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361Y1 -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361Y1
KR200387361Y1 KR20-2005-0006501U KR20050006501U KR200387361Y1 KR 200387361 Y1 KR200387361 Y1 KR 200387361Y1 KR 20050006501 U KR20050006501 U KR 20050006501U KR 200387361 Y1 KR200387361 Y1 KR 200387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essure
pip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메스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스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메스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05-0006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3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유류가 공급되도록 유류공급관(111)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관(112)에 일정한 압력을 정확하게 공급시키는 정압기(113)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부(114)를 형성하여 유류와 압력을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의 유류공급관(111)와 연결되어 유류를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유류이송관(121)에 유류밸브(122)를 부착하여 유류를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유류분배관(123)을 형성하고, 정압기(114)와 연결되어 압력을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압력이송관(124)에 압력밸브(125)를 부착하여 압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압력분배관(126)을 형성하여 유류 및 압력을 분배하는 분배부(120)와, 상기 분배부(120)의 타측으로 상하 판 형상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지지구(135)가 구비된 하우징(131)을 형성하고, 중앙에 복수의 투명형태의 측정관(132)을 투명형태로 보호하는 보호캡(134)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120)의 압력분배관(126)과 복수의 측정관(13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압력공급부(136)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하고, 하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의 유류분배관(123)과 복수의 측정관(13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유류공급부(137)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시켜 유류와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측정관(132)에서 송유배관의 누출을 측정하는 측정부(130)와, 상기 측정부(130)의 하부 전면 측으로 연결밸브(142)가 구비된 연결관(141)을 송유배관과 측정관(132)이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측정부(130)의 측정관(132)과 송유배관을 연결시켜 누출을 측정하도록 형성한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Testing Device of Leaking for Oil Pipeline}
본 고안은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소, 정유공장 및 유류취급소 등과 같이 유류를 취급하는 송유배관의 내부에 누수되는 부분을 검사하기 위해서 송유배관의 내부에 유류를 가득 채운상태에서 검사장치를 연결하여 측정부의 내부에 눈금이 형성되어 보호캡으로 보호되는 측정관에 공급하여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압력공급부에서 일정한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일정한 시간에 따라 측정관의 유류가 감소되는 양을 측정하여 송유배관의 상태와 파손되었으면 파손의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유류가 내부에 가득 차 있는 상태로 송유 중인 배관에 바로 연결하여 검사를 시행하므로 유류의 누출을 신속하게 검사하여 송유 중에 유류의 누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고, 복수의 측정관을 형성하여 유류 및 압력을 공급하면 복수로 형성된 배관을 한번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측정기로 복수의 배관을 동시에 측정하여 효율성을 증대하면서 비용을 감소시키며, 유류와 압력을 측정관에 공급하고 바로 배관에 연결하는 간단한 구조로 눈금에 따라 유출되는 유류의 양을 시간으로 환산하여 배관의 손상여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발생 가능성이 작아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정확하게 손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유관(Oil Pipeline)이란 원유 또는 석유제품을 일정지점으로부터 목적지점까지 수송하는데 필요한 배관설비를 뜻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배관과 송유에 필요한 그 부품만으로 한정하나 넓은 의미로는 배관과 그 부품을 포함하여 수취지점의 수취에 필요한 설비와 송유에 필요한 가압설비, 그리고 인도지점의 출하설비 등 모든 설비를 의미한다.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송유관이라 함은 후자인 넓은 의미로서의 모든 설비를 말하는 것으로, 송유 지점에서 화주나 수탁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수송상품(석유)의 양과 품질을 계측하고 통제하며 보증하는데 필요한 모든 장비와 상품의 수송에 필요한 동력공급장비 및 이를 조정, 통제하는데 필요한 시설은 물론 저유시설과 출하시설 등 모든 설비를 망라한 송유관 시스템을 뜻한다.
현재 전세계의 송유배관을 사용 목적별로 보면 전체의 70%가 천연 가스용이고 20%가 원유 수송용이며 나머지 10%가 석유제품 및 기타(맥류, 차, 밀크, 분말석탄)물품의 수송용이다.
