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459Y1 - Toilet stool - Google Patents

Toilet s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459Y1
KR200386459Y1 KR20-2005-0006664U KR20050006664U KR200386459Y1 KR 200386459 Y1 KR200386459 Y1 KR 200386459Y1 KR 20050006664 U KR20050006664 U KR 20050006664U KR 200386459 Y1 KR200386459 Y1 KR 200386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upled
plate
horizontal bar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6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홍
김용경
김정수
이상원
Original Assignee
김은홍
김용경
김정수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홍, 김용경, 김정수, 이상원 filed Critical 김은홍
Priority to KR20-2005-0006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4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45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오물수용부와, 상기 오물수용부에 수용된 오물을 흘려보내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앉음판과,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앉음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사용자가 하방으로 발로 누를 수 있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된 수평봉과, 상기 발판이 눌러졌을 때 상기 수평봉을 기울일 수 있도록 상기 수평봉과 결합된 지렛대 및 그 일단은 상기 수평봉과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앉음판과 결합되며, 상기 수평봉이 기울어지면 상승하는 수직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발판을 누르면 상기 수직봉이 상승하고 상기 수직봉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앉음판이 상승하여 사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에 편리하게 상기 앉음판을 상승시켜서 변기의 청결성을 항상 유지하며, 상기 앉음판을 여러번 청소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its configuration is a body portion including a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 wat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water for flow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ser In the toilet bowl comprising a seat plate in contact with the hip portion, and the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which is located above the seat plate, the toilet sea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the user presses the foot downward And a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scaffold, a lever coupled with the horizontal bar so that the horizontal bar is inclined when the scaffold is pressed, and one end thereof are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mbined with the seat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rtical rod that rises when the horizontal bar is tilted, the vertical rod is pressed when the foot plate As the vertical bar rises, the sitting plate rises, and when the user urinates, the sitting plate is conveniently raised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all the time, and there is no effect of having to clean the sitting plate several times.

Description

변기{Toilet stool}Toilet bowl {Toilet stool}

본 고안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을 볼 시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변기의 앉음판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that allows the user to raise the seat plate of the toilet conveniently when urinating.

일반적으로 인체가 용변을 볼 때는 변기를 사용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the human body sees the toilet will use a toilet.

도 1에 이러한 종래의 변기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toilet i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기(1)는 오물이 수용되며 하수도와 연결된 오물수용부(2)와, 상기 오물수용부(2)에 수용된 오물을 흘려보내는 물수용부(3)를 포함하는 본체부(4)와, 상기 본체부(4)에 힌지부(5)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앉음판(6)과, 상기 본체부(4)에 힌지부(5)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앉음판(6)의 상부에 위치되는 뚜껑(7)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toilet 1 includes a waste accommodating part 2, in which dirt is accommodated and connected to a sewerage, and a water accommodating part 3 for flowing dirt contain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part 2. The main body 4 including, a seating plate 6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4 by the hinge portion 5 and in contact with the hip portion of the user, and the main body portion 4 It is rotatably coupled by the branch 5 and includes a lid 7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seating plate 6.

상기 종래의 변기(1)는 사용자가 남자일 경우 상기 앉음판(6)을 상방을 향하여 회동시킨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앉음판(6)을 상방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상기 앉음판(6)에 묻게 되어 변기(1)가 청결하게 되지 않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toilet 1, when the user is a man, it is common to urinate in a state where the seat plate 6 is rotated upward. When urine is peeed without rotating the seat plate 6 in this way, the urine is buried in the seat plate 6 so that the toilet bowl 1 is not cleaned.

그런데, 상기 종래의 변기(1)는 남자인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는 일일이 상기 앉음판(6)을 상방으로 회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toilet (1)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o use the seat plate (6) to rotate upwards when a user who is a man urinates.

또한, 종래의 변기(1)는 남자인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상기 앉음판(6)을 상방으로 회동시키지 않고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상기 앉음판(6)에 묻게 되어 변기(1)가 불결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ilet (1) is urine is buried in the seat plate (6) when the urine peeing without turning the seat plate (6) upward when the user is a man urinating the toilet (1) is dirty There was a problem.

