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531Y1 -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 Google Patents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531Y1
KR200388531Y1 KR20-2005-0010580U KR20050010580U KR200388531Y1 KR 200388531 Y1 KR200388531 Y1 KR 200388531Y1 KR 20050010580 U KR20050010580 U KR 20050010580U KR 200388531 Y1 KR200388531 Y1 KR 200388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mbedded
semi
slab concre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5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인영
Original Assignee
곽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인영 filed Critical 곽인영
Priority to KR20-2005-0010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5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531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환기덕트로서 덕트의 일부가 천정(바닥)의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급배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1)는,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12)에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되는 상부 매설부(10); 및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22)에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저면(3)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 노출부(2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상기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매설부(10)와 상기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design is a ventilation duct installed in the narrow ceiling space, and part of the duc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ceiling (floor), so that the duct can have a relatively high height in the narrow ceiling space to maximize the supply and exhaust efficiency. It is about a semi-buried ventilation duct that can be made.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11 and both side plates 12 and has a U-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and the first assembling means 13 on the side plates 12. ) Is formed,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2) to be open to the bottom surface (3); And a bottom plate 21 and both side plates 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buried portion 10, having a U-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forming the upper buried portion 10 on the both side plates 22. The second assembly means 23 is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means 13,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ex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3 of the slab concrete (2); and includes: the slab concrete ( By assembling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to the upper embedded portion 10 embedded in 2), the upper embedded portion 10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2. An inner space formed by) forms an air passage 30.

Description

반 매설형 환기덕트{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환기덕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환기덕트로서 덕트의 일부가 천정(바닥)의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급배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uct. More specifically, the ventilation duct is installed in a narrow ceiling space, and a part of the duc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ceiling (floor), so that a duct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is formed in the narrow ceiling space. It relates to a semi-burying ventilation duct that can be formed to maximize the supply and exhaust efficiency.

(배경기술)(Background)

각종 건축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쾌적한 공기로 바꿈으로써 공기환경을 생활하기 적합한 위생적인 상태로 개선하는 환기시설이 구축되어 있으며, 건축물의 환기방법으로는 크게 풍력이나 부력을 이용하는 자연환기와 송풍기나 환기팬을 이용하는 기계환기로 대별할 수 있다. Various buildings have ventilation facilities that improve the sanitary condition suitable for living by changing the polluted air in the room to pleasant air.The ventilation method of the building is largely made of natural ventilation and blowers that use wind or buoyancy. It can be divided into mechanical ventilation using a ventilation fan.

자연환기가 원활하지 아니하거나 자연환기만으로는 만족스러운 환기를 달성할 수 없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송풍기, 환기팬, 덕트, 후드, 급배기구 등이 구비된 환기시설을 마련하여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For buildings where natural ventilation is not smooth or where satisfactory ventilation cannot be achieved by natural ventilation alone, it is common to provide a ventilation facility equipped with a blower, a ventilation fan, a duct, a hood, and an air supply / exhaust system to force ventilation. have.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상대적으로 공기환경이 열악하지 아니한 주거기능 건축물의 경우, 주방이나 화장실 등 일부 국소적인 공간에는 환기팬이나 후드 등을 설치한 기계환기를 적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공간은 별도의 환기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정도의 자연환기를 적용하여 왔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residential functio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office buildings, where the air environment is relatively poor, some local spaces, such as kitchens and toilets, are equipped with mechanical ventilation with ventilation fans or hoods. Natural ventilation has been applied to open the windows and ventilat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ventilation facility.

그러나, 최근 생활환경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새집 증후군 등 주거환경의 환기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공기환경이 열악하지 아니한 건축물의 경우에도, 기계적인 환기시설을 구축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as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has recently increased and the ventilation proble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the new house syndrome have emerged, mandatory construc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facilities even in buildings with poor air environment such as apartments or office buildings. I'm doing it.