이러한, 송유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천연가스는 기체로 이송되어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고 누출되면 지면으로 가스가 상승하면서 폭발로 인한 대형 사고로 이어 짐에 따라 엄중한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석유제품 및 기타의 경우 그 수송량이 미비하고 고형분이 대부분임으로 강한 압력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누수에 따라 오염되어도 회수가 간편하고 오염지역의 확산이 미비하여 비교적 매설된 토양의 오염에 미미한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유류의 경우에는 액체 성분으로 수송되는 배관의 내부에 약간의 균열이 발생하면 유출이 시작되고 유류의 점성 때문에 배관의 내부에 잔존되는 유류량이 존재함에 따라 송유 중에 유출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가 없으며, 유출이 시작되면 액체성분인 유류가 매설된 토양 내부로 급격히 침투되면서 오염이 발생하고, 침투된 유류가 지하수와 교반되면서 이동되어 신속한 속도로 오염범위를 확장함에 따라 매설 배관 주변토양을 엄청난 속도로 오염시키면서도 지중에 오염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염이 시작된 시기조차도 유추하기 어려워 송유관의 매설은 환경오염의 위험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는 시설이었다.
이에, 우리나라는 원유를 수입하여 남부해안지역에서 85%이상을 정제하여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요 내륙의 소비지로 공급하는 관계로 인하여 석유제품의 장거리 수송이 불가피하다. 한편, 국민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경질유를 중심으로 한 석유소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도로, 철도, 항만 등 수송여건의 과밀현상이 한계점에 이르러 석유의 원활한 공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형 유조차의 장거리 운행으로 도로의 파손, 소음, 매연이 심하며, 유조선에 의한 해상유류 누출 등 기존의 석유 수송체계에 의한 환경오염은 시급히 개선되어야할 과제인 것이다.
이러한,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송유관 사업은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에도 불과하고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배관을 통해 생산지와 소비지를 연결 하는 가장 안전하고 경제적인 석유 수송수단의 일환이다.
또한, 석유를 저장하는 저장고, 각 주유소의 지하에 마련된 저유고 등과 연결되어 석유를 공급하는 송유배관도 지하에 매설되어 각 유류 공급시설과 연계되어 있으나, 지역적으로 작은 형태에 불과하여 석유의 누출에 대한 검사나 토양오염에 대해 지속적인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각 지역 마다 널리 퍼져 있는 유류 저장소 별로 유류가 일정량 이상 계속적으로 유출되면 토양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이에 따른, 지하수도 오염되어 엄청난 환경적 재앙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송유관의 유류를 모두 제거한 상태로 배관의 전체를 밀폐시켜서 내부에 검출가스를 삽입하여 통과되는 가스의 량으로 배관 내부의 누출상태를 검사하여 배관의 파손 및 누출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런, 종래 기술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송유배관 내부의 유류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검출가스를 투입하여 누출정도를 측정하여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나, 점성이 있는 유류를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고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 송유배관의 송유를 중단하고 내부의 유류를 펌프와 같은 다른 형태의 도구로 제거함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며, 파손부위에 유류가 잔존하면 가스의 누출을 유류가 차단하여 누출상태와 파손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송유배관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로 검출가스를 내부로 주입하여 배관의 누출을 검사하는 것으로, 배관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완전히 밀폐하기 어렵고 밀폐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여 측정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밀폐된 송유배관에 누출가스를 주입하여 배관 내부의 파손 및 누수 정도를 검사하는 것으로, 하나의 기기로 하나의 배관만을 검사함으로써, 각 배관에 따라 시간을 차등적으로 검사하거나, 배관의 숫자에 따라 복수의 검사장비를 투입시켜 검사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증대되어 효율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밀폐된 송유배관에 누출가스를 주입하여 배관 내부의 파손 및 누수 정도를 검사하는 것으로, 송유배관의 구경과 길이, 배관 내부의 잔여 유류의 존재, 매설 위치 및 매설 깊이에 따라 가스의 배출량에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써, 측정되는 가스량의 변화에 따라 누출 정도와 파손 상태를 측정하기 어려운 점 때문에 가스량의 차이로 정확하게 유류의 누출이 발생하여 배관을 재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것에 판단하는 자료로써의 신빙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유류를 송유하는 송유배관의 내부에 유류를 가득 채운 상태로 눈금부가 형성된 측정관과 연결관으로 연결시켜 공급부로 유류와 압력을 일정량 공급하여 측정할 송유배관과 압력을 정확하게 조정한 상태로 시간을 지속하면 송유배관의 