또한, 상기 앉음판(6)에 묻어 있는 소변은 그 뒤에 변기(1)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고, 다시 휴지 등으로 닦기 위해서 휴지 등의 재원이 별도로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urine buried in the seating plate 6 may cause discomfort to a person using the toilet bowl 1 thereafte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resources such as tissue paper are separately consumed in order to wipe it again with tissue pape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남자인 사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에 편리하게 상기 앉음판을 상승시켜서 변기의 청결성을 항상 유지하며, 상기 앉음판을 여러 번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앉음판에 묻어 있는 소변을 닦기 위해 사용되는 휴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raise the seat plate conveniently when a user who is a man urinate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bowl at all times, There is no hassle to clean once,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the tissue used to wipe the urine on the seat pl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변기는 오물수용부와, 상기 오물수용부에 수용된 오물을 흘려보내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앉음판과,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앉음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사용자가 하방으로 발로 누를 수 있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된 수평봉과, 상기 발판이 눌러졌을 때 상기 수평봉을 기울일 수 있도록 상기 수평봉과 결합된 지렛대 및 그 일단은 상기 수평봉과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앉음판과 결합되며, 상기 수평봉이 기울어지면 상승하는 수직봉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발판을 누르면 상기 수직봉이 상승하고 상기 수직봉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앉음판이 상승하는 특징으로 한다.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dy part including a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 water accommodating portion for receiving water for flow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a toilet seat including a seat plate contacting the hip part of the user and a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positioned above the seat plate, the toilet seat be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Foot plate that can be pressed by foot, the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foot plate, a lever coupled with the horizontal bar so that the horizontal bar can be tilted when the foot plate is pressed, and one end thereof is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The vertical rod further includes a vertical rod that rises when the horizontal rod is tilted. As the vertical bar is rai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s sit up.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변기는, 오물수용부와, 상기 오물수용부에 수용된 오물을 흘려보내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앉음판과,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앉음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홈을 가지는 하우징과, 파이프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뚜껑과 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통부와, 파이프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통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앉음판과 결합되며, 그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통부나사부를 가지는 제2통부와, 상기 하우징의 홈과 제1통부와 제2통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통부에 삽입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통부의 내주에 형성된 통부나사부와 치합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삽입나사부를 가지는 삽입봉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발판과, 상기 삽입봉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봉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발판이 눌러지면 그에 상응하여 일정시간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며, 발판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모터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봉과 결합된 상기 앉음판이 상방으로 회동되며, 상기 발판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모터가 역회전 되어 상기 앉음판이 다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 wat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water for flow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rotatably to the main body portion; In the toilet bowl comprising a seat plate in contact with the hip portion of the user, and the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by a hinge portion, the hinge portion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It is provided in a pair, and a housing having a groove therein,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coupled to the lid, and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cylinder, provided in a pipe, between the first cylinder It is located in, and coupled to the seat plat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threaded cylindrical threaded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of the housing,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rod having an insertion screw portion having a screw thread engag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screw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ylinder portion, and having a footrest that the user can press with a foot and connected to the insertion rod to rotate the insertion rod. And a control unit for rotating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caffold is pressed, and if the scaffold is not pressed, the motor rotates as the scaffold is pressed. The seat plate coupled with the insertion rod is rotated upwards, and if the foot plate is not pressed, the motor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seat plate is rotated downward agai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기의 앉음판과 수직봉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2 to 5 show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at and a vertical rod of the toilet shown in Figure 2 4 and 5 show sid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oilet shown in FIG. 2.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는 본체부(4)와, 앉음판(6)과, 뚜껑(7)과, 발판(10)과, 수평봉(20)과, 지렛대(30)와, 수직봉(4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oilet bow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portion 4, the seat plate 6, the lid 7, the footrest 10 and the horizontal bar 20 And the lever 30 and the vertical rod 40 are included.

상기 본체부(4)는 오물수용부(2)와 물수용부(3)를 포함하며 그 구성은 종래의 변기(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in body 4 includes a waste accommodating part 2 and a water accommodating part 3,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toilet 1,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앉음판(6)과 뚜껑(7)도 마찬가지로 종래의 변기(1)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aid seating plate 6 and the lid 7 are also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toilet 1,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발판(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가 설치된 곳의 바로 옆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판(10)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2, the footrest 10 may be pressed by the user by foot, a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footrest 10 on the floor next to the place where th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scaffold 10 may flow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ttom surface, of course.

상기 수평봉(20)은 상기 발판(10)과 연결되며, 기다란 막대형상을 가진다. The horizontal bar 20 is connected to the scaffold 10 and has an elongated rod shape.

상기 지렛대(30)는 상기 발판(10)이 눌러졌을 때 상기 수평봉(20)을 기울일 수 있도록 상기 수평봉(20)과 결합된다. The lever 3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20 to tilt the horizontal bar 20 when the footrest 10 is pressed.

