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1061Y1 -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 Google Patents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1061Y1
KR200391061Y1 KR20-2005-0013052U KR20050013052U KR200391061Y1 KR 200391061 Y1 KR200391061 Y1 KR 200391061Y1 KR 20050013052 U KR20050013052 U KR 20050013052U KR 200391061 Y1 KR200391061 Y1 KR 200391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wool
silver nano
silver
nano
containing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화
Original Assignee
이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화 filed Critical 이승화
Priority to KR20-2005-0013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1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1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1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3/00Treating materials to adapt them specially as upholstery fil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항균·살균력을 통해 세균감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위생과 건강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기본 재료에 은나노 재료를 혼합·교반 시킨 결과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을 제조 하는 경우에 은(Ag)용액을 목화솜재료에 0.01% ~ 49% 까지 사이의 어느 하나의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의 실시예에 따르면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목화솜 외부 표면에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항균·살균 및 세균감염 방지의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omitted}
본고안은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목화솜을 제조 함으로써 항균·살균등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세균감염을 방지 할수 있도록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에 관한 것이다.
은나노란, 일반적으로 나노미터(Nanometer:1㎚ = 10억분의 1미터) 수준에서 물질과 소자를 다루는 기술인 나노기술(Nanotechnology)과 은(Ag)을 합친 합성어로서, 상기 나노기술에, 은성분을 극 미세입자 크기로 형성하여 접목한 것으로, 상기 극미세 사이즈의 은성분을 증류수와 같은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뜻한다.
이러한 은(Ag)은 나노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보다 향상된 효과를 가져 왔는데, 특히 은이 나노 상태에서는 살균능력이 질적으로 우수하게 변화되며, 극히 적은 크기의 나노 은(Ag)은 매우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은이 물을 만나면 살균 및 항균 효과가 더욱 강해져, 세균과 독성의 번식과 증식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은의 성분은 살균력과 항균력이 강할 뿐아니라, 냄세제거, 전자파 및 자외선차단,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항생물질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목적은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목화솜을 제조 하도록 함으로써 살균력과 항균력을 통해 세균감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위생과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은나노 은(Ag)용액을 목화솜 재료에 0.01% ~ 49% 까지 중량비로 배합하거나, PPM으로 은나노 2PPM ~ 990PPM 범위 사이의 어느 하나의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살균력과 항균력을 향상 시킬수 있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을 제공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통상적인 목화솜에 있어서 해당기본 재료에 은나노 재료를 혼합·교반 시킨 결과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을 제공한다.
이때, 본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목화솜을 제조하는 경우에, 은(Ag)용액을 목화솜재료에 0.01% ~ 49% 까지 중량비로 배합하거나, PPM으로 은나노 2PPM ~ 990PPM 범위 사이의 어느 하나의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통상적인 목화솜에 있어서,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그 외부 표면에 라미네이팅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가 포함된 목화솜을 제공한다.
본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은나노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은(Ag)의 효능은, 은(Ag)은 고대로 부터 몸에 착용하고 있으면 신체의 컨디션에 따라 광택이나 컬러가 변하여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신체의 불균형을 검사할수 있는 도구로 사용 되기도 하였고, 동의보감에서는 간질과 경기등 정신질환과 부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하고 은(Ag)을 분말화 하여 복용하는 한약재로서 역할도 하였고, 은(Ag)은 몸에 지니고 있으면 오장(五臟)이 편안하고 심신(心身)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내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을 길게 한다고 본초강목에서 기록하고 있다.
또한, 중세에 흑사병이 만연 했을때는 은(Ag)식기 나 은(Ag)집기류를 많이 갖고 있었던 귀족이나 왕족들에게는 흑사병이 걸리지 않았는데 이는 은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흑사병 균을 살균 할 정도로 방출되어 전염병으로 부터 상대적으로 안전 할수 있었다고 하며 왕실이나 국빈을 모시는 자리에는 빠짐없이 은제품이 애용되고 있었다고 한다.
은나노는 나노기술(Nano-technology)의 한 분야로 은의 강력한 항균 및 살균 기능, 전자파차단 우수한 전기 전도성의 메커니즘을 이용한 첨단 항 살균제이다. 은나노는 전통적인 항생 물질과는 달리 세균이 내성을 갖지 못 한다는 것이며 은나노는 현재까지의 실험결과 지상의 거의 모든 단세포 병균을 짧은 시간에 살균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현재 분말과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는 은나노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제품군이 수없이 고안되고 실생활에 제품화되어 생산되고 있으며 은나노로 불리는 이기술은 은(Ag)을 나노미터(10억 분의 1m)수준 즉 0.000000001mm로 작게 입자화한 것을 말하며 1그램의 은을 나노화 하면 10경의 입자를 만들수 있다.
그러므로 은(Ag)을 초미립자 형태로 나노화 한 은나노는 은이 가지고 있는 여러 특성중 항균력 탈취역, 식품의 보존시간 연장 등의 뛰어난 효능을 활용해 제작된 신개념이다.
예로부터 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균을 막아줄 뿐 아니라 소독하는 물질로 인정받아 왔으며, 은나노는 각종 염증에도 유용한 치료제로써 화상염,위장염,구강염 등에도 아주 강력한 치료 효과를 발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은나노의 주요 항균 메커니즘은 유해 균의 세포막을 녹여서 세포 내의 효소와 작용하여 영양 물질의 대사기능 즉 영양물질유입 및 배출을 차단하고 유해균의 호흡기능과 생성을 막아 유해 균의 생육정지 및 재생 능력을 파괴하여 유해 균을 사멸한다.
또한, 은나노는 미립자로부터 지속적으로 항균력을 방출시켜 유해 균을 제어 하므로 항균·제균 기능의 지속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은나노에는 내성이 생기지 않고 은나노는 표면 반응을 하여야 효과가 있으며 모든 균을 99% 다 죽일수 있으며, 특히 일반 대장균이나 식중독 균등에 효과가 있다.
즉 표면적이 넓을수록 다시 말하면 나노 입자가 작을수록 살균 및 항균력이 우수하며 지금까지 실험한 자료들을 검토하여 볼때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 비브리오 균, 이질균, 폐렴균, 장티푸스균 및 내성이 가장 강한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까지 99.9% 항균 및 살균 할수 있다.
은나노는 일반 화학 항균제나 염소제 살균제와는 다르게 순수한 은(SILVER)의 초미립자이므로, 고온에서도 탁월한 항균, 제균력(99.9%)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에 무독성, 무자극성이며 세균이나 대장균 바이러스 곰팡이 균은 은나노와 5분 이상 접촉하여 살수 없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은나노의 다양한 특징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목화솜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목화솜을 형상화한 분해도.
도2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목화솜의 제조과정1(40)과 제조과정2(5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3은 도2의 제조과정1에 의해 제조된 본고안이 적용된 목화솜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2의 제조과정2에 의해 제조된 본고안이 적용된 목화솜의 단면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1을 참조하면,
소정 형상을 갖는 몸체(60)와 상기 몸체(60) 일측 끝부분(70)은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화솜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목화솜의 원료가 되는 천연/인조섬유 재료와 은나노 재료를 공급하여 혼합 및 교반하고, 그결과물을 건조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은나노 재료는 은(Ag) 용액을 목화솜 재료에 0.01% ~ 49% 까지 중량비로 배합 하거나, PPM으로 은나노 2PPM ~ 990PPM 범위 사이의 어느 하나의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에 의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화솜 재료층(10)에 은나노재료(20)가 포함되게 된다.
그후에는,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목화솜이 완성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화솜 재료층(10)의 외부 표면에 은나노재료층(30)이 형성 되도록 할수 있다.
이경우에는 먼저 목화솜 재료층(10)을 형성한 후, 다시 은나노재료에 상기 결과물을 담가서 은나노재료층(30)을 형성 시키게 된다.
이상의 본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 되는 본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항균·살균력 등을 통해 세균감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위생과 건강을 도모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목화솜을 형상화한 분해도.
도2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목화솜의 제조과정1과 제조과정2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도2의 제조과정1에 의해 제조된 본고안이 적용된 목화솜의 단면도.
도4는 도2의 제조과정2에 의해 제조된 본고안이 적용된 목화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화솜 재료층 20 : 은나노재료
30 : 은나노재료층 40 : 제조과정1
50 : 제조과정2 60 : 몸체
70 : 끝부분

