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29Y1 -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29Y1
KR200387129Y1 KR20-2005-0009254U KR20050009254U KR200387129Y1 KR 200387129 Y1 KR200387129 Y1 KR 200387129Y1 KR 20050009254 U KR20050009254 U KR 20050009254U KR 200387129 Y1 KR200387129 Y1 KR 200387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ush frame
recei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2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희일
Original Assignee
김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일 filed Critical 김희일
Priority to KR20-2005-0009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2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2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가 개시된다. 손 보호구는 도어 및 푸쉬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몸체가 형성된다. 프레임 수용부 저면에서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부재를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은 탄성 부재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도어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는 고정편에 의해서 도어가 고정된다. 또한, 손 보호구는 외벽에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여 손 보호구의 강도를 보완하며 미관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손 보호구는 도어를 훼손하지 않고도 도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손 보호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Hand protection comprising a push frame is disclosed. The hand guard is formed with a frame body that can accommodate the door and the push frame. The push frame reciprocating along the guide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entrance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door is fixed by a fixing piece formed toward the entrance from the bottom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In addition, the hand protector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on the outer wall to complement the strength of the hand protector and obtain an aesthetic effect. The hand protector can be firmly mounted to the door without damaging the door, can easily install and remove the hand protector,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s,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Description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Hand protection with push frame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본 고안은 도어에 장착되어 손을 보호하기 위한 손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hand is mounted on the door.

건물 또는 다른 구조물들은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도어는 여닫이식, 미닫이식 및 회전식 등이 있다. 도어를 통해서 사람 또는 물건 등이 건물의 내외부로 출입하고, 도어를 닫아 건물의 내외부를 분리시킨다.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ude at least one door, and the doors generally include a sliding door, a sliding door and a rotary door. People or objects enter and exit the building through the door, and the door is closed to separate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하지만,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문틈에 끼는 사고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물건 등이 끼여 물건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잦다. 최근에는 빌딩과 같이 대형 건물의 현관에 강화 유리로 구성된 도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대형 강화 유리는 무겁고 단단하기 때문에 일단 사람의 손이나 신체 일부가 대형 유리 도어가 끼면 손 또는 신체에 심각한 부상을 끼칠 수가 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 part of the body can be accidentally caught in the door gap, and often the object is caught, causing damage to the object.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o use doors made of tempered glass on the porch of a larg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Since such a large tempered glass is heavy and hard, once a person's hand or part of the body gets caught in a large glass door, It may cause injury.

대형 유리 도어 등의 도어 몸체에 의해서 손가락, 손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 가지 고안 및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그 중 등록실용신안 제0180795호인 "손 보호 구조를 구비하는 문"(이하 "문"이라 함)(2000년 5월 15일 공고)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문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손 보호 구조를 갖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Several designs and devises have been disclosed to prevent injuries of fingers, hands, etc. by the door bodies, such as large glass doors. Among them, Utility Model No. 0180795, "Door with Hand Protection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or") (May 15, 2000)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firmly attached to the door without using adhesive. It relates to a door having a hand protection structure that can be.

도 1은 상기 "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do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문(100)은 문 본체(110), 문 본체(110)의 전단부에 조립되는 탄성 부재(120), 그리고 탄성 부재(120)를 문 본체(110)에 조립하기 위한 브래킷(130)을 포함한다.1 and 2, the door 100 includes a door body 110, an elastic member 120 assembled to a front end of the door body 110, and an elastic member 120. It includes a bracket 130 for assembling.

문 본체(110)의 전단부에는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탄성 부재(120) 및 브래킷(13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브래킷(130)은 두 개의 측벽(131), 측벽(131) 중앙에 일체로 연결되는 격벽(132)을 포함하여 H 비임(H-beam) 형상을 갖는다. 양 측벽(131)의 후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 돌기부(1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 돌기부(133)가 문 본체(110)에 형성된 브래킷 홈(112)에 결속됨으로써 브래킷(130)이 문 본체(110)에 고정된다. 체결 돌기부(133)에 대향하여 두 개의 고리부(134)가 양 측벽(131)의 전단으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두 개의 측벽(131)의 전방부, 격벽(132) 및 두 개의 고리부(134)에 의해서 전면의 중앙부가 개방된 수납홈(139)이 제공된다. A recess 11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oor body 110 to provide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elastic member 120 and the bracket 130. The bracket 130 has an H-beam shape including two sidewalls 131 and a partition wall 13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idewalls 131. The rear end of both side walls 131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133 protruding inward, the fastening protrusion 133 is bound to the bracket groove 112 formed in the door body 110, so that the bracket 130 is the door body It is fixed to 110. Two ring portions 134 are formed to be respectively bent inward from the front ends of both side walls 131 to face the fastening protrusion 133. The front groove, the partition wall 132 and the two ring portions 134 of the two side walls 13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139,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open.

이에 탄성 부재(1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봉 형상의 두부(head;122), 두부(122)의 후면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목부(neck;124), 및 목부(124)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어깨부(shoulder;126)를 포함한다.The elastic member 120 is a rod-shaped head (122)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 neck (124)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head 122, and integrally at the rear end of the neck (124) A shoulder 126 formed.

