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85Y1 -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85Y1
KR200386285Y1 KR20-2005-0006767U KR20050006767U KR200386285Y1 KR 200386285 Y1 KR200386285 Y1 KR 200386285Y1 KR 20050006767 U KR20050006767 U KR 20050006767U KR 200386285 Y1 KR200386285 Y1 KR 200386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tent
fol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관
Original Assignee
권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관 filed Critical 권혁관
Priority to KR20-2005-0006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이천막의 설치를 위한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천막지의 하중을 고루게 분포시키기 위한 프레임 연결이 가능하도록 여러개의 연결부위를 가지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프레임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지면으로 세워지는 프레임과 커넥터에 연결되어 천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절첩부재를 통해 연결하므로서, 천막지의 하중에 따른 지지력을 고루게 분포시켜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과 커넥터 및 절첩부재의 연결 및 분해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천막의 설치 모양(예; 돔, 원형, 사각, 육각 등)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여러개의 천막지를 연속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보조 커넥터를 구성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행사장의 특성에 따라 여러개의 간이 천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등 그 활용도를 보다 극대화시킨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Structure for frame coupling of simplicity a tent}
본 고안은 간이 천막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막지를 지지하는 프레임(일명 뼈대)과 그 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 개선을 통해 천막지의 하중에 따른 지지력이 고루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과 커넥터의 연결과 분해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고, 더불어 천막의 전개 모양(예; 돔, 원형, 사각, 육각 등)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야외에서 행사(예; 체육회, 야유회 등)를 주최할 경우 본부석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햇빛 차단 및 방풍을 위해 간이 천막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간이 천막의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천막지와, 상기 천막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와 프레임의 경우에는 많은 선행기술이 출원된 바 있다.
즉,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285492 호(출원번호 제 2002-13785 호, 이하 선행기술1 이라함), 실용신안등록 제 289576 호(출원번호 제 2002-10295 호, 이하 선행기술2 이라함), 실용신안등록 제 1514 호(출원번호 제 1993-5871 호, 이하 선행기술3 이라함)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3의 경우 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프레임 연결을 안내하는 기능에 국한된 구조로, 이는 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지 못하였다.
즉, 선행기술1,3의 경우에는 여러 각도에서 프레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프레임의 갯수가 많이 필요로 하는 천막에만 그 사용이 제한되는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선행기술2의 경우에는 프레임의 이음 부분 연결에 국한되어 있는 구조로서 절첩 기능을 가지고 있을뿐, 커넥터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았다.
즉, 간이 천막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지붕을 이루는 천막지를 지탱하는 구조로서 커넥터와 프레임을 사용하는데, 선행기술2는 프레임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프레임과 프레임의 연결 구조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1,2,3의 경우, 커넥터에 프레임을 연결할 때 프레임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로인하여 커넥터와 프레임의 연결 및 분해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고, 더불어 체결수단의 체결력이 불량하거나 또는 그 체결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천막이 무너지면서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구조적인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1,2,3에 있어,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프레임의 구조가 길이 가변이 불가능한 하나의 기둥 구조인 바, 이로인하여 천막의 높이는 물론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하지 못하고 고정된 크기로서만 그 설치가 이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행사 종류에 따라 천막의 설치 공간을 크게 하거나 또는 작게 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프레임이 고정된 길이로서 제공되는 관계로 상기와 같이 천막의 설치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하지 못하고 고정된 크기로서만 제공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1,2,3의 경우에는 천막지의 하중으로 부터 가해지는 지지력이 고루게 분포되지 못하고 프레임이 세워진 부위로만 집중되는 바, 이로인하여 외부 요인(예; 바람)에 의해 천막지의 흔들림이 발생하였으며, 그 흔들림이 심할 경우에는 천막지가 프레임으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천막지의 하중을 고루게 분포시키기 위한 프레임 연결이 가능하도록 여러개의 연결부위를 가지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프레임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지면으로 세워지는 프레임과 커넥터에 연결되어 천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절첩부재를 통해 연결하므로서, 천막지의 하중에 따른 지지력을 고루게 분포시켜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과 커넥터 및 절첩부재의 연결 및 분해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천막의 설치 모양(예; 돔, 원형, 사각, 육각 등)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여러개의 천막지를 연속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보조 커넥터를 구성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행사장의 특성에 따라 