상기 암의 상기 하부가 상기 회전축 핀 각각으로 향하거나 멀어지도록 움직이거나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각각은 상기 빔 내에 형성되는 챔버(chamber)를 포함하고, 상기 빔 내에 형성되고 상기 빔의 상기 챔버와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slot)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 로드를 각각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수용하고,
    상기 회전축 로드는 상기 빔의 상기 슬롯 외부로 각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빔 각각의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로드에 각각 연결되는 팔로우어(follower);
    상기 빔 각각의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팔로우어로 관통되는 볼트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볼트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팔로우어와 상기 회전축 로드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빔을 따라 움직이고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레 각각은 상기 지레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롤러(roller)를 포함하여, 상기 폴을 상기 지레에 미끄럽게 움직이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상기 조절 수단을 시동하도록 상기 바 중 하나의 상부에 제공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20-2005-0013355U 2005-05-12 2005-05-12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KR200391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355U KR200391362Y1 (ko) 2005-05-12 2005-05-12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355U KR200391362Y1 (ko) 2005-05-12 2005-05-12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362Y1 true KR200391362Y1 (ko) 2005-08-01

Family

ID=4369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355U KR200391362Y1 (ko) 2005-05-12 2005-05-12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3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51A2 (ko) * 2008-07-24 2010-01-28 (주)다산알앤디 바이크형 헬스기구,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51A2 (ko) * 2008-07-24 2010-01-28 (주)다산알앤디 바이크형 헬스기구, 그 제어방법
WO2010011051A3 (ko) * 2008-07-24 2010-04-22 (주)다산알앤디 바이크형 헬스기구,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036B1 (en) Exerciser having adjustable mechanism
US7485072B2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7811206B2 (en) Elliptical exercise device
US7608018B2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6454682B1 (en) Exercizer having adjustable mechanism
US7507186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elliptical foot motion
US6017294A (en) Duad treadle exercise apparatus
US7497808B2 (en) Step thru recumbent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US7060004B2 (en) Exerciser having easily adjustable mechanism
US20080261778A1 (en) Adjusting exercise device
US20070161463A1 (en) Step through recumbent elliptical exercise apparatus
KR200307145Y1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US8235873B1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variable foot motion
US20090048077A1 (en) Stationary exerciser
CN108653991B (zh) 手足复合式运动机
KR200391362Y1 (ko) 조절 장치를 갖는 운동기구
KR100550052B1 (ko) 근력강화운동기구
EP2000178A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EP1716891A1 (en) Elliptical exerciser having adjustable mechanism
US20020107112A1 (en) Physical trainer having pedals moving along an elliptical route
US20030060337A1 (en) Surfboard simulating exerciser having handle device
AU2007202574A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GB2460475A (en) Stationary elliptical exerciser
US20130040785A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CA2590743A1 (en) Stationary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