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41Y1 -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 Google Patents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41Y1
KR200388341Y1 KR20-2005-0008073U KR20050008073U KR200388341Y1 KR 200388341 Y1 KR200388341 Y1 KR 200388341Y1 KR 20050008073 U KR20050008073 U KR 20050008073U KR 200388341 Y1 KR200388341 Y1 KR 200388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ood
combustion cylinde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무
Original Assignee
김근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무 filed Critical 김근무
Priority to KR20-2005-0008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등유나 가스에 비해 열량이 낮은 목재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난방 효과 및 온수 사용을 가능하게 한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열효율을 증대시켜 큰 용량의 탱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 효율 향상 및 온수 사용량 증대를 이룰 수 있는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재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1)가 설치되고 상면이 개방된 연소통(2)과, 상기한 연소통(2)이 내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통(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이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제1탱크(3)와, 상기한 제1탱크(3)의 외부에 단열재(4)가 충진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 커버(5)와, 상기한 제1탱크(3) 및 연소통(2)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방된 제1탱크(3) 및 연소통(2)의 상면과 결합된 원통형의 제2탱크(6)와, 상기한 제2탱크(6)의 외부를 단열재(7)가 충진되도록 공간을 이루면서 감싸는 상부 커버(8)와, 상기한 연소통(2)에서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제2탱크(6)의 물을 가열하도록 설치된 배기관(9)과, 상기한 제1탱크(3)의 가열된 물을 사용 시 제2탱크(6)의 물이 제1탱크(3)로 보충되도록 설치된 연결관(10) 및 제2탱크(6)에 수돗물등을 보충하는 보충수관(11)과, 상기한 제1탱크(3)의 가열된 물을 난방용 및 온수용으로 사용하도록 설치된 펌프(P) 및 배관(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BOILER THAT IS USED WOOD FOR FUEL}
본 고안은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등유나 가스에 비해 열량이 낮은 목재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난방 효과 및 온수 사용을 가능하게 한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 온수등을 생산할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보일러에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등유 보일러, 가스 보일러등이 있는 바, 연료비의 절감을 위해 목재를 사용하는 보일러(소위 화목 보일러)도 사용되고 있다.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바, 이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를 투입하여 연소시키기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도어(50)가 설치된 연소통(51)과, 상기한 연소통(51)의 상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물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탱크(52)와, 상기한 탱크(52)의 온수를 보온하려고 하는 방으로 순환시키는 배관(53) 및 펌프(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재의 연소가 끝난후에 자동적으로 기름 또는 가스보일러(A)를 작동시켜 보온을 하도록 기름 보일러(A)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목재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난방 또는 온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보일러를 작동시키려고 하면, 상기한 탱크(52)에 물을 충분히 보충시킨 후, 상기한 연소통(51)의 도어(50)를 열게 된다.
연소통(51)의 도어(50)를 열은 후 그 내부에 일정량의 목재를 투입시킴과 아울러 여기에 불을 붙이게 되는 바, 연소통(51) 내부에서 목재가 타게 되면 연소통(51)을 가열하게 되고, 상기한 연소통(51)과 연결된 탱크(52)를 가열하게 된다.
