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882Y1 -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882Y1
KR200390882Y1 KR20-2005-0008172U KR20050008172U KR200390882Y1 KR 200390882 Y1 KR200390882 Y1 KR 200390882Y1 KR 20050008172 U KR20050008172 U KR 20050008172U KR 200390882 Y1 KR200390882 Y1 KR 200390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ement
steel
fasten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석
Original Assignee
홍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석 filed Critical 홍현석
Priority to KR20-2005-0008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조적식 옹벽블록 시공에 있어서 변형이 큰 토목섬유 보강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강성이 크고 신율이 작은 강봉보강재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시킨 블록과 강봉보강재를 중공부에서 고정 시킬수 있도록 연결방법을 고안하였다. 또한 연결부위의 결속력을 증대 시키기 위해 블록에 연결된 강봉보강재의 끝에 고무판, 지압판, 스프링와샤, 정착구를 이용하여 정착한 후 무수축몰탈을 채움으로써 보강재와 블록간의 일체화를 마무리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omitted}
본 고안은 강봉보강재와 블록의 체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재가 블록의 중심을 통과하여 보강재 인장시 인장력의 편심을 제거할수 있으며 보강재의 체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설치되어 외관상 미적효과가 뛰어난 방법이다.
종래의 강봉보강재와 블럭의 체결방법이 도 5 및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5는 강봉보강재를 ㄱ 자로 꺾어 위에 올려놓는 방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강봉보강재를 블록의 중앙부를 관통 시켜서 전면에 노출되어 체결시키는 방법의 사시도 이다.
도 5의 경우 ㄱ 자로 꺾어 위에 올려놓는 방법은 큰 힘으로 보강재를 인장시 강봉 보강재가 뽑히거나 펴질 가능성이 있고, 인장력이 블록 상부분에 작용하므로 블록에 편심 모멘트가 발생된다.
도 6의 경우 블록의 중앙부를 관통 시킨 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비용이 과다하고, 보강재와 블록의 연결부가 전면에 노출되어 미관상 불리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의 일체화에 있어서 외관상 아름답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보강재 인장시 좀더 큰 인장력에 견딜수 있는 강봉보강재(104)와 블록(106)의 연결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당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와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봉보강재(104)를 거치시킬수 있는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 지압판(102), 고무판(103), 스프링와샤(101), 정착구(100)로 구성되어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의 체결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의 체결부(107)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6)에 체결부(107)를 거치시킨 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6)에 체결부(107)를 거치시킨후 무수축몰탈처리(10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ㄱ 자 강봉보강재(104)를 블록(106)위에 형성된 홈에 올려 놓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강봉보강재(104)를 블록(106)의 중앙부를 관통 시켜서 전면에서 체결시키는 방법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의 체결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도2, 도3, 도4,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강봉보강재(104)에 고무판(103), 지압판(102), 스프링와샤(101), 정착구(100)를 차례대로 끼워 일체화 시킨다.
일체화한 부분을 체결부(107)라 하며, 체결부(107)를 블록(106)위의 홈에 끼워 넣고, 끼워넣은 곳의 빈공간에 무수축몰탈(108)로 채워 마무리된다.
본 고안의 각 구성별 특징과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재질이 금속인 지압판(102)설치로 인하여 강봉보강재(104)의 인장시 인장력을 분포하중으로 블록(106)에 전달시킨다.
고무판(103)의 설치로 강봉보강재(104) 인장시 어느정도 유동성을 확보하였다.
스프링와샤(101) 설치로인하여 정착구(100)의 자연풀림을 방지하였다.
강봉보강재(104)를 잡아주는 재질이 금속인 정착구(100)설치로 인하여 강봉보강재(104) 인장시 강봉보강재(104)와 지압판(102)을 고정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블록(106)과 강봉보강재(104) 체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봉보강재(104) 설치위치가 블록(106)의 중심이므로 보강재 인장시 블록(106)에 편심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체결부(107)가 블록(106)의 내부에 있으므로 시공후 체결부(10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아름답다.
마지막으로 블록(106)의 체결부(107) 거치부분에 무수축몰탈(108)로 봉인처리함으로써 시공후 체결부(107)의 부식을 방지할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블록과 강봉보강재 체결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봉보강재의 인장력이 블록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므로 블록의 회전모멘트가 걸리지 않아 좀더 큰 인장력에 버틸수 있다.
둘째, 체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블록설치시 외관이 아름답다.
셋째, 체결부가 무수축몰탈로 봉인처리되므로 시공후 체결부의 부식을 방지할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과 강봉보강재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과 강봉보강재의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에 체결부를 거치시킨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에 체결부를 거치시킨후, 무수축 몰탈처리 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ㄱ 자 강봉보강재를 블록에 끼워 연결시키는 방법의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강봉보강재를 블록의 중앙부를 관통 시켜서 전면에서 체결시키는 방법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정착구
101 : 스프링와샤
102 : 지압판
103 : 고무판
104 : 강봉보강재
105 : 중공부
106 : 블록
107 : 체결부
108 : 무수축 몰탈처리부

