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309Y1 -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 Google Patents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309Y1
KR200388309Y1 KR20-2004-0022626U KR20040022626U KR200388309Y1 KR 200388309 Y1 KR200388309 Y1 KR 200388309Y1 KR 20040022626 U KR20040022626 U KR 20040022626U KR 200388309 Y1 KR200388309 Y1 KR 200388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disposed
trailer
tow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62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만
Original Assignee
아이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2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3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309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2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divided into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고안은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2단식 적재함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나아가 극대화된 적재량에 의해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nsport trailer having a two-stage loading box, the main purpose of which i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a two-stage loading of a simple structure, and furthermore to reduce the logistics cost by the maximum loading capacity.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는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To this end, the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wall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ow and the end of the running portion, and a lower loading box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side wall is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towing and the running portion;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A lifting device dispos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towing unit and the fro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승강장치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을 포함한다.Each end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device, and includes an upper stack disposed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ides of the lower stack.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자중에 비해 적재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화물을 최대한 많이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용을 절감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oad a lot of cargo occupying a large load area as compared to its own weight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a simpl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logistics cost.

Description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본 고안은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2단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 하부 적재함과, 승강장치에 의해 상부적재함의 높이를 상, 하로 가변시키므로서, 적재량을 극대화한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transport trailer, and more particularly, the upper and lower loading boxes, which are provided to load cargo in two stages, and the height of the upper loading box by the lifting device to change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thereby maximizing the loading amount. A freight transport trailer with a two stacker.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의 적재함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In general, several are known for freight transport trailers that load cargo on top of a loading box of a trailer.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판 트레일러(FT)가 그 대표적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로서, 평판 트레일러(FT)는 견인부(PA)와 주행부(DA)가 마련된 메인프레임(MF)으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a flatbed trailer FT as shown in FIG. 1 is a representative freight transport trailer, and the flatbed trailer FT includes a main frame MF provided with a towing unit PA and a running unit DA. .

메인프레임(MF)은 길이방향 중앙 부위에 소정간격 떨어져 메인 비임(MB)이 배치되고, 이 메인 비임(MB)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가로부재(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가로부재와 메인 비임(MB)의 전, 후 양단에 사이드 프레임(SF)이 배치되어 하나의 조합된 프레임상태를 이룬다. The main frame MF is provided with a main beam MB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eam MB. Side frames SF are arranged at both ends before and after the beam MB to form a combined frame state.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MF)의 전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견인차의 커플러(Coupler)와 결합될 수 있도록 킹 핀(KP)이 하측으로 돌출된 견인부(PA)가 마련되고, 후방에는 상기한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WE)가 구비된 주행부(DA)가 마련된다.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MF is provided with a towing unit PA protruding to the king pin (KP) to the lower side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pler (Coupler) of the not shown, the rear of the tow vehicle The driving unit D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WE to travel or brake on the road.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MF)의 상부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바닥판(미도시)이 배치되어, 이 바닥판의 상부에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것이다.A bottom plate (not shown) made of woo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MF, so that cargo can be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frame using a forklift or a crane.

또한, 상기한 사이드 프레임(SF)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걸림부재(LM)가 마련되어 화물을 지지하는 로우프(미도시)의 결속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frame (SF)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members (LM) to facilitate the binding of the rope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cargo.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러는 최대적재량(통상 26,000Kg)에 비해 자중이 가벼운 화물의 경우 적재량의 한계가 있어 물류비용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rail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a loss of logistics cost is large because there is a limit of the loading amount in the case of the light weight of the cargo compared to the maximum loading amount (usually 26,000K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 0273150호로 "가변식 적재함을 구비한 윙 바디 트레일러"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ure 2a to 2c,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73150 "wing body trailer with a variable loading box" has been disclos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 가변식 적재함을 구비한 윙 바디 트레일러(WT)는 견인부(PA)와 주행부 사이의 하측에 하부적재함(LB)이 마련된 메인 프레임(MF)이 배치되고, 이 메인 프레임(MF)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윙 바디 트레일러(WT)의 좌, 우측을 구획함과 동시에 적재화물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월 프레임(WF)이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2a, the wing body trailer (WT) having a conventional variable loading box is provided with a main frame (MF) provided with a lower loading box (LB) on the lower side between the towing unit PA and the running unit, this main The wall frame WF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frame MF so as to parti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g body trailer WT and support one side of the load.

