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38Y1 -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 Google Patents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38Y1
KR200388338Y1 KR20-2005-0007948U KR20050007948U KR200388338Y1 KR 200388338 Y1 KR200388338 Y1 KR 200388338Y1 KR 20050007948 U KR20050007948 U KR 20050007948U KR 200388338 Y1 KR200388338 Y1 KR 200388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headrest
seat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94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영
주원석
Original Assignee
김해영
주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영, 주원석 filed Critical 김해영
Priority to KR20-2005-0007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3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을 갖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 및 상기 팔안착부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 rest, and more particularly,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hip is seated; A backrest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A support part formed under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and the backrest unit integrally; A pair of armrest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A headrest part coupled to a part of the backrest part to support the head; It relates to a leg-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eck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to support the neck.

Description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Legless chair with functional armrest and neck rest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일반적으로 좌식의자는 크게 지지부, 착석부,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로 구성되며, 좌석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착석부의 내부에 일정 쿠션재를 삽입하여 쿠션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등받이부를 인체의 척추라인과 흡사하게 설계하여 장시간 좌석하여 작업을 하더라도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설계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legless chair is composed of a support part, a seating part, a back part, and an armrest part, and provides a cushion function by inserting a certain cushioning material into the seating part to provide comfort when sea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 part is similar to the spinal line of the human body. It is designed so that even if you work for a long time, the human body is designed so that it does not overdo it.

그러나, 종래의 팔걸이부는 의자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특히 손목이 수용되는 부분이 인체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에 많은 피로를 초래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armrest is a fixed type that is fixed to a part of the chair is a main portion, in particular, since the part that accommodates the wrist is not deformed to fit the body and the user's body shape, a lot of fatigue when working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Caused.

또한, 의자에 착석하여 단시간 휴식을 취하거나 피로를 해소하기 위해 등받이부에 몸을 기대는 경우를 대비하여 종래 의자에도 별도의 머리받침부가 구비되었으나, 종래의 머리받침부는 일반적으로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형과 상황에 맞추어 높낮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을 제공하였고, 또한 인체의 피로가 집중하는 목 부분을 안락하게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피로회복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itting on the chair to rest for a short time or to lean on the backrest in order to relieve fatigue, the conventional chair was equipped with a separate headrest, but the conventional headrest is generally fixed It provides the inconvenience that the height cannot be adjusted properl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and situation, and there is no separate part that can comfortably accommodate the neck part where the body's fatigue is concentrated. I didn't give it.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가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edentary chair having a new structure and func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conveniences.

본 고안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을 갖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 및 상기 팔안착부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를 구비한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개선된 좌식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buttocks are seated; A backrest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A support part formed under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and the backrest unit integrally; A pair of armrest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A headrest part coupled to a part of the backrest part to support the hea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leg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provided with;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팔안착부에 구비된 원형축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공홈에 삽설되어 상기 원형축의 결속홈과 상기 중공홈의 회전결속구에 의해 상기 팔안착부가 수평으로 일정각도 회전되는 기능성 좌식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ircular shaft provided in the arm sea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roove of the fixed frame and the arm seat portion horizontally by an angle of the binding groove of the circular shaft and the rotational groove of the hollow groove. To provide a functional seating chair that is rotated.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부에 목을 안락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과 결합하는 볼록부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단이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형성되는 별도의 목받침부가 구비되는 기능성 좌식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projecting forward, so as to comfortably accommodate the neck in a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To provide a functional seating chair provided with a separate neck support formed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부에 별도의 상하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머리받침부가 상하로 조절되어, 상기 목받침부가 결합된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과 상황에 맞게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목받침부가 결합된 머리받침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기능성 좌식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shankdong means to a portion of the headrest, the headrest is adjusted up and down, the height of the headrest coupled to the neckrest part of the user's body shape and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seat chair capable of being appropriately adjusted to fit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selectively detach and attach the headrest portion to which the neck rest portion is coupl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을 갖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 및 상기 팔안착부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seat is seated seated; A backrest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A support part formed under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and the backrest unit integrally; A pair of armrest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A headrest part coupled to a part of the backrest part to support the head; And a legrest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portion and a neckrest portion, comprising: a neckrest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to support the neck.