여러개의 간이 천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등 그 활용도를 보다 극대화시킨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의 길이가 길어진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에 프레임이 결합된 평면 개략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절첩부재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절첩부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절첩부재에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도 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 및 커넥터와 절첩부재에 의한 천막지의 지지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 및 커넥터와 절첩부재에 의한 천막지의 지지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를 통해 천막지를 확장시킨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야외 설치용으로서 프레임(10)과 커넥터(20)를 통해 천막지(1)를 지지하는 통상의 간이 천막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조절구(10a)를 통해 복수개의 결합으로 구성하되, 그 복수개의 프레임(10)은 서로 엇갈린 결합을 통해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로 구성하고,
상기 커넥터(20)는 프레임(10)의 탈부착을 안내하는 고정커넥터(21)와, 그 고정커넥터(21)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대칭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에 결합되는 프레임(10)에는 절첩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또 다른 프레임(10)의 결합을 안내하는 절첩부재(30)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고정커넥터(21)는,
천막지(1)의 수평상태를 지지하는 프레임(10)의 결합이 안내되도록 그 프레임(10)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가 삽입 체결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프레임결합부(21a)(21a')와,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 1 축구멍(21b)을 가지면서 동일한 높이의 제 1 및 제 2 공간부(A)(B)를 형성시킨 3단의 제 1 커넥터결합부(21c)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커넥터(22)는,
프레임(10)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결합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2 프레임결합부(22a)(22a')와,
제 2 축구멍(22b)을 가지면서 제 1 커넥터결합부(21c)의 제 1 공간부(A)에는 복수개가 안착되고 그 제 1 커넥터결합부(21c)의 제 2 공간부(B)에는 하나가 안착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된 3단의 제 2 커넥터결합부(22c)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커넥터(23)는,
프레임(10)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결합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3 프레임결합부(23a)(23a')와,
제 3 축구멍(23b)을 가지면서 제 1 공간부(A)에 안착된 복수개의 제 2 커넥터결합부(22c)에는 하나가 결합되고 제 2 공간부(B)에 안착된 하나의 제 2 커넥터결합부(22c)에는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된 3단의 제 3 커넥터결합부(23c)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절첩부재(30)는,
제 2 및 제 3 회전커넥터(22)(23)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결합된 프레임(10)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가 체결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4 프레임결합부(31a)(31a')를 가지는 제 1 절첩몸체(31)와,
지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10)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가 체결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5 프레임결합부(32a)(32a')를 가지는 제 2 절첩몸체(32)의 결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몸체(31)(32)에는,
제 4 및 제 5 축구멍(31b)(32b)을 가지면서 서로 엇갈리게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절첩결합부(31c)(32c)와,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결합부(31c)(32c)로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절첩몸체(31)(32)의 절첩 각도를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절첩돌기(31d)(32d)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100은 힌지축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고정커넥터(21)와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를 연결 구성함은 물론, 제 1 및 제 2 절첩몸체(31)(32)를 연결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를 가지는 프레임(10)을 복수개 구비한 후,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10)을 서로 결합시킨다.
즉, 복수개의 프레임(10)에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를 서로 엇갈리게 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프레임(10)은 도 1에서와 같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같이 결합된 프레임(1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조절구(10a)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는 각각 커넥터(20)를 이루는 고정커넥터(21)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고정커넥터(21)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프레임결합부(21a)(21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크기가 큰 제 1 프레임결합부(21a)는 프레임(10)의 제 1 골조(11)로 삽입시키고, 크기가 작은 제 1 프레임결합부(21a')는 프레임(10)의 제 2 골조(11')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커넥터(21)에 의해 연결되는 프레임(10)은 천막지(1)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커넥터(21)에는 소정각도로 회전하도록 대칭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를 힌지축(100)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즉, 상기 고정커넥터(21)에는 제 1 축구멍(21b)을 가지면서 동일한 높이의 제 1 및 제 2 공간부(A)(B)를 형성시킨 3단의 제 1 커넥터결합부(21c)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커넥터결합부(21c)의 제 1 공간부(A)에는 제 1 회전커넥터(22)에 형성된 3단의 제 2 커넥터결합부(22c) 중 복수개가 안착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 2 