탄성 부재(120)의 어깨부(126) 및 목부(124)가 브래킷(130)의 수납홈(139)에 삽입됨으로써, 탄성 부재(120)가 브래킷(130)에 고정된다.The shoulder 126 and the neck 124 of the elastic member 120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9 of the bracket 130, thereby fixing the elastic member 120 to the bracket 130.

상기 문은 접착제 없이 문에 결합될 수 있는 손 보호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일단 브래킷(130)을 문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해서 문 본체(110)에 홈을 파서 브래킷 홈(112)을 형성하여야 한다. 한번 홈이 형성되면 문 본체(110)는 다시 원상태로 복구될 수 없기 때문에 고가의 유리문 본체는 영구적으로 훼손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The door has a hand protection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the door without adhesive. However, in order to fix the bracket 130 to the door body 110, a groove should be formed in the door body 110 to form a bracket groove 112. Once the groove is formed, the door body 110 canno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resulting in the expensive glass door body being permanently damaged.

또한, 브래킷(130)의 체결 돌기부(133)의 위치와 문 본체(110)의 브래킷 홈(112)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래킷(130)이 문 본체(110)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고 불필요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미숙련자에 의한 경우 체결 돌기부(133) 및 브래킷 홈(112)이 정밀하게 일치되지 않아 치명적인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 대형 유리 몸체와 같은 고가의 자재가 재활용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33 of the bracket 130 and the bracket groove 112 of the door main body 110 do not exactly match, the bracket 130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main body 110 and is unnecessary. A gap may be formed, and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inexperienced, the fastening protrusion 133 and the bracket groove 112 are not precisely matched, and thus, a fatal mistake is likely to occur. At this time, expensive materials such as large glass bodies may be damaged to the extent that they cannot be recycled.

게다가, 어깨부(126) 및 목부(124)가 수납홈(139)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을 갖게 되는데, 탄성 부재(1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깨부(126) 및 목부(124)의 마찰력에 의해서 수납홈(139)에 탄성 부재(1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없으며, 이를 감안하여 어깨부(126) 및 목부(124)의 단면을 수납홈(139)보다 작게 하면 탄성 부재(120)의 삽입 후 탄성 부재(120)가 브래킷(130)에 헐겁게 고정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헐겁게 고정된 탄성 부재(120)는 사용 도중에 브래킷(13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어 유지 및 수리가 곤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ulder 126 and the neck 124 has a cross section of the same size as the receiving groove 139. Since the elastic member 1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 shoulder 126 and the neck The elastic member 120 may not be easi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39 by the frictional force of 124. In view of this, if the cross-sections of the shoulder 126 and the neck 124 are smaller than the receiving groove 139. The elastic member 120 is loosely fixed to the bracket 130 after insertion of the elastic member 120. The loosely fixed elastic member 120 may be detached from the bracket 130 during use, and thus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도어 몸체를 훼손하지 않고도 도어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손 보호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완충 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며, 장착 후 완충 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손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be firmly fixed to the door body without damaging the door body,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hand protection, easy to insert the shock absorbing member, It is to provide a hand protection that can securely secure the shock absorbing member after mount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완충 공간 및 도어와 손 보호구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 보호구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손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 protector which can prevent the escape of the hand protector by an external impact by using a fixing member that can avoid direct contact between the buffer space and the door and the hand protector.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 보호구는 보호구 몸체, 가이드 부재, 푸쉬 프레임, 탄성 부재, 고정 부재 및 보호 커버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 protector has a protector body, a guide member, a push frame, an elastic member, a fixing member and a protective cover.

보호구 몸체는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한다. 도어 수용부는 도어 수용부의 저면에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고정편에 의해서 손 보호구를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의 고정편이 보호구 몸체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 고정 부재로 전달되지 않으며, 충격에 의해서 고정편이 변형되거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어와 직접 맞닿는 고정 부재의 내측에는 미끄러짐 방지돌기를 더 제공하여 도어와 손 보호구간의 결속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e protective body includes a doo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door and a frame receiving portion formed to face the door receiving portion. The door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door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entrance and may fix the door to the hand protector by two fixing pieces facing each other. Since the fixing piece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ectiv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xternal shock is not transmitted to the fixing member, and the fixing pie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or loosened by the impact. In addition, the anti-slip protrusio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member directly contacting the door to further solidify the binding between the door and the hand protection section.

프레임 수용부에는 푸쉬 프레임이 왕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푸쉬 프레임의 이동 경로가 되는 가이드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 및 가이드 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두 개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걸림부는 각각의 판재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하나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걸림부는 판재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될 수가 있다.A space in which the push frame can be reciprocated is formed in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and a guide member serving as a movement path of the push frame may be formed.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guid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toward the inlet and a first catching portion formed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Here, the guide portion may be composed of two plates,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ward the outside at each plate end.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single plate, wherein the first catching portion may be formed from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plate toward the outside.