이와 같은, 월 프레임(WF)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한 하부 적재함(LB)의 양측 상부에 리프트장치(LE)가 배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 devices L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loading box LB based on the wall frame WF.

도 2b를 참조하면, 리프트장치(LE)는 제 1, 2, 3포스트(P1)(P2)(P3)가 안테나 식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제 1포스트(P1)가 하부 적재함(LB)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이 제 1포스트(P1)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제 2, 3포스트(P2)(P3)가 삽입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lift device LE is inserted such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ts P1, P2, and P3 may be extended in an antenna manner, and the first post P1 may have a lower load box LB. ), And the second and third posts P2 and P3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post P1.

제 3포스트(P3)의 각 상단에는 2단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부적재함(UB)의 네 모서리가 지지되며, 제 2포스트(P2)의 상단에는 지지프레임(SF)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지지 프레임(CF)의 하측에 리프트 실린더(LC)가 배치되어 있다.Four corners of the upper loading box UB are supported at each upper end of the third post P3 so that cargo can be loaded in two stages, and a support frame SF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st P2. The lift cylinder LC is disposed under the support frame CF.

한편, 상기한 제 3포스트(P3)의 하단에는 일단이 제 1포스트(P1) 하단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WR)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W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st P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post P3.

따라서, 상기한 리프트 실린더(LC)의 작동에 의해 제 2포스트(P2)가 상승함과 동시에 와이어 로프(WR)에 의해 연결된 제 3포스트(P3)가 상승하며, 상부적재함(UB)의 하부, 다시 말해서, 하부적재함(LB)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ost P2 rises by the operation of the lift cylinder LC, and the third post P3 connected by the wire rope WR ris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ack UB,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loading space of the lower stack (LB).

상기한 상부적재함(UB)의 양측에는 화물 경사장치(TE)가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다.Cargo inclination device (T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tack (UB) is arranged symmetrically.

도 2c를 참조하면, 화물 경사장치(TE)는 실린더(CD)와, 제 1, 2연결링크(L1)(L2)와 경사부재(TM)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C,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TE includes a cylinder C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L1 and L2, and an inclination member TM.

실린더(CD)는 상부적재함(UB)의 중간부분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이 실린더(CD) 단부의 로드(RD)에는 제 1연결링크(L1)의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이 제 1연결링크(L1)의 타단은 후술하는 경사부재(TE)와 일체로 결합된 제 2연결링크(L2)와 힌지결합되어 있다.The cylinder CD is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middle of the upper loading box UB, and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link L1 is hinged to the rod RD at the end of the cylinder CD. The other end of the link L1 is hing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k L2 integrally coupled with the inclined member 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경사부재(TM)는 상부적재함(UB)의 양외측 길이방향에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상기한 실린더(CD)의 전진동작에 의해 제 1연결링크(L1)도 전진하며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연결링크(L2)를 연동시킴에 따라, 이 제 2연결링크(L2)와 일체로 장착된 경사부재(TE)가 회동하며 상기한 상부적재함(UB)의 상부로 돌출되므로서, 상부적재함(UB)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한 월 프레임(WF)쪽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급커브길 주행중 적재된 화물이 외측으로 전도(顚倒)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The inclined member TM is disposed symmetrically in both outer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upper loading box UB,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k L1 is also advanced and hinged to the end by the advanc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CD. As the link link L2 is interlocked, the inclined member TE integrally mounted with the second link link L2 rotates and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tack UB, thereby allowing the upper stack UB to be loaded. ) So that the cargo loaded on the top is inclined toward the wall frame (WF) to prevent the cargo loaded on the sharp curve road to fall outsid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윙 바디 트레일러는 리프트장치와 화물 경사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그 제조원가가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ing body trail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s of the lift device and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are complicat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thereof is expensiv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리프트장치와 화물 경사장치에 의해 공차(空車)의 중량이 무겁게 형성되므로서, 상, 하부 적재함에 화물을 나누어 적재할 수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화물 적재량의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tolerance is formed by the lift device and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load into the upper and lower storage boxes, but the load is relatively limited.