Claims (2)

  1. 본원 조적식 옹벽블록과 강봉보강재의 결합에 있어서 강봉보강재의 선단에 정착구, 스프링와셔, 지압판, 고무판을 순서대로 결합시킨 체결부를 옹벽블록 중공부에 거치후 중공부를 무수축몰탈로 채워 강봉보강재를 블록 중공부에 정착시키는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강봉보강재가 중공식 옹벽블록의 중심인 중공부에 고정되어 토압에 의한 인장력 작용 시 편심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 중공식 블록과 강봉보강재의 결합구조
KR20-2005-0008172U 2005-03-25 2005-03-25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KR200390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72U KR200390882Y1 (ko) 2005-03-25 2005-03-25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72U KR200390882Y1 (ko) 2005-03-25 2005-03-25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882Y1 true KR200390882Y1 (ko) 2005-07-27

Family

ID=4369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172U KR200390882Y1 (ko) 2005-03-25 2005-03-25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8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40B1 (ko) * 2014-06-25 2015-02-24 주식회사 동명건설엔지니어링 대형블록을 이용한 성ㆍ절토부 보강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0588B1 (ko) * 2019-05-14 2020-02-24 김정주 보강토 옹벽 구조
KR102093234B1 (ko) * 2019-07-31 2020-03-25 김정주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40B1 (ko) * 2014-06-25 2015-02-24 주식회사 동명건설엔지니어링 대형블록을 이용한 성ㆍ절토부 보강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0588B1 (ko) * 2019-05-14 2020-02-24 김정주 보강토 옹벽 구조
KR102093234B1 (ko) * 2019-07-31 2020-03-25 김정주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882Y1 (ko) 강봉보강재의 연결방법
US7669333B2 (en) Method for providing attachments between a concrete part to a further part
DE602007010803D1 (de) Befestigungswerkzeug für bewehrungsstab
KR200394338Y1 (ko) 건축용 석판재 고정장치
CN211143430U (zh) 一种外挂墙板连接结构
CN106869384A (zh) 一种无角码连接的幕墙系统
KR100763033B1 (ko) 프리스트레싱 쏘일 네일링 구조
KR100763032B1 (ko) 프리스트레싱 쏘일 네일링 구조
KR200389328Y1 (ko) 조적식 옹벽블록
KR200420358Y1 (ko) 프리스트레싱 쏘일 네일링 구조
KR20090092929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핀
KR200415159Y1 (ko) 프리스트레싱 쏘일 네일링 구조
PL1473430T3 (pl) Czop zawiasu
CN206396769U (zh) 一种埋设于混凝土中的复合土工膜的固定装置
DE50012517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wehrungsanschlusses zwischen einem bewehrten Betonbauteil und einem Anschlussbauteil
CN216739608U (zh) 一种应对支护区变形进行协调的支护锚杆
CN215054833U (zh) 一种带软体连接的水泥基复合超高性能人造石板材
CN211341772U (zh) 一种建筑施工用钢筋支模架的碗扣连接结构
KR101529887B1 (ko) 횡측면 고정 보강재와 매립 긴장재를 이용한 교각 코핑의 확장구조 및 확장시공방법
CN106088919A (zh) 一种可减少安装误差的门窗附框及其安装方法
KR100941100B1 (ko) 힌지 고정용 너트 및 힌지 고정기구
JP2002088754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頭部定着構造
KR200189602Y1 (ko)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지지체
JP3649609B2 (ja) 耐震スリット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910008559Y1 (ko) 합성수지제 나선 보강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