푸쉬 프레임은 대형 유리 도어 등의 도어 몸체에 의해서 손가락, 손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쉬 프레임의 내부에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 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푸쉬 프레임이 탄성 부재에 의해서 손 보호구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제2 걸림부가 푸쉬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2 걸림부는 푸쉬 프레임의 내측 양단에서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The push frame can prevent injuries of fingers, hands, etc. from occurring by door bodies such as large glass doors.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is inserted and supported inside the push frame to reciprocate along the guide member. In addition, a second locking portion that can determine the protruding distance is formed inside the push frame to prevent the push fram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and guard by the elastic member. The second locking portions are formed to engage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s at both inner ends of the push fram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 는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nd prot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hand protector.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 보호구(200)가 도어(205)와 결합되어 있다. 손 보호구(200)는 도어(205)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214)와 푸쉬 프레임(2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212)와 함께 보호구 몸체(210)를 이루며,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하여 두 개의 고정편(250)으로 형성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도어 수용부(214)의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고정편(250)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는 도어(205)와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미끄러짐 방지돌기가 제공된다. 3 to 5, the hand prot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oor 205. The hand protector 200 forms a protector body 210 together with a door receiver 214 for accommodating the door 205 and a frame receiver 212 for accommodating the push frame 230, and the door receiver 214. It has a fixing member formed of two fixing pieces 250 from the bottom of the toward the inlet. The fixing member made of the fixing pieces 25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21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ace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ng protrusion to further solidify the binding with the door 205.

도어 수용부(214)는 도어(205)와 결속되는 부분에 따라 도어 결속부Ⅰ, Ⅱ 및 Ⅲ으로 나눌 수 있다. 도어 결속부Ⅰ 및 Ⅲ은 도어 수용부(214)와 도어(205)의 위아래 양반부에 도어(205)를 감싸는 덮개(207)와 결속되는 부분이며, 도어 결속부Ⅱ는 도어 수용부(214)와 도어(205)가 직접 결속되는 부분이다. The door accommodating part 214 may be divided into door engaging parts I, II, and III according to the part engaged with the door 205. The door binding parts I and III are parts which are bound to the door accommodating part 214 and the cover 207 which encloses the door 205 at the upper and lower halves of the door 205, and the door binding part II is the door accommodating part 214. And the door 205 is the portion where the direct binding.

도어 결속부Ⅰ 및 Ⅲ은 도어 수용부(214)가 도어(205)의 위아래 양단부를 감싸는 덮개(207)와 결속되는 부분으로써, 도어(205)의 두께보다 일반적으로 두꺼운 덮개(207)와 직접 맞닿아 결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어 수용부(214)의 일부가 절개되며,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으로부터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을 통과하는 나사(216)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서 손 보호구(200)가 도어(205)의 위아래에 제공되는 양단부의 덮개(207)와 체결됨으로써 손 보호구(200)가 도어(205)에 결속된다. The door binding parts I and III are parts in which the door receiving part 214 is engaged with the cover 207 which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205 and directly fits with the cover 207 which is general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oor 205. A part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214 is cut because it is to be touched and bound, and the hand protector is secured by a fastener such as a screw 216 passing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through the bottom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214. 200 is engaged with the cover 207 at both ends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door 205 so that the hand protector 200 is bound to the door 205.

도어 결속부Ⅱ는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에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된 고정편(250)들과 도어(205)가 직접 결속되는 부분이다. 도어(205)에 덮개(20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앙부분은 손 보호구(200)와 도어(205)와의 결속에 있어서 나사(216) 등과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도어(205)와 손 보호구(200)의 결속이 미흡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손 보호구(200)는 도어(205)의 중앙 부분의 체결을 고정편(250)들을 사용하여 보완함으로써 나사(216)로 연결할 수 없는 도어(205)의 중앙부분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The door binding unit II is a portion where the door pieces 205 are directly engaged with the fixing pieces 250 formed toward the entrance from the bottom of the door accommodation portion 214.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205 where the cover 207 is not formed cannot be connected by using a fastener such as a screw 216 in the binding between the hand protector 200 and the door 205. Therefore, the binding between the door 205 and the hand protection 200 is insufficient. However, the hand protec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mly binds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205 that cannot be connected with the screw 216 by supplementing the fastening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205 with the fixing pieces 250. can do.

또한, 도어 결속부Ⅰ 및 Ⅲ과 도어 결속부Ⅱ의 고정 부재를 사용한 손 보호구(200)와 도어(205)와의 결속 수단 이외에도 손 보호구(200)와 도어(205)사이에 실리콘 등을 이용한 접착 수단을 통하여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bonding means between the hand protector 200 and the door 205 using the fastening members of the door binding parts I and III and the door binding part II, an adhesive means using silicon or the like between the hand protector 200 and the door 205. Through this, solidarity can be strengthened.

도어 수용부(21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편(250)을 이용한 도어(205)와 손 보호구(200)의 결속은 나사(216) 등의 체결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결속이 부실한 도어(205)의 중앙 부분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장점 외에도 외부의 충격에 대해서 도어(205)로부터 손 보호구(200)가 헐거워지거나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205)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손 보호구(200)의 외형이 변형되어도 도어(205)와 직접 맞닿아있는 고정편(250)에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The binding between the door 205 and the hand protection 200 using the fixing piece 2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214 is relatively poor because the fastener such as the screw 216 cannot be used.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olidify the bind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20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 protector 200 from being loose or spaced from the door 205 against external impact. This is because the door 205 is not affected by the fixing piece 250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oor 205 even when the outer shape of the hand protection device 200 is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200)의 프레임 수용부(212)에 수용되는 푸쉬 프레임(230)은 내측에 제공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24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탄성 부재(240)는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하여 형성된 가이드 부재(220)사이에 형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탄성 부재(240)의 위치는 변동될 수 있다. 탄성 부재(240)는 푸쉬 프레임(230)의 내측면과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에 맞닿아 푸쉬 프레임(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 부재(220)사이에 위치하며, 폭은 가이드 부재(220)의 이격거리 이하로 결정되며, 도어(2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는 탄성 부재(240)의 어느 한 끝은 나사(216)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는 탄성 부재를 상기와 같이 설명하고 있지만, 탄성 부재의 형상은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gain, the push frame 230 accommodated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hand protector 2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240 such as a spring provided therein. The elastic member 240 is formed between the guide member 220 formed toward the inlet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However, according to oth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240 may vary. The elastic member 24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push frame 230 and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230. Located between the guide member 220, the width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guide member 220, ei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0 having a gentle radius of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205 It is fixed by fasteners such as screws 216.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has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performing the function since the purpose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frame.