여기서, 상기 팔안착부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굴곡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중간부 양측에 일정한 크기의 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전방부의 말단은 상기 팔안착부의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손목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se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 jaw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the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sea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so as to comfortably support the wrist.

또한, 상기 팔안착부의 후방부의 말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삽설되는 원형축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속홈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arm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haf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shaf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of a predetermined shape.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축이 삽설되는 중공홈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홈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회전결속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결속구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삽설된 탄성부재에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홈과 결속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frame is provided with a hollow groove in which the circular shaft is inserted,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gro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inding sphere, one end of the rotary binding spher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It is more preferably fixed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is bound to the binding groove.

또한, 상기 목받침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과 결합하는 볼록부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단은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eck rest portion is composed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protruding forward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 restraint portion, it is even more preferable that both ends are formed to be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ownward.

한편,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다수의 걸림홈을 갖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등받이패널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재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록킹부재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eanwhile, at least one loc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and a locking memb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ckrest panel of the backrest portion to lock the locking member, and the headrest is seated. It is more preferable to b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locking member to fit the body shape of the ruler.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의 중앙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측 등받이부와 우측 등받이부로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the backrest part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separated into the left backrest part and the right backrest part.

한편,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고정·결합된 지지부재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은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일정한 굴곡을 이루고, 상기 등받이부의 등받이패널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패널의 상부 양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수용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결합부재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member fix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restraint is formed horizontally,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to form a constant b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backrest panel of the backrest part of the backrest part It is formed along both sides, the upper end of the back support panel is formed with a coupling member for receiving and coupling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the headrest is further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coupling member to fit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desirable.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의 후면 중앙부에 상기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체결바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상부에 상기 체결바와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등받이부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or more fastening bar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d restraint portion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ck portion, and one or more fastening holes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a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thereby supporting the head restraint. More preferably, it is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backrest to fit the body of the additional seated person.

아울러, 상기 등받이부의 중앙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측 등받이부와 우측 등받이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의 후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갖는 걸림부재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몸체를 타고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부재가 상기 머리받침부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걸림부재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backrest portion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into a left backrest portion and a right backrest portion, the loc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on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ortion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ovable member movable up and down on the body is formed at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and the headrest portion is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locking member to fit the body shape of the seated person.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의 종방향 절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전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걸림부재의 몸체길이에 해당하는 만큼만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Here, the longitudinal cutting of the backrest portion is more preferably made of the entire backrest portion or only as much as the body length of the locking memb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10); 상기 착석부(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150)을 갖는 좌·우측 등받이부(30a,30b); 상기 착석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10) 및 상기 등받이부(30a,30b)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50); 상기 착석부(10)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110) 및 상기 팔안착부(110)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130)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100); 상기 등받이부(30a,30b)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70);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310);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30a,30b)의 후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390)을 갖는 걸림부재(370);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된 이동부재(4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rst, Figures 1 to 4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ront, side, plane and operating state of the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100 and the neckres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a state diagram of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10 is seated seated; Left and right backrest parts 30a and 30b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10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150; A support part 50 formed below the seating part 10 to integrally support the seating part 10 and the backrest part 30a, 30b; A pair of armrest portions 1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110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130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110; A headrest portion 170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s 30a and 30b to support the head; A neck support part 310 coupled 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ead support part 170 to support the neck; A catching member 370 having a plurality of catching grooves 390 form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ortions 30a and 30b; Front view of an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portion 100 and neckrest portion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oving member 470 formed in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170 , Side view, top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chematically.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좌식의자는 상기 등받이부(30a,30b)가 비교적 길게 구성되므로 상기 등받이부(30a,30b)의 중앙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측 등받이부(30a)와 우측 등받이부(30b)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30a,30b)의 후면에 다수의 걸림홈(390)을 갖는 걸림부재(370)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370)의 몸체를 타고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부재(470)가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70)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걸림부재(370)를 따라 상·하 조절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al sea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1 to 4 has a relatively long backrest portion 30a, 30b, so that the center of the backrest portion 30a, 30b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ft backrest portion. 30a and the right backrest part 30b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locking member 370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90 on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arts 30a and 30b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 movable member 470 that is movable up and down on the body of the locking member 370 is formed at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170, so that the headrest portion 170 fits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It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member 370.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37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걸림홈(390)이 일정한 간격으로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30a,30b)의 후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30a,30b)에 그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cking member 3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90 in the body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the figur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arts (30a, 30b) Both ends are preferably fixed to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arts 30a and 30b, respectively.

