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95Y1 -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195Y1
KR200390195Y1 KR20-2005-0012250U KR20050012250U KR200390195Y1 KR 200390195 Y1 KR200390195 Y1 KR 200390195Y1 KR 20050012250 U KR20050012250 U KR 20050012250U KR 200390195 Y1 KR200390195 Y1 KR 200390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height
wire
fixing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수
Original Assignee
한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문수 filed Critical 한문수
Priority to KR20-2005-0012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천장과 등기구에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고정부를 구비하고, 등기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상하로 구비함으로써 천장의 텍스 상하부에서 등기구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등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등기구 고정시 사용되던 볼트의 체결 및 해체가 불필요하여 체결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등기구의 양측에 다수개의 등기구 보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등기구가 천장에 완벽하게 고정되어 지진 등의 큰 충격이 있더라도 등기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앵커볼트와 나사결합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천공된 와이어연결공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볼트로 이루어진 상부고정부와; 상기 등기구에 안착되며 중앙이 관통된 하부고정볼트와, 상기 하부고정볼트를 등기구에 고정시키는 등기구너트로 이루어진 하부고정부와; 상측이 상기 상부고정볼트에 수용되어 상기 등기구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부높이조절부와; 하측이 상기 하부고정부에 수용되어 등기구를 상하부로 이송시키는 하부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A light support device controled height for two line}
본 고안은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천장과 등기구가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고정부를 구비하고, 등기구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상하로 구비함으로써 천장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도 등기구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등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등기구 고정시 사용되던 볼트의 체결 및 해체가 불필요하여 체결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등기구의 양측에 다수개의 등기구 보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등기구가 천장에 완벽하게 고정되어 지진 등의 큰 충격이 있더라도 등기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를 천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천장에 배설된 전선콘센트에 등기구를 연결시키고, 천장의 내장공사하부에 설치된 텍스에 등기구를 고정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등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종래의 등기구 고정장치는 건물의 천장(101)에 배설된 전선과 등기구(102)를 연결시키고, 상기 천장(101)의 하부에 설치된 텍스(103)와 등기구 커버(104)를 볼트 등으로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등기구 고정장치는 텍스(103)에 등기구(102)가 고정되어 천장에 배설된 전선에만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내장공사를 실시하거나 지진 등으로 텍스(102)가 파손될 경우에 등기구(102)가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천장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고 앵커볼트와 등기구를 지지하는 봉형상의 지지봉을 연결하여 등기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등기구를 설치하거나 유지보수를 실시할 경우에 작업자가 등기구를 지지하면서 볼트를 해체 및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등기구 고정장치는 등기구가 텍스의 일측에서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교회와 같이 천정이 높은 곳이나 일반 건물과 같이 천정이 낮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에서 등기구를 고정시키는 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장과 등기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등기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상하로 구비하여 천정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도 등기구를 상하로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등기구의 양측에 다수개의 보강장치를 구비하여 등기구를 천장에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는 일측이 건축물의 천장 앵커볼트에 고정되며, 타측이 등기구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와이어로 연결된 등기구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와 나사결합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천공된 와이어연결공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볼트로 이루어진 상부고정부와; 상기 등기구에 안착되며 중앙이 관통된 하부고정볼트와, 상기 하부고정볼트를 등기구에 고정시키는 등기구너트로 이루어진 하부고정부와; 상측이 상기 상부고정볼트에 수용되어 상기 등기구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부높이조절부와; 하측이 상기 하부고정부에 수용되어 등기구를 상하부로 이송시키는 하부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기구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하부고정볼트가 밀착되는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의 하측에는 하부고정볼트가 브래킷에 고정되도록 브래킷너트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높이조절부는 중앙에 와이어가 삽입되며 상측으로 확관되어 내측에 다수개의 천공된 