탄성 부재(240)에 의해서 지지되는 푸쉬 프레임(230)은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220)를 따라 슬라이드 운동을 한다. 푸쉬 프레임(230)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232)는 가이드부(2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24)에 맞물려 푸쉬 프레임(230)의 왕복운동 거리를 제한한다. The push frame 230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40 performs a slide motion along the guide member 22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The second locking portion 232 formed inside the push frame 230 is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224 formed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222 to limit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push frame 230.

도어(205)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문틈에 끼는 사고 및 물건 등이 끼어 물건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230)이 돌출될 때에 외부로 노출되는 푸쉬 프레임(230)의 일부를 곡면 처리한다. 푸쉬 프레임(230)의 곡면처리를 통하여 푸쉬 프레임(230)의 왕복운동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손 등이 끼었을 때 경사를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case of part of the body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05, the object is caught in the door and the object is damaged and the damage of the object is caused when the reciprocating push frame 23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A part of the push frame 230 is curved. Through the curved surface treatment of the push frame 230,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ush frame 230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when the hand is caught, it can slide on an incline.

도 4 를 참조하면, 손 보호구(200)는 프레임 수용부(2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230), 푸쉬 프레임(2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220), 가이드부(2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24) 및 가이드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2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hand protector 200 includes a push frame 230 that reciprocates in the frame receiving unit 212, a guide member 220 that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push frame 230, and a guide part (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24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4 and the guide member 220 formed to the outside from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222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frame 230.

푸쉬 프레임(230)은 탄성 부재(240)에 의해서 왕복운동을 한다. 이때 푸쉬 프레임(230)은 가이드 부재(2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가이드 부재(220)는 푸쉬 프레임(230)의 저면에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보게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220)는 가이드부(2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224)를 포함하여 푸쉬 프레임(230)의 제2 걸림부(232)와 맞물림으로써 푸쉬 프레임(230)의 왕복운동 거리를 제한한다.The push frame 230 reciprocates by the elastic member 240. At this time, the push frame 230 slides along the guide member 220. The guide member 220 is formed toward the inlet from the bottom of the push frame 230, the guide member 220 formed to face each other is the first locking portion 224 formed from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222 to the outside By including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32 of the push frame 230 to limit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push frame 230.

가이드 부재(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40)는 푸쉬 프레임(230)의 내측 상부와 프레임 수용부(212)의 저면에 맞닿아 푸쉬 프레임(2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 부재(220)사이에 위치하며, 폭은 가이드 부재(220)의 이격거리 이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도어(2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는 탄성 부재(240)의 어느 한 끝은 나사(216)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된다.The elastic member 240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members 220 abuts against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push frame 230 and the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230. Located between the guide member 220, the width may be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guide member 220, ei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40 having a gentle radius of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205 Is fixed by fasteners such as screws 216.

다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도4는 외부의 힘에 의해 푸쉬 프레임(230)이 프레임 수용부(212)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이다. 도5는 도어의 일반적인 평소의 상태이므로 개폐에 상관 없이 외부의 힘이나 기타 충격 등이 없을 시의 푸쉬 프레임(230)은 항상 도5의 형태를 유지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4 and 5,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push frame 23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rame receiving unit 212 by an external force. 5 is a general usual state of the door, the push frame 230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or other impact, regardless of opening and closing always maintains the form of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보호구(200)는 도어 수용부(214)의 고정편(250)들과 무관하게, 가이드 부재(220)만으로도 의미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and protector 200 may have meaning only with the guide member 220, regardless of the fixing pieces 250 of the door receiving part 214.

가이드 부재(220)의 제1 걸림부(224)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푸쉬 프레임(230)의 제2 걸림부(232)가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푸쉬 프레임(230)의 양 측면을 평면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푸쉬 프레임(230)의 양 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푸쉬 프레임(230)은 프레임 수용부(212)의 안내를 받아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의 처음부터 끝까지 프레임 수용부(212)의 내벽에 밀착하기 때문에 푸쉬 프레임(230)의 흔들림 방지할 수가 있다.The first locking portion 224 of the guide member 220 is formed to face outward from the inside,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232 of the push frame 230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o face inward. Therefore, both sides of the push frame 230 can be kept flat. Since both sides of the push frame 230 are formed in a plane, the push frame 230 can be reliably moved by the guide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the frame receiving portio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lide movement) Since it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212, the shake of the push frame 230 can be prevented.

