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055Y1 - 광물입자 패드 - Google Patents

광물입자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055Y1
KR200389055Y1 KR20-2005-0009761U KR20050009761U KR200389055Y1 KR 200389055 Y1 KR200389055 Y1 KR 200389055Y1 KR 20050009761 U KR20050009761 U KR 20050009761U KR 200389055 Y1 KR200389055 Y1 KR 200389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esh
pad
mineral
mineral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2005-0009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광물입자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메쉬가 균일하게 형성된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메쉬원단부(100) 하부에 형성된 직물원단부(200)와;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직물원단부(200)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공간부(400)를 형성시키는 결합부(300)와; 상기 공간부(400)에 균일하게 수용되고, 상기 메쉬원단부(100)의 메쉬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을 가지는 광물입자(5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 하부에 형성된 내부원단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배기지 않으면서 미끄럽지 않고, 부피가 적으며 통풍이 잘 되고, 패드 전체에 고루 분포된 광물입자와 메쉬에 의해 광물입자의 효능이 인체에 직접적이고도 효율적으로 미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광물입자 패드{a mineral particles pad}
본 고안은 기능성 광물입자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기지 않으며, 패드 전체에 고루 분포된 광물입자와 메쉬에 의해 광물입자의 효능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미치도록 하여, 인체에 매우 유용한 광물입자 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옥장판, 은패드 등의 기능성 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능성 패드는 일반적으로 일측에 전기적 연결 장치가 형성되어 적정한 온도에서 사용가능한 매트류나, 의류, 침구 등에 사용되며, 여기에 전자파 차단 및 방오, 방염을 위한 여러가지 기능성 재료가 더 첨가되어 인체에 유용한 작용을 하도록 한다.
종래에 이러한 패드에 사용되는 기능성 재료로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매우 유용한 기능성 광물입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광물입자로 황토나 맥반석 등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 많이 나는 천연자원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혈액순환을 도우며, 음이온을 방출하여 생활주변에 방출되는 양이온을 흡착 중화하여 생활 환경을 정화시켜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등 여러 가지 효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광물을 도포시킨 패드는 그 량이 미미하므로 인체에 미치는 효능이 적으며, 기능성 광물을 첨가하여 소결시켜 패드 상부에 돌출되도록 한 것은 가격이 비싸고, 입자가 커서 매트 등 특정 제품군에만 이용할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배김 현상이 발생하여 패드 상부에 별도의 커버를 씌운 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이러한 기능성 패드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거대하여 오염되었을 때 세탁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피가 적으며, 패드 전체에 고루 분포된 광물입자와 메쉬에 의해 광물입자의 효능이 인체에 직접적이고도 효율적으로 미치는 광물입자 패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메쉬가 균일하게 형성된 메쉬원단부와; 상기 메쉬원단부 하부에 형성된 직물원단부와; 상기 메쉬원단부와 상기 직물원단부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원단부와 직물원단부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공간부에 균일하게 수용되고, 상기 메쉬원단부의 메쉬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을 가지는 광물입자와; 상기 직물원단부 하부에 형성된 내부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부는,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름 1mm~20mm의 박음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물입자는, 황토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황토볼은, 황토분말과 톱밥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지름 1mm~20mm의 크기로 소결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물입자는, 맥반석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기지 않으면서 미끄럽지 않고, 부피가 적으며 통풍이 잘 되고, 패드 전체에 고루 분포된 광물입자와 메쉬에 의해 광물입자의 효능이 인체에 직접적이고도 효율적으로 미치게 되어 인체에 매우 유용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각 격자 형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상기 결합부와 공간부에 의해 인체와 광물입자와의 접점을 키워 효능을 증대시키면서 지압효과도 아울러 주는 이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물입자 패드는 메쉬원단부(100), 직물원단부(200), 결합부(300), 광물입자(500), 내부원단부(6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메쉬원단부(100)는, 균일한 크기의 메쉬가 직조된 원단을 말하며, 메쉬의 크기가 변하지 않도록 날실과 씨실 자체에 '∧'형태의 변형을 연속적으로 주어 날실과 씨실이 잘 맞물려져 원단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메쉬의 크기는 후술할 광물입자(500)의 지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되어 광물입자(500)가 외부로 무단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원단부(100) 하부에는 직물원단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직물원단부(200)는 견이나 면, 합성섬유의 혼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는 결합부(300)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직물원단부(200)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공간부(400)를 형성시켜, 인체가 닿아 가압되면, 상기 광물입자가 퍼지면서 상기 공간부(400)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어 인체와 광물입자와의 접점을 키워 효능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부(300)는 제품에 따라 지름 1mm~20mm 정도의 원형 면형상의 박음질(3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가 동시에 박음질(310)되어 형성된다. 각 박음질(310) 사이의 간격은 제품에 따라 1cm~20cm가 되도록 하며 정사각으로 격자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00)는 광물입자 패드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각 박음질(310)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공간부(400)에 의해 패드 전체에 광물입자(500)가 균일하게 수용되도록 하여 광물입자의 효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배김 현상을 방지하면서 지압효과를 준다.
여기에서 상기 광물입자(500)의 지름의 크기는 상기 메쉬원단부(100)의 메쉬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광물입자(500)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광물입자(500)는 제품에 따라 지름 1mm~20mm 정도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메쉬원단부(10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광물입자(500)는 황토볼이나 맥반석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볼은 지름 1mm~20mm 정도의 구형상으로 형성되며, 황토분말과 톱밥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둥글게 만든 후 소결건조시킨 것으로, 소결과정에서 톱밥 등은 연소되어 황토볼 내의 공기 접촉면적이 더 높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 황토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양이온 흡착 중화율이 더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맥반석볼은, 상기 메쉬원단부(100)의 메쉬크기 보다 더 큰 맥반석분말을 선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직물원단부(200) 하부에는 내부원단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원단부(600)는 부직포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물입자 패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 사이에 기능성원단을 더 삽입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원단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천연재료로써 옥, 숯, 은, 솔잎, 녹차, 쑥 등이 첨가된 원단을 말하며, 상기 결합부(300)에 의해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부(400) 사이에 광물입자(500)가 수용된 광물입자 패드는, 여러가지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는 신발 안창으로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광물입자 패드를 신발 안창 형상으로 절단하여, 테두리를 마감처리시킨 후, 신발 내부에 삽입하여 신발 안창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결합부(300)에 의해 발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내부원단부(600)에 의해 신발 내부에서 신발 안창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발냄새를 방지하고, 메쉬와 황토볼(500)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공간에 의해 통풍이 잘 되게 된다.
또한 상기 광물입자 패드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매트, 요, 찜질기, 뜸질기, 베개, 깔창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그 하부에 수용되는 광물입자(500)에 의해 효능이 직접적으로 인체에 미치게 되므로, 광물입자 패드의 부피가 적어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배기지 않으면서 미끄럽지 않고, 부피가 적으며 통풍이 잘 되고, 패드 전체에 고루 분포된 광물입자와 메쉬에 의해 광물입자의 효능이 인체에 직접적이고도 효율적으로 미치게 되어 인체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각 격자 형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상기 결합부와 공간부에 의해 인체와 광물입자와의 접점을 키워 효능을 증대시키면서 지압효과도 아울러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광물입자 패드의 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광물입자 패드를 신발 안창으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메쉬원단부 200 : 직물원단부
300 : 결합부 310 : 박음질
400 : 공간부 500 : 광물입자
600 : 내부원단부

