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206Y1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206Y1
KR200391206Y1 KR20-2005-0015849U KR20050015849U KR200391206Y1 KR 200391206 Y1 KR200391206 Y1 KR 200391206Y1 KR 20050015849 U KR20050015849 U KR 20050015849U KR 200391206 Y1 KR200391206 Y1 KR 200391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dat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8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은수
신헌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모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모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모웹
Priority to KR20-2005-0015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2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20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 및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제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로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프로토콜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맥처리부와, 상기 무선맥처리부에서 출력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무선맥처리부로 전송하는 변복조부 및 상기 변복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변복조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로 구성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 interface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nd controlling data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ly communicates data input to the interface control unit Conver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received by the protocol into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interface control unit, modulates and outpu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A demodulation unit for de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o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a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Local area wireless network control device It relates.

따라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무선통신망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s detachably installed on an external interface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are performed based on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anytime and anywhere.

또한, 별도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용 제어기기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 및 유지관리의 낭비를 방지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통신기기의 작동상태와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cost and maintenance by using a separat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ler, and to check and change the operation state and unique identifi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며, 간섭 등의 오류발생요인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n transmitting data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ore smooth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errors such as interference can be eliminated in advance.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design such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망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무선통신망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n an external interface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installing the control device for detachable, and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dministrator anytime and anywhere easil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t is to be able to control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최근 들어 전자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통신장치, 특히 컴퓨터의 발달과 그에 따른 통신망의 구축을 통하여 전세계적인 네트워크가 구현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인프라넷이 구축되어 왔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 global network has been realiz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especially computers, and the construc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ly, an Infranet has been established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더욱이, 대부분의 기업이 정보처리의 전산화와 업무효율을 위하여, 컴퓨터의 보급을 확대하고 다양한 정보의 수집 또는 제공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망인 근거리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케이블(Cable) 등과 같은 유선에 의해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어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다.Moreover, for the computeriz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work efficiency, most companies have established a short-range network, which i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panding the spread of computers and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collection or provis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such a network is a cabl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are connected by a wire such as a wire to form a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선에 의한 유선통신망은 설치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유지 및 보수 등의 관리가 어려우며, 상기 다수의 통신장치의 이동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by wires is difficult to manage the cost increase and maintenance and repair, such as instal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is limited.

상기와 같은 유선통신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의 IEEE 802, 11이나 유럽의 Hiper LAN,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네트워크 표준안들이 발표되었으며, 그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가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wired network, wireless network standards such as IEEE 802, 11 in the United States, Hiper LAN in Europe, 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SWAP), and Bluetooth (Bluetooth) have been published. It is commercially used.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의 단점인 케이블 가설에 따른 설치비용 절감은 물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Such a wireless network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as well as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due to cable construction, which is a disadvantage of a wired network.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기기들은 통상 기기 자체에 고유의 식별자 코드를 부여받아 무선통신을 하게 되는 바, 다수의 무선통신기기의 동작상태(작동여부, 데이터 전송속도, 고유식별자 부여 등)를 제어하기 위해서 별도의 제어기기를 구비하고 있다.Such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vices are usually given a unique identifier code to the device itself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peration status, data transmission rate, unique identifier, etc.) of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order to provide a separate controller.

상기 제어기기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화면과 고성능 프로세서가 탑재된 본체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제어기기 자체의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며 이동성에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troller has a screen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main body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processor, and an input device for data input. Therefore, the size of the controller itself is large, expensive, and restricted by mobility. There was a problem.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기기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없게 되며, 무선통신망을 구성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추가 및 삭제가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when there is no such controller,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t is impossible to add and dele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onstitu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경우, 다른 무선통신기기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추가될 무선통신기기들을 위한 무선통신망을 추가로 운영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in order to add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additionally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 be added.

또한, 서로 다른 무선통신망이 동일한 지역에 존재하게 되는 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무선통신기기와 불필요한 통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됨은 물론, 데이터 전송 시 무선통신주파수의 간섭에 따른 데이터의 유실, 통신 속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xist in the same region, unnecessary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 user does not occur may occur, as well as data loss and communication speed due to interference of radio communication frequencies during data transmission.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will occur.