탱크(52)가 가열되면 그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물이 일정 온도로 가열되는 바, 상기한 물이 배관(53)을 타고 방을 순환하면서 난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온수를 별도의 온수 배관을 통해 쓸 수 있게 되어 따뜻한 물을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목재를 태우지 않아도 물이 이미 가열되어 일정 온도 이상이 되기 때문에, 상기한 물을 순환시키면 밤에도 방의 난방이 가능하게 되고, 물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낮아지면 기름 또는 가스 보일러(A)를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단지 연소통위에 안착시킨 상태로 보일러를 제작하게 되면, 상기한 연소통에서 발생된 열이 탱크로 전열되는 효율이 매우 낮아서 난방 효율 저하 및 온수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도 2000리터 정도로 매우 작아서 온수를 풍부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연소통에서 탱크의 물을 가열하는 효율이 낮기 때문에, 많은 용량의 물을 가열하기가 어려워서 필연적으로 작은 용량의 탱크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난방 및 온수를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열효율을 증대시켜 큰 용량의 탱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 효율 향상 및 온수 사용량 증대를 이룰 수 있는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한 목재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연소통과, 상기한 연소통이 내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통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이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제1탱크와, 상기한 제1탱크의 외부에 단열재가 충진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 커버와, 상기한 제1탱크 및 연소통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방된 제1탱크 및 연소통의 상면과 결합된 원통형의 제2탱크와, 상기한 제2탱크의 외부를 단열재가 충진되도록 공간을 이루면서 감싸는 상부 커버와, 상기한 연소통에서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제2탱크의 물을 가열하도록 설치된 배기관과, 상기한 제1탱크의 가열된 물을 사용 시 제2탱크의 물이 제1탱크로 보충되도록 설치된 연결관 및 제2탱크에 수돗물등을 보충하는 보충수관과, 상기한 제1탱크의 가열된 물을 난방용 및 온수용으로 사용하도록 설치된 펌프 및 배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목재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도어(1)가 설치된 연소통(2)과, 상기한 연소통(2)이 내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통(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이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제1탱크(3)와, 상기한 제1탱크(3)의 외부에 유리섬유등과 같은 단열재(4)가 충진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 커버(5)와, 상기한 제1탱크(3)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방된 연소통(2)의 상면과 용접등으로 결합되어 열전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제2탱크(6)와, 상기한 제2탱크(6)의 외부를 단열재(7)가 충진되도록 공간을 이루면서 감싸는 상부 커버(8)와, 상기한 연소통(2)에서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2탱크(6)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관(9)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한 제2탱크(6)는 연소통(2) 및 제1탱크(3)의 상면에 용접등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제1, 2탱크(3, 6)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물이 서로 순환되도록 연결관(1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제1탱크(3)는 연소통(2)의 4면을 통해 열이 전달되면서 매우 급속하게 가열되고, 제2탱크(6)는 연소통(2)의 상면으로 전달된 열이 비교적 천천히 물을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제1탱크(3)의 물이 난방 및 온수로 사용되고 사용된 양만큼 일정 온도로 가열된 제2탱크(6)의 물이 제1탱크(3)로 유입되어 보충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제1탱크(3)의 배면에는 일반적인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온수를 방 또는 수도꼭지로 순환시키는 다수의 순환 밸브 및 배관(B)과 펌프(P)가 설치되어 있고, 제2탱크(6)에 수돗물등을 보충하도록 보충수관(11)이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제1, 2탱크(3, 6) 및 연소통(2)은 녹이 슬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면 수명이 오래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난방 또는 온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연소통(2)의 도어(1)를 열고 그 내부에 일정량의 목재를 투입한 후 불을 붙이게 된다.
연소통(2) 내부의 목재에 불이 붙게 되면 1차적으로 연소통(2)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제1, 2탱크(3, 6)에는 물이 충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 2탱크(3, 6)에 충진되어 있는 물이 가열된다.