또한, 상기한 리프트장치와 화물 경사장치의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므로서, 콘트롤러의 조작이 복잡하여 주 사용자인 운전자들의 번거로움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the lift device and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is made separat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is complicated to increase the inconvenience of the drivers as the main users.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중에 비하여 적재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화물의 적재량을 극대화하여 물류비용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oss of logistics costs by maximizing the load of the cargo occupying a large load area compared to its own weigh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의 적재량은 극대화하되,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류비용을 절감므로서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loading of the cargo, bu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logistics cost to obtain the trust of users.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경사장치를 갖추지 않고도 상부적재함에 의해 화물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주 사용자인 운전자들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clination of the cargo by the upper loading without having a separate inclination device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s as the main us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선단에 견인차량과 결합되어 피견인되도록 킹핀이 구비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consisting of a towing portion provided with a kingpin to be towed to the front end and a towing portion, and a traveling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owing portion and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so as to travel or brake on the road by the towing vehicle. To a freight transport trailer for loading freight into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The trailer has a side wall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towing unit and the running portion, and a lower loading box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side wall provided on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towing unit and the running portion;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자치와;Elevating autonomous unit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width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towing unit and the fro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승강장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을 포함한다.Each end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device, and includes an upper stacker arranged in two row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upper both sides of the lower stacker.

또한, 승강장치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주행부 상측에 하단이 장착된 제 1포스트와;In addition,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first post having a lower end mounted above the tow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상기 제 1포스트 내측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각 상단에 제 1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제 2포스트와;A second post inserted into the first post so as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first hinge bracket mounted at each upper end thereof;

상기 제 1힌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 하측에 장착된 제 2힌지 브라켓과;A second hinge bracket hinged to the first hinge bracket and mounted below the upper loading box;

상기 상부 적재함 양단하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제 1포스트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과;A support frame horizontally disposed at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post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tacker;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중간부분에 하측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지지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 side is supported by the upper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he upper side is made of an air bag supported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또한, 포스트는 상기 상부적재함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길이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된 제 1, 2포스트가 내측으로 배치된 제 1, 2포스트보다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내측 기울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post is viewed from the top, the first and second posts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posts disposed inward, so that the inner slope is naturally formed. .

또한,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화물 경사장치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iler further includes a cargo inclination device disposed in both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towing unit and the running unit.

또한, 화물 경사장치는 하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 외곽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각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In addition, the cargo inclined devic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recessed to the lower side, the guide bracket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of the side fram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tow and the running portion outer side;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홈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바닥판 상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다수 배치된 경사 부재와; An inclined member disposed a plurality of intervals apart from a predetermined interval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bracket;

상기 경사 부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측에 배치된 작동장치와;An actuating device disposed below to move the inclined membe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상기 경사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승강 브라켓을 포함한다.The lifting bracke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bracket, and includes a lifting bracket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with the inclined member in a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which is formed in a "┏┓" shape.

또한, 작동장치는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장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하면에 장착된 기어 브라켓에 축결합된 래크기어와, 일단은 상기 래크기어와 기어 브라켓을 관통,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ctuator includes a pinion gea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rack gear axially coupled to a gear bracket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so as to engage with the pinion gear, and one end of the rack gear and the gear bracket. It is penetrated and axially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working shaf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rgo transport trailer with a two-stage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C"방향에서 바라본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a"D"-"D"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승강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 "F"-"F"선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 작용을 보인 도 7 "G"-"G"선의 단면도이다.(이하, 설명 편의상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을 붙여 설명하고,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rection "C" in Figure 3, Figure 5 is a 2D "D"-"D" A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showing a lifting device of the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cargo inclination device of the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ine "F"-"F"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7 "G"-"G" showing the action of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of the cargo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s given the same name. Explain and add only the signs.)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반용 트레일러(1)(이하, "트레일러"라 칭한다.)는 하부적재함(100)과 승강장치(200)와, 상부적재함(300)으로 대별된다.(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기술적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3 and 4, the cargo transport traile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iler") with a two-stage sta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stacker 100 and the lifting device 200, and the upper stacker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300.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of the towing unit 11 and the traveling unit 13 are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and thus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하부적재함(100)은 전방의 견인부(11)와 후방에 마련된 주행부(13)의 단부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측벽(110)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ower stacker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10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tow part 11 and the end of the traveling part 13 provided to the rear side of the tow part 11. And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portion 13.

이 하부적재함(100)에도 다수의 가로부재(101)가 배치되며, 이 가로부재(101)의 상부에 목재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바닥판(102)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부적재함(100)의 하단면("h"표시부위)은 도로교통법상에서 허용하는 최저지상고(250mm)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로주행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101 are also disposed in the lower stacker 100, and a bottom plate 102 made of wood or a metal plate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members 101. As such, the bottom surface ("h" display area) of the lower loading box 100 is formed higher than the minimum ground height (250mm) allowed by the road traffic law, there is no obstacle to road driving.