이런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주거기능 건축물에 환기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천정내부공간(천정 슬라브 콘크리트와 천정마감패널 사이의 공간)에 급배기를 위한 덕트를 설치하여 송풍기와 같은 환기장치와 연결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주거기능 건축물의 천정내부공간은 그 높이가 대략 150MM 내외에 불과하므로 이런 좁은 공간에 덕트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establish a ventilation facility in a residential function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a duct for supply / exhaust should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slab concrete and the ceiling finishing panel) and connected to a ventilation device such as a blower. In general, the ceiling interior space of a residential function building is only about 150MM in height, so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duct in such a narrow space.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물층고를 높여 천정내부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건축면적의 효율성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건축공사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t may be considered to secure the interior space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building, but this will not onl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building area but also increase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work, so it will be difficult to apply it realistically. do.

다른 대안으로서 바닥난방코일의 하부의 단열층인 기포콘크리트에 작은 구경의 관을 매설하여 이를 덕트로 사용하는 방식이 일부 적용되고 있으나, 본 방식은 작은 구경의 관을 통과할 수 있는 풍량에 한계가 있어서 만족스러운 환기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another alternative, a method of embedding a small diameter pipe in a bubble concrete, which is an insulating layer under the floor heating coil, is used as a duct, but the present method has a limitation in the amount of air that can pass through a small diameter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a satisfactory ventilation effect cannot be achieved.

결국, 현실적으로 150MM 정도의 천정내부공간에 덕트를 설치하는 방안이 최선이지만, 덕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행거가 차지하는 높이, 보온재의 두께,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덕트의 교차부위 등을 고려하면, 공간적인 제한으로 덕트를 최대한 납작하게 제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로써 덕트의 낮은 높이로 인한 급배기 효율성 저하가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로 남게 된다. After all, the best way to install the duct in the ceiling space of about 150MM is the best, but considering the height occupied by the hanger to fix the duct,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and the inevitable intersection of the duct, The duct must be made as flat as possible, which leave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low duct efficiency due to the low height of the duct.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은 주거기능 건축물에 환기시설을 구축하는 것에 관련된 기술적 배경하에서,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덕트를 설치해야 하는 것에 따른 공간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덕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s of having to install a duct in a narrow interior space, under the techn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ventilation facility in a functional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It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duct.

본 고안에 따라,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installed in a narrow ceiling interior space.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는, 상부 매설부와 하부 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매설부는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에 제1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브 콘크리트에 저면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된다.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uried portion and a lower exposed portion. The upper buri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and both side plates are U-shaped with the lower side open, the first assembling means are formed on both side plates, and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to open to the bottom side.

상기 하부 노출부는 상기 상부 매설부에 대응하는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에 상기 상부 매설부의 제1 조립수단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된다. The lower exposed part has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uried part, and has an U-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second assembly means formed on both side plates are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y means of the upper buried part. And is exposed from the bottom of the slab concrete.

