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180Y1 - Housing - Google Patents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180Y1
KR200390180Y1 KR20-2005-0011647U KR20050011647U KR200390180Y1 KR 200390180 Y1 KR200390180 Y1 KR 200390180Y1 KR 20050011647 U KR20050011647 U KR 20050011647U KR 200390180 Y1 KR200390180 Y1 KR 200390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rew
screw coupling
present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6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상만
임윤석
Original Assignee
대영엘엠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엘엠티(주) filed Critical 대영엘엠티(주)
Priority to KR20-2005-0011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1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180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6Steadies;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밑바닥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벽부를 포함하여, 'ㄷ'자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부는,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센서홈을 구비하며, 상기 밑바닥부는, 그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복수 개의 제1나사결합공, 및 그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일정한 복수 개의 제2나사결합공을 구비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을 외부 구조물에 고정할 때, 상기 밑바닥부로부터 상기 구조물 쪽으로 나사를 박음질을 하면, 상기 나사의 머리부가 상기 제1나사결합공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한 후, 하우징에서부터 구조물 쪽으로 나사이음 할 수도 있으며, 구조물에서부터 하우징 쪽으로 나사이음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housing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 including a vertical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number The straight wall portion has a sensor groove which is excavated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its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portion has a plurality of first screw coupling holes whose diameters ar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second screw coupling holes having a constant diameter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provided. Whe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outer structure using a screw, the screw is screwed from the bottom to the structure. To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head screw hole of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using, after the housing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can be screwed from the housing to the structure and screwed from the structure to the housing, so that the fixing to the structure is easy and the installation time can be reduced. It has an effect.

Description

하우징 { Housing }Housing {Housing}

본 고안은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용로봇의 본체로 사용되며, 고정 구조물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that can be conveniently fixed to a fixed structure, which is used as a main body of an industrial robot.

일반적으로 산업용로봇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을 반복하며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주로 물체를 적재하여 그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종래의 산업용로봇은 그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 스크류 등의 이송부와 센서부 등의 다양한 부품을 내장하고, 그 상부에 상부커버를 덮어 그 내부를 보호한다. In general, the industrial robot performs the same operation by repeating movement within a certain range, and mainly loads an object and moves its position. In the conventional industrial robot, a transfer part and a sensor part such as a motor and a screw are located inside the housing. Built-in various parts, such as to cover the upper cover to protect the inside.

그리고, 종래의 산업용 산업용로봇의 하우징은 상기 산업용로봇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conventional industrial industrial robot is usually firmly fixed to the structure supporting the industrial robot.

이렇게 상기 하우징과 외부의 구조물을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산업용로봇을 구조물 위에 설치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밑바닥에 까지 구멍을 뚫고, 그 후 구조물에서부터 상기 하우징 쪽으로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박아 넣음으로써 산업용로봇을 구조물 위에 견고히 고정시킨다.In order to couple the housing and the external structure like this, after installing the industrial robot on the structure, a hole is drilled from the bottom of the structure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using a drill, and then in the hole formed from the structure toward the housing. The screw is screwed in to secure the industrial robot on the structur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방법에 의하면, 반드시 나사를 구조물에서부터 하우징 쪽으로 나사이음을 하여야 하는 바, 구조물에 드릴작업을 통하여 구멍을 내어야만 했다. 이 경우, 만일 구조물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라면, 두꺼운 구조물을 관통하는 긴 구멍을 뚫어야 했기에 드릴작업을 위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fixing method, the screw must be screwed from the structure toward the housing, and a hole must be drilled in the structure. In this case, if the thickness of the structure is thick,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drilling work because it had to drill a long hole penetrating the thick structure.

또한, 구조물은 통상 작업장에 견고히 설치되어 있고 산업용로봇은 상기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있는 바, 만일 산업용로봇을 구조물에 나사이음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조물의 밑면 또는 후면에서부터 산업용로봇의 하우징의 밑바닥으로 형성된 구멍에 나사를 박아넣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usually firmly installed in the workplace and the industrial robot is installed on the structure bar, if the screw is screw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housing of the industrial robot from the bottom or rear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screw the industrial robot to the structure Should be embedded.

그러나 이러한 경우 구조물의 밑면 또는 후면은 작업자가 나사이음 작업을 하기에는 그 공간이 부족한 바,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 나사이음 공구 만을 상기 구조물의 밑면 또는 후면에 넣어 감각에 의존하여 나사이음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으므로, 그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많은 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is case, the bottom or the back of the structure is not enough space for the operator to screw the work, so the screw joint work depending on the sense by putting only the screw tool on the bottom or back of the structure without the operator directly seeing Since there was no choice but to work, it took a lot of time and a lot of effort.