상기 수직봉(40)은 그 일단은 상기 수평봉(20)과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앉음판(6)과 결합된다. 상기 앉음판(6)의 밑면에는 그 밑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공(6a)이 형성된 돌출부(6b)를 가지며, 상기 수직봉(40)의 끝단이 상기 관통공(6a)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봉(40)과 상기 앉음판(6)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도 3 참조) One end of the vertical rod 4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rod 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6.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6 has a protrusion 6b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through hole 6a formed therein, and an end of the vertical rod 4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6a so that the vertical rod ( 40 and the seat plate 6 are mutually coupled (see FIG. 3).

따라서, 상기 수평봉(20)이 기울어지면 그 수평봉(20)이 회동된 거리만큼 상기 수직봉(40)이 상방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bar 20 is inclined, the vertical bar 40 rises upward by the distance at which the horizontal bar 20 is rotat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앉음판(6)은 상기 오물수용부(2)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설명한다. First, as shown in FIG. 4, the sitting plate 6 will be describ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accommodating part 2.

이어서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의 앞에 서서 상기 발판(10)을 도 4의 화살표(A) 방향으로 누른다. Subsequently,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toi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pressurize the footrest 1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f FIG. 4.

이에 따라, 상기 수평봉(20)이 상기 지렛대(3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수평봉(20)의 끝단, 즉 상기 발판(10)이 위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의 수평봉(20) 끝단이 도 5의 화살표(B) 방향으로 회동된다. Accordingly, the horizontal bar 20 is rotated about the lever 30,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that is,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trest 10 is located 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B.

이에 따라, 상기 수직봉(40)이 상방(도 5의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직봉(40)이 이동됨으로써 상기 앉음판(6)이 상방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앉음판(6)의 일단이 상기 힌지부(5)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봉(4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앉음판(6)의 타단이 도 5의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이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vertical bar 40 is moved up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in FIG. 5), and the seat bar 6 is rotated upward by moving the vertical bar 40. Since one end of the seating plate 6 is fixed to the main body 4 by the hinge portion 5,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plate 6 is raised as the vertical rod 40 rises. I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따라서, 상기 앉음판(6)이 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변을 보면 되므로 변기(100)의 청결성이 유지되며, 특히 상기 앉음판(6)의 상면에 소변이 묻을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6 is raised, the user may look at the urine and thus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bowl 100 is maintained,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fear of urine ge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6.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발판(10)을 누르게 되면 기구적인 연결로 상기 앉음판(6)이 상방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presses the footrest 10, the seat plate 6 is described as being rotated upward by the mechanical conn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 내지 도 9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200)를 도시하였다. 6 to 9 illustrate a toil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힌지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를,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변기의 제1통부와 삽입봉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변기의 제2통부와 삽입봉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변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por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view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insertion rod of the toilet shown in FIG. 6, FIG.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view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insertion rod of the toilet, Figure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hown in FIG.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200)는 본체부(4)와, 앉음판(6)과, 뚜껑(7)과, 힌지부(220)와, 발판(240)과, 모터(250)와, 제어부(260)를 포함하고 있다.The toile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portion 4, the seat plate 6, the lid 7, the hinge portion 220, the footrest 240, the motor 250 And a control unit 260.

상기 본체부(4)는 오물수용부(2)와 물수용부(3)를 포함하며 그 구성은 종래의 변기(1)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ain body 4 includes a waste accommodating part 2 and a water accommodating part 3,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toilet 1,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앉음판(6)과 뚜껑(7)도 마찬가지로 종래의 변기(1)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aid seating plate 6 and the lid 7 are also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toilet 1,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부(220)와 발판(240)과 모터(250)와 제어부(260)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므로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unit 220, the footrest 240, the motor 250 and the control unit 260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힌지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1)과 제1통부(222)와 제2통부(224)와 삽입봉(226)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hinge portion 220 includes a housing 221, a first cylinder portion 222, a second cylinder portion 224, and an insertion rod 226.

상기 하우징(221)은 상기 본체부(4)에 고정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홈(221a)을 가진다. The housing 221 is fixed to the main body 4 and is provided in pairs, and has a groove 221a therein.

상기 제1통부(222)는 파이프형으로 구비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뚜껑(7)이 그 제1통부(222)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부(222)의 내부직경은 후술하는 삽입봉(22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cylinder portion 222 is provided in a pipe shape and a pair, the lid 7 is coupled to the first cylinder portion 222.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22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226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통부(224)는 파이프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1통부(2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앉음판(6)과 결합되며, 그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통부나사부(223)를 가진다. The second cylinder portion 224 is provided in a pipe shape,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ylinder portion 222,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6, the inner circumferential thread portion 223 has a thread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Has

상기 삽입봉(226)은 상기 제1통부(222)와 제2통부(224)의 내주에 삽입되며, 상기 제2통부(224)에 삽입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통부의 내주에 형성된 통부나사부(223)와 치합하는 나사산을 가지는 삽입나사부(225)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The insertion rod 226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22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224,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224 is a cylindrical screw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 An insertion screw portion 225 having a screw thread engaged with 223 is formed. (See FIG. 8).

