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493Y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93Y1
KR200388493Y1 KR20-2005-0008864U KR20050008864U KR200388493Y1 KR 200388493 Y1 KR200388493 Y1 KR 200388493Y1 KR 20050008864 U KR20050008864 U KR 20050008864U KR 200388493 Y1 KR200388493 Y1 KR 200388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member
module
camera module
slee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라인
Priority to KR20-2005-0008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카메라 모듈 본체(100)를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재(10)와; 원통형상의 슬리브부재(20)와; 상기 슬리브부재(20) 상단의 상기 모듈 수용부재(10)와 체결수단(31)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모듈 수용부재(10)가 결합된 상기 슬리브부재(20)가 소정의 높이로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케이스부재(40)와; 상기 케이스부재(40)의 하단부를 커버하는 캡부재(50); 및 상기 캡부재(50)의 축(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61)와 하부(62)의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는 서로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게 캠 프로파일(61a)(62a)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61)의 캠 프로파일(61a)에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슬리브부재(20)의 가이드 돌기(21)가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홀(61b)을 형성한 스토퍼부재(60)가 구비되도록 하여 손쉬운 조작과 저렴한 제작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고안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에서 누름 버튼식 조작에 의해 모듈 본체가 출몰되도록 하는 작동 구조의 간소화로 보다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토록 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나 PDA,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는 최근 그 본래의 기능 외에도 여러 가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부가적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최근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디지털 카메라이다.
이때의 카메라는 대부분이 내부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도록 하면서 렌즈 부분만이 보이도록 하여 이 렌즈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휴대용 기기로서 대표적인 휴대용 단말기 등에서는 케이스와 본체의 결합 부위에 카메라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수동으로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타입으로 구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대개 모듈 본체를 그 외측에서 감싸는 커버 내지는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고 있고, 이 커버 또는 케이스가 휴대용 기기에 직접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기기에 고정식으로 장착되고 있으므로 카메라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부위의 기기 자체를 움직여야만 하는 조작의 불편함이 있고, 또한 기기의 일측으로 카메라 모듈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한 구성에서는 자칫 카메라 모듈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식 누름 조작에 의해 모듈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출몰되도록 구비하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최대한 모듈 본체가 보호되도록 하고, 출몰 작동 구조의 간소화로 보다 경제적인 제작과 용이한 조립이 가능토록 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메라 모듈 본체를 수용하면서 일측의 주면 일부는 카메라 모듈 본체의 렌즈가 노출되도록 개방시킨 모듈 수용부재와; 상단부에는 상기 모듈 수용부재의 저면 외주연부가 밀착되고, 외주면은 상부보다 하부의 외경이 확장되게 단차지도록 하며, 외주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일측으로 소정의 두께로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측으로도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한 원통형상의 슬리브부재와; 상기 슬리브부재의 저부로부터 삽입되면서 상기 슬리브부재 상단의 상기 모듈 수용부재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슬리브부재로부터 상향 이탈 방지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모듈 수용부재가 결합된 상기 슬리브부재가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내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바깥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끼워져서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홀이 적어도 일측으로 형성되도록 한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하단부가 커버되게 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높이로 축을 형성한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와 하부로서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탄성수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외주면의 상호 마주보는 상기 상부와 하부의 단부간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게 하면서 서로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게 캠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의 캠 프로파일에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슬리브부재의 가이드 돌기가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한 스토퍼부재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모듈 수용부재(10)와 슬리브부재(20)와 고정부재(30)와 케이스부재(40)와 캡부재(50) 및 스토퍼부재(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모듈 수용부재(10)는 내부로 카메라 모듈 본체(100)를 수용하여 카메라 모듈 본체(100)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일측의 주면 일부는 카메라 모듈 본체(100)의 렌즈가 노출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슬리브부재(20)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형상이며, 외주면은 상부보다는 하부의 외경이 좀더 확장되게 하여 단차지도록 한 형상이고, 외주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일측으로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슬리브부재(20)에서의 가이드 돌기(21)는 외주면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게 하고, 동시에 돌출된 부위의 하단부는 다시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한 형상이며, 이와 같은 가이드 돌기(21)는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쪽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리브부재(20)는 전기한 모듈 수용부재(10)의 저면 외주연부가 상단부에 얹혀지도록 한다.
