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062Y1 - 자동전지가위 - Google Patents

자동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062Y1
KR200388062Y1 KR20050008343U KR20050008343U KR200388062Y1 KR 200388062 Y1 KR200388062 Y1 KR 200388062Y1 KR 20050008343 U KR20050008343 U KR 20050008343U KR 20050008343 U KR20050008343 U KR 20050008343U KR 200388062 Y1 KR200388062 Y1 KR 200388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tor
pruning shears
gear
fix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8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기환
정순연
Original Assignee
진기환
정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기환, 정순연 filed Critical 진기환
Priority to KR20050008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33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 A01G3/037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motor-driven blades the driving means be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으로 과수, 조경, 산림, 화훼용 등의 나뭇가지를 힘들이지 않게 자를 수 있는 자동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터 부분과 전동날 부분을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웜과 웜휠을 이용하는 전동방식, 캠과 로드를 이용한 가동방식 등을 채용함으로써, 전지가위의 전체적인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전동효율 확보에 따른 전지가위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가지치기 작업과 관련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전지가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전지가위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의 후단부에 나란하게 체결 지지되면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블럭의 선단부에 나란하게 체결 지지되는 고정날 및 고정날 몸체와, 상기 고정날측에 핀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조합되면서 고정날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는 가동날과, 상기 블럭의 측면부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원판형 캠 및 이 원판형 캠의 가장자리 일측과 상기 가동날의 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가동날의 반복 가위질을 가능하게 해주는 로드부재와, 상기 블럭의 내부에 장착되며 모터의 동력을 원판형 캠측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와, 이것들을 수용하면서 일측의 손잡이 및 모터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전지가위{Automatic trim scissors}
본 고안은 자동으로 과수, 조경, 산림, 화훼용 등의 나뭇가지를 힘들이지 않게 자를 수 있는 자동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웜과 웜휠을 이용하여 전동하는 방식, 캠과 로드를 이용하여 가동날을 동작시키는 가동방식, 모터와 가동날 및 고정날의 일자형 배치구조 등을 포함하는 콤팩트한 구조의 자동전지가위를 제공함으로써, 전지가위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동효율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가위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 조경, 산림, 화훼용 등의 각종 작물의 순이나, 각종 유실수 또는 관상수 등의 가지치기를 할 때에는 보통 전지가위나 전지톱, 또는 칼 등을 이용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전지가위나 전지톱 또는 칼 등을 이용하여 가지치기를 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힘들고, 더불어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가지치기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전지가위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64648에서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가동날을 동작시키는 방식의 자동전지가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자동전지가위는 모터가 속해 있는 절단장치 구동부와 가동날이 속해 있는 절단장치부가 별개로 되어 있고, 또 와이어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부피나 규모가 매우 크고 동력손실 또한 상당하여 취급이 불편하고 전지가위의 성능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67673에서는 모터 부분과 가동날 부분을 일체식으로 조합하여 형태의 자동전지가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자동전지가위의 경우 초기의 제품들에 비해 어느 정도의 부피 축소 효과나 동력손실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측면쪽으로 돌출되면서 조립되는 모터로 인해 부피 축소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옆으로 튀어나온 모터 부분이 사용시 지장을 주는 등 전반적으로 취급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작동방식 또한 장공과 그 속에서 슬라이드되는 베어링 간의 접촉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마찰, 마모나 유격, 떨림 등으로 인해 동력손실이 크고 작동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모터 부분과 전동날 부분을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하고, 웜과 웜휠을 이용하는 전동방식, 캠과 로드를 이용한 가동방식 등을 채용함으로써, 전지가위의 전체적인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전동효율 확보에 따른 전지가위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가지치기 작업과 관련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전지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지치기를 위한 자동전지가위에 있어서, 지지체 역할을 하는 블럭과, 상기 블럭의 후단부에 나란하게 체결 