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98Y1 -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 Google Patents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98Y1
KR200385498Y1 KR20-2005-0006580U KR20050006580U KR200385498Y1 KR 200385498 Y1 KR200385498 Y1 KR 200385498Y1 KR 20050006580 U KR20050006580 U KR 20050006580U KR 200385498 Y1 KR200385498 Y1 KR 200385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cov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5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용수
Original Assignee
유성정밀 주식회사
레이원텍 주식회사
박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정밀 주식회사, 레이원텍 주식회사, 박종근 filed Critical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6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9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98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압축된 후 그 탄성력 또는 반발력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를 개폐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2)에 고정되는 본체지지대(10)와; 덮개(2)에 고정되며 본체지지대(10)와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덮개지지대(20)와;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는 사이에 삽입되는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을 형성하고, 스프링(31a, 31b)의 양측을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에 리벳(32a, 32b, 32c, 32d)으로 각각 고정시켜 4개의 고정점을 형성하고, 이 고정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외력에 의해 두 개의 스프링이 양측으로 회전하면서 압축 및 팽창하는 탄성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ts elastic force or repulsive force after being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main body support (10) fixed to the main body (2); A cover support 20 fixed to the cover 2 and coupled to the body support 10 in a slide form to move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Two springs 31a and 31b are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and both sides of the springs 31a and 31b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The elastic body 30 which is fixed to the rivets 32a, 32b, 32c, and 32d, respectively, to form four fixing points, and the two springs are rotated to both sides by external force and compressed and inflated by the external for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압축된 후 그 탄성력 또는 반발력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를 개폐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gea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switchgea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elastic force or repulsive force after being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 지역 내를 임의로 이동하면서 무선 존(zone) 안의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나 다른 이동통신 전화 가입자와 통화가 가능한 전화를 통틀어 말한다. 처음에는 아날로그 방식도 쓰였으나, 유지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고 수용 용량도 적어 현재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이동통신단말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같은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일반 디지털 이동통신단말기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아 화상이나 동영상까지도 주고 받을 수 있는 피시에스(PCS:개인휴대통신) 전화기, 정보를 입력하거나 개인 정보관리, 컴퓨터와의 정보교류 뿐만아니라 무선통화도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하루가 다르게 성능이 향상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telephone that can randomly move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area and can talk to a general subscriber or another mobile subscriber through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zone. Initially, the analog method was used, but the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ethod is mainly used because of the huge cost and low capacity to maintain. Also, it is based on the sam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but has higher frequency band than general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it can send and receive images and videos, PC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phone, input information or manage personal information, comput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improved performance have emerged,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hich enable not only information exchange but also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성능뿐만 아니라 그 외형도 소비자의 욕구 및 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그 외형에 따라 바형태, 플립형태, 폴더형태 등으로 분류된다. 바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전화번호, 숫자 및 문자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숫자패드 및 방향키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립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숫자패드 및 방향키 등과 같은 본체의 일부분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플립이 형성되어 있다. 폴더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덮개를 힌지로 고정하여 덮개가 회전하면서 개폐된다.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develop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needs and demands of consumers as well as the performance, and are classified into bar, flip, and folder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with a numeric pad for in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numbers, letters, and the like,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with a flip so as to open and close only a part of a main body such as a numeric pad and an arrow key while the display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hinged to fix a cover on which a main body for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display is installed with a hinge to open and close the cover as it rotat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인터넷 게임, 영화 등을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기 위해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LCD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가 점차 대형화되어 소형, 경량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해가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above type is equipped with an LCD which is being enlarged to display Internet games, movies, etc.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manufactured,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meet the needs of consumers varying with the times.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본체(2)에 결합되어 폐쇄된 덮개(3)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덮개(3)가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슬라이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수동식과 반자동식이 있으며, 수동식은 사용자가 외력만으로 덮개를 개폐시키는 것이며, 반자동식은 스피링과 같은 탄성체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일정구간만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면 나머지 구간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이다.Therefore, recently, as shown in FIG. 1, the lid 3 coupled to the main body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clos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r 'B' by the user's external force. 3)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manual type and a semi-automatic type. The manual type means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cover only by the external forc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자동식 슬라이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덮개의 개폐를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경우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이 감소하여 덮개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이 감소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덮개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고, 이러한 이격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수명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와 덮개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체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비용은 증대되는 반면에 생산성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emi-automatic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s not smoothly performed because the elasticity of the built-in spring is reduced when the user continuously opens and closes the cover. In addition, as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s reduced, a gap occurs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foreign matter flows through such a distance to reduce the lif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lastic body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while the productivity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지지대와 본체지지대 사이에 두 개의 스프링을 삽입하고, 이 두 스프링의 양측을 덮개지지대와 본체지지대에 고정시켜 4개의 고정점을 형성한 다음 이 4개의 고정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압축 및 팽창되게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탄성력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two springs between the cover support and the body support, and to fix both sides of the two springs to the cover support and the body support By forming four fixed points and then compressing and inflating the four fixed points as the rotation axis, it is to minimize the decrease in elastic force due to long tim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를 원형바의 양측에 결합하고, 이 원형바를 중심으로 휴대폰의 덮개가 상하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휴대폰의 덮개와 본체 사이의 이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separation between the cover and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by coupling the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to both sides of the circular bar, and the cover of the mobile phone to move up and down about the circular ba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본체와 덮개로 분리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지지하여 덮개가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일정 구간 이동하게 되면 나머지 구간은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에 고정되는 본체지지대와; 덮개에 고정되며 본체지지대와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덮개지지대와;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가 결합되어 있는 사이에 삽입되는 두 개의 스프링을 형성하고, 이 스프링의 양측을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에 리벳으로 각각 고정시켜 4개의 고정점을 형성하고, 이 고정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외력에 의해 두 개의 스프링이 양측으로 회전하면서 압축 및 팽창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suppor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parat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the cover is moved up and down a certain section by the external force, the remaining section is elastic.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moved up and down by a body, comprising: a main body support fixed to a main body; A cover support fixed to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slide to move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Two springs are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and both sides of the springs are fixed to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by rivets to form four fixing points, and the fixed points are rotated by the rotation ax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prings are made of an elastic body that is compressed and expanded while rotating to both sides by an external force.

