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626Y1 - 술잔용위생용기받침 - Google Patents

술잔용위생용기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626Y1
KR200388626Y1 KR20-2005-0010654U KR20050010654U KR200388626Y1 KR 200388626 Y1 KR200388626 Y1 KR 200388626Y1 KR 20050010654 U KR20050010654 U KR 20050010654U KR 200388626 Y1 KR200388626 Y1 KR 200388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anitary
cup
cylindrica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덕환
Original Assignee
위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덕환 filed Critical 위덕환
Priority to KR20-2005-0010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3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술잔용위생용기받침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스테인레스 등의 철재, 도자기(陶瓷器) 등으로 형성되어 여러 종류의 술잔을 한꺼번에 셋팅하여 운반하기 편리하며, 술잔을 간단하게 위생적으로 닦을 수 있는 구조를 일체로 갖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은 도자기로 전체가 형성되어 고급스러우면 위생적이고, 다양한 종류의 술잔의 운반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자신이 입을 대고 마셨던 술잔을 손쉽게 닦아 낼 수 있어 다른 사람에게 술을 권하기가 매우 편리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하고, 음주시 위생적인 수작(酬酌)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받침본체; 상기 받침본체의 우측 상부에 맥주잔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다시 상기 원기둥의 상부가 오목하게 홈이 파이도록 형성되는 위생수저장소; 상기 받침본체의 좌측 상부에 원기둥형의 중앙 세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세척돌기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의 세척돌기가 중앙부에서부터 층을 이루어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세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술잔을 상기 세척부의 크기에 맞는 세척돌기에 위생수건을 덮고 술잔을 입구에서부터 끼워 돌려 세척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술잔용위생용기받침{sanitary cup hanger}
본 고안은 술잔용위생용기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스테인레스 등의 철재, 도자기(陶瓷器) 등으로 형성되어, 여러 종류의 술잔을 한꺼번에 셋팅하여 운반하기 편리하고, 술잔을 간단하게 위생적으로 닦을 수 있는 구조를 일체로 갖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집에서 술을 마실 때 혹은 집에서 손님들을 접대할 때 여러종류의 술잔과 술을 한꺼번에 들고 나와 차려놓고서 술을 각자 따라서 마시고, 술잔을 서로 술잔을 돌려 마시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인의 관습상 각자 잔이 있는데도 굳이 내 술 잔을 비우고 술을 따라 남에게 주는 행위는 일종의 친근감을 표시하는 우리식의 문화다. 하지만 이는 침을 통 해 각종 질병의 원인균들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남이 먹던 술잔이라고 하여 서로 술잔을 돌려먹는데 더럽다고 피할 수만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용기 받침으로 쓰이는 제품은 합성수지 제품이 주로 쓰인다. 합성수지는 값싸고 가볍고 잘 깨지지도 않은데다 모양도 색깔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냉장고를 열면 색색깔로 들어앉아 있는 플라스틱 제품, 행사 때 선물로도 자주 주는 플라스틱 역시 일회용 비닐만큼이나 넉넉한 인심을 보여주는 물건으로 자리 잡았다. 의료용, 산업용, 공업용까지 많은 곳에서 쓰는 플라스틱은 뜨거운 것에 닿으면 환경호르몬이 나오고, 상온에서도 조금씩 기체 상태로 내뿜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뜨거운 음식을 플라스틱 통에 넣었다가 먹어보면 이상야릇한 맛이 배어 나온다. 이것이 바로 환경호르몬이다. 플라스틱 젖병은 환경호르몬이 나오는 비스페놀A를 원재료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다. 비스페놀A를 많이 먹으면 남자는 정자 만드는 것을 방해받고, 여자는 무배란이 될 위험이 높다고 한다. 플라스틱은 쓸 때도 문제가 있지만 태울 때 더 큰 문제가 있다. 플라스틱을 태우는 곁에 서 있다 보면 아주 매케한 냄새가 나는데 그것이 바로 인류가 만들어낸 화학물질 중 최악의 독물이라고 하는 다이옥신이다. 반면 도자기로 만든 그릇이 무겁지만 플라스틱보다 안전하며 고급스러움과 위생상의 안전을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비위생적인 술잔 돌려마시기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위생적으로 술잔을 닦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도자기로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술잔용위생용기받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받침본체; 상기 받침본체의 우측 상부에 맥주잔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다시 상기 원기둥의 상부가 오목하게 홈이 파이도록 형성되는 위생수저장소; 상기 받침본체의 좌측 상부에 원기둥형의 중앙 세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세척돌기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의 세척돌기가 중앙부에서부터 층을 이루어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세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술잔을 상기 세척부의 크기에 맞는 세척돌기에 위생수건을 덮고 술잔을 입구에서부터 끼워 돌려 세척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의 세척돌기의 중앙부에는 배출구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특징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보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배출구가 구비된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은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받침본체(110);상기 받침본체(110)의 우측 상부에 맥주잔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다시 상기 원기둥의 상부가 오목하게 홈이 파이도록 형성되는 