고정부재(30)는 관형상인 슬리브부재(20)의 저부로부터 삽입되면서 고정부재(30)의 상단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 슬리브부재(20)의 상단부측 내경에 걸려지게 하여 상향 이탈은 방지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슬리브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는 그 상측의 모듈 수용부재(10)의 저면과 면밀착되면서 모듈 수용부재(10)와는 스크류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31)에 의해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체결수단(31)에 의해서 슬리브부재(20)의 상단부에서 모듈 수용부재(10)와 고정부재(30)가 동시에 슬리브부재(2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슬리브부재(20)와 고정부재(30)의 서로 마주보는 주면간으로 일측에는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상기 돌기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슬리브부재(20)에서 모듈 수용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부재(40)는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모듈 수용부재(10)와 고정부재(30)가 결합된 슬리브부재(20)가 슬라이드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슬리브부재(20)는 외주면이 상부와 하부간 외경을 단차지게 형성하고 있고, 케이스부재(40)의 상단부도 슬리브부재(20)의 하부측 외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슬리브부재(20)가 케이스부재(40)에서 슬라이드 승강 시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케이스부재(40)에는 적어도 일측의 외주면으로 슬리브부재(20)의 바깥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21)가 끼워지면서 수직으로 승강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홀(41)이 형성되도록 한다.
가이드 홀(41)은 케이스부재(40)의 외주면에서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하되 가이드 홀(41)의 하단부는 일단 수평으로 절곡되었다가 하향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가이드 홀(41)에서의 가이드 돌기(21)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 홀(41)은 슬리브부재(20)의 가이드 돌기(21)가 일측으로만 형성되는 경우 당연히 외주면 일측으로만 형성되나 만일 가이드 돌기(21)가 반대쪽에도 형성되는 경우에는 케이스부재(40)의 외주면에도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캡부재(50)는 수직으로 관통된 형상인 케이스부재(40)의 하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캡부재(50)는 케이스부재(40)와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되게 할 수도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캡부재(50)에는 특히 상부면 중앙에 수직으로 축(51)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스토퍼부재(60)는 슬리브부재(20)의 하강 시 가이드 돌기(21)의 상승을 단속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스토퍼부재(60)는 크게 캡부재(50)의 축(51)에 축결합되는 상부(61)와 하부(62) 및 이들 상부(61)와 하부(62)를 고정부재(30)와의 사이에서 탄력 지지되게 하는 탄성수단(63)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부(61)와 하부(62)는 중심 부위가 일체로 결합되어 캡부재(50)의 축(51)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성이며, 특히 이들 상부(61)와 하부(62)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러한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61)의 상부면측 축(51)에는 멈춤 링 등의 이동방지수단(미도시)이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스토퍼부재(60)의 상부(61)와 하부(62)는 외측의 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테형상이고, 이들 마주보는 테형상의 단부간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단면이 동일하기는 하지만 미세한 각도로 어긋나게 한 산(山)형상의 요철면을 이루도록 하여 각각의 캠 프로파일(61a)(62a)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61)와 하부(62)의 외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단부간 이격 거리는 이들 사이로 슬리브부재(20)의 가이드 돌기(21) 중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지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산형상의 요철면은 일측의 경사각이 타측에 비해 보다 완만하면서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이들 캠 프로파일(61a)(62a) 중 상부(61)측 캠 프로파일(61a)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캠 프로파일(61a)이 형성된 외주연부를 수직으로 관통시켜 홀(61b)이 형성되도록 하되 이때의 홀(61b)은 슬리브부재(20)의 가이드 돌기(21)가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61)의 홀(61b)은 하부(62)의 캠 프로파일(62a) 중 제일 높은 위치로부터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는 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면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61)의 홀(61b)은 하부(62)에 형성되는 캠 프로파일(62a)의 산형상의 요철면에 1/2 갯수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스토퍼부재(60)의 상부(61)에서 상부면으로는 축(51)을 관통하는 홀보다는 큰 직경으로 소정의 깊이로 하향 요입되게 홈(61c)을 형성하여 이 홈(61c)과 이 상부(61)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고정부재(30)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63)이 구비되도록 하여 슬리브부재(20)가 항상 상부로 이동하려는 탄력을 받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 수용부재(10)와 슬리브부재(20) 및 고정부재(30)가 체결수단(31)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이들 결합 구성은 케이스부재(40)의 저부로부터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삽입되게 하며, 케이스부재(40)의 하단부에는 캡부재(50)가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케이스부재(40)의 저부를 커버하도록 조립한다.