또한, 푸쉬 프레임(230) 및 프레임 수용부(212) 간의 사이 공간을 최소로 함으로써,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space between the push frame 230 and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실시예 2Example 2

도 6 및 도 7 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hand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300)는 도어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314), 푸쉬 프레임(3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312), 프레임 수용부(3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330), 푸쉬 프레임(3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320), 가이드부(3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324) 및 가이드 부재(3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3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3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hand protector 300 reciprocates in the door accommodating part 314 accommodating the door,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312 accommodating the push frame 330, and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312. Between the push frame 330, the guide member 320 which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push frame 330, the first locking portion 324 and the guide member 320 formed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322. It is positioned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3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330.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300)에서 도어 수용부(314), 프레임 수용부(312), 푸쉬 프레임(330), 및 탄성 부재(340)는 제 1 실시예의 도어 수용부(214), 프레임 수용부(212), 푸쉬 프레임(230) 및 탄성 부재(240)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제 1 실시예의 보호구 몸체(210), 푸쉬 프레임(230) 및 탄성 부재(24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hand protector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door receiving portion 314, the frame receiving portion 312, the push frame 330, and the elastic member 340 may include the door receiving portion 214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rame receiving portion 212, the push frame 230 and the elastic member 240. According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s and drawings of the protective device body 210, the push frame 230, and the elastic member 24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and the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

다만,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수용부(312)내에서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푸쉬 프레임(330)의 왕복운동에 있어서, 푸쉬 프레임(330)의 왕복운동의 경로를 결정하는 가이드 부재(320)가 하나의 가이드부(322)로 형성된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ush frame 330 that slides along the guide member 320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312, the path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ush frame 330 is The determining guide member 320 is formed of one guide portion 322.

하나의 가이드부(322)로 푸쉬 프레임(3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이드부(322)의 단면에는 푸쉬 프레임(330)의 양단에 제공되는 제2 걸림부(332)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1 걸림부(324)가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다.In order to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push frame 330 to one guide portion 322,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portion 322 is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portion 33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ush frame 330. The first locking portion 324 is formed outwardly from both ends.

다시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프레임 수용부(312)내에서 푸쉬 프레임(330)은 하나의 판재로 제공되는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왕복운동하며 가이드부(322)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부(324)에 푸쉬 프레임(33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부(332)가 맞물려 고정된다. 이때 탄성 부재(340)는 제1 걸림부(324)의 단부 상측에 놓이게 되며, 푸쉬 프레임(3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제1 걸림부(324) 단부 상측에는 탄성 부재(3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탄성 부재(34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탄성 부재(340)의 일부는 제1 걸림부(324)의 단부 상측에 형성된 수용부(327)에 고정되는 선재 및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부는 푸쉬 프레임(330)의 내부와 맞닿아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굴절된다. Referring again to FIGS. 6 and 7,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312, the push frame 330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member 320 provided as one plate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322. The second locking portion 332 formed at both ends of the push frame 330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324 to be fixed.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40 is placed above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324, it is provided in a shape tha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330.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part 327 capable of accommodating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3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ocking part 324 to securely fix the elastic member 340. At this time,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340 may be formed of a wire rod and a plate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327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24 and the oth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ush frame 330 It is refracted to bend easily.

실시예 3Example 3

도 8 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도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손 보호구에 대한 설명은 제2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oor receiving portion of the han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description of the hand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도 8 을 참조하면, 프레임 수용부(312)에 대향하는 도어 수용부(314)의 저면에는 도어(305)와 직접 맞닿아 손 보호구(300)를 결속할 수 있는 고정편(350) 두 개가 입구를 향하여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350)은 약 2°~10°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입구가 좁아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5)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고정편(350)의 내측면에는 도어(305)가 고정편(35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돌기(352)가 형성된다. 도어(305)가 도어 수용부(314)에 결속된 후에는 고정편(350)이 안으로 휘어지려는 힘에 의해서 도어(305)가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8, at the bottom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314 opposite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312, two fixing pieces 350 that directly contact the door 305 to bind the hand protection 300 may be provided. It is formed to face toward. The fixing piece 350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2 ° to 10 ° to narrow the inlet. 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for further solidifying the binding of the door 305,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350 is provided with a slip preventing projection 352 for preventing the door 305 from slipping on the fixing piece 350; Is formed. After the door 305 is bound to the door receiving portion 314, the door 305 is fixed by a force that the fixing piece 350 is to bend inward.

도 9 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9 is a sectional view of a hand protector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fixing pie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9 를 참조하면, 손 보호구(300)에 외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때 보호구 몸체(310)의 일부가 변형될 수 있으나, 도어(305)가 고정된 고정편(350)은 도어 수용부(314)의 내벽과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과 무관하게 도어(305)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즉, 손 보호구(30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과도한 힘을 받아 보호구 몸체(310)가 변형되어도 고정편(350)에 의해서 도어(305) 및 손 보호구(300) 간의 결속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게 미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n external force is acting on the hand protector 300. In this case, a part of the protective body 310 may be deformed, but since the fixing piece 350 to which the door 305 is fixed is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door accommodating part 314, the door 305 may not be deformed. Can remain bound. That is, even when the hand protector 300 is shocked from the outside or the excessive force is deformed the body body 310 is deformed by the fixing piece 350 has a relatively small impact on the binding between the door 305 and the hand protector 300 Can be crazy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보호구(300)와 강화 유리가 고정되는 중간의 도어 결속부(II)가 고정편(35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손 보호구(300)가 도어 전체적으로 결속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밀어서 삽입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손 보호구(300)의 설치를 완료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3, since the door binding portion II in which the hand protector 300 and the tempered glass are fixed can be fixed by the fixing piece 350, the hand protector 300 binds to the entire door. Relationship can be maintain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hand protection device 300 can be completed by a simple operation of pushing and inserting it.