또한, 하나의 무선통신망에서 운영되는 무선통신기기가 사용불가능한 상태가 될 경우, 해당 무선통신기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나의 무선통신망 및 해당 무선통신망에서 운영되는 모든 무선통신기기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in on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comes in an unusable s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eeds to repla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l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perating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통신망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무선통신망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n an external interface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n administrator manag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installed detachably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and easil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control device anytime and anyw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는,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 및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제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로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프로토콜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맥처리부와, 상기 무선맥처리부에서 출력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무선맥처리부로 전송하는 변복조부 및 상기 변복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변복조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data so tha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face control unit for converting and controlling the wireless and converts the data input to the interface controller into a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outputs, and wireless MAC for conver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received by the protocol to the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interface controller A modulator for modulating and outputting wireless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MAC processor, and de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o the wireless MAC processor, and a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and demodulato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 and receive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따라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무선통신망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easily controll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anytime and anywhere using a control device installed to be detachable to an external interface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ase of use is improved, and the merchandise is more improved.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어장치(이하 제어모듈과 혼용함)(200)가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기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됨을 나타낸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to be mixed with the control module 20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ne or more wireless It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외부단자에 연결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주파수대역에 의해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device 2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as to communicate by a frequency band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무선통신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이 탑재되어 있으며,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에 의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program 11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processes a variety of data by the application program (110).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200)와 데이터통신을 하게 되며, 상기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외부통신용 포트를 말한다.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is in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interface 130, the interface 130 for external communica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ay the port.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인터페이스(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인터페이스제어부(210), 무선맥처리부(220), 변복조부(230), 무선송수신부(240)로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200 is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modulation and demodulation The unit 230,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40 is configured.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는 무선통신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130)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전송데이터 포맷에 의한 데이터의 변환과 더불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게 된다.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n the transmission data format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o the conversion of data, the data transmission is controlled.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출력제어부(211), 타이밍제어부(212), 데이터변환부(213), 버퍼(214), 저장부(215)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face controller 210 includes an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a timing controller 212, a data converter 213, a buffer 214, and a storage 215.

상기 입출력제어부(211)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데이터처리시간 및 데이터포맷 등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1 control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checks the data processing time and data form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corresponding thereto. do.

상기 타이밍제어부(21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데이터처리시간 등에 의해 상기 입출력제어부(211)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timing controller 212 control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1 based on the data processing ti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mooth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is to let.

상기 데이터변환부(213)는 상기 입출력제어부(211)를 통해 확인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송데이터 포맷에 따라 상기 입출력제어부(211)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전송데이터 포맷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전송데이터 포맷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송데이터 포맷 선택하여 데이터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data conversion unit 213 is for convert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1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ata form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dentified through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1, one or more transmissions. The data format may be stored and data may be converted by selecting a transmission data form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mong the stored one or more transmission data formats, and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상기 버퍼(214)는 상기 데이터변환부(213)와 무선맥처리부(220)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저장부(215)는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의 고유식별자 및 동작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퍼(214) 및 저장부(215)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buffer 214 is for correcting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the data converter 213 and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the storage unit 215 is a unique identifier and operating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n order to store th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buffer 214 and the storage unit 215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 맥(MAC : MEDIA ACCESS CONTROL) 처리부(22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무선통신간의 데이터 변환을 위한 것이다.The MAC (MEDIA ACCESS CONTROL) processing unit 220 is for data convers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변복조부(230)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에서 이용되는 신호를 변복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무선송수신부(24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30 is for demodulating and demodulating data processed therein and a signal used in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0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선통신기기(300)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전기전자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PC, 전화기, 프린터, 팩스 등 다양한 것을 구성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refers to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kinds of PCs, telephones, printers, faxes, etc.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상기 제어장치(200)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200)의 인터페이스제어부(2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사용되는 전송데이터 포맷을 검색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onnects the control device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ntrol device 200 The interface controller 210 retrieves a transmission data format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즉,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의 입출력제어부(211)가 상기 전송데이터 포맷을 검색한 후, 상기 데이터변환부(213)가 상기 검색된 전송데이터 포맷에 의해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설정하게 된다.That is, after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211 of 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retrieves the transmission data format, the data conversion unit 213 is set to convert the data by the retrieved transmission data format.