또한, 상기 이동부재(470)의 일단은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후면 중앙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370)의 몸체를 감싸고 있도록 구성되며, 그 타단 일측에 구비된 버튼(490)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370)의 몸체를 타고 상기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470 is coupled to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headrest 170,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body of the locking member 370, the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ther end (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rest portion 170 to which the neck rest portion 310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locking member 370 by 49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도 4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기능성 좌식의자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 평면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가 일정길이만큼 상부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unctional seated 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drest portion 170 to which the neckrest portion 310 is coupled is raise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shows the state.

아울러,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30a,30b)를 완전하게 분리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이동부재(470)를 구비한 머리받침부(1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요홈을 상기 등받이부(30)의 상부 중앙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재(370)를 그 사이에 형성하면 동일한 작용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backrest portion (30a, 30b) as shown in Figures 1 to 4 is not completely separated, the headrest portion 170 having the moving member 470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If th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backrest portion 30, and the locking member 370 is formed therebetween, the same action and function can be performed.

즉,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30)의 종방향 절단은 상기 걸림부재(370)의 몸체길이에 해당하는 만큼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등받이부(30)를 전체적으로 절단하지 않고, 도 16과 같이 상기 이동부재(470)를 구비한 머리받침부(170)가 상기 걸림부재(370)를 따라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일정한 길이만큼, 즉 상기 걸림부재(370)의 몸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만 절단하여도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longitudinal cutting of the backrest part 3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body length of the locking member 370. Without cutting the back portion 30 as a whole, as shown in FIG. 16, the headrest portion 170 having the movable member 470 is movable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cking member 370. This is because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can be obtained by cutting only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dy of the locking member 370.

이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30)의 종방향 절단은 상기 등받이부(30)의 전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걸림부재(370)의 몸체길이에 해당하는 만큼만 이루어져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uch, the longitudinal cutting of the backrest part 30 may be made of the whole of the backrest part 30 or made of only the body length of the locking member 370.

한편, 도 5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기능성 팔걸이부(100)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팔안착부(110)와 상기 고정프레임(130)이 상기 원형축(210)의 결속홈(230)과 상기 중공홈(250)의 회전결속구(27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팔안착부(110)를 수평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구성을 확대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functional armrest portion 100 as seen in AA of Figure 1,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5 the arm seat 110 and the fixed frame 130 is coupled by the binding groove 230 of the circular shaft 210 and the rotary binding hole 270 of the hollow groove 250 to rotate the arm seat 110 horizontally by an angle. It is an enlarged partial cross section.

먼저, 상기 팔걸이부(100)는 크게 상기 팔안착부(110)와 상기 고정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팔안착부(110)의 상부면, 즉 착석자의 손과 팔이 놓이는 팔안착부(110)의 상부면에는 사람의 인체에 따라 설계된 일정한 굴곡을 갖는 수용홈(19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90)의 중간부의 양측에 일정한 크기의 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전방부의 말단은 상기 팔안착부(110)의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손목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First, the armrest part 100 is largely made of the arm seat 110 and the fixing frame 130,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seat 110, that is, the arm seat seating the hands and arms of the seated person The upper surface of the 1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90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designed according to the human body, a jaw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90, the front of the receiving groove The end of the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seat 110 to support the wrist comfortably.

여기서, 상기 전방부의 말단을 상기 팔안착부(110)의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지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전방부의 말단에 놓이는 좌석자의 손목과 손목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고 최대한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front end is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seat 110 is to provide maximum comfort without straining the wrist and wrist joint of the seated on the front end.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팔안착부(110)의 후방부의 말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설되는 원형축(210)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축(210)의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속홈(2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축(210)이 삽설되는 중공홈(250)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홈(250)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회전결속구(2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결속구(270)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내부에 삽설된 탄성부재(290)에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홈(230)과 결속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rear end of the arm seat 11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haft 210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xed frame 130,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shaft 210 A plurality of binding grooves 23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further provide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frame 130 is provided with a hollow groove 250 in which the circular shaft 210 is inserted, the hollow groove 250 A plurality of rotary binding holes 270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one end of the rotary binding hole 270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90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1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figured to bind with the binding groove 230.