또한, 고정편(350)의 결속력으로도 손 보호구(300)를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실리콘 등으로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 protection device 300 can be sufficiently fixed even by the binding force of the fixing piece 350, the work of reinforcing the connection part with silicon or the like can be omitted as in the prior art.

실시예 4Example 4

도 10 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400)는 도어(405)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414), 푸쉬 프레임(4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412), 프레임 수용부(4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430), 푸쉬 프레임(4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420), 가이드부(4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424) 및 가이드 부재(4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4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4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hand protector 400 reciprocates in the door accommodating part 414 for accommodating the door 405,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412 for accommodating the push frame 430, and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412. The push frame 430 to exercise, the guide member 420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push frame 430, the first locking portion 424 and the guide member 420 formed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422 And an elastic member 440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members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430.

본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400)의 구성요소들은 제 2 실시예의 도어 수용부(314), 프레임 수용부(312), 푸쉬 프레임(330) 및 탄성 부재(340)와 사실상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제 2 실시예의 보호구 몸체(310), 푸쉬 프레임(330) 및 탄성 부재(34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hand protec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s the door receiver 314, the frame receiver 312, the push frame 330 and the elastic member 340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s and drawings of the protective body 310, the push frame 330, and the elastic member 34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components, and the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

다만, 일반적으로 보호구 몸체(410)는 알루미늄 등을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내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손 보호구(400)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커버(460)가 더 제공된다. However, in general, since the protective body 410 is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using aluminum or the like has a relatively low durability.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otective cover 460 which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protects the hand protector 400 is further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구(400)에 프레임 수용부(412)의 측면에는 보호 커버(460)와 같은 두께로 만입된 고정 단이 형성되어, 일단은 고정 단에 맞물려 프레임 수용부(412)의 측면과 같은 선상에 놓이며, 타단은 도어 수용부(414)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판재로 제공되는 보호 커버(460)가 더 제공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fixing end formed in the same thickness as the protective cover 46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12 in the hand protection 400, and one end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412 is engaged with the fixing end. The cover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460 is provided as a plate formed to the entrance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414.

또한, 푸쉬 프레임(430)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432)에는 다수의 털이 형성된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471)를 더 제공함으로써 푸쉬 프레임(430)이 가이드부(4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471)를 푸쉬 프레임(430)의 제2 걸림부(432)에 제공할 때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제2 걸림부(432)에 외부에서 더 제공되는 완충 부재(47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제2 걸림부(432)에 완충 부재(471)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portion 432 formed inside the push frame 4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471 such as a mohair and a soft PVC with a plurality of hairs formed so that the push frame 430 may provide the guide portion 42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caused by friction or impact that may occur when the slide is moved. When providing the buffer member 471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432 of the push frame 430 may be adhered using an adhesive, the buffer member 471 is further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432. It is possible to more securely bi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471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432 by providing a receiv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또한, 푸쉬 프레임(430)의 돌출방향으로 다수의 털이 달린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472)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완충 부재(47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완충 부재(472)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hairs with mohair, soft PVC, and the like may further be provid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ush frame 430. In this case, although the adhesive may be used for bonding, the buffer member 472 may be more firmly bound by providing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buffer member 472.

또한, 손 보호구(400)와 도어(405)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레임 수용부(412)의 외측은 빈 공간이 형성된다. 완충 공간(413)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푸쉬 프레임(430)의 왕복운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보호구 몸체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outside the frame accommodating portion 412 as a method for further solidifying the binding between the hand protector 400 and the door 405. This is because the shock absorbing space 413 prevents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protective body,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reciprocation of the push frame 430 by absorbing external shocks.

실시예 5Example 5

도 11 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손 보호구(500)는 도어(505)를 수용하는 도어 수용부(514), 푸쉬 프레임(530)을 수용하는 프레임 수용부(512), 프레임 수용부(512)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푸쉬 프레임(530), 푸쉬 프레임(5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재(520), 가이드부(522)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524) 및 가이드 부재(520) 사이에 위치하며 푸쉬 프레임(5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5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hand protector 500 reciprocates in the door accommodating part 514 for accommodating the door 505,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512 for accommodating the push frame 530, and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512. The push frame 530 to exercise, the guide member 520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push frame 530, the first locking portion 524 and the guide member 520 formed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522 And an elastic member 540 positioned between the elastic members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530.

본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500)의 구성요소들은 제 1 실시예의 도어 수용부(214), 프레임 수용부(212), 푸쉬 프레임(230) 및 탄성 부재(240)와 사실상 기능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의 제 1 실시예의 보호구 몸체, 푸쉬 프레임(212) 및 탄성 부재(24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hand protecto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s the door receiver 214, the frame receiver 212, the push frame 230 and the elastic member 24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s and drawings of the protective body, the push frame 212 and the elastic member 24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components, and the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구(500)에 일단은 고정 단에 맞물려 프레임 수용부(512)의 측면을 따라 놓이며, 타단은 도어 수용부(514)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판재로 제공되는 보호 커버(560)가 더 제공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of the hand protector 500 is engaged with the fixed end and is placed along the side of the frame receiving part 512,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plate formed to the inlet of the door receiving part 514. 560 is further provided.