이 하부적재함(100)의 상측에는 상부적재함(300)이 배치되는데, 이 상부적재함(300)은 승강장치(200)를 매개로 하여 상기한 하부적재함(100)의 상측에 평면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상부적재함(3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upper loading box 3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oading box 100, and the upper loading box 300 is disposed in a plan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oading box 100 via the lifting device 200. (The upper loading box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상, 하부 적재함(100)(300) 사이에 승강장치(20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ifting device 2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oading boxes 100 and 300.

승강장치(200)는 상기한 견인부(11)의 후방과 주행부(13)의 전방 폭방향에 수직으로 각 2개씩 대칭형으로 배치되는데, 이 승강장치(200)는 제 1, 2포스트(210)(220)(250)(260)와, 제 1, 2힌지브라켓(211)(251)과, 지지프레임(170), 에어 백(280)으로 이루어진다.Lifting device 200 is disposed in the symmetrical arrangement of each of the two vertically perpendicular to the rear of the towing portion 11 and the front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ing portion 13, the lifting device 200 is the first, second post 210 ) 220, 250, 260, first and second hinge brackets 211, 251, a support frame 170, and an air bag 280.

제 1포스트(210)(22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의 관(管)으로서, 견인부(11)의 후방과 주행부(13)의 전방 폭방향에 배치되는데, 이 제 1포스트(210)(220)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다.The first posts 210 and 220 are rectangular pipes, which are arranged in the rear of the tow portion 11 and in the front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ing portion 13, and the first posts 210 ( 220 is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따라서, 중심선(CL) 일측, 다시 말해서, 내측에 배치된 제 1포스트(210)는 짧고, 외측에 배치된 제 1포스트(220)는 길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고 나서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경사장치가 필요없이 상부적재함(300) 상부에 적재되는 화물의 외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one side of the center line CL, that is, the first post 210 disposed on the inner side is short and the first post 220 disposed on the outer side is formed long, and after the loading of the cargo is completed in the operation described below. Naturally, the inclination is formed inward, so that the external load of the cargo loaded on the upper stack 300 may be prevented without a separate inclination device.

이와 같은, 제 1포스트(210)(220) 내측에 제 2포스트(250)(260)가 삽입, 배치되는데, 이 제 2포스트(250)(260) 역시 사각형상의 관으로서,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 내측에 삽입되면서도, 상, 하 슬라이딩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osts 250 and 260 are inserted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posts 210 and 220. The second posts 250 and 260 are also rectangular tubes and are formed with a small outer diamet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posts 210 and 220, the up and down sliding is easy.

이 제 2포스트(250)(260)도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와 마찬가지로, 수직상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된 것이 짧고, 외측에 배치된 것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Similarly to the first posts 210 and 220 described above, the second posts 250 and 260 are formed to have a short inside arrang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CL and a long one arranged outside. .

이와 같은, 제 2포스트(250)(260)의 각 상단에는 제 1힌지브라켓(251)이 설치되는데, 이 제 1힌지브라켓(251) 상측에 형성된 힌지 홀(251a)에 후술하는 상부적재함(300)의 하측에 배치된 제 2힌지브라켓(253)의 힌지 홀(미도시)과 힌지 핀(미도시)에 의해 힌지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a first hinge bracket 251 is installed at each upper end of the second posts 250 and 260, and the upper loading box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hinge hole 251 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inge bracket 251. The hinge hole (not shown) and the hinge pin (not shown) of the second hinge bracket 253 disposed below the hinge is hinged.

또한, 상기한 제 1포스트(210)(220)의 높이방향 각 중간부분에 지지프레임(270)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이 지지프레임(270)의 상부중간부분에 에어 백(280)의 하측이 설치되는데, 이 에어 백(280)의 상측은 후술하는 상부적재함(300)의 하측 중간부분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270 is horizontally disposed at each middl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posts 210 and 220, and the lower side of the air bag 280 is disposed at the upper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70. Is installed, the upper side of the air bag 280 is installed in the lower middle portion of the upper stack 30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승강장치(200) 상측에 상부적재함(300)이 설치된다.As such, the upper loading box 300 is installed above the lifting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적재함(300)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조합된 프레임형태로서, 상술한 하부적재함(100)과 마찬가지로 가로부재(미도시)와 이 가로부재의 상측에 목재 바닥판(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The upper stack 300 is a frame shape combined in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in a plane, a horizontal member (not shown) and a wooden bottom plate (not shown)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member similar to the lower stack 100 described above It is arranged.