이때 본체지지대는 일정 두께로 양측에 형성된 결합면과, 이 결합면의 내측에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과, 탄성체의 일측이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덮개지지대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요홈과, 이 요홈에 내입되어 고정되며 본체지지대의 안내홈에 일측면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원형바와, 이 원형바의 양측단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홈을 상하부에 형성한 돌출부와, 상기 본체지지대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과 대칭되게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탄성체의 타측이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main body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surface formed on both sides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guide groove formed concave in a semicircular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and forming two spring grooves on which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is fixed. Is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on both sides, a circular bar that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groove,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main body support and moves up and down, and that both ends of the circular bar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truding portion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wo spring grooves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symmetrically with the two spring grooves formed on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is fix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본체(2)와, 덮개(3)와, 개폐장치(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본체(2)와 덮개(3)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때, 개폐장치(4)는 본체(2)와 덮개(3)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덮개(3)가 슬라이딩되는 경우, 즉 외력에 의해 화살표 ‘A’ 또는 ‘B’ 방향(이하 ‘상하방향’이라함)으로 일정구간 이동하게 되는 경우 개폐장치(4)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나머지 구간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4)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 a cover 3,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4, and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ave.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3 when the cover 3 is slid, that is, the arrow 'A' or 'B' direction (hereinafter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case of moving to a certain section, the remaining section is automatical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r the restoring force of the switchgear (4). Herein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에 고정되는 본체지지대(10)와,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3)에 고정되며 본체지지대(10)와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덮개지지대(20)와,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의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체(30)로 이루어져 있다.3 and 4,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fixed to the main body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v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upport body 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in the form of a slide and moves up and down by external force, and the elastic body 30 is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본체지지대(10)는 일정 두께로 양측에 형성된 결합면(11)과, 이 결합면(11)의 내측에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12)과, 탄성체(30)의 일측이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홈(13a, 13b)을 형성한다. The main body support 10 has a coupling surface 11 formed at both sides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 guide groove 12 concave in a semicircular shape inside the coupling surface 11, and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30 is fixed. Two spring grooves 13a and 13b are formed.

덮개지지대(20)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요홈(21)과, 이 요홈(21)에 내입되어 고정되며 본체지지대(10)의 안내홈(12)에 일측면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원형바(22)와, 이 원형바(22)의 양측단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홈(23)을 상하부에 형성한 돌출부(24)와, 상기 본체지지대(10)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13)과 대칭되게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탄성체(30)의 타측이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홈(25a, 25b)을 형성한다. Cover support 20 is a semi-circular groove 21 formed on both sides,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ove 21, the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2 of the main body support 10 to move up and down A bar 22, a projection 24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formed therein with an insertion groove 23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circular bar 22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wo springs formed in the main body support 10. I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ymmetrically with the groove 13 and forms two spring grooves (25a, 25b)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30 is fixed.