본 고안의 반 매설형 환기덕트는,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에 상기 하부 노출부를 조립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매설부와 상기 하부 노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를 이룬다.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upper buried portion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partly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by assembling the lower exposed portion to the upper embedded portion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The interior space forms the air passag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조립수단과 상기 제2 조립수단은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홈과 돌기로 구성된다. Preferably, the first assembly means and the second assembly means are composed of grooves and protrusions that are elastically fitted.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의 상기 저판에는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Preferably,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buried portion is formed with a reinforcemen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slab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의 상기 저판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편을 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buried portion may be formed an escape prevention piece for preventing the upper buried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ab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의 상기 양측판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를 거푸집에 피스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이 형성되어 있다. Preferably, a fixing plate is formed at the end of both side plates of the upper embedding portion to secure the upper embedding portion by fastening the piece to the formwork.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매설부와 상기 하부 노출부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판으로 제조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상부 매설부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의 잠열과 급기의 열교환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upper buried part and the lower exposed part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or a plastic synthetic resin plate, and in particular, the upper buried part is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is supplied to the room by heat exchange between latent heat and air supply of the slab concrete. The air can be heated or cooled.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시공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위에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에 제1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매설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여 상기 상부 매설부를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저면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매설부에 대응하는 저판과 양측판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2 조립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노출부의 상기 제2 조립수단을 상기 제1 조립수단에 조립하여,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로부터 노출된 상기 하부 노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Construction of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slab concrete casting formwork; Positioning an upper buried portion having a bottom plate and two side plates on the formwork and having a U-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and having first assembly means formed on both side plates; Placing slab concrete on the formwork; Removing the formwork after the slab concrete is cured so as to bury the upper embedding part open in the slab concrete toward the bottom; And assembling the second assembling means to the first assembling means, having a bottom plate and a side pl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uried portion, having a U-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having a second assembling means formed thereon. And forming an air passage through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upper buried portion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exposed from the slab concrete. It includ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상부 매설부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반 매설형 환기덕트가 적용되는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시공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도, 도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클립의 사시 및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xemplary upper buried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applied to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construction of a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cli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1)는,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천정내부공간이 협소한 환경에 설치하기 적합한 덕트로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호 조립되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ct suitable for installation in an environment where a ceiling internal space is narrow,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and as shown in FIGS.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상기 상부 매설부(10)는,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매설부(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천정)을 형성하는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된다. 상기 양측판(12)의 하단에는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조립수단(13)은 후술하는 하부 노출부(20)의 제2 조립수단(23)에 조립된다.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has a bottom plate 11 and both side plates 12 and has a substantially U-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As shown in FIG. 4,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2 that forms the floor (ceiling) of the building so as to be open toward the bottom 3. The first assembly means 1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2, the first assembly means 13 is assembled to the second assembly means 23 of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 노출부(20)는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부 노출부(20)는 콘크리트(2)의 저면(3)에서 노출된다. The lower exposed part 20 has a bottom plate 21 and both side plates 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buried part 10, and has a U-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is exposed at the bottom 3 of the concrete 2.

상기 양측판(22)의 상단에는 상부 매설부(10)의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조립수단(13)과 제2 조립수단(23)은 상부 매설부(10)에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들 들어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홈(13A)과 돌기(23B)를 적용할 수 있다. At the upper end of both side plates 22, second assembling means 23 are assembled to the first assembling means 13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The first assembling means 13 and the second assembling means 23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assembling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on the upper buried portion 10, and are illustrated in, for example, FIGS. 1 and 2.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13A and the protrusion 23B that can be elastically fitted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제1 조립수단(13)과 제2 조립수단(23)으로서 탄성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홈(13A)과 돌기(23B)를 적용하면, 하부 노출부(20)를 상부 매설부(10)에 일단 조립한 이후에도 필요할 경우 하부 노출부(20)를 상부 매설부(10)로부터 분리하여 덕트 내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예, 청소)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this way, when the groove 13A and the protrusion 23B, which can be elastically fitted as the first assembling means 13 and the second assembling means 23, are applie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is formed with the upper buried portion ( Even after assembling in 10), if necessary, the lower exposed part 20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buried part 10 to check the inside of the duct and to perform necessary measures (eg, cleaning).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의 안쪽으로는 보강돌기(14)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매설부(10) 위에 콘크리트(2)를 타설할 때 그 하중을 지탱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저판(11)에 1개의 보강돌기(14)를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보강돌기(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inforcing protrusions 14 are formed inside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to support the load when the concrete 2 is placed on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one reinforcing protrusion 14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11 is shown, but two or more reinforcing protrusions 14 may be formed.

또한,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의 연장선상에는 콘크리트(2)에 매입되는 이탈 방지편(1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부 매설부(10)가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부 매설부(10)는 이탈 방지편(15)의 작용으로 의도하지 아니하게 콘크리트(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can be formed a separation preventing piece 15 is embedded in the concrete (2), whereby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2) In the state,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released from the concrete 2 by the ac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15.

또한, 상부 매설부(10)의 양측판(12)의 하단에는 고정판(16)을 횡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고정판(16)은 피스(16A)를 박아서 거푸집(4)에 위치시킨 상부 매설부(10)가 거푸집(4)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plate 16 may protrude laterally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 plates 12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The fixing plate 16 drives the pieces 16A so that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positioned on the formwork 4 is fixed without moving on the formwork 4.