상기 발판(240)은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부위이다. The scaffold 240 is a portion that a user can press with his feet.

상기 모터(250)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250)는 상기 삽입봉(226)과 결합되어 그 삽입봉(226)을 회전시킨다. The motor 250 is preferably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addition, the motor 250 is coupled to the insertion rod 226 to rotate the insertion rod 226.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발판(10)이 눌러지면 그에 상응하여 일정시간 상기 모터(250)를 회전시키며, 상기 발판(10)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모터(250)를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60 rotates the motor 250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caffold 10 is pressed, and controls the motor 250 to reversely rotate when the scaffold 10 is not pressed.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0)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모터(25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봉(226)이 회전하고, 상기 삽입봉(226)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제2통부(224)가 회전하고, 상기 제2통부(22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앉음판(6)이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부(222)의 내부직경이 상기 삽입봉(226)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삽입봉(226)이 회전되어도 상기 제1통부(222)는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motor 250 rotates as the scaffold 10 is pressed and the insertion rod 226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sertion rod 226. As the second cylinder portion 224 rotates, and the second cylinder portion 224 rotates, the seat plate 6 rotates upwar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7,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22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rod 226, even if the insertion rod 226 is rotate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 222 is not rotated.

그리고, 상기 발판(10)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모터(250)가 역회전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앉음판(6)은 다시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오물수용부(2)의 상면에 위치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scaffold 10 is not pressed, the motor 250 is controlled to be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seat 6 is rotated downward again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ste accommodating part 2.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변기에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비데가 설치된 변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bidet is not installed in the toilet, it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toilet equipped with a bide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은 눌러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상기 발판을 광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그 광센서 위에 발이 올려져 수광부가 빛을 감지하지 못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여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ffolding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es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w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optical sensor by using a sensor such as an optical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does not detect light, the same effec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even when a corresponding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기에 의하면, 남자인 사용자가 소변을 볼 경우에 편리하게 상기 앉음판을 상승시켜서 변기의 청결성을 항상 유지하며, 상기 앉음판을 여러 번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앉음판에 묻어 있는 소변을 닦기 위해 사용되는 휴지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ho is a man urinate, the sitting plate is conveniently raised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all the time, there is no hassle of cleaning the sitting plate several times,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tissues used to clean the urine on the seat plate.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s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변기를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oilet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기의 앉음판과 수직봉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plate and the vertical rod of the toilet shown in FIG.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변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4 and 5 are sid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oilet shown in FIG.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의 힌지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por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변기의 제1통부와 삽입봉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view of the first cylinder and the insertion rod of the toilet shown in FIG.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변기의 제2통부와 삽입봉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FIG. 8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view of the second cylinder and the insertion rod of the toilet shown in FIG.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변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 오물수용부 3. 물수용부  2. Water Receptacle 3. Water Receptacle

4. 본체부 6. 앉음판  4. Main body 6. Seat plate

7. 뚜껑 10. 발판  7. Lid 10. Scaffold

20. 수평봉 30. 지렛대 20. Horizontal bar 30. Crowbar

40. 수직봉 220. 힌지부 40. Vertical rod 220. Hinge

222. 제1통부 223. 통부나사부222. First tube 223. Tube screw

224. 제2통부 225. 삽입나사부224. Second tube 225. Insertion thread

226. 삽입봉 240. 발판226. Insertion rod 240. Scaffold

250. 모터 260. 제어부 250. Motor 260. Control Unit

Claims (3)