한편 본체지지대(10)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13)과 덮개지지대(20)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25)은 서로 사선방향으로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위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와 덮개(3)의 개폐 길이에 따라 변형 가능 한 것이다.Meanwhile, two spring grooves 13 formed in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wo spring grooves 25 formed in the cover support 20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in an oblique direction to each other. Preferably, the posi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length of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탄성체(30)는 좌우측이 대칭되게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31a, 32b)으로 형성된다. 즉 이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의 일측은 본체지지대(10)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13a, 13b)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은 덮개지지대(20)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25a, 25b)에 각각 고정되어 4개의 고정점을 형성한다. 그리고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은 4개의 고정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외력에 의해 두 개의 스프링이 양측으로 회전하면서 압축 및 팽창하도록 형성된다. The elastic body 30 is formed of two springs 31a and 32b fix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so that left and right sides are symmetrically. That is, one side of the two springs (31a, 31b) are respectively fixed to two spring grooves (13a, 13b) formed in the main body support 10, the other side two spring grooves (25a, formed on the cover support 20) Each fixed at 25b) to form four anchor points. In addition, the two springs 31a and 31b are formed to compress and expand while the two springs rotate to both sides by external force using four fixed points as the rotation axis.

따라서 탄성체(30)는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가 결합된 사이에 삽입되며, 이렇게 삽입된 탄성체(30)는 두 개의 스프링(31a, 31b)에 의해 좌우 양방향으로 일정반경 회전하면서 덮개지지대(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덮개지지대(20)와 결합되어 있는 덮개(3)를 사용자가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일정구간, 예컨대 탄성체(30)를 형성하는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이 외력에 의해 최대한 압축되는 구간까지 회전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3)는 외력이 작용하는 상하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덮개(3)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된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2)를 완전히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탄성체를 구성하는 스프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elastic body 30 is inserted between the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is coupled, the inserted elastic body 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adius in both directions left and right by two springs (31a, 31b) The cover support 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cover 3 coupled to the cover support 20 is fixed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to a section where the two springs 31a and 31b forming the elastic body 30 are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by the external force. When rotated, the cover 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at is, the cover 3 is not moved by the user's external force but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r the restoring force of the two compressed springs 31a and 31b to completely open or close the main body 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a spring constituting the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체의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의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의 결합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5A to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pring of an elastic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and 6B are coupling surfaces of a first fastening sphere and a second fastening sphere of a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 스프링(31a, 31b)은 중심부에 2층 이상의 다수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원심(33)과, 이 원심(33)의 일측과 단심으로 연결되어 원형의 고리를 형성한 제 1체결구(34)와, 이 제 1체결구(34)와 반대방향으로 원심(33)의 일측과 단심으로 연결되어 다단계로 절곡되어 있는 제 2체결구(35)를 형성한다. 이때 제 2체결구(35)는 서로 대칭되게 두 개의 스프링(31a, 31b)에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31a)의 제 1체결구(34)는 본체지지대(10)의 스프링홈(13a)에 삽입되는 리벳(32a)에 고리를 연결한 다음 리벳팅하여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지지대(10)에 고정되며, 스프링(31a)의 제 2체결구(35)는 중심이 관통되어 있는 리벳(32c)을 덮개지지대(20)의 스프링홈(25a)에 삽입하여 리벳팅한 다음 다단계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된 중심 부분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하여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덮개지지대(20)에 고정시킨다. As shown in Figs. 5A to 5B, the two springs 31a and 31b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33, which is stacked in multiple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at the center, and to one side of the centrifugal 33. First fasteners 34 having a circular ring, and second fasteners 35 which are bent in multiple stages by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entrifugal 3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fasteners 34. ).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ers 35 are formed in two springs 31a and 31b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first fastener 34 of the spring 31a connects the ring to the rivet 32a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13a of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n rivets the main body as shown in FIG. 6A. The second fastener 35 of the spring 31a is fixed to the support 10, and the rivet 32c, through which the center is penetrated, is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25a of the cover support 20, and then riveted. Insert the portion bent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netrated center portion is fixed to the cover support 20 as shown in Figure 6b.

따라서 본 발명의 탄성체를 구성하는 스프링은 폭이 좁은 공간에서도 권수를 충분히 많게 할 수 있어 많은 탄성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100,000회 이상의 개폐실험에서도 동작하중이 감소되지 않는 충분한 신뢰도를 유지 할 수 있다.Therefore, the spring constituting the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sufficient number of turns even in a narrow space can store a lot of elastic energ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ufficient reliability that the operating load is not reduced even in more than 100,000 opening and closing experiment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7 to 9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덮개지지대(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21)에 원형바(22)가 내입되고, 이 원형바의 상하부 양측단이 돌출부(24)의 삽입홈(23)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삽입/고정된다. 이후 덮개지지대(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바(22)에 본체지지대(10)의 결합면(11)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12)이 결합된다. 따라서 덮개지지대(20)는 원형바(22)를 중심으로 안내홈(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First,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circular bars 22 are embedded in grooves 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support 2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ircular bars are embedded. Both ends are inserted / fix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 of the protrusion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hereafter, the guide grooves 12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11 of the main body support 10 are coupled to the circular bars 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support 20. Therefore, the cover support 20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11 around the circular bar (22).