이 상부적재함(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carrier 300 is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L.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의 작용을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operation of the trai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상기한 견인부(11)와 주행부(13)에 1차적으로 화물을 적재한 다음, 상기한 하부적재함(100)에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승강장치(200)의 에어 백(280)에 에어를 공급하면, 이 에어 백(280)은 상측으로 작동하며 상부적재함(300) 전체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First, the cargo is first loaded on the towing unit 11 and the driving unit 13, and then the air bag 280 of the elevating device 200 is easy to load the cargo into the lower loading box 100.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bag 280, the air bag 280 operates upward and moves the entire upper stack 300 upward.

그럼으로서, 적재 높이("H"표시 부위)가 확보되면, 하부적재함(100)의 상부에 파레트(미도시)화된 화물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oading height ("H" display area) is secured, pallet (not shown) cargo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loading box 100 can be easily loaded by using a forklift.

이와 같이, 하부적재함(100)에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부적재함(300)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하부적재함(100)에 적재된 화물의 바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상부 적재함(300)의 상부에도 화물을 적재하면 된다.As such, when the loading of the cargo in the lower loading box 100 is completed, the upper loading container 3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so as to be disposed immediately above the cargo loaded in the lower loading container 100, and the loading of the upper loading box 300 Cargo can also be loaded at the top.

이 때, 상부적재함(300)은 제 1포스트(210)(220)와 제 2포스트(250)(260)의 수직선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경사("θ")가 형성되며, 이 제 1포스트(210)(220) 내부에서 에어 백(280)에 의해 상, 하 슬라이딩하는 제 2포스트(250)(260)에 의해 상기한 상부적재함(300)의 원활한 상, 하 동작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the vertical stack of the first post 210, 220 and the second post 250, 26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clination (“θ”) is naturally formed inward. The upper post 300 is smoothly moved up and down by the second posts 250 and 260 sliding up and down by the air bag 280 in the first posts 210 and 220. .

따라서, 상부적재함(300) 상부에 적재되는 화물은 각 내측으로 기울기("θ")가 형성된 상태가 되므로, 급커브길 주행중 적재된 화물이 외측으로 전도되는 전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cargo loa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loading box 300 is inclined (“θ”) formed inward, the cargo loaded during the sharp curve road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또한, 트레일러(1) 중간부분에 2단으로 형성된 상, 하부 적재함(100)(300)에 화물을 2단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량을 극대화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loading boxes 100, 300 formed in two stages in the middle of the trailer (1) can be loaded in two stages, there is an advantage to maximize the loading amount.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1)는 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된 화물 경사장치(4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il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rgo inclination device 4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owing portion 11 and the running portion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경사장치(400)는 가이드 브라켓(410)과, 바닥판(420)과, 경사 부재(430)와, 작동장치(450) 그리고, 승강 브라켓(470)으로 이루어진다.6 to 8,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bracket 410, a bottom plate 420, an inclination member 430, an operation device 450, and a lifting bracket. 470.

가이드 브라켓(410)은 상술한 견인부(11)와 주행부(13) 외곽에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10a) 각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다.The guide bracket 410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each of the side frames 10a disposed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oth sides of the towing unit 11 and the driving unit 13.

가이드 브라켓(410)은 단면에서 바라볼 때, 하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411)이 길게 형성되어, 이 가이드 홈(411)의 저면에 후술하는 작동장치(450)의 래크기어(451)가 관통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장공(413)이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bracket 410 has a long guide groove 411 recessed downward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so that the rack gear 451 of the operating device 45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guide groove 411. The long hole 413 is formed by a distance penetrating and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 가이드 홈(411)의 바닥면에는 바닥판(420)이 배치된다.The bottom plate 42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411.

바닥판(420)은 통상의 평철(Flat Bar) 형태로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410)의 가이드 홈(411)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The bottom plate 420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411 of the guide bracket 41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flat).