Claims (3)

  1. 통상적인 목화솜에 있어서,
    해당 기본 재료에 은나노재료를 혼합·교반시킨 결과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2. 제1항에 있어서,
    목화솜을 제조하는 경우에, 은(Ag)용액을 목화솜 재료에 0.01% ~ 49% 까지 중량비로 배합하거나, PPM으로 은나노 2PPM ~ 990PPM 범위 사이의 어느 하나의 일정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3. 통상적인 목화솜에 있어서,
    은나노가 함유된 재료를 이용하여 그 외부 표면에 라미네이팅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KR20-2005-0013052U 2005-05-07 2005-05-07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KR200391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52U KR200391061Y1 (ko) 2005-05-07 2005-05-07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52U KR200391061Y1 (ko) 2005-05-07 2005-05-07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1061Y1 true KR200391061Y1 (ko) 2005-08-01

Family

ID=4369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052U KR200391061Y1 (ko) 2005-05-07 2005-05-07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10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jeshkumar et al.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from neem leaf (Azadirachta indica) extract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y
KR200388593Y1 (ko) 은나노 위생고무장갑
KR200390465Y1 (ko) 은나노 위생 선풍기보호망
KR200391061Y1 (ko) 은나노가 함유된 목화솜
KR200391467Y1 (ko) 나노실버가 함유된 크리스털 유리
KR200391059Y1 (ko) 은나노가 함유된 나일론솜
KR200388312Y1 (ko) 은나노코팅스팃커
KR200388203Y1 (ko) 은나노 텐트
KR200390226Y1 (ko) 은나노 런닝셔츠
KR200389449Y1 (ko) 은나노 위생 방충망
KR20040096930A (ko) 나노 실버가 함유된 고무장갑
KR200390231Y1 (ko) 은나노 팬티스타킹
KR200391561Y1 (ko) 은나노 반버선
KR200392510Y1 (ko) 은나노 풍선껌
KR20060083796A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손발 톱 깍기
KR200392875Y1 (ko) 은나노 마우스
KR200390227Y1 (ko) 은나노 와이셔츠
KR200392509Y1 (ko) 은나노 일반껌.
KR20050029181A (ko) 나노실버가 함유된 필기구
KR200388098Y1 (ko) 은나노 손목밴드
KR20040096913A (ko) 나노 실버가 함유된 주사기
KR200397061Y1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손발 톱 깍기
KR200378759Y1 (ko) 나노 실버가 함유된 화분
KR200380786Y1 (ko) 나노실버와 향이 함유된 필기구
KR200375390Y1 (ko) 나노실버거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