지지되면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블럭의 선단부에 나란하게 체결 지지되는 고정날 및 고정날 몸체와, 상기 고정날측에 핀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조합되면서 고정날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는 가동날과, 상기 블럭의 측면부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원판형 캠 및 이 원판형 캠의 가장자리 일측과 상기 가동날의 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가동날의 반복 가위질을 가능하게 해주는 로드부재와, 상기 블럭의 내부에 장착되며 모터의 동력을 원판형 캠측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와, 이것들을 수용하면서 일측의 손잡이 및 모터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를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전동장치는 모터의 축에 직결되는 제1기어와, 블럭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블럭측에 양단 지지되며 한쪽에는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갖는 웜과, 블럭의 두께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그 일측이 웜과 치합되고 원판형 캠과 하나의 중심축을 공유하면서 함께 회전가능한 웜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길이 중간부분이 체결구조로 연결된 나사형 막대로 이루어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의 원판형 캠측 연결 부위에는 베어링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헬리컬기어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지가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블럭(10)은 내부에 기어전동장치 등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갖는 얇은 사각형태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곳에 후술하는 모터, 고정날 몸체, 원판형 캠 등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되므로서, 자동전지가위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들이 한 곳으로 집약될 수 있고, 따라서 전지가위의 부피나 크기 등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블럭(10)의 후단부에는 모터(11)가 장착되는데, 이때의 모터(11)는 블럭(10)의 뒷쪽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그 전면 플랜지를 이용하여 볼트 등으로 체결 고정되고, 그 축은 블럭(10)의 안쪽으로 들어가 있게 된다.
이러한 모터(11)는 외부의 전원, 예를 들면 가지치기 작업시 작업자가 어깨에 매고 다닐 수 있는 밧데리측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 후술하는 케이스(20)상의 스위치(19)와 전기적으로 배선되어 있어서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작동되거나 정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11)는 블럭(10)의 뒷쪽으로 일부 연장된 형태이고, 또 옆쪽이나 다른 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주변으로 씌워지는 케이스(20)의 손잡이(18)가 조성하는 빈 공간 내에 자리잡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큰 면적이나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럭(10)의 선단부에는 서로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일체식의 고정날(12) 및 고정날 몸체(13)가 장착된다.
즉, 고정날 몸체(13)의 후단부가 블럭(10)의 앞쪽에 체결 고정되어 길게 연장된 형태로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고정날(12) 및 고정날 몸체(13)는 그 뒷쪽의 블럭(10) 및 모터(11)와 일직선으로 나란한 형태가 되므로 사용시 손으로 모터 부위를 잡고 그 앞쪽 끝에 위치되는 날 부분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취급성이나 조작성 측면에서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정날(12)과 조합되어 가위질을 가능케 하는 가동날(14)은 고정날(12)과의 날 부분을 마주 대하는 동시에 고정날(12)의 측면에 겹쳐지면서 후단쪽이 핀(28)으로 결합되고, 이곳을 중심점으로 반복 회동되면서 가위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럭(10)의 한쪽 측면부에는 원판형 캠(15)이 나란하게 접하면서 배치되며, 이때의 원판형 캠(15)은 그 중심을 관통하면서 블럭(10)의 두께까지 관통하는 중심축(24)과 일체 결합되어 중심축(24)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24)의 블럭 관통부위에는 베어링수단을 함께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판형 캠(15)과 가동날(14)을 이어주는 수단으로 로드부재(16)가 제공된다.
상기 로드부재(16)는 원판형 캠(15)의 가장자리 일측과 가동날(14)의 뒷쪽 연장부분 사이에 연결되면서 일종의 커넥팅로드와 같은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원판형 캠(15)이 1회전하게 되면 이때의 회전운동이 로드부재(16)를 통해 전달되어 가동날(14)은 1회 가위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로드부재(16)는 베어링(27)을 가지면서 원판형 캠측에 조립되는 캠측 연결부재와, 대략 "ㄷ"자형태를 취하면 핀구조로 조립되는 가동날측 연결부재와, 이것들을 이어주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드부재(16)의 길이 중간부분을 차지하는 막대부재는 나사형 막대(26)로 되어 있고, 이 나사형 막대(26)의 양단이 캠측 연결부재 및 가동날측 연결부재에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나사형 막대(26)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면 로드부재(16)의 전체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길이 조정에 따라 가동날(14)의 가위질 폭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가지치기의 대상에 맞게 가위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가동날(14)의 가위질을 위한 동력전달이 로드부재(16)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슬립이나 떨림 등의 손실없이 거의 100% 동력이 가동날(14)측에 전달될 수 있고, 따라서 전지가위의 성능, 즉 가동날의 가위질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특징 중의 하나는 모터측 동력이 가동날측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어전동장치(17)를 채용한 점이다.