여기서, 상기 원형축(210)의 결속홈(230)이나 회전결속구(270)의 형상은 반드시 도 5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외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shape of the binding groove 230 or the rotary binding sphere 270 of the circular shaft 210 is not necessarily made of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5, it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having a resistance to a certain external force Of course.

또한, 상기 탄성부재(29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290 may be configured as an elastic spring, as shown in Figure 5, but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may be composed of other elastic material that can provide a certain elastic force.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팔안착부(110)의 원형축(210)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중공홈(250)의 회전결속구(270)에 구름접촉을 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30)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회전을 하게 되어 착석자의 체형과 상황에 맞추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15, when a constant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ircular shaft 210 of the arm seating unit 110, the rolling contact hole 270 of the hollow groove 2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loud. Constant rotation based on the fixed frame 130 can be conveniently used according to the body type and situation of the seated pers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의 정면, 측면, 평면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로서, 더욱 상세하게 상기 목받침부(310)는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전면과 결합하는 볼록부(330)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부(350)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350)의 양단은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a to 6c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side, and planar states of the headrest portion 170 to which the neckrest portion 310 is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detail the neck The supporting portion 310 is composed of a convex portion 33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drest portion 170 and a concave portion 350 protruding forward,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35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ownward It is preferable to form inclined.

구체적으로, 상기 목받침부(310)의 볼록부(330)의 일부는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목받침부(310)의 오목부(350)의 양단은 전방으로 돌출되며, 동시에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 part of the convex portion 330 of the neck support portion 310 is coupled to the lower front of the headrest portion 170, both ends of the recess 350 of the neck support portion 310 is the fron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목받침부(310)는 쿠션기능이 탁월한 폴리우레탄 발포폼이나 라텍스, 형상기억합금소재 등으로 생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eckrest 310 is more preferably produced in a polyurethane foam foam or latex, shape memory alloy material with excellent cushioning function.

또한, 상기 목받침부(310)의 양단 일부에 록킹수단과 스프링수단을 부가하여 상기 목받침부(310)의 양단을 일정각도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by adding a locking means and a spring means to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portion 310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fold both ends of the neck support portion 310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목받침부(310)는 의자에 착석하여 장시간 작업을 하는 경우, 피로가 집중되는 착석자의 뒷목을 상기 목받침부(310)의 오목부(350)가 안락하게 수용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350)의 양단은 착석자가 단시간의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도 착석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When the neck support part 3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eated in a chair for a long time, the concave part 350 of the neck support part 310 comfortably accommodates the back neck of the seated occupant who is concentrated in fatigue.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350 serves to support the head of the seated perso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headrest 170 even when the seated person takes a short break or sleeps.

단, 상기 목받침부(310)는 상기 머리받침부(170)에 일체로 고정·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머리받침부(17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neckrest 310 may be fixed and mounted integrally with the headrest 170, but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to the headrest 170.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10); 상기 착석부(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150)을 갖는 일체형 등받이부(30); 상기 착석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10) 및 상기 등받이부(30)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50); 상기 착석부(10)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110) 및 상기 팔안착부(110)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130)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100); 상기 등받이부(30)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70);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310); 상기 등받이부(30)의 등받이패널(150) 일부에 형성된 록킹부재(410);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재(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7 to 10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ront, side, plane and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100 and a neckres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state diagram of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10 is seated seated; An integral backrest part 30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10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150; A support part 50 formed below the seating part 10 to integrally support the seating part 10 and the backrest part 30; A pair of armrest portions 1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110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130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110; A headrest portion 170 that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30 to support the head; A neck support part 310 coupled 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ead support part 170 to support the neck; A locking member 410 formed on a part of the backrest panel 150 of the backrest part 30;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portion 100 and neckrest portion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engaging member 37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170 , Side view, top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chematically.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0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좌식의자는 상기 등받이부(30)가 비교적 짧게 구성되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하부에 다수의 걸림홈(390)을 갖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370)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30)의 등받이패널(150)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재(370)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410)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70)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록킹부재(410)를 따라 상·하 조절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al sea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7 to 10 has one or more locking grooves 39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art 170 because the backrest part 30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short. The locking member 37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ocking member 410 for locking the locking member 37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ckrest panel 150 of the backrest part 30, and the headrest part ( 170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locking member 410 to fit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여기서, 상기 걸림부재(37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하부의 일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하부의 중앙에 일체로 된 하나의 걸림부재(370)를 형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locking member 37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portion 170,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drawing, but one locking member 37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You may.

