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18Y1 -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18Y1
KR200391218Y1 KR20-2005-0007765U KR20050007765U KR200391218Y1 KR 200391218 Y1 KR200391218 Y1 KR 200391218Y1 KR 20050007765 U KR20050007765 U KR 20050007765U KR 200391218 Y1 KR200391218 Y1 KR 200391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fruit tree
frame
tre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규
Original Assignee
송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규 filed Critical 송상규
Priority to KR20-2005-0007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Abstract

본 고안은 과실수 지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과실수가 심겨진 상태에서 지지되는 과실수 지주에 있어서, 상기 과실수 지주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키며 인건비를 줄인다.

Description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Support of fruit tree for become position control}
본 고안은 과실수 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라는 것은, 밑둥이 굵어도 혼자 서지 못하는 과실수 등을 튼튼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설치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안된 지주목 중 하나인 과실수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목이 설치된 일 예를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실수 지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층에 묻혀지며 고정되는 수직 포스트(100)와, 수직 포스트(100)의 상측에 배열되는 한 개 이상의 수평 포스트(200) 그리고 상기 수평 포스트(200)의 양단 부에 연결되는 와이어(300)(또는 끈)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과실수를 심은 후 그 가지들을 와이어(300)의 바깥으로 늘어뜨려 사용하게 된다.
한편, 과실수들은 종류에 따라 제각각 열매가 열리는 형태도 가지각색인데 예를 들어 과실수의 종류에 따라 일부 과실수는 열매가 가지 아래로 늘어지게 열리고 일부 과실수는 열매가 가지 위에 열리는 경우가 있다.
물론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열매가 과실수의 가지 아래로 늘어지게 열리지 않고 가지 위로 과실이 열리는 수종(樹種)의 경우, 즉 예를 들어 복분자(또는 산딸기)는 수명을 다하기 전까지 일정한 주기를 갖고 계속적으로 과실을 수확하게 된다.
또한, 복분자의 경우 두렁과 두렁 사이에 형성된 이랑을 따라 이동하며 가지에 열린 열매를 수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지 위로 열매가 열릴 경우 그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 이랑을 따라 이동하며 열매를 수확하게 되는데 좁은 이랑 사이로 이동하며 열매를 수확할 때에는 육체적으로 쉽게 피로가 엄습되어 수확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즉 수확량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노동력을 빌릴 경우에는 인건비 상승 등에 의해 또 다른 경제적인 부담감을 안겨줄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은 과실수 지주가 단지 스스로 지탱하기 어려운 과실수를 지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을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모순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확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제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과실수가 심겨진 상태에서 지지되는 과실수 지주에 있어서, 상기 과실수 지주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과실수 지주가 과실수가 심겨지는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일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그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길이 방향 적소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타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길이 방향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지며 위치가 고정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 홀이 배열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배열되며 과실수가 묶여 고정되는 한 라인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제1 위치는 전 위치와 후 위치로 나뉘며, 상기 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성장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열매맺힘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전 위치에서 땅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이격된 위치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관통 연결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과실수는 복분자인 것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구성 예는, 상기 고정 프레임은 끈 또는 와이어로 구비되어도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과실수 중 복분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 내지 c에는 본 고안에 의해 과실수의 성숙기와 수확기 그리고 지주의 위치가 변화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a 내지 c에서는 도 3의 a 및 c에 도시된 사용상태 순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과실수의 성숙기는 성장기와 열매 맺힘기로 나누어지게 된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의 가장 큰 특징부는,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일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위치(도 3의 a 및 도 3의 b)에서 고정되고, 과실수가 수확기일 때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위치(도 3의 c)에서 고정된다는 점이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열매가 상측으로 열리는 불특정한 과실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숙기일 때에는 열매가 맺히는 가지를 상측(하늘)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도 3의 a 내지 b 또는 도 4의 a 내지 b 참조), 수확기일 때에는 열매가 맺힌 가지가 하측(땅)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도 3의 c 내지 도 4의 c 참조) 수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실수 지주(1)는 과실수가 심겨지는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일 측면 상, 하 어느 일 측에 그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길이 방향 적소에 