이러한 기어전동장치는 종전의 와이어를 이용한 전동방식이나 모터 직결식 전동방식에 비해 전동경로를 훨씬 단축할 수 있고, 또 웜과 웜휠 조합에 의한 감속기능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모터의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블럭(10)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위치되는 모터축에는 제1기어(21)가 장착되고, 그 앞쪽으로는 웜휠(25)이 블럭 벽면 사이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원판형 캠(15)을 관통 지지하고 있는 중심축(24)에 의해 관통되어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아래쪽으로는 웜휠(25)과 치합되면서 한쪽의 제2기어(22)를 이용하여 제1기어(21)와도 치합되는 웜(23)이 블럭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베어링 등과 함께 블럭측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때의 상기 웜휠(25)과 원판형 캠(25)은 하나의 중심축(24)을 같이 공유하면서 함께 회전가능한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측과 웜측 간의 전동을 담당하는 제1기어(21)와 제2기어(22)는 소음이 적고 확실한 전동이 가능한 헬리컬기어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날(14)과 고정날(12)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구성부품들은 하나의 케이스(20) 내에 포함되며, 이때의 케이스(20)에는 뒷쪽으로 손잡이(18)가 마련되고, 윗쪽으로는 적당한 위치, 예를 들면 손잡이를 잡았을 때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스위치(19)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19)는 모터측과 통상의 회로구성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19)의 온/오프 조작으로 모터(11)를 작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지가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손잡이(18)를 잡고 일측 스위치(19)를 누르면 모터(11)가 작동하게 되는데, 모터(11)의 동력은 제1기어(21)→제2기어(22)→웜(23)→웜휠(25)→중심축(24)→원판형 캠(15)→로드부재(16)→가동날(14)의 순서로 전달되고, 따라서 가동날(14)의 1회 가위질 동작으로 나뭇가지 등을 손쉽게 자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가 자동전지가위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스위치만 조작하면 자동으로 가위질이 되면서 가지치기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힘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단위면적당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고 작업능률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전지가위의 경우 모터, 블럭, 고정날 및 가동날을 일렬로 배치하면서 기어전동장치를 블럭 내에 내장시킴으로써, 전지가위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렇게 부피가 콤팩트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구동수단, 기어전동수단, 캠과 로드 가동수단, 가동날 및 고정날 등을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전지가위의 전체적인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전지가위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과수, 조경, 산림, 화훼용 등의 가지치기 작업시 취급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지가위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지가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전지가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럭 11 : 모터
12 : 고정날 13 : 고정날 몸체
14 : 가동날 15 : 원판형 캠
16 : 로드부재 17 : 기어전동장치
18 : 손잡이 19 : 스위치
20 : 케이스 21 : 제1기어
22 : 제2기어 23 : 웜
24 : 중심축 25 : 웜휠
26 : 나사형 막대 27 : 베어링
28 : 핀

Claims (5)

  1. 가지치기를 위한 자동전지가위에 있어서,
    지지체 역할을 하는 블럭(10)과, 상기 블럭(10)의 후단부에 나란하게 체결 지지되면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11)와, 상기 블럭(10)의 선단부에 나란하게 체결 지지되는 고정날(12) 및 고정날 몸체(13)와, 상기 고정날(12)측에 핀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조합되면서 고정날(12)과 함께 가위질을 수행하는 가동날(14)과, 상기 블럭(10)의 측면부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원판형 캠(15) 및 이 원판형 캠(15)의 가장자리 일측과 상기 가동날(14)의 후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가동날(12)의 반복 가위질을 가능하게 해주는 로드부재(16)와, 상기 블럭(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모터(11)의 동력을 원판형 캠(15)측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17)와, 이것들을 수용하면서 일측의 손잡이(18) 및 모터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19)를 갖는 케이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지가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전동장치(17)는 모터(11)의 축에 직결되는 제1기어(21)와, 블럭(10)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블럭측에 양단 지지되며 한쪽에는 제1기어(21)와 치합되는 제2기어(22)를 갖는 웜(23)과, 블럭(10)의 두께와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그 일측이 웜(23)과 치합되고 원판형 캠(15)과 하나의 중심축(24)을 공유하면서 함께 회전가능한 웜휠(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지가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16)는 길이 중간부분이 체결구조로 연결된 나사형 막대(26)로 이루어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지가위.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16)의 원판형 캠측 연결 부위에는 베어링(27)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지가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21)와 제2기어(22)는 헬리컬기어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지가위.