또한, 상기 걸림부재(37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390)의 간격을 더욱 좁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의 상하이동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90 formed in the locking member 370 is further narrowed, the shandong of the headrest portion 170 to which the neckrest portion 310 is coupled may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Of course, it becomes possible to use more comfortably.

또한, 상기 록킹부재(410)의 일면에 형성된 버튼(490)의 작동으로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높이를 착석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여기서 록킹부재(410)의 록킹수단으로 상기 버튼(490)식 외에도 볼트와 같은 일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headrest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seat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49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410. However, the locking means of the locking member 410, in addition to the button 490, a general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can be used as a matter of course.

아울러, 상기 등받이부(30)가 상기한 일체형 등받이로 형성되지 않고,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더욱 안락하게 착석자의 등과 허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ackrest 30 may not be formed as the integral backrest, but may be formed by being separated from side to side as shown in FIG. 17. In this configuration, the backrest part 30 may more comfortably support the seat and back of the seated person. Will be.

한편, 도 10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기능성 좌식의자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 평면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가 일정길이만큼 상부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n operating state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unctional seated 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figure, the headrest portion 170 to which the neck rest portion 310 is coupled is upper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a state that is raised to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10); 상기 착석부(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150)을 갖는 일체형 등받이부(30); 상기 착석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10) 및 상기 등받이부(30)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50); 상기 착석부(10)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110) 및 상기 팔안착부(110)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130)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100); 상기 등받이부(30)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170);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310);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된 체결바(430);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430)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1 to 14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side, plane, and operating states of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part 100 and a neckrest par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state diagram of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10 is seated seated; An integral backrest part 30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10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150; A support part 50 formed below the seating part 10 to integrally support the seating part 10 and the backrest part 30; A pair of armrest portions 1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10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110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130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110; A headrest portion 170 that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30 to support the head; A neck support part 310 coupled 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ead support part 170 to support the neck; A fastening bar 430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headrest part 170; The functional armrest part 100 and the neckrest par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one or more fastening holes 450 formed on the front of the backrest part 30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bar 430. A front view, side view, top view and operating state diagram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with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좌식의자는 상기 등받이부(30)가 비교적 길게 구성되므로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후면 중앙부에 상기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체결바(430)가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상부에 상기 체결바(430)와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45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머리받침부(170)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등받이부(30)를 따라 상·하 조절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unctional seating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S. 11 to 14 is one or more fastening perpendicular to the rear of 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headrest part 170 because the backrest 30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long Bar 430 is formed, at least one fastening hole 450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ar 430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30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headrest 170 It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backrest portion 30 to fit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여기서, 상기 체결바(430)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체결홀(450)에 체결되어 상기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한 그 개수는 문제되지 않는다.Here, the fastening bar 430 may be formed side by side in a pair as shown in Figs. 11 to 14 bu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450, the headrest portion 170 is coupled to the neck support portion 310 The number does not matter as long as it can withstand the load.

또한, 상기 체결홀(450)은 상기 체결바(430)를 내부에 수용하여 일정하게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부(30)의 전면 상부 일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45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astening bar 430 therein and to be fixed and supported constantly,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of the backrest part 30.

아울러, 상기 체결홀(450)의 간격을 더 좁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받침부(310)가 결합된 머리받침부(170)의 상하이동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단, 상기 체결홀(450)의 구조는 상기 체결바(430)의 형태와 구조에 의존적인 것임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gap between the fastening holes 450 is formed to be narrower, the shandong of the headrest part 170 to which the neck rest part 310 is coupled can be adjusted more precisely, which can be used more comfortably. Is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hole 450 is of course dependent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astening bar 430.

다만, 상기 체결홀(450) 대신에 다수의 체결홈(미도시)을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크기에 맞게 상기 등받이부(30)의 일부에 형성하여 상기 머리받침부(170)를 상기 체결홈(미도시)에 그대로 삽탈하여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nstead of the fastening hole 450,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in a part of the backrest part 30 to match the size of the headrest part 170 to the headrest part 170. Of cours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not show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170 up and down.