본 고안의 덕트(1)를 구성하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는, 스틸,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은 물론 플라스틱 합성수지판 등 다양한 소재로 일정 길이로 규격화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단면구조가 사출이 아닌 압출로 성형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upper buried portion 10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constituting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metal plate, such as steel, aluminum can be formed by standardizing to a certain length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plastic synthetic resin plate, In particular, sinc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can be molded by extrusion rather than injection,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부 매설부(10)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면, 콘크리트(2)의 잠열(대략, 18-22??)과 덕트(1)를 통과하는 급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실내 온도에 가깝게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latent heat of the concrete 2 (approximately, 18-22 °) and the air supply passing through the duct 1 to be supplied to the room. Air is preferred because it can be heated or cooled to near room temperature.

즉, 겨울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콘크리트의 잠열보다 낮으므로 덕트(1)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잠열과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실내에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여름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콘크리트의 잠열보다 높으므로 덕트(1)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 잠열과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하강하게 되어 실내에 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winter is lower than the latent heat of concrete,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y heat exchange with the latent heat of concrete while passing through the duct 1, so that the air at a higher temperature can be supplied to the room. Since the air is higher than the latent heat of concrete, the temperature is lowered by heat exchange with the latent heat of concrete while passing through the duct (1), so that air of lower temperature can be supplied to the room, thereby reducing energy required for heating and cooling. It is effective.

상부 매설부(10)를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잠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을 주름판(11A)으로 형성하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열전달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When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formed of a metal plate to use latent heat of concrete, as shown in FIG. 3, when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formed of a corrugated plate 11A, air and The contact area of the can be increased to further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를 적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a construction method applying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건축물의 바닥(천정)을 형성할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4)을 설치한다(도4A). First, the slab concrete casting formwork 4 to form the floor (ceiling)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FIG. 4A).

다음에, 거푸집(4) 위에 상부 매설부(10)를 설계된 위치에 위치시키고 고정판(16)에 피스(16A)를 박아서 고정시킨다(도4B). Next,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is placed on the formwork 4 in the designed position, and the piece 16A is driven and fixed to the fixing plate 16 (FIG. 4B).

다음에, 거푸집(4)에 스페이스(5) 및 철근(6)을 배근하고 콘크리트(2)를 타설한다(도4C). 이때, 보강돌기(14)가 저판(11)을 지탱하게 되므로 콘크리트(2)의 하중에 의한 상부 매설부(10)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Next, the space 5 and the reinforcing bar 6 are placed in the form 4 and concrete 2 is poured (FIG. 4C). At this time, since the reinforcement protrusion 14 supports the bottom plate 11, the deformation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due to the load of the concrete 2 can be prevented.

이후, 콘크리트(2)가 단단하게 양생되면 거푸집(4)을 제거한다(도4D). 거푸집(4)을 제거하면 상부 매설부(10)는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가 된다. After that, if the concrete 2 is hardened, the formwork 4 is removed (Fig. 4D). When the formwork 4 is removed,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2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is opened toward the bottom 3 of the concrete 2.

마지막으로 하부 노출부(20)의 제2 조립수단(23)을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함으로써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부 매설부(10)와 콘크리트(2)로부터 노출된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는 덕트가 형성된다(도4E). Finally, by assembling the second assembling means 23 of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to the first assembling means 13, the upper buried portion 10 embedded in the concrete 2 and the lower exposure exposed from the concrete 2 are exposed. A duct is formed in which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portion 20 forms the air passage 30 (Fig. 4E).