고정부재(21)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타 측면 상, 하 어느 일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길이 방향에는 상기 고정부재(2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각 위치가 다르게 고정되도록 다수의 위치 조절 홀(31)이 배열된 고정 프레임(30)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30)은 수직 프레임(10)에 대해 연결 프레임(2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 되므로 일반적인 끈이나 와이어로 구비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기 끈이나 와이어의 일 단부는 수직 프레임(10)에 묶여 고정되고 타 단부는 연결 프레임(20)에 묶여진 상태에서 고정되어도 가능하지만, 수직 프레임(10)과 연결 프레임(20)의 적당한 곳에 끈이나 와이어의 일 단부와 타 단부가 묶여지는 별도의 고정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21)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는 과실수의 가지가 묶여 고정되는 한 라인 이상의 와이어(40)가 배열된다.
상기 와이어(40)는 금속 또는 수지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수의 홀을 형성하고, 그 홀들을 관통하며 높낮이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 및 도 4의 a에서는 본 고안이 설치된 최초의 상태가 되며, 도 3의 b 및 도 4의 b 상태는 열매의 수확 전 상태, 도 3의 c 및 도 4의 c는 열매를 수확하기 위한 상태가 된다.
본 고안에서는 과실수의 생장에 따라 과실수 지주의 연결 프레임의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도 3a 및 도 4a에서 도시된 상태는 과실수의 성숙기 중 성장기로써, 과실수가 생장하면서 가지가 땅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직 프레임(10)에 대해 연결 프레임(20)이 거의 수직에 가깝도록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며, 가지가 연결 프레임(20)을 따라 자라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여러 종류의 과실수 중 특히 복분자의 경우 가지가 땅에 닿게 되면 그 가지에서 뿌리를 내리게 되며, 이러한 경우 그 복분자는 약해지거나 또는 말라죽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과실수 지주(1)가 배열된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10)은 지층(땅)에 일부 매립되고, 연결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30)을 매개로 일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는 수직 프레임(10)을 수직선 방향이라 했을 때 연결 프레임(20)은 수직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편중된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3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는 일 방향으로 편중된 연결 프레임(20)의 고정부재(21)에는 고정 프레임(3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홀이 끼워진 상태에서, 즉 볼트와 넛트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21)에 고정 프레임(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위치 변환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과실수에 열매가 맺히게 되는 가지들은 별도의 끈 등에 의해 와이어(40)에 묶여진 상태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가 연결 프레임(20)을 따라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자라난 후 이를 약 가지의 시작점으로부터 1m 정도만 놔두고 전지하게 된다.
이렇게 전지되고 남은 가지에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여 꽃봉오리가 달리고 과실수의 성숙기 중 열매 맺힘기가 되면 가지에 열매가 맺혀지는데, 이때 본 고안의 특징부인 연결 프레임(20)에 구비된 고정부재(21)의 넛트를 분리한 후 고정 프레임(30)을 분리하여 연결 프레임(20)의 각도를 전술한 성장기에서의 연결 프레임(20)의 위치에서 땅쪽 방향으로 더 소정 각도 이격되도록 고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매가 상측(하늘) 방향을 향해 열리게 된다.
결국 도 3c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가 상측(하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익게 되면 고정 프레임(30)을 분리함으로써 연결 프레임(20)이 수직 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연결 프레임(20)을 반대 방향(제2 위치)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30)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연결 프레임(20)의 위치를 회전에 의해 변환시키면 상측(하늘) 방향으로 향하고 있던 열매는 하측(땅)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두렁이나 이랑에 비닐(B)이나 별도의 열매 수거용 천 등을 배열한 상태에서 열매가 익게 되면 저절로 하측(땅)으로 떨어지게 되며, 와이어(40)나 연결 프레임(20)을 흔들게 되면 하측으로 향하고 있는 열매는 떨어져 그 하방에 위치된 비닐이나 열매 수거용 천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열매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열매의 중량에 따라 상술한 비닐(B)이나 별도의 열매 수거용 천 등은 바닥에 놓일 수 있으며,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뜨려 배열할 수도 있다. 이때, 열매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열매의 중량에 따라 상술한 비닐(B)이나 별도의 열매 수거용 천 등은 바닥에 놓이거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뜨려 배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많은 노동인구를 필요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은 열매를 손쉽게 수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열매 수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생산성, 즉 수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과실수 지주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확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경제적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과실수 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과실수 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과실수의 성숙기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열매가 맺혀지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의 위치를 변환시켜 열매를 수확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과실수의 성숙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를 매개로 열매가 맺혀지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과실수 지주의 위치를 변환시켜 열매를 수확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다른 변형 예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과실수 지주 10;수직 프레임
20;연결 프레임 21;고정부재
30;고정 프레임 31;위치 조절 홀
40;와이어 B;비닐