특히, 구조물의 두꺼운 판이고, 게다가 상기 구조물의 밑면 또는 후면 쪽에 나사이음을 하기위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구조물을 이동시켜야만 나사이음 작업을 위한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산업용로봇을 구조물 상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hick plate of the structure and, in addition, if there is insufficient space for screwing on the bottom or rear side of the structure, the industrial robot may not be placed on the structure because the space for the screwing operation may be created only when the structure is moved. There was a problem that required much effort and time to fix.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을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한 후, 하우징에서부터 구조물 쪽으로 나사이음 할 수도 있으며, 구조물에서부터 하우징 쪽으로 나사이음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attach the housing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nd then screw it from the housing to the structure, or by screwing from the structure to the hous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that can be easily fixed to a structure and can reduce installation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밑바닥부와, 상기 밑바닥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벽부를 포함하여, 'ㄷ'자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부는,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센서홈을 구비하며, 상기 밑바닥부는, 그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복수 개의 제1나사결합공, 및 그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일정한 복수 개의 제2나사결합공을 구비하여,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을 외부 구조물에 고정할 때, 상기 밑바닥부로부터 상기 구조물 쪽으로 나사를 박음질을 하면, 상기 나사의 머리부가 상기 제1나사결합공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housing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c',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vertical wall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The vertical wall portion has a sensor groove which is excavated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its outer surface, and the bottom portion has a plurality of first screw coupling holes whose diameters are gradually narrowed from its upper surface to its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econd screw coupling holes having a constant diameter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whe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outer structure by using screws, The head of the screw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ous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를, 도 3 은 도 2 의 A-A 선의 단면도를, 도 4 는 도 2 의 B-B 선의 단면도를, 도 5 내지 도 12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를, 도 13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가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1 to 13 show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line of FIG. 2, FIGS. 5 to 12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evice shown in FIG. Each figure showing the combined state is shown.

상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수직벽부(10)와 밑바닥부(2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o FIG. 4,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wall portion 10 and a bottom portion 20.

상기 밑바닥부(2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나사결합공(21)과, 제2나사결합공(22)을 구비한다.The bottom portion 2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 and 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 are provided.

상기 제1나사결합공(21)은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밑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밑바닥부(20)의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부수용홈(21a)과 나사몸통체결부(21b)를 구비한다.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 is formed of a plurality, the diameter is narrowed step by step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 in this embodiment, the head receiving groove (21a) And a screw body fastening portion 21b.

상기 머리부수용홈(21a)은 상기 제1나사결합공(21)에서 직경이 크고 상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몸통체결부(21b)는 상기 하우징(100)을 상기 외부 구조물(1)에 결합시키는 나사(2)의 나사산과 체결된다.The head accommodating groove 21 a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 and is formed upward, and the screw body fastening portion 21 b connects the housing 100 to the external structure 1. It is fastened with the thread of the screw 2 to be engaged.

상기 제2나사결합공(22)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밑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밑바닥부의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screw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plural, and the diameter is uniformly form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상기 수직벽부(10)는 상기 밑바닥부(20)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홈(11)을 구비한다.The vertical wall portion 10 extends up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ortion 20, and has a sensor groove 11 in this embodiment.

상기 센서홈(11)은 상기 수직벽부(10)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파여져 있다.The sensor groove 11 is excavated at a constant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1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우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을 고정 구조물(1)의 상방에서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First,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the fixing structure 1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을 고정 구조물(1) 위에 거치한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fixing structure 1.

이어서,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1나사결합공(21)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 구조물(1)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나사수용홈(23)을 생성한다.Subsequently, a plurality of first screw receiving grooves 23 are formed in the outer structure 1 through the respective first screw coupling holes 21 by using a drill, as shown in FIG. 6. .

이어서, 나사(2)를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상방에서 상기 제1나사결합공(21)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나사수용홈(23)에 체결하며, 도 7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상기 나사(2)에 의하여 상기 외부 구조물(1)에 견고히 결합된다.Subsequently, the screw 2 passes through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 above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irst screw receiving grooves 23, FIGS. 7 to 7. As shown in FIG. 8,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rmly coupled to the outer structure 1 by the screws 2.

이때 상기 나사(2)가 상기 제1나사결합공(21)을 따라 삽입될 때, 상기 나사의 머리부(2a)는 상기 제1나사결합공(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수용홈(21a)에 수용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crew 2 is inserted along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 the head portion (2a) of the screw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21 head receiving groove It will be accommodated in 21a.