Claims (5)

  1. 메쉬가 균일하게 형성된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메쉬원단부(100) 하부에 형성된 직물원단부(200)와;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쉬원단부(100)와 직물원단부(200)를 결합하여 다수개의 공간부(400)를 형성시키는 결합부(300)와;
    상기 공간부(400)에 균일하게 수용되고, 상기 메쉬원단부(100)의 메쉬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을 가지는 광물입자(500)와;
    상기 직물원단부(200) 하부에 형성된 내부원단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름 1mm~20mm의 박음질(3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입자(500)는,
    황토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볼은,
    황토분말과 톱밥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지름 1mm~20mm의 크기로 소결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입자(500)는,
    맥반석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입자 패드.
KR20-2005-0009761U 2005-04-09 2005-04-09 광물입자 패드 KR200389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761U KR200389055Y1 (ko) 2005-04-09 2005-04-09 광물입자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761U KR200389055Y1 (ko) 2005-04-09 2005-04-09 광물입자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055Y1 true KR200389055Y1 (ko) 2005-07-07

Family

ID=4369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761U KR200389055Y1 (ko) 2005-04-09 2005-04-09 광물입자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0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96B1 (ko) * 2016-01-20 2016-02-29 김동규 기능성 물질의 분말을 가지는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80022044A (ko) * 2016-08-23 2018-03-06 박장수 광물질 충진용 주머니를 구비한 패드의 제조방법
KR200487411Y1 (ko) * 2018-03-26 2018-09-12 이승호 커버를 갖는 신발깔창
KR20220168035A (ko) * 2021-06-15 2022-12-22 이녕호 완충부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96B1 (ko) * 2016-01-20 2016-02-29 김동규 기능성 물질의 분말을 가지는 시트의 제조 방법
KR20180022044A (ko) * 2016-08-23 2018-03-06 박장수 광물질 충진용 주머니를 구비한 패드의 제조방법
KR101893780B1 (ko) 2016-08-23 2018-08-31 박장수 광물질 충진용 주머니를 구비한 패드의 제조방법
KR200487411Y1 (ko) * 2018-03-26 2018-09-12 이승호 커버를 갖는 신발깔창
KR20220168035A (ko) * 2021-06-15 2022-12-22 이녕호 완충부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제조 방법
KR102558698B1 (ko) * 2021-06-15 2023-07-21 이녕호 완충부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055Y1 (ko) 광물입자 패드
CN102605522A (zh) 一种导湿保暖磁保健功能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206050B1 (ko) 황토볼을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KR200434778Y1 (ko) 황토 매트리스
KR200395558Y1 (ko) 황토 원단
KR100904699B1 (ko) 광물입자가 삽입된 터널형 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터널형 패드
KR101994182B1 (ko) 쿠션이 있는 온돌용 바닥재
KR20090009035U (ko) 기능성 매트리스
KR100769372B1 (ko) 기능성충진물이 충진되어진 매트
KR200428232Y1 (ko) 세라믹 볼을 담은 이랑황토천연염색 매트
JP4774389B2 (ja) 複合シート
KR20050089616A (ko) 항균, 방충 및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직물지
KR102009715B1 (ko) 견운모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147B1 (ko) 황토석 - 편백나무제 침구속재
KR20090103474A (ko) 기공을 살린 운모편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035B1 (ko) 온수매트
KR20010086943A (ko) 요출이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 매트리스 및 전기요와이의제조
KR200392265Y1 (ko) 황토석 파쇄물이 충진된 매트
KR20120007358A (ko) 황토볼을 이용한 침대
KR102617696B1 (ko) 기능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3754U (ko) 한약재 패드
KR101076672B1 (ko)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KR200266809Y1 (ko) 이불용 솜
KR200413378Y1 (ko) 원적외선 방사 광물질이 도포된 직물
KR100920686B1 (ko) 광물입자 삽입 터널형 패드를 사용한 침대매트리스 착탈 조립식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