한편, 도 18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100) 및 목받침부(310)를 갖는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분해도 및 정면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8의 기능성 좌식의자는 상기 머리받침부(170)의 하부에 고정·결합된 지지부재(510)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510)의 양단은 다수의 걸림홈(390)이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일정한 굴곡을 이루고, 상기 등받이부(30)의 등받이패널(150)은 상기 등받이부(30)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패널(150)의 상부 양단은 상기 지지부재(510)의 양단을 수용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30)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170)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결합부재(530)를 따라 상·하 조절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8 to 19 is a front exploded view and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100 and the neckrest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functional of FIG. The seating chair has a support member 510 fixed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ead restraint 170 horizontally,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51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390 in a downward direction. To achieve a constant bending, the backrest panel 150 of the backrest portion 30 is formed along both sides of the backrest portion 30, the upper both ends of the backrest panel 150 are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510 A coupling member 530 is formed to accommodate and couple, and the headrest 170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coupling member 530 to fit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목받침부(310)를 갖는 머리받침부(170)는 상기 등받이패널(150)의 상부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재(530)의 버튼(490)의 작동으로 인해 착석자의 체형과 상황에 맞게 그 높이가 상·하로 적절하게 조절되며, 아울러 상기 머리받침부(17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패널(150)로부터 완전히 탈착되어 별도로 보관되어 질 수도 있게 된다. 단,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530)의 록킹수단으로 사용되는 상기 버튼(490) 대신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일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way, the headrest portion 170 having the neck rest portion 310 is the body of the seat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490 of the coupling member 530 formed on both upper ends of the backrest panel 150 and The height is appropriately adjus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when the headrest unit 170 is not used, it may be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backrest panel 150 and stored separately. However, instead of the button 490 used as the locking means of the coupling member 530, as described above, a general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may be used.

또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기능성 좌식의자를 별도의 연결부재(550)에 의해서 횡으로 다수 개 연결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많은 사람이 운집하여 좁은 공간에서 필수적으로 착석해야 하는 장소, 즉 음악콘서트장이나 연극공연장, 영화상영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능과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a plurality of functional seating chairs can be connected laterally by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550 so that several people can be seated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function and effect to spend more comfortably and comfortably in pl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and must be seated in a confined space, that is, in a place such as a music concert hall, theatrical performance theater, or movie theater.

상술한 바와 같이,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을 갖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 및 상기 팔안착부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buttocks are seated; A backrest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A support part formed under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and the backrest unit integrally; A pair of armrest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A headrest part coupled to a part of the backrest part to support the hea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include a neck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head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neck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팔의 굴곡에 맞게 일정한 수용홈과 턱이 형성된 팔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팔안착부의 후방부의 말단에 원형축을 구비하고, 상기 원형축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중공홈에 삽설되어 상기 원형축의 결속홈과 상기 중공홈의 회전결속구에 의해 상기 팔안착부를 수평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상황에 맞게 상기 팔안착부를 적당하게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First, there is an arm seating portion formed with a constant receiving groove and the jaw to fit the bend of the arm, and has a circular shaft at the end of the rear portion of the arm seating portion, the circular shaf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groove of the fixed frame is the binding groove of the circular shaft And by rotating the arm seat portion horizontally by the rotation binding sphere of the hollow groove, to provide a convenience that can be appropriately widened or narrowed the arm seat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or working situation.

둘째,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부에 목을 안락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목받침부를 구비함으로써, 피로가 집중하는 목 부분을 보다 안락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 by providing a separate neck support portion that can comfortably accommodate the neck in a portion of the headrest,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more comfortably accommodate the neck portion where fatigue is concentrated.

셋째, 볼록부와 오목부로 이루어진 상기 목받침부의 양단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 무의식적으로 머리가 목받침부의 양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결림이나 어깨걸림 등의 고통을 해소시킨다.Third, both ends of the neck rest portion consisting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protrude forward and are inclined downwar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head from unconsciously leaving both sides of the neck rest portion when taking a rest or rest. Relieves pain such as stiff neck and shoulder pain.

