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774Y1 -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 Google Patents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774Y1
KR200386774Y1 KR20-2005-0006237U KR20050006237U KR200386774Y1 KR 200386774 Y1 KR200386774 Y1 KR 200386774Y1 KR 20050006237 U KR20050006237 U KR 20050006237U KR 200386774 Y1 KR200386774 Y1 KR 200386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bar
concrete structure
corner
construction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김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화 filed Critical 김영화
Priority to KR20-2005-0006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7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774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4Strips for creating a chamfered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 등에 사용되며, 특히 2개의 면이 서로 만나는 기둥이나 벽체의 코너부 시공을 위한 거푸집체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를 개시한다.Disclosed is a molding bar for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which is used for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can be easily installed on formwork for construction of a corner or a wall where two surfaces meet each other.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거푸집체들의 연결부측 내접 모서리 구간을 따라 용접되는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로서,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welded along the inner corner of the connection side of the formwork arranged to enable the corn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성형바 본체와, 이 성형바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거푸집체들의 내접면과 접촉되기 위한 2개의 접지면과, 이 2개의 접지면 사이에서 상기 성형바 본체의 용접 작업을 위한 확장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를 포함한다.A forming bar body, two ground plane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ming bar body and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formwork, and an extension for welding the forming bar body between the two ground planes. It includes a groove for providing a space.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Molde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이나 벽체의 코너부 시공을 위한 거푸집체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ing ba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ormwork for the corner portion construction of the column or wall.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둥이나 벽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이격 배치된 내측 거푸집체와 외측 거푸집체 사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정기간 동안 양생되면서 시공된다.In general, concrete structures such as pillars and walls of buildings are constructed while being lai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formwor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거푸집체들은 콘크리트 타설 후 각종 하중이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되며 특히, 기둥이나 벽체 등의 코너부를 시공할 때에는 모서리 부분이 절취되어 일정하게 모따기된 형태가 되도록 상기 외측 거푸집체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의 내접 모서리 지점에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가 설치된다.The formwork is firmly installed to prevent deformation by various loads or external forces after the concrete is placed, in particular, when the corners such as pillars or walls when the corner portion is cut out to be in a constant chamfered form In the state in which the formwor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orming bar for corner construction is installed at their internal corner point.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B)는 벽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W)의 코너부 시공을 위한 외측 거푸집체(F1)와 내측 거푸집체(F2) 사이에서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이 연결되는 내접 모서리 지점에 도면에서와 같이 위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conventional corner forming bar B has the outer side between the outer formwork F1 and the inner formwork F2 for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W such as a wall. As shown in the figure, they are located at internal corner points to which formwork F1 is connected.

상기 성형바(B)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의 내접면과 접촉되기 위한 접지면(B1)이 각각 형성된다. The forming bar (B) is made in the form of a strip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 ground plane (B1)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formwork (F1),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성형바(B)를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접지면(B1)들이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의 내접면측에 각각 접지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3각형 모양의 공간(A)을 통하여 용접봉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접지면(B1)들의 접촉지점을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 용접하여 고정시킨다.And, in order to fix the forming bar (B) to the outer formwork (F1) 3 is formed between the ground plane (B1) in the state that is respectively grounded on the inner contact side of the outer formwork (F1) After inserting the welding rod through the rectangular space A, the contact points of the ground planes B1 are welded and fixed as shown in the draw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는, 상기 외측 거푸집체의 내접 모서리 구간에 용접으로 고정될 때에 상기 접지면들과 상기 거푸집체들의 내접면들이 접촉되는 내접 각도가 좁게 형성되므로 이들의 접촉면 사이에 용접봉이 원활하게 융착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결속력을 얻기가 어렵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orming bar for corner construction, because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ground plane and the inner contact surface of the formwork when the fixed to the inner corner section of the outer formwork is formed narrow the contact surface thereof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atisfactory binding force because the electrode is not smoothly fused in between.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성형바가 상기 외측 거푸집체들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접각이 좁게 형성되면 용접 작업시에 용접봉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므로 용접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In addition, when the forming bar is formed in a narrow inner angle in the state formed in the outer formwork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for inserting the welding rod is relatively narrow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has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welding operation.