커넥터결합부(22c)는 제 2 공간부(B)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커넥터(23)에 형성된 3단의 제 3 커넥터결합부(23c) 중 복수개는 제 2 공간부(B)에 안착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제 3 커넥터결합부(23c)는 제 1 공간부(A)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 1 내지 제 3 커넥터결합부(21c)(22c)(23c)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축구멍(21b)(22b)(23b)에 힌지축(100)을 체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힌지축(100)을 중심축으로 하여 그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제 2 및 제 3 프레임결합부(22a)(22a')(23a)(2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크기가 큰 제 2 및 제 3 프레임결합부(22a)(23a)에는 프레임(10)의 제 1 골조(11)를 결합시키고, 크기가 작은 제 2 및 제 3 프레임결합부(22a')(23a)에는 프레임(10)의 제 2 골조(11')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에 결합되는 프레임(10)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에 결합된 프레임(10)으로 절첩부재(30)를 이용하여 다리 역할을 수행할 새로운 프레임(10)을 결합시키면, 천막지(10)가 덮혀지는 천막의 설치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에 결합되는 프레임(10)은 절첩부재(30)의 구성요소로서 제 1 절첩몸체(31)에 서로 다른 크기로서 형성된 제 4 프레임결합부(31a)(31a')로 결합시키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절첩몸체(31)의 제 1 절첩결합부(31c)에는 제 2 절첩몸체(32)의 제 2 절첩결합부(32c)를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결합부(31c)(32c)에 형성된 제 4 및 제 5 축구멍(31b)(32b)으로 힌지축(100)을 결합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절첩몸체(32)에 서로 다른 크기로서 형성된 제 5 프레임결합부(32a)(32a')에는 또 다른 프레임(10) 즉 지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10)의 제 1 및 제 2 골조(11)(11')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결합부(31c)(32c)에는 제 1 및 제 2 절첩돌기(31d)(32d)가 연장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돌기(31d)(32d)는 각각의 프레임(10)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절첩몸체(31)(32)의 절첩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천막지(10)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은 물론 커넥터(20)와 절첩부재(30)의 결합으로 부터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상기 천막지(1)의 무게는 커넥터(20) 및 절첩부재(30)에 의해 고루게 분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는 고정커넥터(21)를 통해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22)(23)를 통해 도 12에서와 같이 천막지(1)의 전개 면적을 보다 확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천막지(1)의 길이를 보다 길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3 내지 도 16은 상기 고정커넥터(21)에 2단의 제 4 커넥터결합부(41a)와 서로 다른 크기의 제 6 프레임결합부(41b)(41b')를 가지는 보조커넥터(40)를 길이방향으로 결합시키므로서, 천막지(1)의 길이가 보다 연장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서는 고정커넥터(21)의 제 1 커넥터결합부(21c)에 의해 형성된 제 1 및 제 2 공간부(A')(B')의 높이를 확장하고,
상기 제 1 공간부(A')에는 2단으로 이루어진 보조커넥터(40)의 제 4 커넥터결합부(41a) 중 상단부위에 형성된 제 4 커넥터결합부(41a)와, 제 1 회전커넥터(22)의 3단 제 2 커넥터결합부(22c) 중 복수개 및, 제 2 회전커넥터(23)의 3단 제 3 커넥터결합부(23c) 중 하나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공간부(B')에는 2단으로 이루어진 보조커넥터(40)의 제 4 커넥터결합부(41a) 중 하단부위에 형성된 제 4 커넥터결합부(41a)와, 제 1 회전커넥터(22)의 3단 제 2 커넥터결합부(22c) 중 하나 및, 제 2 회전커넥터(23)의 3단 제 3 커넥터결합부(23c) 중 복수개가 안착되도록 하였다.
그러면,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수평지지축을 이루는 프레임(10)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프레임(10)의 길이 연장으로 부터 천막지(1)의 길이 또한 연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절첩부재(30)만을 이용하여 천막지(1)를 돔 모양이나 원형 또는 사각 및 육각 모양으로 설치모양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절첩부재(30)를 원형봉을 통해 서로 연결하여 동일평면상에 위치시키면서 간격을 조절한 후 그 위로 천막지(1)를 덮으면, 상기 천막지(1)의 설치 모양은 돔이나 원형 또는 사각 및 육각 모양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천막지의 하중을 고루게 분포시키기 위한 프레임 연결이 가능하도록 여러개의 연결부위를 가지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프레임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지면으로 세워지는 프레임과 커넥터에 연결되어 천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절첩부재를 통해 연결하므로서, 천막지의 하중에 따른 지지력을 고루게 분포시켜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과 커넥터 및 절첩부재의 연결 및 분해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천막의 설치 모양(예; 돔, 원형, 사각, 육각 등)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여러개의 천막지를 연속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보조 커넥터를 구성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행사장의 특성에 따라 여러개의 간이 천막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등 그 활용도를 보다 극대화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의 길이가 길어진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에 프레임이 결합된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절첩부재의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절첩부재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절첩부재에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 및 커넥터와 절첩부재에 의한 천막지의 지지 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프레임 및 커넥터와 절첩부재에 의한 천막지의 지지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커넥터를 통해 천막지를 확장시킨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보조커넥터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보조커넥터의 결합구조를 측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보조커넥터에 의해 길이가 확장된 천막지의 지지 상태도.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보조커넥터를 이용하여 천막지의 길이를 확장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막지 10; 프레임