상부이송부와, 상기 상부이송부의 천공부에 수용되어 와이어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상부이송볼과, 상기 상부이송부를 감싸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이송부의 하측에서 상부고정볼트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이송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부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높이조절부는 중앙에 와이어가 삽입되며 하측으로 확관되어 내측에 다수개의 천공된 하부이송부와, 상기 하부이송부의 천공부에 수용되어 와이어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하부이송볼과, 상기 하부이송부를 감싸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이송부의 하측에서 하부고정볼트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이송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부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와이어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와이어고정구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는 와이어가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등기구와 텍스의 사이에는 천정에 볼트로 고정된 "T" 형상의 티바가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요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등기구의 양측에 각 2개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이 천장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5b는 텍스의 상측에 등기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6a는 텍스의 하측에 등기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6b는 텍스의 하측에 등기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7은 경사진 천장에 등기구가 텍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는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와 나사결합되며 내측에 와이어(10)의 일측이 고정되는 상부고정구(20)와, 상기 등기구(2)를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30)와, 상측이 상기 상부고정부(20)에 수용되어 상기 등기구(2)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상부높이조절부(40)와, 하측이 상기 하부고정부(30)에 수용되어 상기 등기구(2)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하부높이조절부(50)와, 상기 등기구(1)의 상면 양측에 밀착되는 브래킷(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0)는 앵커볼트(1)와 등기구(2)가 연결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10)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2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와이어고정구(1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는 와이어(10)가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손잡이(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20)는 앵커볼트(1)와 나사결합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천공되어 와이어(10)가 연결되는 와이어연결공(21)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볼트(22)로 형성되며, 상기 등기구(2)에 안착되며 중앙이 관통된 하부고정볼트(31)와, 상기 하부고정볼트(31)를 등기구(2)에 고정시키는 등기구너트(32)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높이조절부(40)는 내측에 와이어(10)가 삽입되며 상측으로 확관되어 내측에 3개 천공된 상부이송부(41)와, 상기 상부이송부(41)의 천공부에 수용되어 와이어(10)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3개의 상부이송볼(42)과, 상기 상부이송부(41)를 감싸는 상부하우징(43)과, 상기 상부이송부(41)의 하측에서 상부고정볼트(22)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이송부(4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부스프링(44)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높이조절부(50)는 중앙에 와이어(10)가 삽입되며 하측으로 확관되어 내측에 다수개의 천공된 하부이송부(51)와, 상기 하부이송부(51)의 천공부에 수용되어 와이어(10)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하부이송볼(52)과, 상기 하부이송부(51)를 감싸는 하부하우징(53)과, 상기 하부이송부(51)의 하측에서 상기 하부고정볼트(31)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이송부(5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부스프링(54)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기구(2)와 텍스(4)의 사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3)에 볼트로 고정되어 상기 등기구(2)와 텍스(4)가 보강되는 "T" 형상의 티바(6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는 건축물의 천장(3)에 2개의 앵커볼트(1)가 고정되며, 상기 앵커볼트(1)와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부(20)는 상기 와이어(10)의 상측이 고정되어 등기구(2)와 연결되고, 상기 등기구(2)의 내측에는 하부고정부(30)가 고정되며, 상측이 상기 상부고정부(20)에 수용되는 상부높이조절부(40)는 텍스(4)의 상측에서 상기 등기구(2)를 상하로 이송시키며, 하측이 상기 하부고정부(30)에 수용되는 하부높이조절부(50)는 텍스 하측에서 상기 등기구(2)를 상하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등기구(1)의 상면 양측에는 브래킷(60)이 연결되어 하부고정부(30)를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0)의 상단에는 와이어고정구(11)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부(20)에서 와이어(10)가 이탈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며,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되어 와이어(10)를 직선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0)가 하부고정부(30) 및 하부높이조절부(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20)는 상측 내주연에 나사가 형성되어 앵커볼트(1)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상부고정부(20)의 