게다가, 상기 외측 거푸집체에서 상기 성형바가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면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각종 하중이나 외력 등에 의해 고정된 자세나 위치 등이 쉽게 변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 품질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In addition, if the forming bar is not firmly installed in the outer formwork, the posture or position fixed by various loads or external forces after the concrete is easily deformed is a factor that degrades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corner of the concrete structur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을 위한 거푸집체들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ing ba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of the concret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formwork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거푸집체들의 연결부측 내접 모서리 구간을 따라 용접되는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로서,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a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welded along the inner side edge section of the connection side of the formwork arranged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성형바 본체와, 이 성형바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거푸집체들의 내접면과 접촉되기 위한 2개의 접지면과, 이 2개의 접지면 사이에서 상기 성형바 본체의 용접 작업을 위한 확장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를 제공한다.A forming bar body, two ground plane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ming bar body and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formwork, and an extension for welding the forming bar body between the two ground planes. Provided is a forming bar for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groove portion providing a spa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성형바 본체이고, 이 본체(2)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2개의 벽체가 만나는 벽체 구조물(W)의 코너부 시공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거푸집체(F1, F2)에서 외측 거푸집체(F1)에 대응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위치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orming bar body, the body 2 of the wall structure (W)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two walls meet It is positioned as shown in the fig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formwork (F1) in the formwork (F1, F2) arranged to enable the corner portion construction.

상기 성형바 본체(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며 도 2에서와 같이 띠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성형바 본체(2)의 재질은 용접 작업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이 사용된다.The shaping | molding bar main body 2 has a fixed thickness and width, and consists of a strip | belt-shaped form like FIG. The material of the molded bar main body 2 is a metal which is easy to weld and excellent in durability.

상기 성형바 본체(2)는 상기 2개의 외측 거푸집체(F1)에 대응하여 이들의 내접 모서리 구간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1개가 설치되거나 2개 이상이 분할 설치될 수 있다.The molding bar main body 2 may b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two outer formwork bodies F1 to correspond to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edge section thereof, and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상기 성형바 본체(2)에는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의 내접 면에 접촉되기 위한 2개의 접지면(4)이 형성된다.The forming bar main body 2 is formed with two ground planes 4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formwork F1.

상기 접지면(4)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외측 거푸집체(F1)의 내접 모서리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의 내접면들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이미 잘 알려진 모따기 가공 등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 ground planes 4 are already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formwork F1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located at the inner corners of the two outer formwork F1 as shown in FIG. 1. It can be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 by a well-known chamfering process or the like.

이때, 상기 2개의 접지면(4)들은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의 내접면과 원활하게 면접촉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각도 범위내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two ground planes 4 are formed in an angle range corresponding thereto so as to be in smooth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contact surfaces of the outer formwork bodies F1.

한편, 상기 성형바 본체(2)에는 상기 2개의 접지면(4) 사이에 홈부(6)가 형성된다. 이 홈부(6)는, 상기 성형바 본체(2)가 상기 외측 거푸집체(F1)들의 내접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때에 확장된 작업 공간(S)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orming bar body 2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6 between the two ground plane (4). The groove 6 is configured to secure an expanded working space S when the forming bar main body 2 is fixed to the inner contact surfaces of the outer formwork F1 by welding.

이를 위하여 상기 2개의 접지면(4) 사이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바 본체(2)의 내측을 향하는 반원 모양으로 파여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two ground planes 4 may be dug in a semicircle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forming bar body 2 as shown in FIG. 2.

상기 홈부(6)는 상기 성형바 본체(2)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성형바 본체(2)의 길이 방향 전체에 형성된다.The groove portion 6 is formed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ping | molding bar main body 2 in the range which the durability of the shaping | molding bar main body 2 does not fall.

이와 같이 상기 성형바 본체(2)에 홈부(6)가 형성되면, 이 본체(2)가 벽체 구조물(W)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모서리 시공이 가능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외측 거푸집체(F1)의 내접 모서리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6)에 의해 용접을 위한 작업 공간(S)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간(S)을 통하여 용접봉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When the groove part 6 is formed in the forming bar main body 2 as described above, the two outer formwork as shown in FIG. 1 such that the main body 2 corresponds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structure W is possible.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sieve (F1) can be secured to the working space (S) for welding by the groove (6)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nserting the welding rod through the space (S) Welding can be performed easily.

또한, 상기 홈부(6)는 상기 2개의 접지면(4)들이 상기 외측 거푸집체(F1)의 내접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에서 이들의 접지부가 상기 공간(S)내에서 더욱 확장 개방되므로 용접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이거나와, 용접봉이 융착되기 위한 면적이 확대되어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portion 6 is welded since the ground portions of the two grooves 4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ormwork F1, respectively, so that the ground portions thereof are further extended in the space S. Not only this ease, but also the area for welding electrodes to be fused can be expanded to obtain a more rigid fixing for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부(6)가 상기 2개의 접지면(4)이 형성된 상기 성형바 본체(2)의 일측면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 홈 형태로 형성된다.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portion 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groove on one side of the forming bar body 2 on which the two ground planes 4 are formed.