특히, 상기한 제1탱크(3)에 충진되어 있는 물은 연소통(2)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으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가열되어 빠른 시간에 난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보일러와 달리 열이 발생되는 부분의 전체에서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목재를 연료로 하여 열량이 작지만 매우 효과적으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탱크(3)의 물이 급속하게 가열되면 이는 난방을 위해 배관(B)을 타고 방으로 순환되는 바, 이 상태에서 온수를 쓰려면 온수 수도꼭지를 틀면 쉽게 더운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1탱크(3)에서 난방 및 온수로 더운물이 배출되면, 연결관(10)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탱크(6)의 물이 제1탱크(3)로 내려와서 다시 제1탱크(3)의 물을 보충하게 되는 바, 상기한 제2탱크(6)의 물은 일정 온도로 가열되어 있기 상태이기 때문에 제1탱크(3)의 물이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제1탱크(3)의 물이 소정 온도를 유지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온수를 사용하여도 급격하게 냉수가 나오지는 않게 됨으로써, 온수 사용 가능량이 매우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연소통(2)에 연결되고 제2탱크(6)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관(9)이 제2탱크(6)에 충진된 물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연소통(2)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거의 낭비되지 않고 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되어 가열효율이 매우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2탱크(6)는 4000리터의 용량을 갖고 있는 바, 제2탱크(6)의 물이 제1탱크(3)를 순환/가열되면서 난방 및 온수로 사용되면 대략 50평 정도의 난방 및 온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이 대용량의 물을 난방 및 온수용으로 즉각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상기한 제1, 2탱크(3, 6)의 열효율 및 온수의 순환에 의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상부 커버(8)와 하부 커버(5)의 내측에 단열재(4, 7)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저녁등과 같은 시간에 목재를 연소시키지 않아도 더운물이 쉽게 식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난방을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가열 면적을 극대화시킨 제1탱크 및 미리 일정온도로 가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탱크로 보충되는 제2탱크에 의해 매우 장시간동안 난방을 지속할 수 있고 온수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배관 연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일반적인 보일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5는 도4의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어 2: 연소통
3: 제1탱크 4, 7: 단열재
5: 하부커버 6: 제2탱크
8: 상부커버 9: 배기관
10: 연결관 11: 보충수관
P: 펌프 B: 배관

Claims (1)

  1. 목재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연소통과, 상기한 연소통이 내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통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물이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제1탱크와, 상기한 제1탱크의 외부에 단열재가 충진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 커버와, 상기한 제1탱크 및 연소통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방된 제1탱크 및 연소통의 상면과 결합된 원통형의 제2탱크와, 상기한 제2탱크의 외부를 단열재가 충진되도록 공간을 이루면서 감싸는 상부 커버와, 상기한 연소통에서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제2탱크의 물을 가열하도록 설치된 배기관과, 상기한 제1탱크의 가열된 물을 사용 시 제2탱크의 물이 제1탱크로 보충되도록 설치된 연결관 및 제2탱크에 수돗물등을 보충하는 보충수관과, 상기한 제1탱크의 가열된 물을 난방용 및 온수용으로 사용하도록 설치된 펌프 및 배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KR20-2005-0008073U 2005-03-24 2005-03-24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KR200388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73U KR200388341Y1 (ko) 2005-03-24 2005-03-24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73U KR200388341Y1 (ko) 2005-03-24 2005-03-24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41Y1 true KR200388341Y1 (ko) 2005-06-30

Family

ID=4368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73U KR200388341Y1 (ko) 2005-03-24 2005-03-24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600Y1 (ko) 화목 보일러
KR100846142B1 (ko) 화목보일러
KR200388341Y1 (ko) 목재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
KR101500537B1 (ko) 개선된 구조의 보일러
KR100828106B1 (ko) 고체연료 연소식 보일러
KR200202452Y1 (ko) 다목적 온수보일러
KR200338925Y1 (ko) 화목 및 갈탄 보일러
JP5858555B1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KR20080094984A (ko) 이중관 파이프를 이용한 스팀 보일러
KR102445408B1 (ko) 복합연료 보일러
KR200325395Y1 (ko) 보일러
CN209130995U (zh) 一种节能暖气炉
KR100486145B1 (ko) 수직형 복합보일러
KR20020088115A (ko) 보일러
KR200325394Y1 (ko) 보일러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100277484B1 (ko) 히팅가스 기포에 의한 열교환식 보일러
KR100866397B1 (ko) 다목적 보일러
KR20110002137A (ko) 진공 보온 장치
KR100282186B1 (ko) 이중 가열 나무 보일러
KR101045581B1 (ko) 난로 겸용 보일러
KR200388639Y1 (ko) 거꾸로 타는 숯가마 나무 보일러
KR200299288Y1 (ko) 온수보일러용 가열수조
CN201093741Y (zh) 超导负压真空相变锅炉
CN101089506A (zh) 超导负压真空相变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