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589Y1 -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 Google Patents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8589Y1 KR200388589Y1 KR20-2005-0009047U KR20050009047U KR200388589Y1 KR 200388589 Y1 KR200388589 Y1 KR 200388589Y1 KR 20050009047 U KR20050009047 U KR 20050009047U KR 200388589 Y1 KR200388589 Y1 KR 2003885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wheel
- cutting
- concave curved
- wheel
- curve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milling, e.g. channelling by means of milling tools
- B28D1/186—Tools therefor, e.g. having exchangeable cutter b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3/00—Dressing mill discs or rollers
- B28D3/005—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자동절삭장치의 운용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휠형태의 몸체 외주연에 바이트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절삭휠에 있어서, 상기 절삭휠의 몸체는 외주연 중앙부의 오목곡면부와 상기 오목곡면부 양측으로 외향하여 각도가 벌어지는 변곡벌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인 오목곡면부와 변곡벌림부에 다수의 바이트편이 정렬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경계석 절삭장치의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자동절삭장치의 운용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은 콘크리트로 성형된 것이 사용되기도 하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도로의 미관도 살릴 수 있는 화강암 석재를 가공하여 조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로경계석(2)의 모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직육면체로 되고 차도쪽으로 배치되는 일측 상부 모서리가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곡면(2a)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로경계석의 모서리 곡면가공 절삭은 대체로 작업자가 현장에서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저조하고 가공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출원인은 도로경계석의 모서리 곡면가공을 수동이 아닌 자동화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곡면가공 절삭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절삭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하여 피가공석재가 이송되는 작업대 일측에 절삭휠이 피가공석재의 모서리부분을 절삭하도록 단계별로 설치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장치로 인하여 생산성과 작업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절삭휠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동작될 경우에는 절삭휠의 마모가 일부분에 편중되어 발생되기 때문에 마모가 빨리 진행되고 따라서 피가공면의 형태가 변형되어 가공품질의 균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고가인 절삭휠의 교체주기가 단축되어 자원 및 자동절삭장치의 운용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운용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은
휠형태의 몸체 외주연에 바이트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절삭휠에 있어서,
상기 절삭휠의 몸체는 외주연 중앙부의 오목곡면부와 상기 오목곡면부 양측으로 외향하여 각도가 벌어지는 변곡벌림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인 오목곡면부와 변곡벌림부에 다수의 바이트편이 정렬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1)은 휠형태의 몸체 외주연에 바이트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절삭휠에 있어서, 상기 절삭휠의 몸체(10)는 외주연 중앙부의 오목곡면부(11)와 상기 오목곡면부(11) 양측으로 외향하여 각도가 벌어지는 변곡벌림부(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인 오목곡면부(11)와 변곡벌림부(13)에 다수의 바이트편(20)이 정렬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편(20)은 상호 지그재그형태로 복수열이 정렬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면상에서 상기 오목곡면부(11)와 변곡벌림부(13) 간의 구간크기 비례는 1:1:1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오목곡면부(11)의 곡률은 피가공석재의 곡면곡률과 대응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가공석재(2)의 모서리 곡면가공시 바이트(20)가 마모되기 전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각도로 절삭가공을 수행하고, 이후 바이트에 마모가 발생된 후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부재(2)에 대한 절삭휠의 절삭각을 다각도로 조정가능토록 하여 절삭휠의 외주연에 포진된 바이트편(20)들을 고르게 사용하고 또한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절삭각 조정시 만약 절삭휠의 외주연 전체가 동일 곡률의 오목곡면부(11)로 이루어진다면 오목면의 어느 한쪽은 피가공부재(2)와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를 위한 것이 상기 변곡벌림부(13)이다. 상기 변곡벌림부(13)는 이와 같은 피가공부재와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절삭휠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절삭휠은 절삭각을 바꾸면서 외주연에 넓게 형성되어 있는 바이트(20)를 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은 절삭휠의 마모가 고르게 발생되도록 절삭각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가공품질이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절삭휠의 수명을 극대화시켜 운용비용을 절감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로경계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2: 도로경계석(피가공석재)
10: 몸체 11: 오목곡면부
13: 변곡 벌림부 20: 바이트(바이트편)
Claims (2)
- 휠형태의 몸체 외주연에 바이트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절삭휠에 있어서,상기 절삭휠의 몸체(10)는 외주연 중앙부의 오목곡면부(11)와 상기 오목곡면부(11) 양측으로 외향하여 각도가 벌어지는 변곡벌림부(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상기 몸체의 외주면인 오목곡면부(11)와 변곡벌림부(13)에 다수의 바이트편(20)이 정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바이트편(20)은 상호 지그재그형태로 복수열이 정렬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9047U KR200388589Y1 (ko) | 2005-04-01 | 2005-04-01 |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9047U KR200388589Y1 (ko) | 2005-04-01 | 2005-04-01 |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8589Y1 true KR200388589Y1 (ko) | 2005-06-29 |
Family
ID=4368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9047U KR200388589Y1 (ko) | 2005-04-01 | 2005-04-01 |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858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4613B1 (ko) * | 2007-10-17 | 2009-08-31 | 이익규 | 석재용 모서리 면취절삭장치 |
-
2005
- 2005-04-01 KR KR20-2005-0009047U patent/KR20038858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4613B1 (ko) * | 2007-10-17 | 2009-08-31 | 이익규 | 석재용 모서리 면취절삭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55608B2 (ja) | カッタードラム及び回転切断装置 | |
AU2002300433B2 (en) | Grinding Wheel | |
RU2426636C2 (ru) | Веерный шлифовальный круг | |
KR101476406B1 (ko) | 렌즈 가공용 pcd 밀링 커터 | |
US20110291368A1 (en) | Adaptor for adapting a working element to an end of a power tool shaft | |
ATE229868T1 (de) | Schleifscheibe | |
CA2586791C (en) | Fan-type grinding wheel | |
KR20160045004A (ko) | 일회용 모따기 블레이드 | |
JP2010120099A (ja) | エンドミ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0388589Y1 (ko) | 모서리 곡면가공용 절삭휠 | |
MX2007015013A (es) | Inserto de corte. | |
KR101370161B1 (ko) | 파쇄기용 커터 | |
KR101179164B1 (ko) | 면취용 회전커터 | |
US10046330B2 (en) | Regenerated cutting blade and shearing type grinder | |
CN108673356B (zh) | 一种磨轮结构 | |
CN106513807A (zh) | 一种球头立铣刀 | |
TW200609191A (en) | The rotary knife of a glasscut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6062969A (en) | Grinding wheel with spiral grooved face | |
CN210998242U (zh) | 一种平面磨轮 | |
CN203726356U (zh) | 一种砂轮 | |
JP4242168B2 (ja) | 角形打抜きパンチ及びその製造方法 | |
CN202207966U (zh) | 三面磨削砂轮 | |
JP4609286B2 (ja) | 円形孔の面取り方法および装置 | |
TWM449077U (zh) | 具研磨排屑功能之圓鋸片結構 | |
CN219254344U (zh) | 一种磨轮型金刚石锯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