위생수저장소(120); 상기 받침본체(110)의 좌측 상부에 원기둥형의 중앙 세척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세척돌기(131)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의 세척돌기(132)(133)(134)가 중앙부에서부터 층을 이루어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세척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술잔을 상기 세척부(130)의 크기에 맞는 세척돌기(131)(132)(133)(134)에 위생수건(1)을 덮고 술잔(10)(20)(30)을 입구에서부터 끼워 돌려 세척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130)의 세척돌기(131)의 중앙부에는 배출구(135)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본체(110)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쟁반과 같이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받침본체(110)의 상단부에는 위생수저장소(120)와 세척부(130)가 각각 구비된다.
위생수저장소(120)는 상기 받침본체(110)의 우측 상부에 맥주잔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생수저장소(120)의 상단부는 거의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의 위생수저장소(120)의 홈에는 위생수(121)가 저장된다. 사용자가 술을 마시기 전 혹은 마신 후에 자신이 먹던 술잔을 거꾸로 들어 술잔의 입구를 상기 위생수저장소(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위생수(121)에 살짝 적시어 주면 된다. 상기 위생수(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일반 물을 담아 놓을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쟈스민 등의 향이 나는 향료를 포함한 물을 담아 놓고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세척부(130)는 상기 받침본체(110)의 좌측 상부에 원기둥형의 중앙 세척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세척돌기(131)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의 세척돌기(132)(133)(134)가 중앙부에서부터 층을 이루어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돌기(131)(132)(133)(134)가 층을 이루어 낮아지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외관상 이유뿐 만 아니라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세척돌기(131)(132)(133)(134)의 상호간은, 즉 중앙 세척돌기(131)와 두 번째 세척돌기(132)의 사이, 두 번째 세척돌기(132)와 세 번째 세척돌기(133)의 사이, 세 번째 세척돌기(133)와 네 번째 세척돌기(134)의 사이는 적당한 간격을 두어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간격은 통상의 술잔의 두께 보다 다소 크게 형성한다. 상기 세척돌기(131)(132)(133)(134)의 지름은 술잔의 크기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세척돌기(131)의 지름은 보통 지름이 가장 작은 양주잔(10)의 지름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고, 두 번째 세척돌기(132)는 지름이 상기 양주잔(10)의 크기보다 다소 큰 소주잔(20)의 지름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며, 세 번째 세척돌기(133)는 지름이 상기 소주잔(20)의 크기 보다 다소 큰 맥주잔(30)의 지름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술잔용위생용기받침(100)은 상기 받침본체(110)와 위생수저장소(120), 세척부(130)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은 합성수지, 스테인레스, 도자기 등의 재질로 구성하여 완성한다. 도자기로 일체로 구성하였을 경우 외관상의 미려함과 고급스러움을 느낄 수 있고 위생상으로도 대단히 유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술잔용위생용기받침(100)은 사용자가 술집이나 집에서 술을 마실 때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술잔을 한꺼번에 미리 셋팅하여 개인별로 준비하여, 술잔을 상기 세척부(130)의 크기에 맞는 세척돌기(131)(132)(133)(134)에 위생수건(1)을 덮고 술잔(10)(20)(30)을 입구에서부터 끼워 돌려 세척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주잔(2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이 술을 마시고 술잔을 돌려 다른 사람에게 주고자 할 때, 또는 자신이 마시던 소주잔(20)을 세척하고자 할 때, 위생수건(1)을 상기 세척부(130)의 위에 덮고, 상기 소주잔(20)의 지름의 크기에 맞는 세척돌기(132)에 상기 위생수건(1)과 함께 끼운 후 가볍게 돌려주면, 사용자가 입을 대고 사용하였던 소주잔의 입구부가 깨끗하게 세척이 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깨끗한 술잔으로 술을 다시 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세척한 소주잔(20)의 입구를 다른 사람에게 권하기 전에 상기 위생수저장소(110)의 저장된 위생수(121)에 한번 담군 후 다시 술을 따라 권하면 더욱 위생적인 수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130)의 세척돌기(131)의 중앙부에는 추가로 배출구(135)가 천공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술을 마신 후 남은 술을 상기의 배출구(135)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배출 방법은 상기 받침본체(110)의 하단부에 별도의 수건이나 배출되는 잔량의 술을 받기 위한 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일례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및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은 도자기로 전체가 형성되어 고급스러우면 위생적이고, 다양한 종류의 술잔의 운반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자신이 입을 대고 마셨던 술잔을 손쉽게 닦아 낼 수 있어 다른 사람에게 술을 권하기가 매우 편리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하고, 음주시 위생적인 수작(酬酌)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사시도,
도 3은 보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배출구가 구비된 술잔용위생용기받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위생수건 10 : 양주잔
20 : 소주잔 30 : 맥주잔
100 : 술잔용위생용기받침 110 : 받침본체
120 : 위생수저장소 121 : 위생수
130 : 세척부 131, 132, 133, 134 : 세척돌기
135 : 배출구