이 바닥판(420)의 상측에 소정거리 등간격으로 다수의 경사부재(430)가 배치되어 있다. A plurality of inclined members 430 are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4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경사부재(430)는 두꺼운 금속판을 모형절단한 것으로서, 경사부(431)와 수평부(433), 걸림턱(4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inclined member 430 is a model cut of a thick metal plate, and the inclined portion 431, the horizontal portion 433, and the locking jaw 435 are integrally formed.

경사부(43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각도로 형성되며, 이 경사부(431)의 정점(頂點)에 수평부(433)의 일단이 연결된다.The inclined portion 431 is formed at an angle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433 is connected to a vertex of the inclined portion 431.

수평부(433)의 중간부분에는 원호(圓弧)형 요홈(432)이 형성되는데, 이 수평부(433)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35)이 형성되어 있다.An arc-shaped groove 43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portion 433, and a locking jaw 435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433.

상기한 바닥판(420)과 경사부재(430)는 일체로 장착되어 후술하는 작동장치(450)의 작동동작에 의해 전,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The bottom plate 420 and the inclined member 430 are integrally mounted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45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410)의 하측에 작동장치(450)가 마련되는데, 작동장치(450)는 래크 기어(451)와 기어 브라켓(452), 피니언 기어(453), 작동축(455)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device 45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bracket 410, the operating device 450 is a rack gear 451, gear bracket 452, pinion gear 453, the operating shaft 455 Is done.

래크 기어(451)는 상기한 가이드 홈(411)에 형성된 장공(413)을 관통하여 바닥판(420)의 저면에 장착되는데, 이 래크 기어(451)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453)는 상기 가이드 홈(411)의 하면에 장착된 기어 브라켓(452)에 축결합되어 있다.The rack gear 451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20 through the long hole 413 formed in the guide groove 411. The pinion gear 453 engaged with the rack gear 451 is the guide. It is axially coupled to the gear bracket 452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411.

한편, 작동축(455)은 일단이 상기한 피니언 기어(453)와 기어 브라켓(452)을 관통,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0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operation shaft 455 through the pinion gear 453 and the gear bracket 452, the shaft is coupled, the other e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10a).

이 작동축(455)의 타단에는 통상의 키이(Key)또는 스플라인(Spline)을 형성하여 핸들(HD)을 이용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working shaft 455 can be easily rota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using a handle HD by forming an ordinary key or spline.

한편, 상기한 가이드 브라켓(410)의 가이드 홈(411)에는 승강 브라켓(470)이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bracket 470 is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411 of the guide bracket 410.

승강브라켓(470)은 그 단면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 하단에 다수의 가이드 롤러(471)가 소정거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lifting bracket 470 is formed to have a long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 and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471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t both lower ends.

가이드 롤러(471)의 설치위치는 상기한 경사부재(430)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uide roller 47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bove inclination member 430 is installed.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경사장치(400)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핸들(H)을 작동축(455)의 타단에 연결한 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이 작동축(455)과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453)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410)의 가이드 홈(411) 저면에 형성된 장공(413)을 관통한 래크 기어(451)는 일측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First, when the handle 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shaft 455 and rotated to one side, the pinion gear 453 axially coupled with the operation shaft 455 rotates, and accordingly, the guide bracket 410 The rack gear 451 penetrating the long hole 413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411 of () moves in one horizontal direction.

이 때, 이 래크 기어(451)와 장착된 바닥판(420)이 연동하며, 이 바닥판(420)과 장착된 경사부재(430)도 일측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At this time, the rack gear 451 and the attached bottom plate 420 is interlocked, and the bottom plate 420 and the inclined member 430 mounted also move in one horizontal direction.

이 경사부재(430)의 일측 이동에 따라, 이 경사부재(430) 일측, 다시 말해서, 바닥판(420)의 상부에 놓여 있던, 가이드 롤러(471)는 상기한 경사부재(430)의 경사부(431)를 따라 서서히 상측으로 이동하고, 경사부(431)의 정점에 연결된 수평부(433) 중간부분에 형성된 요홈(432)에 안착된다.As the inclined member 430 moves, the inclined portion 430 of the inclined member 430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member 43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420. It gradually moves upward along the 431 and is seated in the groove 432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433 connected to the apex of the inclined portion 431.

이때, 요홈(432)에 안착된 가이드 롤러(471)는 수평부(433)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35)에 걸리며 더 이상 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서 화물 경사장치(4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guide roller 471 seated in the groove 432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435 form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433, the movement is no longer possibl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400 .