상기 하부 노출부(2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현장까지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U자 형상이 아닌 길게 펼쳐진 패널 형상으로 운반하고 상부 매설부(10)에 조립하는 단계에서 U자 형상으로 접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lower exposed part 20, as shown in FIG. 2, the bottom plate 21 and both side plates 22 are transported in a long unfolded panel shape rather than a U-shape up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upper buried part 10 is provided. In the step of assembling to the U-shape can also be used.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를 콘크리트(2)에 미리 매설하고 여기에 상부 매설부(10)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일부(상부 매설부)가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로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덕트(1)가 형성되어 진다. As such, the duc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concrete (2) by embedding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n the concrete (2) and assembling the upper buried portion 10 therein. The duct 1 is formed by the upper buried portion 10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in the state buried in 2).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덕트(1)를 사용하여 아파트에 환기시설을 구축한 예를 설명한다. 아파트에는 송풍기(7)와 본 고안의 덕트(1)를 포함하는 환기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덕트(1)는 천장내부공간을 따라 환기가 필요한 장소로 배관되어 있고, 덕트들(1)은 송풍기(7)에 연결되어 있어서 실내와 실외 사이를 강제로 환기시키고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가 밖으로 표시된 것은 급기구(8A)를 나타내고 화살표가 안으로 표시된 것은 배기구(8B)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ure 5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building a ventilation facility in the apartment using the duc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artment is equipped with a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a blower (7) and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1 is piped to a place where ventilation is required along the ceiling inner space, and the ducts 1 are connected to the blower 7 to forcibly ventilat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n the figure, the arrows indicated outwardly indicate the air supply port 8A, and the arrows indicated inwardly indicate the exhaust port 8B.

상기 급기구(8A)와 배기구(8B)는, 급기구(8A)와 배기구(8B)가 형성되는 위치에만 사용하도록 변형한 급기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port 8A and the exhaust port 8B can be formed by assembling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provided with the air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deformed to be used only at the position where the air supply port 8A and the exhaust port 8B are formed. Can be.

도5에서 원 내부에 도시한 부분 상세도는 덕트가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본 고안의 덕트(1)를 일자형, L자형, 및 T자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artial detailed view shown in the circle in Figure 5 shows that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 a straight, L-shaped, T-shaped, etc.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duct is applied.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덕트(1)를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적용함에 있어서의 덕트 높이 증대효과를 도8의 종래 덕트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6과 도8은 동일한 높이의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교차시켜 설치할 때의 본 고안의 덕트와 종래 덕트가 차지하게 되는 높이 공간의 차이를 예시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uct height in applying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narrow ceiling internal space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duct of FIG. 6 and 8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space occupied by th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duct whe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of the same height are installed alternately.

먼저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덕트(1)를 설명하면, 급기덕트(1A)는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의 폭이 200MM(W1)이고 양측판(12)의 높이가 20MM(T1)이며, 하부 노출부(20)는 저판(21)의 폭이 200MM(W1)이고 양측판(22)의 높이가 65MM(T2)이므로, 급기덕트(1A)는 전체적으로 200MM(폭)×85MM(높이)의 덕트가 된다. Referring first to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6, the air supply duct (1A) is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200MM (W1) and the height of both side plates 12 20 mm (T1),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is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21 is 200MM (W1) and the height of both side plates 22 is 65MM (T2), the air supply duct (1A) is 200MM (width) as a whole It becomes duct of * 85MM (height).

그리고 교차점을 지나는 부분의 배기덕트(1B)의 높이(T3)를 60MM로 하면, 급기덕트(1A)와 배기덕트(1B)의 총 높이(T4)는 145MM가 되지만, 콘크리트(2)의 저면(3)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만의 높이(T5)는 콘크리트에 매설된 급기덕트(1A)의 상부 매설부(10)의 높이(20MM)를 제외한 125MM에 불과하게 된다. When the height T3 of the exhaust duct 1B of th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point is 60 mm, the total height T4 of the air supply duct 1A and the exhaust duct 1B is 145 mm,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2 The height T5 of only the portion exposed from 3) is only 125MM except the height (20MM)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of the air supply duct 1A embedded in concrete.

따라서 본 고안의 덕트에 의하면, 150MM 정도의 천정내부공간에 85MM 높이의 급기덕트(1A)와 60MM 높이의 배기덕트(1B)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duct 1A having a height of 85 mm and the exhaust duct 1B having a height of 60 mm can be sufficiently installed in the ceiling inner space of about 150 mm.