Claims (6)

  1. 삭제
  2.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사이에 과실수가 심겨진 상태에서 지지되는 과실수 지주에 있어서,
    과실수가 심겨지는 두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일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그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길이 방향 적소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연결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타 측면의 상, 하 어느 일 측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길이 방향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지며 위치가 고정되는 다수의 위치 조절 홀이 배열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배열되며 과실수가 묶여 고정되는 한 라인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수 지주는,
    상기 과실수가 성숙기일 때 상기 과실수의 가지 위치를 전 위치와 후 위치로 나뉘어 고정시키며,
    상기 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성장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이고, 상기 후 위치는 상기 과실수의 열매맺힘기로써 상기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전 위치에서 땅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이격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관통 연결된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수는 복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끈 또는 와이어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KR20-2005-0007765U 2005-03-22 2005-03-22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KR200391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65U KR200391218Y1 (ko) 2005-03-22 2005-03-22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765U KR200391218Y1 (ko) 2005-03-22 2005-03-22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87A Division KR100717726B1 (ko) 2005-03-22 2005-03-22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18Y1 true KR200391218Y1 (ko) 2005-08-02

Family

ID=4369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765U KR200391218Y1 (ko) 2005-03-22 2005-03-22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7498B (zh) 一种适合高寒区葡萄水平连棚架栽培的方法
CN109302933B (zh) 猕猴桃早产丰产树形快速培育整形方法
KR102652676B1 (ko) 과일나무 및 관련 나무의 재배 방법
CN109362501A (zh) 百香果通透架形栽培方法
CN104798649B (zh) 一种樱桃超细长纺锤形矮化密植栽培方法
CN105638374A (zh) 一种石榴栽培专用架及其栽培方法
US5557883A (en) Trellising system for producing dried-on-the-vine raisins
AU201235663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lanting of olive trees for the continuous mechanical harvesting of the olives
CN106613712A (zh) 葡萄高吊水平整枝方法
US56386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 culture
JP2753977B2 (ja) 蔓性果樹棚の新梢支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US65783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vine plants
CN107409798B (zh) 一种简易的桃树高y字形整形方法及其应用
KR100717726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US52728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 culture
KR200391218Y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과실수 지주
RU138217U1 (ru) V-образная двухплоскостная шпалера для виноградника
CN110558139A (zh) 一种猕猴桃吊蔓栽培技术
CN108703001A (zh) 一种大樱桃的树形的构建方法
CN211703142U (zh) 一种矮化双臂u型葡萄架
CN109479572B (zh) 一种用于大棚种植的瓜蒌繁殖架
CN110063197B (zh) 一种葡萄高挂一边倒技术
JP2002084902A (ja) サクランボの栽培方法
RU2374826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US20140041292A1 (en) Vine trellising combined shade and bird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