이에 따라, 다수의 가이드 롤러(471)와 힌지결합된 승강 브라켓(470)은 견인부(11)와 주행부(13)의 적재면 보다 돌출되게 되고, 그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면, 이 화물은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모아지는 경사가 형성된다.Accordingly, the elevating bracket 470 hinged with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471 is projected more than the loading surface of the towing portion 11 and the running portion 13, w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upper portion, A slope is formed which naturally collects inwardly.

또한, 목적지에서 화물의 하역이 완료되면, 상기한 동작의 반대방향으로 핸들(H)을 회전시키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cargo is unloaded at the destination, the steering wheel (H)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operation.

이상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단 적재함을 갖춘 트레일러(1)는 윙 바디 트레일러뿐 아니라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평판 트레일러 또는 로우베드 트레일러를 구조변경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부적재함(100)과 승강장치(200)와 상부적재함(300)등을 추가, 적용하여도 본 고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trailer (1) having a two-stage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wing body trailer, but also a lower 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structuring the flatbed or lowbed trailer as a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art. ) And the elevating device 200 and the upper loading box 300, etc. can be added, appl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ubject innovation of course.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d can be easily modified by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중에 비하여 적재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화물의 적재량을 극대화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logistics cost by maximizing the loading amount of the cargo occupying a large loading area compared to its own weight.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류비용 절감효과까지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logistics cost,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the trust of users.

또한, 상부적재함 한번의 상, 하 동작에 의해 화물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주 사용자인 운전자들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cargo can be formed by one up, down operation of the upper loading box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s as the main user.

도 1은 종래의 화물운송용 평판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atbed trailer for transportation,

도 2a는 종래의 화물운송용 윙 바디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ng body trailer for freight,

도 2b는 도 2a "A"-"A"선의 종단면도이고,FIG. 2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in FIG. 2A,

도 2c는 도 2b "B"선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화물 경사장치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고, FIG. 2C is an enlarged view of the line “B” of FIG. 2B, which sequentially shows the operation of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를 보인 일측면도이고,3 is a side view showing a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 "C"방향에서 바라본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평면도이고,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direction "C" in Figure 3,

도 5는 도 3"D"-"D"선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승강장치를 보인 것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3 "D"-"D", showing a lifting device of the cargo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를 보인 일측면도이고,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cargo inclination device of the cargo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 "F"-"F"선의 종단면도이고,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F”-“F” in FIG. 6,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의 화물 경사장치 작용을 보인 도 7 "G"-"G"선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7 "G"-"G" showing the action of the cargo inclination device of the freight transport tra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트레일러 10;메인프레임1; trailer 10; mainframe

11;견인부 13;주행부11; towing unit 13; running unit

100;하부 적재함 110;측벽100; lower stacker 110; sidewall

200;승강장치 210,220;제 1포스트200; lifting device 210, 220; first post

250,260;제 2포스트 211,251;제 1, 2힌지브라켓250,260; 2nd post 211,251; 1st, 2nd hinge bracket

270;지지프레임 280;에어 백270; support frame 280; air bag

300;상부 적재함 400;경사장치300; upper stacker 400; tilt device

Claims (6)