배기덕트(1B)에서 급기덕트(1A)의 바로 아래를 지나가는 부분은 구조적으로 콘크리트에 매설할 수 없는 부분으로서 상부 매설부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하부 노출부에 대응하는 구성만 가지도록 변형되어 있으며, 이때 배기덕트(1B)를 급기덕트(1A)의 하부 노출부(20)의 저판(21)에 예를 들어 피스로 조립함으로써 급기덕트(1B)의 하부 노출부(20)의 저판(21)을 배기덕트(1B)의 상면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portion of the exhaust duct 1B that passes directly below the air supply duct 1A is structurally incapable of being embedded in concrete and is modified to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xposed portion without including the upper buried portion. The duct 1B is assembled to the bottom plate 21 of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of the air supply duct 1A by a piece, for example, to exhaust the bottom plate 21 of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of the air supply duct 1B. It can also be used as a top surface of (1B).

도4와 도6에서 도면부호 9는 급기덕트(1A)의 하부 노출부(20)를 단열하기 위한 보온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보온재(9)는 하부 노출부(20)에만 적용하면 된다. In FIG. 4 and FIG. 6,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insulating the lower exposed part 20 of the air supply duct 1A. As shown,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9 only needs to be applied to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도7은 일정 규격으로 제공되는 단위 덕트(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클립(4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립(40)은 덕트(1)의 단면에 대응하는 홈(41)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홈(41)에 각각 덕트(1)를 삽입함으로써 2개의 덕트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FIG. 7 shows a clip 40 for mutually joining unit ducts 1 provided in some dimensions. The clip 40 has grooves 41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duct 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two ducts are interconnected by inserting the ducts 1 into the grooves 41, respectively.

이에 대비되는 종래의 덕트(100)를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6의 본 고안의 덕트와 마찬가지로, 급기덕트(100A)는 폭 200MM(W2), 높이(T6) 85MM이고, 배기덕트(100B)는 폭 200MM(W2), 높이 60MM(T7)이다. Referring to FIG. 8, a conventional duct 100 is provided. Similar to th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6, the air supply duct 100A has a width of 200 mm (W2) and a height (T6) of 85 mm, and the exhaust duct ( 100B) is 200MM in width (W2) and 60MM in height (T7).

그러나, 종래의 덕트(100)는 콘크리트(101)의 저면(102)에 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으로 일정 높이(예, 10MM: T8)의 공간이 생기는 것이 불가피하고, 급기덕트(100A)를 감싸는 보온재(103)가 일정 높이(예, 상하 10MM 씩 20MM: T9)를 차지하게 되며, 또한 덕트(100)를 천정 콘크리트(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행거(104)가 배기덕트(100B)의 아래로 노출되어 또 일정 높이(예, 20MM: T10)를 차지하게 되므로, 급기덕트(100A)와 배기덕트(100B)의 교차점에서 덕트(100)가 차지하는 높이는 총 195MM(T6+T7+T8+T9+T10)에 이르게 되므로, 150MM 내외의 천정내부공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45MM 이상 덕트(100)의 높이를 줄여야 하고, 결국 덕트가 납작해져서 풍량이 적어짐으로 본 고안의 덕트에 비하야 급배기 효율성이 낮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uct 100 is difficult to install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concrete 101, it is inevitable to create a space of a certain height (for example, 10MM: T8), and wrap the air supply duct (100A)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3 occupies a certain height (for example, 20MM: T9 of 10MM up and down), and a hanger 104 for fixing the duct 100 to the ceiling concrete 101 is provided below the exhaust duct 100B. Since it is exposed and occupies a certain height (for example, 20MM: T10), the height occupied by the duct 100 at the intersection of the air supply duct 100A and the exhaust duct 100B totals 195MM (T6 + T7 + T8 + T9 + T10). In order to be installed in the ceiling interior space of about 150MM, the height of the duct 100 or more must be reduced to 45MM, and eventually, the duct becomes flat and the air volume decreases, so the air supply and exhaust efficiency is low compared to the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덕트(1)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duc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의 덕트(1)는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로 분할 형성하는 한편 상부 매설부(10)를 바닥 슬라브 콘크리트에 매설함으로써, 협소한 천정내부공간에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덕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과 같이 천정내부공간이 협소한 환경에서 급배기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buried portion 10 and a lower exposed portion 20 which can be assembled to each other, while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embedded in the floor slab concrete, the interior of the narrow ceiling It is possible to form a relatively high duct in the spac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xhaust and exhaust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interior space of the ceiling, such as apartments or office buildings.