파손상태와 누출정도를 눈금이 형성된 측정관에 수치로 환산되어 육안으로 확인하여 측정함으로써, 송유 중인 배관의 일측을 밀폐한 상태로 계속 송유하면서 내부를 유류로 채워 측정하고 측정결과 양호한 상태가 되면 밀폐부를 다시 원상태로 연결하여 바로 송유를 지속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측정에 대한 시간의 손실 및 측정 준비와 후속 조치에 따른 비용발생을 감소시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송유배관의 누출상태를 측정하여 송유지체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파손상태를 검사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송유배관의 내부에 유류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측정장치를 연결관으로 연결시킨 상태로 일정 압력과 유류를 공급하여 측정관의 유류량 변화에 따라 파손상태와 누출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유류배관의 누출의 량을 일정한 시간에 감소되는 유류의 량을 눈금치로 환산하여 정확하게 산출하므로, 적절한 배관 교체시기를 결정하여 송유배관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유배관이 복수로 형성되어 여러 배관을 동시에 측정할 때에는 눈금부가 형성된 측정관을 복수로 형성하여 각 배관을 연결관으로 각 측정관에 연결시켜 동시에 유류와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배관 내부의 누출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배관을 측정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고 측정비용을 최소화 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유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류의 점성과 매설된 배관의 굴곡률에 따라 파손되어도 유량의 변화에 영향이 없으나, 아주 미량으로 계속 유출되는 측정이 어려운 부분도 같은 매질인 유류를 가득채워서 그 유출되는 량으로 누출량을 측정함에 따라 정확한 배관의 누출상태를 점검하여 누출에 따른 오염을 미연에 방지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경이 크고 길이가 길어서 누출을 검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던 송유배관도 송유되는 유류를 차단한 상태로 배관내 유류가 가득차면 바로 측정이 가능하여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측정되고, 측정관이 송유배관에 비하여 직경이 비교적 적음으로써 송유배관의 미세한 누출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측정하여 측정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일측으로 유류가 공급되도록 유류공급관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관에 일정한 압력을 정확하게 공급시키는 정압기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부를 형성하여 유류와 압력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유류공급관과 연결되어 유류를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유류이송관에 유류밸브를 부착하여 유류를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유류분배관을 형성하고, 정압기와 연결되어 압력을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압력이송관에 압력밸브를 부착하여 압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압력분배관을 형성하여 유류 및 압력을 분배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의 타측으로 상하 판 형상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지지구가 구비된 하우징을 형성하고, 중앙에 복수의 투명형태의 측정관을 투명형태로 보호하는 보호캡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의 압력분배관과 복수의 측정관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압력공급부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하고, 하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의 유류분배관과 복수의 측정관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유류공급부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시켜 유류와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측정관에서 송유배관의 누출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의 하부 전면 측으로 연결밸브가 구비된 연결관을 송유배관과 측정관이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측정부의 측정관과 송유배관을 연결시켜 누출을 측정하도록 형성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복수로 형성된 투명형태의 보호캡의 내부에 형성되어 분배부의 압력분배관과 유류분배관에서 공급되는 압력과 유류를 압력공급부와 유류공급부에서 공급받아 송유배관과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유류의 누출을 측정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측정관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눈금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간편하게 누출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정부의 하우징 전면 상부 측으로 압력을 드레인하는 압력드레인밸브를 형성하여 측정관에서 측정이 완료되면 연결관을 제거한 상태로 연결밸브를 열어 유류를 드레인하고 압력드레인밸브를 열어 압력을 드레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류와 압력을 공급하도록 