프레임 수용부(512)의 내부 측면까지 연장되는 보호 커버(560)의 일단부는 푸쉬 프레임(530)의 제2 걸림부(532)가 제1 걸림부(524)에 맞닿아 돌출거리가 제한될 때, 제2 걸림부(532)와 맞닿을 수 있도록 연장되어 제1 고정편(524)과 함께 푸쉬 프레임(530)의 돌출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On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560 exte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accommodating portion 512 when the second locking portion 532 of the push frame 530 abuts on the first locking portion 524 to limit the protruding distance In this case,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push frame 530 together with the first fixing piece 524 may be determined to extend to contact the second locking part 532.

푸쉬 프레임(530)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532)에는 다수의 털이 형성된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571)를 더 제공함으로써 푸쉬 프레임(530)이 가이드부(52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571)를 푸쉬 프레임(530)의 제2 걸림부(532)에 제공할 때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제2 걸림부(532)에 외부에서 더 제공되는 완충 부재(57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제2 걸림부(532)에 완충 부재(571)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ortion 532 formed inside the push frame 5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571 such as a mohair and soft PVC formed with a plurality of hairs so that the push frame 530 slides along the guide portion 522.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caused by friction or impact that may occur when moving. When providing the buffer member 571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532 of the push frame 530 may be bonded using an adhesive, but the buffer member 571 is further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532. It is possible to more securely bi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571 to the second catching portion 532 by providing an accommodating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또한, 푸쉬 프레임(530)의 돌출방향으로 다수의 털이 달린 모헤어, 연질의 PVC와 같은 완충 부재(572)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나 완충 부재(57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제공하여 완충 부재(572)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buffer member 572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ush frame 530 such as a plurality of hairy mohair and soft PVC. In this case, although the adhesive may be bonded, the buffer member 572 may be more firmly bound by providing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uffer member 572.

또한, 손 보호구(500)와 도어(505)의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레임 수용부(512)의 외측은 빈 공간이 형성된다. 완충 공간(513)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푸쉬 프레임(530)의 왕복운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보호구 몸체(510)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outside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512 as a method for further solidifying the binding between the hand protector 500 and the door 505. This is because the shock absorbing space 513 prevents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protective body 510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ush frame 530 by absorbing an external shock.

본 고안에 따른 손 보호구는 도어 몸체를 훼손하지 않고도 도어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손 보호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완충 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며, 장착 후 완충 부재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hand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rmly fixed to the door body without damaging the door body, can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detachment of the hand protector, the inser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is easy,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be secured after installation. You can get the effect that can be fixed.

또한, 손 보호구의 외측에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의 보호 커버를 더 제공함으로써 강도를 보완하며, 미관상으로도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protective cover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n the outside of the hand protector, the strength can be compensated for, and an excellent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n aesthetic appear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 은 종래의 손 보호구를 구비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having a conventional hand protection.

도 2 는 도 1 의 도어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the door engagement state of FIG. 1.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and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hand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6 및 도 7 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hand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도어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oor receiving portion of the hand prot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 9 is a sectional view of a hand protector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fixing pie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0 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손 보호구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보호구 몸체 220:가이드 부재 210: protection body 220: guide member