상기와 같이 전송데이터 포맷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무선통신기기(300)로 해당 무선통신기기(300)의 고유식별자를 요청하게 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기기(300)로부터 해당 고유식별자가 상기 무선송수신부(240)로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는 상기 변복조부(230)에서 복조된다.When the transmission data format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200 requests a uniqu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to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300 connected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corresponding unique identifier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by the reques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the received radio signal is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230.

상기 변복조부(230)에서 복조된 무선신호는 상기 무선맥처리부(220)에서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신호, 즉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의 고유식별자는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의 저장부(215)에 저장된다.The radio signal demodulated by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230 is converted into a data signal by a wireless protocol in the radio MAC processing unit 220,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converted data signal,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s the interface. 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5 of the control unit 210.

이때,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의 고유식별자와 더불어, 해당 무선통신기기의 동작상태(작동여부, 데이터 전송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nd store data on the operation state (operation status, data transmission rate, etc.)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이후,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데이터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110)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요청신호는 제어장치(200)의 인터페이스제어부(210)로 전송되며,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의 입출력제어부(211)는 전송된 요청신호를 분석한 후, 상기 저장부(215)에 저장된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300)의 동작상태 및 고유식별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by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110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request signal is a control device (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controller 210 of the 200, and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of the interface controller 210 analyzes the transmitted request signal and then stores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3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5. Data of the operation state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송된 데이터를 도 3에 나타난 디스플레이(140)에 출력하며,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140)에 나타난 정보를 확인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the transmitted data to the display 140 shown in FIG. 3, and the user check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1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만약,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하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키(151)와 선택 및 취소 등의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키(152) 및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153)를 포함하여 구성된 키입력부(150)를 통해 원하는 무선통신기기 및 해당 무선통신기기의 동작상태 데이터에 대한 변경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변경데이터는 상기 입출력제어부(211)를 거쳐 상기 전송데이터 포맷에 의해 상기 데이터변환부(213)에서 변환된다.If the user wants to change data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e user can use the direction keys 151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function key 152 for performing commands such as selection and cancellation, and letters and numbers. When the change data for the desir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operation state data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50 including the input key 153 for inputting the change data, the change data is inputt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unit ( The data conversion unit 213 converts the data into the transmission data format via 211.

상기 변환된 데이터는 상기 무선맥처리부(220)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되고, 상기 변복조부(230)에서 무선신호로 변조된 후, 상기 무선송수신부(240)를 통해 무선통신기기(300)로 전송된다.The converted data is converted in accordance with a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after being modulated into a radio signal in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30,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40 Is sent to 300.

상기 무선통신기기(300)는 수신된 변경데이터를 분석하고, 해당 변경데이터에 의해 설정상태를 변경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제어장치(200)의 무선송수신부(24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analyzes the received change data, changes the setting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data,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of the control device 200.

상기 무선송수신부(240)로 수신된 변경결과데이터는 상기 변복조부(230)에서 복조되고, 무선맥처리부(220)에서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변환된 후,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로 전송된다.The change result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40 is demodulated by the modulation / demodulation unit 230, converted by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by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n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controller 210.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의 버퍼(214)로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변환부(213)에서 전송데이터 포맷에 맞도록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는 상기 입출력제어부(211)를 거처 상기 저장부(215)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출력된다.The data received by the buffer 214 of the interface controller 210 is converted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data format by the data converter 213, and the converted data is passed through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to the storage unit ( At the same time as being stored in the 215, 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output through the display 140.