오물수용부와, 상기 오물수용부에 수용된 오물을 흘려보내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앉음판과,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앉음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A seating plate including a soil accommodating portion, a water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water for flowing dirt contain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ating plate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by a hinge portion and contacts the hip region of the user. And, In the toilet bowl including a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by a hinge portion located on the seat plate,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사용자가 하방으로 발로 누를 수 있는 발판;A footrest that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and which the user can press down with the foot; 상기 발판과 연결된 수평봉;A horizontal bar connected to the scaffolding; 상기 발판이 눌러졌을 때 상기 수평봉을 기울일 수 있도록 상기 수평봉과 결합된 지렛대; 및A lever coupled with the horizontal bar to tilt the horizontal bar when the scaffold is pressed; And 그 일단은 상기 수평봉과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앉음판과 결합되며, 상기 수평봉이 기울어지면 상승하는 수직봉;을 더 구비하여,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and further includes a vertical rod that rises when the horizontal bar is inclined. 상기 발판을 누르면 상기 수직봉이 상승하고 상기 수직봉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앉음판이 상승하는 특징으로 하는 변기.Pressing the footrest is the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bar is raised and the seat plate is raised as the vertical bar is raised. 오물수용부와, 상기 오물수용부에 수용된 오물을 흘려보내는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며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접촉되는 앉음판과, 상기 본체부에 힌지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앉음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A seating plate including a soil accommodating portion, a water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water for flow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wast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ating plat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by a hinge portion rotatably and in contact with the hip region of the user And, In the toilet bowl including a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by a hinge portion located on the seat plate, 상기 힌지부는, The hinge portion,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홈을 가지는 하우징;A housing fixed to the main body and provided in pairs, the housing having a groove therein; 파이프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뚜껑과 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통부와, It is provided in a pipe shape, coupled to the lid, and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cylinder, 파이프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통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앉음판과 결합되며, 그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통부나사부를 가지는 제2통부와, A second cylinder portion provided in a pipe shap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ylinder portions, coupled to the seating plate, and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thread portion formed therein at its inner circumference; 상기 하우징의 홈과 제1통부와 제2통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통부에 삽입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통부의 내주에 형성된 통부나사부와 치합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삽입나사부를 가지는 삽입봉을 포함하며,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second cylinder portion,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cylinder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rod having an insertion screw portion having a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cylindrical screw por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ylinder portion; , 사용자가 발로 누를 수 있는 발판;A footrest that the user can press with his feet; 상기 삽입봉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봉을 회전시키는 모터;A motor connected to the insertion rod to rotate the insertion rod; 상기 발판이 눌러지면 그에 상응하여 일정시간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며, 발판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And a controller that rotates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caffold is pressed, and reversely rotates the motor when the scaffold is not pressed. 상기 발판이 눌러짐에 따라 상기 모터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봉과 결합된 상기 앉음판이 상방으로 회동되며, 상기 발판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모터가 역회전 되어 상기 앉음판이 다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The motor is rotated as the foot plate is pressed, and the seat plate coupled with the insertion rod is rotated upward. When the foot plate is not pressed, the motor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seat plate is rotated downward again. Toilet bowl.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발판은, The scaffold is, 빛을 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로 구비되어, Is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det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상기 발광부 상부에 발이 올려져서 상기 수광부를 이를 감지하지 못하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When the foot is raised abov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is not detecte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tor.
KR20-2005-0006664U 2005-03-12 2005-03-12 Toilet stool KR2003864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64U KR200386459Y1 (en) 2005-03-12 2005-03-12 Toilet s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64U KR200386459Y1 (en) 2005-03-12 2005-03-12 Toilet s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459Y1 true KR200386459Y1 (en) 2005-06-16

Family

ID=4368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664U KR200386459Y1 (en) 2005-03-12 2005-03-12 Toilet s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45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49B1 (en) * 2008-12-05 2009-09-30 신동빈 Toilet seat that is possible opening and closing when go to urin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49B1 (en) * 2008-12-05 2009-09-30 신동빈 Toilet seat that is possible opening and closing when go to urin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7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gienic Toilet Seat
KR200386459Y1 (en) Toilet stool
JP4064994B2 (en) Vacuum toilet equipment
WO2010096958A1 (en) Urinal configuration
KR101971126B1 (en) Toilet which is attached foot pedestal
JP3465439B2 (en) Urine sampling unit
JP2004293147A (en) Toilet bowl device
KR200426389Y1 (en) Seat type pot
KR102507842B1 (en) A toilet with urine splash prevention function
KR200297390Y1 (en) Apparatus for automatic openning of the toilet seat
KR200232537Y1 (en) A seat of chamber pot having the urine function
KR200338346Y1 (en) Cleaning water controller of toilet use
CN219638054U (en) Squatting and sitting dual-purpose toilet device
JP2006181306A (en) Preventor for male urine splash in western style toilet and soil of toilet and lavatory
JPH1037276A (en) Step-forward toilet
KR200347209Y1 (en) urinal
KR200180401Y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flushing toilet bowls
JPS6214207Y2 (en)
KR200297405Y1 (en) Toilet seat operating device having return function
JP3752638B2 (en) Toilet bowl
KR200222921Y1 (en) A patient auto bed with a bath
KR200434794Y1 (en) Seat of commode opening and closing left side a chamber pot switchagear
JP2002235360A (en) Mechanism for preventing urine from dropping from toilet bowl onto floor
KR200327313Y1 (en) An improved chamber pot
JP2005106620A (en) Toile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