이때 캡부재(50)의 축(51)에는 스토퍼부재(60)의 상호 결합된 상부(61)와 하부(62)가 축결합되고, 상부(61)와 케이스부재(40)의 내부에 이미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재(30)는 탄성수단(63)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은 카메라 모듈 본체(100)가 내장된 모듈 수용부재(20) 및 이 모듈 수용부재(20)와 함께 고정부재(30)를 동시에 결합하는 슬리브부재(20)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모듈 수용부재(20)는 상단부를 누르는 버튼 조작과 같은 방식에 의해서 출몰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케이스부재(40)에서 내부의 탄성수단(63)에 의해 슬리브부재(20)가 상승되게 하여 슬리브부재(20)의 단차진 외경 부위가 케이스부재(40)의 상단부에서 걸려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슬리브부재(20)를 최대한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그 상부에 구비되는 모듈 수용부재(10)는 전체가 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모듈 수용부재(10)의 일측으로 개방된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본체(100)의 렌즈를 통해 촬영을 하게 된다.
촬영이 끝나면 다시 모듈 수용부재(10)의 상단부를 눌러 슬리브부재(20)가 최대한 하강하도록 한다.
슬리브부재(20)가 하강 시 슬리브부재(20)의 하단부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21)가 케이스부재(40)의 주면에 형성한 가이드 홀(41)을 따라 수직의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슬리브부재(20)가 수직으로 하강하면 가이드 돌기(21)가 스토퍼부재(60)의 상부(61)측 외주연부에 형성한 캠 프로파일(61a)과 만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 돌기(21)가 도 4에서와 같이 캠 프로파일(61a)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홀(61b)와 정확히 동일 수직선상에서 만나게 되면 가이드 돌기(21)는 상부(61)의 캠 프로파일(61a)을 그냥 지나 하부(62)의 캠 프로파일(62a)과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만일 가이드 돌기(21)가 상부(61)의 홀(61b)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있지 않게 되면 가이드 돌기(21)는 상부(61)측 캠 프로파일(61a)의 경사진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더욱 모듈 수용부재(1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부재(60)가 회전하면서 가이드 돌기(21)가 홀(61b)이 형성되어있는 부위로 이동하게 되어 계속적으로 모듈 수용부재(10)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도 5a에서와 같이 가이드 돌기(21)를 하부(62)의 캠 프로파일(62a)과 접촉되도록 한다.
하부(62)의 캠 프로파일(62a)에 접촉되는 가이드 돌기(21)는 캠 프로파일(62a)의 경사면 상부에 위치되므로 모듈 수용부재(10)를 계속 누르게 되면 상부(61)와 하부(62)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급기야 더 이상 모듈 수용부재(10)가 눌려지지 않게 되면 가이드 돌기(21)는 도 5b에서와 같이 하부(62)의 캠 프로파일(62a)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 있게 되며, 이때 모듈 수용부재(10)를 누르던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모듈 수용부재(10)는 탄성수단(63)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 압력을 갖게 된다.
모듈 수용부재(10)의 상승 시 슬리브부재(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의 상승 압력에 의해 도 5c에서와 같이 상부(51)의 캠 프로파일(5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51)와 함께 하부(52)를 미세한 각도로 회전시킨다.
한편 가이드 돌기(21)가 상부(51)측 프로파일(51a)의 하부면을 타고 미세하게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승 이동은 도 5d에서와 같이 상승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슬리브부재(20)는 거의 최대한 하강한 상태가 되므로 도 3의 실선으로 이동한 상태와 같이 모듈 수용부재(10)가 케이스부재(40)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면서 모듈 수용부재(10) 내부의 카메라 모듈 본체(10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 촬영을 하고자 하면 다시 모듈 수용부재(10)의 상단부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즉 모듈 수용부재(10)의 상단부를 누르면 슬리브부재(20)의 가이드 돌기(21)는 도 5d의 위치에서 하부(62)측 캠 프로파일(62a)의 상부면에 도 6a에서와 같이 하강하게 되고, 캠 프로파일(62a)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누르는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게 되면 하부(62)와 함께 상부(61)가 회전하면서 도 6b의 위치로 가이드 돌기(21)가 이동한다.