KR20050008343U 2005-03-28 2005-03-28 자동전지가위 KR200388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8343U KR200388062Y1 (ko) 2005-03-28 2005-03-28 자동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8343U KR200388062Y1 (ko) 2005-03-28 2005-03-28 자동전지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062Y1 true KR200388062Y1 (ko) 2005-06-28

Family

ID=4113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8343U KR200388062Y1 (ko) 2005-03-28 2005-03-28 자동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06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2101A1 (en) * 2007-11-08 2009-05-14 Monnig Gary J Improved tree trimming apparatus
KR101052497B1 (ko) * 2009-06-05 2011-09-01 주식회사 하이시스 깁스커터
KR101129771B1 (ko) 2009-12-24 2012-03-23 김원태 가지치기 전동톱
WO2013103185A1 (ko) * 2012-01-02 2013-07-11 Yang Seung Chul 전동형 미용 가위
KR101306959B1 (ko) 2013-03-04 2013-09-17 김재중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자동 전지 가위
KR200469796Y1 (ko) 2012-06-15 2013-11-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KR200470241Y1 (ko) * 2012-02-29 2013-12-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CN110238881A (zh) * 2019-07-03 2019-09-17 于秀江 一种宠物美容专用电剪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2101A1 (en) * 2007-11-08 2009-05-14 Monnig Gary J Improved tree trimming apparatus
KR101052497B1 (ko) * 2009-06-05 2011-09-01 주식회사 하이시스 깁스커터
KR101129771B1 (ko) 2009-12-24 2012-03-23 김원태 가지치기 전동톱
WO2013103185A1 (ko) * 2012-01-02 2013-07-11 Yang Seung Chul 전동형 미용 가위
KR200470241Y1 (ko) * 2012-02-29 2013-12-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KR200469796Y1 (ko) 2012-06-15 2013-11-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KR101306959B1 (ko) 2013-03-04 2013-09-17 김재중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자동 전지 가위
CN110238881A (zh) * 2019-07-03 2019-09-17 于秀江 一种宠物美容专用电剪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062Y1 (ko) 자동전지가위
EP2158805B1 (en) Vegetation cutting tool
KR102046185B1 (ko) 이중 모드 래칫 전정기
CA2714773C (en) Electric shears
US11185015B2 (en) Hedge trimmer with a dual gear setting
JPH0898627A (ja) 剪断ブレード/鋸ブレードの組合せアセンブリを具えた生け垣用剪定器
CA2474285A1 (en) Vegetation pruning device
WO2005118195A3 (en) Hand-held circular saw, in particular plunge-cut saw
CA2437650A1 (en) Lopper
CA2154332A1 (en) Compound Action Hand Pruner
KR102044538B1 (ko) 과수목 적심기
KR100432397B1 (ko) 자동전지가위
CN213245816U (zh) 一种园林绿化用修剪工具
US3751805A (en) Hedge trimmer
KR200411622Y1 (ko) 전동 전지 커터기
CN112514675B (zh) 一种电剪刀双刀驱动机构及电动剪刀
CN2860049Y (zh) 一种电动修枝剪
JP2010158205A (ja) 園芸用バリカンとそのブレードアセンブリ
JP4657094B2 (ja) 刈込機
CN211430168U (zh) 果树树枝修剪装置
JP4468055B2 (ja) ヘッジトリマー
CN218451193U (zh) 一种园林树木修剪装置
JPH11266702A (ja) 園芸用刈込み機
KR200264648Y1 (ko) 자동전지가위
CN207240268U (zh) 一种园林电动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