230:푸쉬 프레임 350:고정 부재230: Push frame 350: Fixed member

460:보호 커버 471:완충 부재460: Protective cover 471: Shock absorbing member

Claims (18)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A protective body including a door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door and a fram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the door receiving part;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including a guide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entrance and a first locking part formed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end of the guide part;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및A push frame partially receiving the guide member to slide along the guide member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the push frame including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ush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relative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provided wit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걸림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 방향으로 완충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푸쉬 프레임의 돌출방향으로 완충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ing member is coupl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ush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푸쉬 프레임의 외측면은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ush frame projecting from the frame receiving portion forms a curved surface.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A protective body including a door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door and a fram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the door receiving part;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소정의 간격을 두어 마주보게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각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including a guide portion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rotruding toward an entranc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and a first locking portion formed outwardly from each end of the guide portion;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및A push frame partially receiving the guide member to slide along the guide member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the push frame including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ush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relative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provided with.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And the elastic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part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탄성 부재의 폭은 상기 가이드부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완만한 곡률반경을 갖게 제공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푸쉬 프레임의 내부와 맞닿으며, 타단부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is determined by the spaced distance of the guide portion, provided with a moderate radius of curv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so tha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abuts the inside of the push frame, the other end is fixed Hand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은 나사와 같은 결합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a hand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a coupler such as a screw.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A protective body including a door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door and a fram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the door receiving part;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including a guide part formed of a plate protruding toward an entrance from a bottom of the frame receiving part and a first locking part formed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end of the guide part;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및A push frame partially receiving the guide member to slide along the guide member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the push frame including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And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ush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relative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provided with.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상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The elastic member is a hand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guide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탄성 부재는 판재 또는 선재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단부 상면에 위치하며 타단부는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 plate or wire, hand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loca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bent.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The guide member is a hand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A protective body including a door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door and a fram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the door receiving part; 상기 도어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의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A fixing member form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toward an inlet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wall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ace each other;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푸쉬 프레임; 및A push frame that slides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And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An elastic member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ush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relative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provided with.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고정편들의 단부는 안쪽을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Hand end of the fix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inward.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고정편들의 안쪽으로 상기 도어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lip projections are formed in the fixing pieces to secure the engagement with the door.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 수용부 및 상기 도어 수용부에 대향하게 형성된 프레임 수용부를 포함하는 보호구 몸체;A protective body including a door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door and a frame receiving part formed to face the door receiving part;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including a guide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rame accommodating part toward the entrance and a first locking part formed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end of the guide part;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푸쉬 프레임; A push frame partially receiving the guide member to slide along the guide member in the frame receiving portion, the push frame including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상기 푸쉬 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프레임 수용부에 대해 상기 푸쉬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An elastic member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push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push frame relative to the frame receiving portion; And 상기 도어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입구를 향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수용부의 내벽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A fixing member form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toward an inlet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wall of the door receiv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ace each other; 를 구비하는 손 보호구.Hand protection provided with.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일단은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2 걸림부와 맞닿아 상기 푸쉬 프레임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도어 수용홈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One end is extended along the side of the frame receiv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ush frame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portion, the other end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formed to the inlet of the door receiving groove Hand protection.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측면에는 고정 단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 커버의 일단은 상기 고정 단에 맞물려 상기 프레임 수용부의 측면과 같은 선상에 놓이며, 타단은 상기 도어 수용홈의 입구까지 형성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보호구.A fixing e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ame receiving part, on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is engaged with the fixing end and lies on the same line as the side of the frame receiving part,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rotective cover which is formed up to the entrance of the door receiving groove. Hand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5-0009254U 2005-04-04 2005-04-04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KR20038712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54U KR200387129Y1 (en) 2005-04-04 2005-04-04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254U KR200387129Y1 (en) 2005-04-04 2005-04-04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119A Division KR100624178B1 (en) 2005-04-04 2005-04-04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29Y1 true KR200387129Y1 (en) 2005-06-17

Family

ID=4368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254U KR200387129Y1 (en) 2005-04-04 2005-04-04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29Y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67B1 (en) * 2009-10-20 2010-06-15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Hand protector with arc buffer cushion for door
KR101069925B1 (en) * 2008-07-16 2011-10-05 오민석 Safety frame for door
KR200456780Y1 (en) * 2009-04-13 2011-11-21 최영이 Safety device of glass door
KR101549102B1 (en) 2013-04-29 2015-09-02 전정희 Smart security door
KR20170001898U (en) * 2015-11-23 2017-05-31 (주) 가비온 Side frame of sliding door and sliding door having the same
KR101758078B1 (en) * 2015-09-24 2017-07-18 주식회사 태광인텍 Vertical frame for door frame
KR101758079B1 (en) * 2015-09-24 2017-07-27 주식회사 태광인텍 Door fr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25B1 (en) * 2008-07-16 2011-10-05 오민석 Safety frame for door
KR200456780Y1 (en) * 2009-04-13 2011-11-21 최영이 Safety device of glass door
KR100963167B1 (en) * 2009-10-20 2010-06-15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Hand protector with arc buffer cushion for door
KR101549102B1 (en) 2013-04-29 2015-09-02 전정희 Smart security door
KR101758078B1 (en) * 2015-09-24 2017-07-18 주식회사 태광인텍 Vertical frame for door frame
KR101758079B1 (en) * 2015-09-24 2017-07-27 주식회사 태광인텍 Door frame
KR20170001898U (en) * 2015-11-23 2017-05-31 (주) 가비온 Side frame of sliding door and sliding door having the same
KR200483740Y1 (en) * 2015-11-23 2017-06-19 (주) 가비온 Side frame of sliding door and sliding door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129Y1 (en)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KR100624178B1 (en) Device for protecting a finger including a push frame
JP2002317588A (en) Safety device for glass door having windproof- soundproof ability as well as safety
KR100862738B1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a elevator
US7703500B2 (en) Bracket and head rail assembly
KR200425622Y1 (en) door safe apparatus
KR200447014Y1 (en) Sliding window device installed
KR200483740Y1 (en) Side frame of sliding door and sliding door having the same
KR101581203B1 (en) Safe-Apparratus for Door
KR100959261B1 (en) Hand protector with elasticity cover for door
KR101063121B1 (en) A door protector having antitheft function
KR200467838Y1 (en) Device for protecting finger including push frame
KR100963167B1 (en) Hand protector with arc buffer cushion for door
KR101416325B1 (en) Safety door
KR20220132331A (en) Door for preventing injury
KR101146110B1 (en) Door hand protector with for smooth door
KR100458307B1 (en) Finger guard and fixing holder
KR20090070449A (en) Shock absorbing handle for window
KR100994421B1 (en) School door for changing wear and preventing noise
KR200358367Y1 (en) Rotatable tempered safety glass door
KR200279148Y1 (en) Windbreak brush which can also be used as Absortion rubber frame for strengnthened glass door
KR20140106924A (en) Confidentiality improved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960495B1 (en) Hand protection device
KR101150180B1 (en) Cleanroom door
CN214943803U (en) Shower room door sealing rubber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