둘째, 종래의 덕트는 그 전체적인 구조가 완전하게 조립된 상태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므로 물류 단계에서 많은 체적을 차지하게 되지만, 본 고안의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설치가 완료되고 하부 노출부(20)는 길게 펼쳐진 패널 형상으로 운반하여 시공현장에서 U자 형으로 접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Second, the conventional duct is manufactured in a state where the entire structure is completely assembled and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occupies a large volume in the logistics stage, but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concrete When pouring, installation is completed, and the lower exposed part 20 can be transported in the form of a long unfolded panel to be folded in a U-shape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by saving logistics costs.

셋째, 본 고안의 덕트(1)는 상부 매설부(10)와 하부 노출부(20)가 조립식이므로 덕트의 시공 후에 필요에 따라 하부 노출부(20)를 분리하여 덕트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청소도 할 수 있다. Third, since the upper buried portion 10 and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is prefabricated,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inside of the duct by separating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as necessary after construction of the duct. can do.

넷째, 본 고안의 덕트(1)는 하부 노출부(20)가 조립식이므로, 급기구(8A)와 배기구(8B)가 구비된 하부 노출부(20)의 조립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Fourth, since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is a prefabricated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and exhaust ports are appropriately selec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provided with the air supply port 8A and the exhaust port 8B. The position of can be adjusted conveniently.

다섯째, 본 고안의 덕트(1)는 상기 상부 매설부(10)를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부가하여 상부 매설부(10)의 저판(11)을 주름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2)의 잠열과 급기의 열교환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the 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upper buried portion 10 by a high thermal conductivity metal plate, and additionally forms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by a corrugated plate, thereby providing concrete (2) Since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can be heated or cooled by the latent heat and heat exchange of the air suppl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energy required for heating and cooling.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상부 매설부의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emplary upper buried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반 매설형 환기덕트가 적용되는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to which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시공도, 5 is an exemplary construction diagram of a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반 매설형 환기덕트의 예시적인 사용상태도, 6 is an exemplary use state of the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클립의 사시 및 단면도, 7 is a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clip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종래 덕트의 사용상태도.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onventional duc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A: 1B: 본 고안의 덕트 2: 콘크리트 3: 콘크리트 저면1: 1A: 1B: Duct of the invention 2: Concrete 3: Concrete bottom

4: 거푸집 5: 스페이스 6: 철근4: form 5: space 6: rebar

7: 송풍기 8A: 급기구 8B: 배기구7: blower 8A: air supply 8B: exhaust port

9: 보온재 10: 상부 매설부 11: 상부 매설부의 저판9: Insulating material 10: Upper buried part 11: Bottom plate of upper buried part

12: 상부 매설부의 양측판 13, 13A: 제1 조립수단(홈)12: both side plates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3, 13A: first assembling means (groove)

14: 보강돌기 15: 이탈방지편 16: 고정판14: reinforcing protrusions 15: departure prevention piece 16: fixed plate

16A: 피스 20: 하부 노출부 21: 하부 노출부의 저판16A: piece 20: lower exposed part 21: bottom plate of lower exposed part

22: 하부 노출부의 양측판 23, 23A: 제2 조립수단(돌기)22: Both side plates of the lower exposed portion 23, 23A: second assembling means (protrusions)

30: 공기통로 40: 클립 41: 홈30: air passage 40: clip 41: groove

Claims (6)