형성한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유류와 압력을 분배하는 분배부(120)와, 상기 분배부(120)에서 복수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유류와 압력을 송유배관과 연결되어 누출을 측정하는 측정부(130)와, 상기 측정부(130)를 송유배관과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일측으로 유류가 공급되도록 유류공급관(111)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관(112)에 일정한 압력을 정확하게 공급시키는 정압기(113)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부(114)를 형성하여 유류와 압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분배부(120)는 공급부(110)의 유류공급관(111)과 연결되어 유류를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유류이송관(121)에 유류밸브(122)를 부착하여 유류를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유류분배관(123)을 형성하고, 정압기(114)와 연결되어 압력을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압력이송관(124)에 압력밸브(125)를 부착하여 압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압력분배관(126)을 형성하여 유류 및 압력을 분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정부(130)는 분배부(120)의 타측으로 상하 판 형상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지지구(135)가 구비된 하우징(131)을 형성하고, 중앙에 복수의 투명형태의 측정관(132)을 투명형태로 보호하는 보호캡(134)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120)의 압력분배관(126)과 복수의 측정관(13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압력공급부(136)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하고, 하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의 유류분배관(123)과 복수의 측정관(13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유류공급부(137)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시켜 유류와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측정관(132)에서 송유배관의 누출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130)는 복수로 형성된 투명형태의 보호캡(134)의 내부에 형성되어 분배부(120)의 압력분배관(126)과 유류분배관(123)에서 공급되는 압력과 유류를 압력공급부(136)와 유류공급부(137)에서 공급받아 송유배관과 연결관(141)으로 연결되어 유류의 누출을 측정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측정관(132)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눈금부(133)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간편하게 누출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130)의 하우징(131) 전면 상부 측으로 압력을 드레인하는 압력드레인밸브(138)를 형성하여 측정관(132)에서 측정이 완료되면 연결관(141)을 제거한 상태로 연결밸브(142)를 열어 유류를 드레인하고 압력드레인밸브(138)를 열어 압력을 드레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40)는 측정부(130)의 하부 전면 측으로 연결밸브(142)가 구비된 연결관(141)을 송유배관과 측정관(132)이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측정부(130)의 측정관(132)과 송유배관을 연결시켜 누출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의 결합구조와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로 형성된 송유배관의 내부에 유류를 가득 채운 다음에 일측을 밀폐시키고, 밀폐시킨 측으로 복수의 연결관(141)으로 측정부(130)의 복수의 측정관(132)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부의 연결관(141)으로 측정관(132)을 연결한 상태에서 공급부(110)의 유류공급관(111)을 거쳐서 복수로 형성된 분배부(120)의 유류이송관(121)과 유류밸브(122)가 구비된 유류분배관(123)을 상하 판형태로 지지구(135)가 형성된 하우징(131)의 하부에 형성된 유류공급부(137)와 연결하여 측정관(132)으로 유류를 공급시켜 송유배관과 연결관(141)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측정관(132) 내부의 유류 수위를 일정하게 측정시작 수위로 공급하고 일정수위가 되면 유류밸브(122)를 차단하여 공급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이, 투명형태의 보호캡(134)의 내부에 형성된 각 측정관(132)에 유류의 수위를 송유배관과 연결된 상태로 공급부(110)와 분배부(120)로 유류를 공급하여 측정시작수위로 도달시킨 상태에서 공급부(110)의 압력공급부(136)로 공급되는 압력을 압력표시부(114)에서 표시하면서 송유배관의 직경과 길이에 따라 일정하게 정압기(113)에 정해진 압력으로 압력이송관(124)과 압력밸브(125)가 복수로 구비된 압력분배관(126)을 상하 판형태로 지지구(135)가 형성된 하우징(131)의 하부에 형성된 압력공급부(136)와 연결하여 측정관(132)을 통하여 압력을 송유배관 측으로 전달시키고, 일정 압력이 되면 정압기(113)가 차단되면서 압력표시부(114)의 수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압력밸브(125)를 차단하여 압력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이렇게, 송유배관 측으로 압력이 전달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흐르면 송유배관의 파손부위에서 압력에 의해 유류가 누출되면서 누출된 량을 눈금부(133)에 형성된 