도 6b의 위치에서 모듈 수용부재(1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므로 누르던 압력을 제거시키게 되면 탄성수단(63)의 탄발력에 의해 가이드 돌기(21)는 수직 이동하여 상부(61)측 캠 프로파일(61a)의 저면에 도 6c에서와 같이 접촉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21)가 접촉되는 상부(61)측 캠 프로파일(61a)은 상향 경사지는 면의 하부측에서 접촉되므로 탄성수단(63)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61)측 캠 프로파일(61a)을 상부로 압력을 가하여 상부(61)와 함께 하부(62)가 미세하게 회전하도록 하고, 이러한 상부(61)의 회전에 의해 캠 프로파일(61a)의 경사면을 타고 가이드 돌기(21)가 상승하여 결국 경사면 끝의 홀(61b)이 형성되는 부위에 도 6d에서와 같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21)가 홀(61b) 형성 부위에 위치되면 도 6e에서와 같이 가이드 돌기(21)의 수직 상승력을 저지할 어떠한 구성도 없게 되므로 탄성수단(63)의 탄발력에 의해 슬리브부재(20)가 케이스부재(40)와 단차 결합되는 부위에 도달하기까지 도 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형상과 같이 상승되어 모듈 수용부재(10)가 상향 돌출되도록 한다.
모듈 수용부재(10)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모듈 수용부재(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에 출몰식으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도록 하면서 이들 작동 구성을 대폭적으로 간소화하는 동시에 기기에의 용이한 장착과 편리한 사용 및 카메라 모듈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보다 경제적인 제작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부재의 가이드 돌기와 스토퍼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의 모듈 수용부재가 케이스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의 모듈 수용부재를 케이스부재로부터 인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듈 수용부재
20 : 슬리브부재
21 : 가이드 돌기
30 : 고정부재
40 : 케이스부재
50 : 캡부재
60 : 스토퍼부재
61a : 상부 캠 프로파일
62a : 하부 캠 프로파일
63 : 탄성수단

Claims (2)

  1. 카메라 모듈 본체(100)를 수용하면서 일측의 주면 일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본체(100)의 렌즈가 노출되도록 개방시킨 모듈 수용부재(10)와;
    상단부에는 상기 모듈 수용부재(10)의 저면 외주연부가 밀착되고, 외주면은 상부보다 하부의 외경이 확장되게 단차지도록 하며, 외주면 하단부에는 적어도 일측으로 소정의 두께로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측으로도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게 가이드 돌기(21)가 형성되도록 한 원통형상의 슬리브부재(20)와;
    상기 슬리브부재(20)의 저부로부터 삽입되면서 상기 슬리브부재(20) 상단의 상기 모듈 수용부재(10)와 체결수단(31)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슬리브부재(20)로부터 상향 이탈 방지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30)와;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모듈 수용부재(10)가 결합된 상기 슬리브부재(20)가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내부에서 소정의 높이로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슬리브부재(20)의 바깥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21)가 끼워져서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홀(41)이 적어도 일측으로 형성되도록 한 케이스부재(40)와;
    상기 케이스부재(40)의 하단부가 커버되게 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소정의 높이로 축(51)을 형성한 캡부재(50); 및
    상기 캡부재(50)의 축(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61)와 하부(62)로서 이루어지고, 상부(61)는 상기 고정부재(30)와 탄성수단(63)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외주면의 상호 마주보는 상기 상부(61)와 하부(62)의 단부간은 소정의 간극으로 이격되게 하면서 서로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게 캠 프로파일(61a)(62a)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61)의 캠 프로파일(61a)에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슬리브부재(20)의 가이드 돌기(21)가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홀(61b)을 형성한 스토퍼부재(6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서로 마주보는 주면간으로는 일측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상기 돌기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모듈 수용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KR20-2005-0008864U 2005-03-31 2005-03-31 카메라 모듈 KR200388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64U KR200388493Y1 (ko) 2005-03-31 2005-03-31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64U KR200388493Y1 (ko) 2005-03-31 2005-03-31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93Y1 true KR200388493Y1 (ko) 2005-06-29

Family

ID=4368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64U KR200388493Y1 (ko) 2005-03-31 2005-03-3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4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752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US20170154740A1 (en) Push-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7468850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99833B2 (en) Washer for hinge assembly
US11405710B2 (en) Earphone case
TWI253660B (en) Switch device
US20050220453A1 (en) Camera module
US20100321868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53375B2 (en) Battery charger with retractable contacts
KR200388493Y1 (ko) 카메라 모듈
US8402607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58466A (ko) 카메라 모듈
KR100473825B1 (ko) 힌지장치
KR20170131320A (ko) 카메라 모듈
US8341805B2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952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845220B1 (ko) 스윙 힌지 장치
US20190067654A1 (en) Battery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and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32179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0389764Y1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드 조립체
KR100678768B1 (ko) 슬라이딩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기
KR20010092850A (ko) 힌지 장치
KR100714517B1 (ko) 카메라 렌즈커버의 자동개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48999B1 (ko)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031599B1 (ko) 스윙타입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