아울러, 상기 머리받침부의 일부에 상술한 각각의 상하이동수단 구비함으로써, 상기 머리받침부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과 상황에 맞게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누구라도 안락하게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shandong means to a portion of the headrest, by providing an effect tha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height and height of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and situation, anyone comfortably functional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gless chairs with neck and neck rest may be used.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변형 및 수정 실시는 이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at many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n addition, the above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이고, 1 to 4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n operation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side, plane, and operating states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기능성 팔걸이부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5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functional armrest portion seen from A-A of FIG.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목받침부가 결합된 머리받침부의 정면, 측면, 평면상태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고,6a to 6c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side, and planar state of the headrest portion coupled to the neckres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이고,7 to 10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n operation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side, flat and operat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작동상태도이고,11 to 14 is a front view, a side view, a plan view, and an operation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side, plane, and operation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3의 팔걸이부의 팔안착부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1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rm seat of the armrest of FIG. 3 operates;

도 16은 도 3의 기능성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1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sedentary chair of FIG. 3,

도 17은 도 7의 기능성 좌식의자의 등받이부가 좌우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좌식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1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unctional sedentary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portion of the functional sedentary chair of FIG.

도 18 내지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 및 정면도이다.18 to 19 is an exploded view and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착석부, 30; 등받이부,10; Sitting part 30; Backrest,

30a; 좌측 등받이부, 30b; 우측 등받이부,30a; Left back portion, 30b; Right Back,

50; 지지부, 100; 팔걸이부,50; Support, 100; Armrest,

110; 팔안착부, 130; 고정프레임,110; Arm rest, 130; Fixed Frame,

150; 등받이패널, 170; 머리받침부,150; Back panel 170; Headrest,

190; 수용홈, 210; 원형축,190; Receiving groove, 210; Circular Shaft,

230; 결속홈, 250; 중공홈,230; Binding groove, 250; Hollow Groove,

270; 회전결속구, 290; 탄성부재,270; Rotator, 290; Elastic member,

310; 목받침부, 330; 볼록부,310; Neck rest, 330; Convex,

350; 오목부, 370; 걸림부재,350; Recess 370; Locking member,

390; 걸림홈, 410; 록킹부재,390; Locking groove, 410; Locking member,

430; 체결바, 450; 체결홀,430; Fastening bar 450; Fastening Hole,

470; 이동부재, 490; 버튼,470; Moving member, 490; button,

510; 지지부재, 530; 결합부재.510; Support member, 530; Coupling member.