측정관(132)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시간별로 측정하여 송유배관의 파손상태와 누출정도에 따른 측정부(130)의 수위를 측정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측정부(130)에서 복수의 송유배관의 누출 측정이 완료되면 송유배관과 연결된 연결관(141)을 제거하고, 누출정도에 따라 송유배관의 교체 및 유지를 결정한 후에 하우징(131)의 전면의 상부에 형성된 압력드레인밸브(138)를 열어서 압력을 제거하고 하부에 형성된 연결밸브(142)를 열어서 측정관의 내부의 유류를 제거하여 다른 송유배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유류를 송유하는 송유배관의 내부에 유류를 가득 채운 상태로 눈금부가 형성된 측정관과 연결관으로 연결시켜 공급부로 유류와 압력을 일정량 공급하여 측정할 송유배관과 압력을 정확하게 조정한 상태로 시간을 지속하면 송유배관의 파손상태와 누출정도를 눈금이 형성된 측정관에 수치로 환산되어 육안으로 확인하여 측정함으로써, 송유 중인 배관의 일측을 밀폐한 상태로 계속 송유하면서 내부를 유류로 채워 측정하고 측정결과 양호한 상태가 되면 밀폐부를 다시 원상태로 연결하여 바로 송유를 지속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측정에 대한 시간의 손실 및 측정 준비와 후속 조치에 따른 비용발생을 감소시켜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송유배관의 누출상태를 측정하여 송유지체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파손상태를 검사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송유배관의 내부에 유류를 가득 채운 상태에서 측정장치를 연결관으로 연결시킨 상태로 일정 압력과 유류를 공급하여 측정관의 유류량 변화에 따라 파손상태와 누출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유류배관의 누출의 량을 일정한 시간에 감소되는 유류의 량을 눈금치로 환산하여 정확하게 산출하므로, 적절한 배관 교체시기를 결정하여 송유배관의 누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송유배관이 복수로 형성되어 여러 배관을 동시에 측정할 때에는 눈금부가 형성된 측정관을 복수로 형성하여 각 배관을 연결관으로 각 측정관에 연결시켜 동시에 유류와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배관 내부의 누출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배관을 측정함에 따라 범용성을 확대하고 측정비용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송유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류의 점성과 매설된 배관의 굴곡률에 따라 파손되어도 유량의 변화에 영향이 없으나, 아주 미량으로 계속 유출되는 측정이 어려운 부분도 같은 매질인 유류를 가득채워서 그 유출되는 량으로 누출량을 측정함에 따라 정확한 배관의 누출상태를 점검하여 누출에 따른 오염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는 구경이 크고 길이가 길어서 누출을 검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던 송유배관도 송유되는 유류를 차단한 상태로 배관내 유류가 가득차면 바로 측정이 가능하여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측정되고, 측정관이 송유배관에 비하여 직경이 비교적 적음으로써 송유배관의 미세한 누출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측정하여 측정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정장치 110 : 공급부
111 : 유류공급관 112 : 압력공급관
113 : 정압기 114 : 압력표시부
120 : 분배부 121 : 유류이송관
122 : 유류밸브 123 : 유류분배관
124 : 압력이송관 125 : 압력밸브
126 : 압력분배관 130 : 측정부
131 : 하우징 132 : 측정관
133 : 눈금부 134 : 보호캡
135 : 지지구 136 : 압력공급부
137 : 유류공급부 138 : 압력드레인밸브
140 : 연결부 141 : 연결관
142 : 연결밸브

Claims (3)

  1. 일측으로 유류가 공급되도록 유류공급관(111)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압력을 공급하는 압력공급관(112)에 일정한 압력을 정확하게 공급시키는 정압기(113)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표시부(114)를 형성하여 유류와 압력을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의 유류공급관(111)과 연결되어 유류를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유류이송관(121)에 유류밸브(122)를 부착하여 유류를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유류분배관(123)을 형성하고, 정압기(113)와 연결되어 압력을 이송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압력이송관(124)에 압력밸브(125)를 부착하여 압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압력분배관(126)을 형성하여 유류 및 압력을 분배하는 분배부(120)와,
    상기 분배부(120)의 타측으로 상하 판 형상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는 지지구(135)가 구비된 하우징(131)을 형성하고, 중앙에 복수의 투명형태의 측정관(132)을 투명형태로 보호하는 보호캡(134)의 내부에 형성하며, 상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120)의 압력분배관(126)과 복수의 측정관(13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압력공급부(136)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하고, 하부 후면 측으로 분배부의 유류분배관(123)과 복수의 측정관(13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 유류공급부(137)에 연결하여 압력을 공급하도록 연결 형성시켜 유류와 압력을 공급한 상태로 측정관(132)에서 송유배관의 누출을 측정하는 측정부(130)와,