내측에는 상기 와이어고정구(11)가 수용되어 와이어(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부(30)는 상기 등기구(2)의 상측에 중앙이 관통된 하부고정볼트(31)가 안착되며, 등기구(2)의 하측에는 등기구너트(32)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고정볼트(31)를 등기구(2)에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브래킷(60)의 하측에는 브래킷너트(33)가 구비되어 하부고정볼트(31)를 브래킷(6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보강장치를 텍스 상면에서 천장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3)에 2개의 앵커볼트(1)를 고정시키고, 상기 앵커볼트(1)에 와이어(10)의 일측이 고정된 상부고정부(20)를 나사결합시킨 후 등기구(2)의 양측에 하부고정부(30)를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상부고정부(20)의 하측에 와이어(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부높이조절부(40)가 연결됨으로써 텍스(4)의 상측에서 와이어(1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등기구 고정시 사용되던 볼트의 체결 및 해체가 불필요하여 등기구(2)를 상하로 편리하게 이송시켜 텍스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등기구(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텍스(4)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상부높이조절부(40)의 일측에 돌출된 와이어(10)를 인출하면 상부이송부(41)의 천공부에 삽입된 상부이송볼(42)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와이어(10)가 해제됨으로써 등기구(2)를 이동시켜 텍스(4)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부이송볼(42)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와이어(10)를 고정시킴으로써 등기구(2)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등기구(2)를 텍스(4)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보강장치를 텍스의 하측에서 등기구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부(30)의 상측에 와이어(10)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부높이조절부(50)가 연결되어 텍스(4)의 하측에서 등기구(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등기구(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텍스(4)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텍스(4)의 하측에서 등기구(2)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하부이송부(51)의 천공부에 삽입된 하부이송볼(52)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와이어(10)가 해제됨으로써 등기구(2)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텍스(4)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등기구(2)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이송볼(52)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와이어(10)를 고정시킴으로써 등기구(2)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등기구(2)를 텍스(4)에 완벽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고정부(20)의 하측에는 텍스(4)의 상측에서 와이어(10)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부높이조절부(40)를 연결시키고, 상기 하부고정부(30)의 상측에는 텍스(4)의 하측에서 와이어(10)의 높이가 조절되는 하부높이조절부(50)가 연결됨으로써 교회와 같이 천장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도 등기구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등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등기구 고정시 사용되던 볼트의 체결 및 해체가 불필요하여 등기구(2)를 상하로 편리하게 이송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보강장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기구(2)의 양측에 각 2개씩 설치함으로써 등기구(2)가 천장(3)에 완벽하게 고정되어 지진 등의 큰 충격이 있더라도 등기구(2)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3)이 심하게 경사진 곳일지라도 등기구(2)의 일측을 상부로 이동시켜 와이어(10)의 길이를 조절하여 등기구(2)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등기구(2)와 텍스(4)의 사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3)에 볼트로 고정되는 "T" 형상의 티바(70)가 2개 구비됨으로써 상기 등기구(2)와 텍스(4)를 천정(3)에 완벽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는 건물 천장에 고정된 앵커볼트와 텍스에 안착되는 등기구에 상부 및 하부고정부를 구비하고, 와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상하로 구비함으로써 천장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도 등기구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등기구를 텍스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에 등기구 고정시 사용되던 볼트의 체결 및 해체가 불필요하여 등기구를 상하로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기구의 양측에 다수개의 등기구 보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등기구가 천장에 완벽하게 고정되어 지진 등의 큰 충격이 있더라도 등기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기구 고정장치를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요도,
도 3은 도 2의 일부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등기구의 양측에 각 2개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이 천장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5b는 텍스의 상측에서 등기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6a는 텍스의 하측에서 등기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6b는 텍스의 하측에 등기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7은 경사진 천장에 등기구가 텍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커볼트 2 : 등기구 3 : 천장
