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91Y1 - 휴대용 작업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작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91Y1
KR200387391Y1 KR20-2005-0007924U KR20050007924U KR200387391Y1 KR 200387391 Y1 KR200387391 Y1 KR 200387391Y1 KR 20050007924 U KR20050007924 U KR 20050007924U KR 200387391 Y1 KR200387391 Y1 KR 200387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resent
worn
seat
chai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웅
Original Assignee
이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웅 filed Critical 이정웅
Priority to KR20-2005-0007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비닐하우스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앉은 채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하는 휴대용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농업용이나 어업용 또는 야외에서 앉은 자세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경우에 있어 작업자들은 작업여건상 장시간 동안 계속하여 쪼그려 앉은 채로 작업을 하면 무릎관절이 손상됨으로 수건을 깔고 앉거나 받침대 등을 의자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자리를 옮길 때마다 상기의 장비들을 함께 옮겨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고안 요지는 무게가 가벼운 PU재질로 된 의자몸체(1)의 좌판(1a) 가장자리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구(2)에는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띠(3)가 끼움되고, 상기한 의자몸체(1)의 좌판(1a)저면에 부착된 지지판(5)에는 고정대(6)가 끼움 체결되고 상기한 고정대(6)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체결공(7a)이 다수 형성된 조절간(7)을 삽입 조절핀(6b)으로 체결하고 이 조절간(7)의 하단에는 받침대(8)가 장착된 것으로, 본 고안은 의자몸체를 허리에 착용할 수 있어 이동에 간편할 뿐만 아니라 높이를 조절하면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무릎관절 보호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작업의자 { A portable working chair }
본 고안은 허리에 착용하는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농촌이나 어촌 또는 야외에서 앉은 채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허리에 체결하는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은 작업 여건상 장시간 동안 쪼그려 앉은 채로 작업을 하면 무릎관절이 손상되므로 수건을 깔고 앉거나 받침대 등을 사용하면 자리를 이동할 때마다 상기의 장비들을 함께 옮겨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고안요지는 PU재질로 된 의자몸체(1)의 좌판(1a) 가장자리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구(2)에는 체결구(4)가 부착된 허리띠(3)가 끼움되고, 상기 의자몸체(1)의 좌판(1a)저면에 체결된 지지판(5)에는 고정대(6)가 부착되고 이 고정대(6)에는 높이 조절 체결공(7a)이 있는 조절간(7)을 삽입하여 조절핀(6b)으로 체결하고 조절간(7)의 하단에는 받침대(8)가 부착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와 같이 PU재질로 된 의자(1)의 좌판(1a) 가장자리에 다수 설치된 지지구(2)에는 체결구(4)를 장착한 허리띠(3)가 끼움되고 상기한 의자몸체(1)의 좌판(1a) 저면에 설치된 지지판(5)에 고정핀(5a)으로 체결된 고정대(6)에는 체결공(6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6)에 삽입되어 조절핀(6b)에 의해 체결되는 조절간(7)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7a)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간(7)의 하단부에는 받침대(8)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농촌이나 어촌의 비닐하우스 또는 야외에서 앉은 채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휴대용 작업의자 인바, 지지구(2)에 끼움된 허리띠(3)를 작업자의 허리에 둘러 알맞게 조절한 다음 체결구(4)로 체결하고 의자몸체(1)의 좌판(1a)높이를 조절할 때는 고정대(6)에 체결된 조절핀(6b)을 풀고 좌판(1a)을 조절간(7)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7a)의 적당한 위치에 있는 체결공(7a)에 맞춘 다음 조절핀(6b)을 상기의 체결공(6a)(7a)에 삽입함으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 도중 이동시에는 의자몸체(1)를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면 된다. 그리고 작업이 끝난 후는 허리띠(3)의 체결구(4)를 해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판(1a)에 앉은 채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용 작업의자를 구성함에 있어 PU재질로 된 의자몸체(1)를 허리에 체결함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작업자의 무릎관절 보호와 피로감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이 증대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의자몸체 1a-좌판 2-지지구 3-허리띠
4-체결구 5-지지판 5a-고정핀 6-고정대
6a-체결공 6b-조절핀 7-조절간 7a-체결공
8-받침대

Claims (1)

  1. 의자몸체(1)의 좌판(1a) 가장자리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구(2)에는 체결구(4)를 장착한 허리띠(3)가 끼움되고, 상기 의자몸체(1)의 좌판(1a)저면에 설치된 지지판(5)에는 체결공(6a)이 있는 고정대(6)가 끼움되어 고정핀(5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6)에 삽입되는 조절간(7)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7a)을 형성하여 조절핀(6b)으로 높이를 조절 고정하며 상기 조절간(7)의 하단부에는 받침대(8)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작업의자.
KR20-2005-0007924U 2005-03-23 2005-03-23 휴대용 작업의자 KR200387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24U KR200387391Y1 (ko) 2005-03-23 2005-03-23 휴대용 작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924U KR200387391Y1 (ko) 2005-03-23 2005-03-23 휴대용 작업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91Y1 true KR200387391Y1 (ko) 2005-06-20

Family

ID=4368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924U KR200387391Y1 (ko) 2005-03-23 2005-03-23 휴대용 작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8Y1 (ko) * 2011-04-15 2014-02-04 류동주 휴대할 수 있는 작업용 간이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8Y1 (ko) * 2011-04-15 2014-02-04 류동주 휴대할 수 있는 작업용 간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0993A1 (en) Double-O Kneepad
US7695410B2 (en) Seat mountable exercise device
US20180292174A1 (en) Forearm protector
US7624737B2 (en) Anterior support device
US20120117705A1 (en) Pants With A Weight-Distributing Waistband
CA2523696A1 (en) Anterior support device
US20180363846A1 (en) Chest-mounted support device
EP1599158B1 (en) Ankle brace
US8752214B1 (en) Positioning brace for a kneepad
US9987159B2 (en) Back supporter
KR200387391Y1 (ko) 휴대용 작업의자
WO2006021780A3 (en) Outdoor chair
US7958574B1 (en) Upper trunk protector and related methods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JP3141172U (ja) 身体装着式簡易立ち椅子
US20050274767A1 (en) Tool belt
US20200223055A1 (en) Body support device
US20130105537A1 (en) Back support for backpack
KR101256328B1 (ko) 휴대용 의자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ES2602442T3 (es) Órtesis ergonómica de apoyo para pierna
KR20180028422A (ko) 작업용 의자
CN209315005U (zh) 一种铺砌作业的劳保装置
KR20090007192U (ko) 몸체부착형 작업용 의자
US11712117B1 (en) Elevated bench seat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