여기서, 상기 타이밍제어부(212)는 상기 입출력제어부(211)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간을 제어하게 된다.Here, the timing controller 212 control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e of data transmitted / receiv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상기 제어장치(200)를 연결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의 작동상태 및 고유식별자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state and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only by connecting the control device 20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ed by the user.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concep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상기 무선통신망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망 및 다수의 무선통신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s detachably installed on an external interface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ytime, anywhere. Easil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따라서 별도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용 제어기기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 및 유지관리의 낭비를 방지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무선통신기기의 작동상태와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cost and maintenance by using a separate local area wireless network controller, and to check and change the operation state and unique identifi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보다 원활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며, 간섭 등의 오류발생요인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ransmitting data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ore smooth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an error factor such as interference can be eliminated in advance.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 very useful design such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to improve the marketabilit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대한 상세블록도.Figur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interface control unit of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used for a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pplication program

120 : 데이터 처리부 130 : 인터페이스120: data processing unit 130: interface

200 : 제어장치 210 : 인터페이스 제어부200: control device 210: interface control unit

211 : 입출력 제어부 212 : 타이밍 제어부211: input and output control unit 212: timing control unit

213 : 데이터 변환부 214 : 버퍼213: data converter 214: buffer

215 : 저장부 220 : 무선맥처리부215: storage unit 220: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30 : 변복조부 240 : 무선송수신부230: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40: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300 : 무선통신기기300: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laims (3)

무선통신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130)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 및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제어부(210)와,The interface controller 21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converts and controls data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ow,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로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프로토콜로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맥처리부(220)와,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converts the data input to 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into a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outputs the data, and conver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received through the protocol into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Wow, 상기 무선맥처리부(230)에서 출력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고, 수신된 무선 통신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무선맥처리부(220)로 전송하는 변복조부(230) 및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230 for 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30,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o transmit to the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상기 변복조부(230)에서 변조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기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변복조부(230)로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The modulated demodulator 230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to the modulator 230. Local area wireless network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는,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211)와,An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상기 입출력제어부(211)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송수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212)와,A timing controller 212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ing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상기 입출력제어부(211)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송데이터 포맷에 따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213) 및A data converter 213 for converting data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input / output controller 211 according to a transmission data form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상기 데이터변환부(213)와 무선맥처리부(220)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정하기 위한 버퍼(2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uffer (214) for correcting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the data conversion unit 213 and wireless MAC processing unit 2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인터페이스제어부(210)는,The interface control unit 210, 상기 무선통신기기(300)의 고유식별자 및 동작상태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망 제어 장치.And a storage unit (215) for storing data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e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KR20-2005-0015849U 2005-06-02 2005-06-02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KR2003912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49U KR200391206Y1 (en) 2005-06-02 2005-06-02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849U KR200391206Y1 (en) 2005-06-02 2005-06-02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113A Division KR20060112554A (en) 2005-04-27 2005-04-27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method and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206Y1 true KR200391206Y1 (en) 2005-07-29

Family

ID=4369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849U KR200391206Y1 (en) 2005-06-02 2005-06-02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20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660B1 (en) A communication adapter and method
US20050113943A1 (en) Wireless network controller communicating with household appliances
JPH08314831A (en) Equipment and method for infrared communication
US20070060151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CN101662530A (en) Mobile phone with Bluetooth function and test method thereof
KR100713647B1 (en) Simultaneousnes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US20050157748A1 (en) Data format conversion device for wire/wireless local-area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portable terminal and wire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070027546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391206Y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KR20060112554A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ntrol method and device which use the mobile phone
KR2007006748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ing and method for image data processing thereof
US20020186164A1 (en) Searching apparatus
KR100724871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phone by use of the bluetooth
KR200188090Y1 (en) Lan connect apparatus for usb port
KR20010110589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and text information using sound wave and apparatus thereof
CN110049367B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transmission video signal and controlling bidirectional touch
KR200100777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ine control using radio frequency
JP4137649B2 (en) Train radio system
US20040253982A1 (en) Dual mode wireless network card for supporting GPR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receiver
KR20040026793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phone to a personal computer using wireless mode
KR100463230B1 (en) LAN adaptor unit for mobile phone
KR100501325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service using wireless VOIP terminal
KR100724379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digital tv
JP2002229761A (en) Information apparatus
KR19990012594A (en) Portable computer with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