4 : 텍스 10 : 와이어 11 : 와이어고정구
12 : 손잡이 20 : 상부고정부 21 : 와이어연결공
22 : 상부고정볼트 30 : 하부고정부 31 : 하부고정볼트
32 : 등기구너트 33 : 브래킷너트 40 : 상부높이조절부
41 : 상부이송부 42 : 상부이송볼 43 : 상부하우징
44 : 상부스프링 50 :하부높이조절부 51 : 하부이송부
52 : 하부이송볼 53 : 하부하우징 54 : 하부스프링
60 : 브래킷 70 : 티바

Claims (6)

  1. 일측이 건축물의 천장 앵커볼트에 고정되며, 타측이 등기구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와이어(10)로 연결된 등기구 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와 나사결합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천공된 와이어연결공(21)이 형성되고,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고정볼트(22)로 이루어진 상부고정부(20)와;
    상기 등기구(2)에 안착되며 중앙이 관통된 하부고정볼트(31)와, 상기 하부고정볼트(31)를 등기구(2)에 고정시키는 등기구너트(32)로 이루어진 하부고정부(30)와;
    상측이 상기 상부고정볼트(22)에 수용되어 상기 등기구(2)를 상부로 이송시키는 상부높이조절부(40)와;
    하측이 상기 하부고정부(30)에 수용되어 상기 등기구(2)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하부높이조절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1)의 상면 양측에는 상기 하부고정볼트(31)가 밀착되는 브래킷(60)이 구비되며, 상기 브래킷(60)의 하측에는 하부고정볼트(31)가 브래킷(60)에 고정되도록 브래킷너트(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높이조절부(40)는 중앙에 와이어(10)가 삽입되며 상측으로 확관되어 내측에 다수개의 천공된 상부이송부(41)와, 상기 상부이송부(41)의 천공부에 수용되어 와이어(10)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상부이송볼(42)과, 상기 상부이송부(41)를 감싸는 상부하우징(43)과, 상기 상부이송부(41)의 하측에서 상부고정볼트(22)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이송부(4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부스프링(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높이조절부(50)는 중앙에 와이어(10)가 삽입되며 하측으로 확관되어 내측에 다수개의 천공된 하부이송부(51)와, 상기 하부이송부(51)의 천공부에 수용되어 와이어(10)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하부이송볼(52)과, 상기 하부이송부(51)를 감싸는 하부하우징(53)과, 상기 하부이송부(51)의 하측에서 하부고정볼트(31)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이송부(5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하부스프링(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부(2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와이어고정구(1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10)의 하단에는 와이어(10)가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손잡이(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2)와 텍스(4)의 사이에는 천정(3)에 볼트로 고정된 "T" 형상의 티바(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KR20-2005-0012250U 2005-05-02 2005-05-02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KR200390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50U KR200390195Y1 (ko) 2005-05-02 2005-05-02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250U KR200390195Y1 (ko) 2005-05-02 2005-05-02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195Y1 true KR200390195Y1 (ko) 2005-07-20

Family

ID=4369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250U KR200390195Y1 (ko) 2005-05-02 2005-05-02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1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269B1 (ko) * 2015-04-24 2016-07-29 주식회사 까사룩스 조명등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269B1 (ko) * 2015-04-24 2016-07-29 주식회사 까사룩스 조명등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382B2 (en) Luminaire rotating frame clamping assembly
KR100728793B1 (ko)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천정패널 고정행거
US6979108B1 (en) Multi-use adaptor kit/system for recessed can fixtures
WO2006023045A3 (en) Fixture and mounting assembly for a fence post
US7410140B2 (en) Industrial hanger
KR20140035100A (ko) 빔 클램프
KR101339301B1 (ko) 직간접 결합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200390194Y1 (ko) 일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US11608969B2 (en) Luminaire structures
KR200390195Y1 (ko) 양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등기구 보강장치
KR101282647B1 (ko) 집게형 고정 클램프
US7287883B1 (en) Yielding hanger for stem mounting fluorescent highbays
US6417449B1 (en) Modular holder for conduit and junction boxes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100717424B1 (ko) 건축천장 전기설비 배관 높이조절장치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2203309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KR100435300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구조
JP2006228552A (ja) 照明装置用芯ずれ調整具、ダウンライト形照明装置及び昇降装置付きダウンライト形照明装置
KR100704434B1 (ko) 등기구 승강장치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KR200233192Y1 (ko) Lcd 프로젝터 고정유니트
KR200450428Y1 (ko) 설치각이 가변되는 배관지지용 행거
DK3021440T3 (en) CONNECTOR FOR ELECTRICAL DEVICE
KR101834537B1 (ko) 조명등용 천장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