Claims (3)

  1.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받침본체(110);
    상기 받침본체(110)의 우측 상부에 맥주잔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원기둥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다시 상기 원기둥의 상부가 오목하게 홈이 파이도록 형성되는 위생수저장소(120);
    상기 받침본체(110)의 좌측 상부에 원기둥형의 중앙 세척돌기(131)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세척돌기(131)의 주변으로 다수개의 원통형의 세척돌기(132)(133)(134)가 중앙부에서부터 층을 이루어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세척부(1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술잔을 상기 세척부(130)의 크기에 맞는 세척돌기(131)(132)(133)(134)에 위생수건(1)을 덮고 술잔(10)(20)(30)을 입구에서부터 끼워 돌려 세척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130)의 세척돌기(131)의 중앙부에는 배출구(135)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받침본체(110), 위생수저장소(120) 및 세척부(130)가 일체로 도자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잔용위생용기받침.
KR20-2005-0010654U 2005-04-18 2005-04-18 술잔용위생용기받침 KR200388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54U KR200388626Y1 (ko) 2005-04-18 2005-04-18 술잔용위생용기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654U KR200388626Y1 (ko) 2005-04-18 2005-04-18 술잔용위생용기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626Y1 true KR200388626Y1 (ko) 2005-06-29

Family

ID=4368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654U KR200388626Y1 (ko) 2005-04-18 2005-04-18 술잔용위생용기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513B2 (en) Beverage container or container lid with drinking straw
US3362590A (en) Carafe
US5484065A (en) Drinking vessel-disposable toothbrush holder
WO2004082441A2 (en) Drinking vessels with removable cooling devices
US7165697B1 (en) Concentric two-compartment drinking vessel
US20030002385A1 (en) Convertible drink shaker and glass
KR20080024591A (ko) 내용물 분할형 컵
KR20150002551U (ko) 환상 돌기가 구비된 물컵
KR200388626Y1 (ko) 술잔용위생용기받침
CA2642820A1 (en) Beverage dispenser
US1301596A (en) Advertising device for finger-bowls.
KR200434078Y1 (ko) 내용물 분할형 컵
CN113786093B (zh) 一种餐桌用品组合体
CN216358469U (zh) 便携式茶具
US11213121B2 (en) Hold a dental cleaning device on food related accessories
KR200406037Y1 (ko)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CN214548719U (zh) 一种饮料杯
KR200258420Y1 (ko) 위생컵 및 그 홀더
JP2010006466A (ja) 形状の異なる複数の飲口を有する器
US10405644B2 (en) Hold a dental cleaning device on food related accessories
KR200353874Y1 (ko) 페트음료병을 이용한 컵 겸용 병
RU1814534C (ru) Посуд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 пить ча
JP3080941U (ja) ツインポット
CN2062990U (zh) 多功能组合茶具
KR200275138Y1 (ko) 음료수 원료가 내장된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