저판(11)과 양측판(12)을 구비하여 하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12)에 제1 조립수단(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브 콘크리트(2)에 저면(3) 쪽으로 개방되게 매설되는 상부 매설부(10); 및 A bottom plate 11 and both side plates 12 are provided in a U-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and the first assembling means 13 are formed on both side plates 12, and the bottom surface (on the slab concrete 2) is formed. An upper buried portion 10 embedded to be open toward 3); And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대응하는 저판(21)과 양측판(22)을 구비하여 상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양측판(22)에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제1 조립수단(13)에 조립되는 제2 조립수단(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저면(3)으로부터 노출되는 하부 노출부(20);을 포함하고: A bottom plate 21 and both side plates 22 corresponding to the upper buried portion 10 are provided in a U-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the first buried portion 10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formed on both side plates 22. The second assembly means 23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means 13,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ex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3 of the slab concrete (2); and includes: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기 상부 매설부(10)에 상기 하부 노출부(20)를 조립함으로써 일부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에 매설된 상태로 상기 상부 매설부(10)와 상기 하부 노출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공기통로(3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By assembling the lower exposed portion 20 to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2,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and the lower portion are partially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2.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exposed portion 20 constitutes the air passage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수단(11)과 상기 제2 조립수단(21)은 탄성적으로 끼워맞춤되는 홈(13A)과 돌기(2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The semi-buried typ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ssembling means (11) and the second assembling means (21) consist of a groove (13A) and a protrusion (23B) that are elastically fitted. Ventilation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상기 저판(11)에는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The semi-embedded ventilator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rotrusion (14)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slab concrete (2).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상기 저판(11)의 연장선상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10)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편(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5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on piece 15 for preventing the upper buried portion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lab concrete 2 is provid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upper buried portion 10.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의 상기 양측판(12)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매설부(10)를 거푸집(4)에 피스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of the side plate 12 of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 fixing plate 16 for fastening the upper embedding portion 10 to the formwork 4 pieces Semi-embedded ventilation duc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설부(1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2)의 잠열과 급기의 열교환으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매설형 환기덕트.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buried portion 10 is formed of a metal plat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zed in that for heating or cooling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latent heat and the air supply of the slab concrete (2), Half buried ventilation duct.
KR20-2005-0010580U 2005-04-16 2005-04-16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KR2003885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80U KR200388531Y1 (en) 2005-04-16 2005-04-16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580U KR200388531Y1 (en) 2005-04-16 2005-04-16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710A Division KR100622153B1 (en) 2005-04-16 2005-04-16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531Y1 true KR200388531Y1 (en) 2005-06-29

Family

ID=4368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580U KR200388531Y1 (en) 2005-04-16 2005-04-16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53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0305C2 (en) Main shaft of services for radiant panel heating with forced air supply, and module, and building comprising it
US10041250B2 (en) Modular panel for thermal energy transfer
US20090249726A1 (en) Novel sustainable building model
KR100622153B1 (en)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88531Y1 (en) Semi-Laying Type Ventilation Duct
KR100878145B1 (en) Ceiling fixing tool for panel and ceiling panel assemb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066239B2 (en) Air hypocaust structure for cooling and/or heating
IE86668B1 (en) Structural panel and a building structure formed therefrom
KR100467536B1 (en) A floor system of access-floor type with an iron sheet and a glass-ondo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it
KR200351874Y1 (en) A fabricated hot-water heating system.
KR102005051B1 (en)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KR200201181Y1 (en) Heating device of indoor
EP2803777A1 (en) A formwork for pouring concrete floors or walls
KR100648225B1 (en) Rain screen system having adiabatic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RU2293823C2 (en) Building with forced-air heating
KR20160100773A (en)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assembly type wall unit
WO2021050014A1 (en) A prefabricated hybrid wall panel integrated with hydronic heating and cooling syste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118524B2 (en) Basement of the building
JP2003056068A (en) Building unit and building and method for executing unit building
KR100301524B1 (en) Insulation Boards for Heating Pipes_
KR20200111562A (en) borad assembly for heating
KR20050108807A (en) Structure of assembly hot-floored panels serving as a floor member
KR200165359Y1 (en) A panel for the under-floor heating system
KR20180066343A (en) Light Weight Partition structure
JP3432200B2 (en) Subfloor structure and floating jota enclosure for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