선단에 견인차량과 결합되어 피견인 되도록 킹핀이 구비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차의 주행에 의해 도로상에서 주행 또는 제동되도록 다수의 바퀴가 배치된 주행부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하는 화물운송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consisting of a towing portion provided with a kingpin to be towed to the front end and a driv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tow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wheels are arranged to travel or brake on the road by the towing of the tow vehicle In the freight transport trailer to load the cargo in,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단부와 수직하는 폭방향으로 연결된 측벽과, 상기 각 측벽의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 저면에 마련된 하부 적재함과;The trailer has a side wall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of the towing unit and the running portion, and a lower loading box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side wall provided on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towing unit and the running portion; 상기 견인부의 후방과 상기 주행부 전방의 폭방향에 수직으로 다수 배치된 승강장치와;A lifting device disposed in a plurality of vertic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towing unit and the fro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승강장치 상단에 각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하부적재함의 상부양측 길이방향에 2열로 배치된 상부적재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Each end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device, the cargo transport trailer having a two-stage sta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stacker arranged in two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ack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주행부 상측에 하단이 장착된 제 1포스트와;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first post having a lower end mounted above the tow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상기 제 1포스트 내측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각 상단에 제 1힌지 브라켓이 장착된 제 2포스트와;A second post inserted into the first post so as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first hinge bracket mounted at each upper end thereof; 상기 제 1힌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 적재함 하측에 장착된 제 2힌지 브라켓과;A second hinge bracket hinged to the first hinge bracket and mounted below the upper loading box; 상기 상부 적재함 양단하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제 1포스트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과;A support frame horizontally disposed at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post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tacker;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중간부분에 하측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중간부분에 지지된 에어 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The lower side is supported by the upper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he upper side is a cargo transport trailer with a two-stage stac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ir bag suppor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fram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포스트는 상기 상부적재함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길이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된 제 1, 2포스트가 내측으로 배치된 제 1, 2포스트보다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내측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When the post is viewed in plan view from the top, the first and second posts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and second posts disposed inward, so that the inner slope is naturally formed. A freight transport trailer with a two-level stack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화물 경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The trailer is a cargo transport trailer having a two-stage sta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rgo inclination device disposed in both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towing unit and the running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화물 경사장치는 하측으로 함몰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와 주행부 외곽 길이방향, 양측으로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각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가이드 브라켓과;The cargo inclination device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recessed to the lower side, the guide bracket is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each side of the side frame disposed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uter side of the towing and the running portion;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 홈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바닥판과;A bottom plate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bracket; 상기 바닥판 상부에 소정간격 떨어져 다수 배치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정점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원호형 요홈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일측에 상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된 경사부재와; It is disposed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ntervals apart from the top of the bottom plate, the inclined por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ex of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arc-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is caught on the horizontal side A inclined member having a jaw formed therein; 상기 경사 부재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브라켓 하측에 배치된 작동장치와;An operat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guide bracket to move the inclined membe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 하측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상기 경사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승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It is formed long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bracket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ar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clined member in the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whos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 shape; Cargo trailer with two stackers.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장착된 래크 기어와, 상기 래크 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하면에 장착된 기어 브라켓에 축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일단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브라켓을 관통,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적재함을 갖춘 화물운송용 트레일러.The actuator includes a rack gear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pinion gear axially coupled to a gear bracket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so as to engage with the rack gear, and one end penetrates the pinion gear and the gear bracket. , The shaft is coupled, the other end is a cargo transport trailer with a two-stage stac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orking shaf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
KR20-2004-0022626U 2004-08-09 2004-08-09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KR2003883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626U KR200388309Y1 (en) 2004-08-09 2004-08-09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626U KR200388309Y1 (en) 2004-08-09 2004-08-09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397 Division 2004-08-09 2004-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309Y1 true KR200388309Y1 (en) 2005-06-30

Family

ID=4368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26U KR200388309Y1 (en) 2004-08-09 2004-08-09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30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68B1 (en) 2006-05-29 2007-08-17 형제산업(주) The wing body trailer have the double variable loading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68B1 (en) 2006-05-29 2007-08-17 형제산업(주) The wing body trailer have the double variable loading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1506A (en) Vehicle parking system
CN100421992C (en) Folding ramp system
US6450522B1 (en) Transporting vehicle
US3794375A (en) Detachable vehicle enclosure
US5051046A (en) Semi trailer convertible for hauling automobiles
RU2741659C2 (en) Transport platform
JP2013529156A (en) Convertible trailer
US20150232134A1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CN207258213U (en) Transport vehicle frame
KR200464388Y1 (en) Slide type low bed trailer for a transport tractor
KR200443831Y1 (en) A flat 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ion to wide type
KR200388309Y1 (en)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KR200370708Y1 (en)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CN203558813U (en) Loading stacker
CN107720012B (en) Automobile transportation frame for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automobile transportation frame
CN111391875B (en) End underframe lifting device for automobile-container dual-purpose concave bottom transport vehicle
KR101585173B1 (en) Two column loading device for special vehicle
KR200273150Y1 (en) Wing body trailer have the variable loading box
WO2009064178A1 (en) Fla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vehicles
KR0139700Y1 (en) Dumping mechanism for a truck
KR102409363B1 (en) Lift gate for freight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truck
KR200407127Y1 (en) Upper loading box equipment of a wing body trailer for the freight transport have a two column loading box
KR102545504B1 (en) Freight support device for cargo truck loading box
JP4353777B2 (en) Shaft trailer lifting device for marine container transportation
CN1031973A (en) Vertically adjustable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