Claims (11)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허리 및 등을 받쳐주고, 등받이패널을 갖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착석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일체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착석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팔을 수용하는 팔안착부 및 상기 팔안착부를 지지해주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한 쌍의 팔걸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 하부에 결합되어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A seating portion where the hips are seated; A backrest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part to support a waist and a back and having a backrest panel; A support part formed under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and the backrest unit integrally; A pair of armrest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and configured as an arm seating portion for receiving an arm and a fixing frame for supporting the arm seating portion; A headrest part coupled to a part of the backrest part to support the head; A legrest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comprising: a neckrest that is coupled to the front lower part of the headrest to support the ne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팔안착부의 상부면에는 일정한 굴곡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중간부 양측에 일정한 크기의 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전방부의 말단은 상기 팔안착부의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손목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An upper surface of the arm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 jaw of a certain siz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the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is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seating portion Leg seat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ne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wri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팔안착부의 후방부의 말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삽설되는 원형축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축의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속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The rear end of the arm seat portion is provided with a circular shaf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the upper arm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haf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f a predetermined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armrest and neck support Legless chair with wealth.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축이 삽설되는 중공홈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홈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회전결속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결속구의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삽설된 탄성부재에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홈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frame is provided with a hollow groove into which the circular shaft is inserted,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gro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ry binding holes, and one end of the rotary binding sphere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fixed frame.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 rest, which is fixed and supported by a member and whos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bind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받침부는 상기 머리받침부의 전면과 결합하는 볼록부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단은 하부로 일정방향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The neck rest portion is composed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protruding forward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eadrest portion,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is characterized by a functional armrest and a seatrest having a neck rest chai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다수의 걸림홈을 갖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등받이패널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재를 록킹시키는 록킹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록킹부재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At least one loc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and a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ckrest panel of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headrest is formed of a seated person.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part and a ne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lock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등받이부의 중앙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측 등받이부와 우측 등받이부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A seat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backrest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parated into a left backrest and a right backres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머리받침부의 하부에 고정·결합된 지지부재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은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일정한 굴곡을 이루고, 상기 등받이부의 등받이패널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패널의 상부 양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을 수용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결합부재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A support member fix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restraint is horizontally formed,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to form a constant ben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backrest panel of the backrest part has both sides of the backrest part. It is form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back support panel is formed with a coupling member for receiving and coupling both ends of the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rest is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coupling member to fit the body of the seated person Legless chair with functional armrests and neckres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머리받침부의 후면 중앙부에 상기 후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체결바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상부에 상기 체결바와 체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등받이부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One or more fastening bar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ar of the headrest portion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and one or more fastening holes that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ars are form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headrest is seated. A legless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 and a ne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backres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chai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등받이부의 중앙이 종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측 등받이부와 우측 등받이부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등받이부의 후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갖는 걸림부재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몸체를 타고 상·하 이동가능한 이동부재가 상기 머리받침부의 후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머리받침부가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걸림부재를 따라 상·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The center of the backrest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separated into a left backrest and a right backrest, and a lock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backrest portions, and the body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A movable member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s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headrest part, and the headrest part has a functional armrest part and a neckrest part which ar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seated person. Legless chai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등받이부의 종방향 절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전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걸림부재의 몸체길이에 해당하는 만큼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Longitudinal cutting of the backrest portion is made of the entire backrest portion or seating chair having a functional armrests and neckres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nly as much as the body length of the locking member.
KR20-2005-0007948U 2005-03-11 2005-03-23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KR2003883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48U KR200388338Y1 (en) 2005-03-11 2005-03-23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90 2005-03-11
KR20-2005-0007948U KR200388338Y1 (en) 2005-03-11 2005-03-23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38Y1 true KR200388338Y1 (en) 2005-06-30

Family

ID=4368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948U KR200388338Y1 (en) 2005-03-11 2005-03-23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38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95Y1 (en) * 2008-08-29 2011-07-14 박영근 Cervical traction device
KR200466721Y1 (en) 2011-11-18 2013-05-06 장명수 head fixing device of chair
KR101386853B1 (en) * 2011-11-22 2014-04-17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Stand chair for disabled person
KR101466090B1 (en) * 2012-07-04 2014-12-02 유병준 Chair with Mutiple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95Y1 (en) * 2008-08-29 2011-07-14 박영근 Cervical traction device
KR200466721Y1 (en) 2011-11-18 2013-05-06 장명수 head fixing device of chair
KR101386853B1 (en) * 2011-11-22 2014-04-17 내쇼날씨엔디 주식회사 Stand chair for disabled person
KR101466090B1 (en) * 2012-07-04 2014-12-02 유병준 Chair with Mutiple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638B1 (en) Chair equipped with supporter for shoulder
JP4183084B2 (en) Chair and its back
KR200388338Y1 (en) A sitting chair having functional armrest part and neck bolstering part
KR200396260Y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seat back of chair
KR102138836B1 (en)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JP3137036U (en) Chair
KR100942429B1 (en) Seat board of roller type and functional chair using the same
KR200191797Y1 (en)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KR101056076B1 (en) Chairs with backing members compatible with waist and headrest
KR200445660Y1 (en) Chairs
KR101072035B1 (en) Chair frame
KR101009488B1 (en) A chair have a back seat assembling structure
JP2000270964A (en) Chair with swinging pillow
KR200409233Y1 (en) Waist supporting unit of chair
KR100607537B1 (en) Auxiliary sports equipment and office knee chair in one
WO2008054225A1 (en) Chair
JP7312010B2 (en) folding chair
KR200327969Y1 (en) Chair having an elastic parts for the back thereof
KR200379699Y1 (en) Auxiliary sports equipment and office knee chair in one
KR200371544Y1 (en) The chair having a head-rest and a hanger
KR200377422Y1 (en) Head supporter for chair
KR200226584Y1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ack of the chair
KR101022761B1 (en) The chair
KR100989696B1 (en) Rotary form back of a chair
KR20110078009A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