    상기 측정부(130)의 하부 전면 측으로 연결밸브(142)가 구비된 연결관(141)을 송유배관과 측정관(132)이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측정부(130)의 측정관(132)과 송유배관을 연결시켜 누출을 측정하도록 형성한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30)는 복수로 형성된 투명형태의 보호캡(134)의 내부에 형성되어 분배부(120)의 압력분배관(126)과 유류분배관(123)에서 공급되는 압력과 유류를 압력공급부(136)와 유류공급부(137)에서 공급받아 송유배관과 연결관(141)으로 연결되어 유류의 누출을 측정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측정관(132)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눈금부(133)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간편하게 누출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130)의 하우징(131) 전면 상부 측으로 압력을 드레인하는 압력드레인밸브(138)를 형성하여 측정관(132)에서 측정이 완료되면 연결관(141)을 제거한 상태로 연결밸브(142)를 열어 유류를 드레인하고 압력드레인밸브(138)를 열어 압력을 드레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KR20-2005-0006501U 2005-03-10 2005-03-10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KR200387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01U KR200387361Y1 (ko) 2005-03-10 2005-03-10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01U KR200387361Y1 (ko) 2005-03-10 2005-03-10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361Y1 true KR200387361Y1 (ko) 2005-06-17

Family

ID=4368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501U KR200387361Y1 (ko) 2005-03-10 2005-03-10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3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063A (zh) * 2021-12-17 2022-03-22 天津求实飞博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热力管道泄漏信息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6063A (zh) * 2021-12-17 2022-03-22 天津求实飞博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热力管道泄漏信息的方法
CN114216063B (zh) * 2021-12-17 2023-10-24 天津求实飞博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热力管道泄漏信息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0102A (en) Liquid volumetric line leak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58500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kage testing of pressurized/suction piping systems
US4186591A (en) Device for and method of detecting leaks in a liquid storage reservoir
US7473352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moving moisture and contaminants in a fuel storage tank
KR100524395B1 (ko)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검사 시스템
Fiedler An overview of pipeline leak detection technologies
US4896528A (en) Tank bottom leak testing and apparatus
CA2592111A1 (en) Fluid containment element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387361Y1 (ko) 송유배관 누출 검사장치
KR20170105264A (ko) 주유배관누설 감지장치
EP0225790B1 (en) Liquid storage tank leak detection system
KR100906922B1 (ko) 유량계 측정오차를 보정하여 누유를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98442Y1 (ko) 배관 누유 모니터링 장치
CN203298826U (zh) 一种玻璃管液位计
US20090007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lsite Verification of Properties of a Fluid
US5065616A (en) Hydrostatic line testing and method
US11300475B2 (en) Tank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R2841335B1 (fr) Procede de controle de l'etancheite d'un reservoir d'un aeronef et dispositif associe pour equiper ces reservoirs
KR20080055241A (ko) 스파우트 파우치 용기용 실링 검사장치
CN103512550A (zh) 深水筑堤堤基沉降观测仪
RU2686580C1 (ru) Эталонный мерник
JPH03150419A (ja) 貯蔵タンクの液面変化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RU15673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контура днища резервуа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US20110240365A1 (en) Internal Liquid Measurement and Monitoring System for a Three Phase Separator
CN218511855U (zh) 一种航空油料储油罐液面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