10a; 조절구 11,11'; 제 1,2 골조
20; 커넥터 21; 고정커넥터
22; 제 1 회전커넥터 23; 제 2 회전커넥터
30; 절첩부재 31; 제 1 절첩몸체
32; 제 2 절첩몸체 40; 보조커넥터
100; 힌지축

Claims (7)

  1. 야외 설치용으로서 프레임과 커넥터를 통해 천막지를 지지하는 통상의 간이 천막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조절구를 통해 복수개의 결합으로 구성하되, 그 복수개의 프레임(10)은 서로 엇갈린 결합을 통해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및 제 2 골조로 구성하고,
    상기 커넥터는 프레임의 탈부착을 안내하는 고정커넥터와, 그 고정커넥터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대칭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에 결합되는 프레임에는 절첩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또 다른 프레임의 결합을 안내하는 절첩부재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넥터는,
    천막지의 수평상태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결합이 안내되도록 그 프레임의 제 1 및 제 2 골조가 삽입 체결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1 프레임결합부와,
    제 1 및 제 2 회전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 1 축구멍을 가지면서 동일한 높이의 제 1 및 제 2 공간부를 형성시킨 3단의 제 1 커넥터결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커넥터는,
    프레임의 제 1 및 제 2 골조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결합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2 프레임결합부와,
    제 2 축구멍을 가지면서 제 1 커넥터결합부의 제 1 공간부에는 복수개가 안착되고 그 제 1 커넥터결합부의 제 2 공간부에는 하나가 안착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된 3단의 제 2 커넥터결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커넥터는,
    프레임의 제 1 및 제 2 골조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결합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 3 프레임결합부와,
    제 3 축구멍을 가지면서 제 1 공간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제 2 커넥터결합부에는 하나가 결합되고 제 2 공간부에 안착된 하나의 제 2 커넥터결합부에는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배열된 3단의 제 3 커넥터결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재는,
    제 2 및 제 3 회전커넥터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결합된 프레임의 제 1 및 제 2 골조가 체결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4 프레임결합부를 가지는 제 1 절첩몸체와,
    지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프레임의 제 1 및 제 2 골조가 체결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 5 프레임결합부를 가지는 제 2 절첩몸체의 결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몸체에는,
    제 4 및 제 5 축구멍을 가지면서 서로 엇갈리게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절첩결합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절첩결합부로 연장되어 제 1 및 제 2 절첩몸체의 절첩 각도를 제한하는 제 1 및 제 2 절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단의 제 1 커넥터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제 1 및 제 2 공간부 높이를 확장하되, 그 확장된 공간부에는 천막지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2단의 제 4 커넥터결합부와 서로 다른 크기의 제 6 프레임결합부를 가지는 보조커넥터를 길이방향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KR20-2005-0006767U 2005-03-14 2005-03-14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KR200386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767U KR200386285Y1 (ko) 2005-03-14 2005-03-14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767U KR200386285Y1 (ko) 2005-03-14 2005-03-14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85Y1 true KR200386285Y1 (ko) 2005-06-10

Family

ID=4929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767U KR200386285Y1 (ko) 2005-03-14 2005-03-14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37Y1 (ko) * 2022-10-26 2023-01-31 황인의 육각기둥을 가지는 천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37Y1 (ko) * 2022-10-26 2023-01-31 황인의 육각기둥을 가지는 천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4323A1 (en) Adjustable support assembly for a collapsible canopy
JP6925045B2 (ja) 折畳式六角テント
WO2008049031A2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US20040079406A1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structure of a regular polygon
US20070107853A1 (en) Modular folding screen
US20060118155A1 (en) Erectable shelter with three way awning
US20060060310A1 (en) Portable privacy screen
US8671963B2 (en) Overhead combined tent structure
WO1995021350A1 (fr) Construction a cadre
CN102725037A (zh) 用于球类运动的可折叠球门装置
US20030000563A1 (en) Construction frame
US10081965B2 (en) Modular hyperbolic trapezoid fabric structure
ES2930762T3 (es) Sistema de unión fijo de múltiples puntos
US6244011B1 (en) Inverted V-shaped display framework
JP7464584B2 (ja) 折畳可能なシェルタベンチ
KR200386285Y1 (ko) 간이 천막의 프레임 연결 구조
JP4819499B2 (ja) 寄棟状折畳式テント
US20070039254A1 (en) Soccer ball type room struture
JP6832035B1 (ja) 空間形成用の骨組構造
RU2620111C1 (ru) Каркас палатки
GB2446870A (en) Geodesic frame hub
JP4916426B2 (ja) 仮設用テント及びその重り床
KR20100111450A (ko) 휴대용 조립식 그늘막
US8789551B2 (en) Reinforced frame structure
JP6842770B2 (ja) 組立式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