이와 같은 홈부(6)의 구조는 상기 성형바 본체(2)가 상기 2개의 외측 거푸집체(F1)에 설치될 때에 더욱 확장된 공간(S)을 확보할 수 있다.Such a structure of the groove part 6 can secure a more expanded space S when the shaping | molding bar main body 2 is installed in the said two outer formwork F1.

상기한 실시예들은 상기 홈부(6)가 상기 성형바 본체(2)에서 반원 또는 사각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as an example that the groove part 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or a square groove in the forming bar body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들면, 상기 홈부(6)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성형바 본체(2)에서 여러 모양의 타원 홈 또는 다각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홈 형태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the groove 6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olded bar body 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f elliptical grooves or polygonal grooves, and in addition, the groove shape satisfy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Can be.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rming bar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of the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ign and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by modifying,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나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을 위한 거푸집체들에 용접될 때에 용접 작업을 위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바의 설치는 물론이거니와 거푸집체들의 셋팅 작업이 용이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en welded to the formwork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wall or pillar of the building can ensure the maximum space for the welding operation. Therefore,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the molding bar, and the setting work of the formwork is easy and the time required for this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의 바람직한 설치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installation embodiment of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성형바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forming bar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laims (3)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거푸집체들의 연결부측 내접 모서리 구간을 따라 용접되는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로서,Forming bar for corner construction weld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connection side of the formwork arranged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of the concrete structure, 성형바 본체와, 이 성형바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거푸집체들의 내접면과 접촉되기 위한 2개의 접지면과, 이 2개의 접지면 사이에서 상기 성형바 본체의 용접 작업을 위한 확장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A forming bar body, two ground plane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rming bar body and for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formwork, and an extension for welding the forming bar body between the two ground planes. Forming bar for corner constru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comprising a groove providing a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원형 또는 다각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ove portion, the forming bar for the corner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made of any one of a circular or polygonal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성형바 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The forming bar of claim 1, wherei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lengthwise section of the forming bar body.
KR20-2005-0006237U 2005-03-08 2005-03-08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KR2003867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37U KR200386774Y1 (en) 2005-03-08 2005-03-08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37U KR200386774Y1 (en) 2005-03-08 2005-03-08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774Y1 true KR200386774Y1 (en) 2005-06-16

Family

ID=4368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37U KR200386774Y1 (en) 2005-03-08 2005-03-08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77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44A (en) 2019-11-14 2021-05-24 김영식 Waterproof flas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444A (en) 2019-11-14 2021-05-24 김영식 Waterproof fla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199B2 (en) Steel house structural members
US6729086B2 (en) Angular section member for making wall corners
KR200386774Y1 (en) mold bar for forming edge concrete structure
KR20130102027A (en) Prefabricated steel frame with hoop reinforcement for composite member of steel and concrete
KR20170111429A (en) The form fixing bar for a celling sleeve
KR200452393Y1 (en) Tie Rod Fixture
KR100749000B1 (en) A mold edge myeonguijae
KR200205879Y1 (en) A prefabricated mold for a concrete structure.
KR100720173B1 (en) Backing Materials for Welding Joints at Bucket and Arm of Excavator
KR200169470Y1 (en) Concrete sheeting
JP7003744B2 (en) Building pillar material and pillar end joint structure
EP1474571B1 (en) Expansion and/or construction joint for concrete flooring
JP3626750B1 (en) Gutter block
JP6308803B2 (en) Slit-forming formwork structure and its reinforcing hardware
JP5974314B1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shaped steel columns
ITBO20070712A1 (en) PANEL AND COMPOSITE PANEL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KR200306787Y1 (en) A wall pannel for buildinr interior
KR200390306Y1 (en) Jig for Steel reinforcing construction
KR200370140Y1 (en) Flat tie for construction
KR100465817B1 (en) A wall pan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buildinr interior
JP5877490B1 (en) Building wall structure
JP3648443B2 (en) Square wave forming plate
KR100278618B1 (en) Double Formwork Panel for Construction Engine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3825Y1 (en) Folding Form Panel for End Header Wall
JPH02619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