따라서, 상기 나사의 머리부(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상기 밑바닥부(2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전혀 없게 되므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들의 작동에 전혀 간섭하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100)을 상기 외부 구조물(1)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ead portion 2a of the screw has no part protruding upward of the bottom portion 20 of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various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housing 100 to the outer structure 1 without interfering with operation.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고정 구조물(1)의 하방에서 결합하는 과정을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ures 9 to 12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ixing structure (1).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을 상기 외부 구조물(1)의 상면에 거치한다.First,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tructure 1.

이어서, 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2나사결합공(22)을 관통하여 상기 외부 구조물(1)에,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나사수용홈(24)을 생성한다.Subsequently, a plurality of second screw receiving grooves 24 are formed in the external structure 1 through the respective second screw coupling holes 22 by using a drill, as shown in FIG. 10. .

이어서, 나사(2)를 상기 외부 구조물의 하방에서 상기 제2나사수용홈(24)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2나사결합공(22)에 체결하면,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상기 나사(2)에 의하여 상기 외부 구조물(1)에 견고히 결합된다.Subsequently, when the screw 2 passes through the second screw receiving groove 24 below the external structure and i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crew coupling holes 22, as shown in FIGS. 12 to 13. Likewise,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rmly coupled to the outer structure 1 by the screws 2.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에 의하면, 하우징을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한 후, 하우징에서부터 구조물 쪽으로 나사이음 할 수도 있으며, 구조물에서부터 하우징 쪽으로 나사이음할 수도 있게 함으로써,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ttaching the housing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may be screwed from the housing to the structure, by screwing the structure from the structure toward the housing, it is easy to fix to the structure This can reduce the time it takes to install.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도 3 은 도 2 의 A-A 선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는 도 2 의 B-B 선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5 내지 도 12 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5 to 12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device shown in FIG.

도 13 은 도 1 에 도시된 장치가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is coupled to a struct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수직벽부 11 센서홈10 Vertical wall 11 Sensor groove

20 밑바닥부 21 제1나사결합공20 Bottom part 21 1st screw hole

22 제2나사결합공 100 하우징22 2nd screw hole 100 Housing

Claims (1)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밑바닥부와, 상기 밑바닥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벽부를 포함하여, 'ㄷ'자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에 있어서,In the housing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etter 'c',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vertical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상기 수직벽부는,The vertical wall portion, 그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센서홈을 구비하며,It is provided with a sensor groove excavated to a certain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its outer surface, 상기 밑바닥부는,The bottom part, 그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복수 개의 제1나사결합공; 및A plurality of first screw coupling holes whose diameters ar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그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에 이르기까지 직경이 일정한 복수 개의 제2나사결합공;을 구비하여,And a plurality of second screw coupling holes having a constant diameter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reof.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을 외부 구조물에 고정할 때, 상기 밑바닥부로부터 상기 구조물 쪽으로 나사를 박음질을 하면, 상기 나사의 머리부가 상기 제1나사결합공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Whe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outer structure using a screw, when the screw is screwed from the bottom toward the structure, the head of the screw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crew coupling hole .
KR20-2005-0011647U 2005-04-26 2005-04-26 Housing KR2003901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47U KR200390180Y1 (en) 2005-04-26 2005-04-26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647U KR200390180Y1 (en) 2005-04-26 2005-04-26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180Y1 true KR200390180Y1 (en) 2005-07-20

Family

ID=4369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647U KR200390180Y1 (en) 2005-04-26 2005-04-26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18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9905017U1 (en) Arrangement for mounting a drilling tool on a countershaft of a motor-driven hand drill
US20100071220A1 (en) Laser Centering Tool
KR200390180Y1 (en) Housing
US20050039254A1 (en) Sink clip
SE502799C2 (en) Device for mounting door frames, window frames and the like
CN101885082A (en) Drilling jig
JP5103271B2 (en) Mounting bracket for mounting the object to be mounted on the mounting rail
KR100576500B1 (en) Jig for manufacturing slope hole
KR100832132B1 (en) Device for joining of manhole cover
JP4689536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case and electronic device storage case fixture
JP5044460B2 (en) Fixing member for wiring box
US6917515B2 (en) Electrical component having a housing retained in a receiving groove in a support through a retaining device
JP4805780B2 (en) Structure consisting of wiring and piping support material and nut body
JP2008095427A (en) Base for anchoring
JP5987649B2 (en) Unit mounting structure
JP2010101112A (en) Floor joint device
JP2010031470A (en) Mounting tool, mounting tool set, and private part washing device
JP3608188B2 (en) Desk panel mounting equipment
KR200316707Y1 (en) Holder for fixing sensor for sensing the state of parking of automobile
JP3176464U (en) Baseboard
JPH0521917Y2 (en)
JP2931222B2 (en) Handrail equipment
KR100569360B1 (en) mounting structure of speed sensor assembly for vehicle
KR200147924Y1 (en) Electric tool with level
JPH11134926A (en) Lumin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