이때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의 사이에 두 개의 스프링(31a, 32b)이 삽입되며, 이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의 제 1체결구(34)는 본체지지대(10)의 스프링홈(13a, 13b)에 결합되는 리벳(32a, 32b)에 삽입된 다음 리벳팅 되어 본체지지대(10)에 고정되고, 제 2체결구(35)는 덮개지지대(20)의 스프링홈(25a, 25b)에 리벳팅되어 있는 리벳(32c, 32d)에 다단계로 곡절되어 있는 부분을 삽입하여 덮개지지대(20)에 고정된다. 이때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에 리벳팅되어 있는 리벳(32a, 32b, 32c, 32d)은 제 1체결구(34) 및 제 2체결구(35)의 고정점이 되며, 이 고정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 1체결구(34) 및 제 2체결구(35)가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두 개의 스프링(31a, 32b)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3)가 본체(2)에 닫혀져 있는 폐쇄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wo springs 31a and 32b are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and the first fastening holes 34 of the two springs 31a and 31b are the main body support 10. It is inserted into the rivets (32a, 32b)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13a, 13b) of the rivet is fixed to the body support 10, the second fastener 35 is the spring groove of the cover support (20) 25a, 25b) is inserted into the rivets (32c, 32d) that are riveted in a multi-step portion is fixed to the cover support 20. At this time, the rivets 32a, 32b, 32c, and 32d rivet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become fixed points of the first fastening holes 34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35. The first fasteners 34 and the second fasteners 35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o rotate about a point. Therefore, the cover 3 is closed by the main body 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wo springs 31a and 32b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이후, 사용자가 외력을 사용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덮개지지대(20)를 이동시키는 경우 덮개지지대(20)는 본체지지대(10)의 안내홈(12)의 안내를 받아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은 자신의 제 1체결구(34)와 제 2체결구(35)가 고정되어 있는 4개의 고정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방향, 즉 좌측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31a)은 좌측방향으로, 우측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31b)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된다.Then, when the user moves the cover support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by using an external force, the cover support 20 is moved upward by receiving the guide of the guide groove 12 of the main body support 10. . At this time, the two springs (31a, 31b) is a spring fixed to the left and right,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four fixing points to which the first fasteners 34 and the second fasteners 35 are fixed The 31a is fix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spring 31b fixed to the right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8 while rotating in the right direction.

이때,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덮개지지대(20)가 일정구간 이상 이동하게 되는 경우, 예를들면 본체지지대(10)의 1/2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는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덮개지지대(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지지대(10)를 완전히 개방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cover support 20 is moved by a user's external force more than a certain period, for example, when moved to a section corresponding to 1/2 of the body support 10, two springs 31a that are com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r the restoring force of 31b), the lid support 20 moves upward to completely open the body support 10 as shown in FIG.

이와반대로, 사용자가 외력을 사용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덮개지지대(20)를 이동시키는 경우 덮개지지대(20)는 본체지지대(10)의 안내홈(13a, 13b)의 안내를 받아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지지대(10)를 완전히 개방 할 때와 같이 외력에 의해 압축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moves the cover support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using an external force, the cover support 20 is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grooves 13a and 13b of the main body support 10. In this case, the two springs 31a and 31b are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8 when the main body support 10 is completely opened.

이후, 사용자가 외력으로 덮개지지대(20)를 본체지지대(10)의 1/2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는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덮개지지대(2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지지대(10)를 완전히 폐쇄시킨다.Then, when the user moves the cover support 20 to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1/2 of the body support 10 by the external force, the cover support (by the elastic force or restoring force of the two springs 31a, 31b compressed) 20 moves downward to completely close the body support 10 as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에 두 개의 스프링의 양측을 고정시켜 4개의 고정점을 형성하고, 이 4개의 고정점을 중심축으로 두 개의 스프링이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압축 및 팽창되게 함으로써 덮개지지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력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지지대의 안내홈과 결합되어 있는 원형바를 중심으로 덮개지지대가 이동함으로써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의 이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two sides of the two springs to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to form four fixed points, the two fixed springs around the four fixed points by rotating and rotating in both directions in both directions to the cover Not only can the support move smoothly, but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by moving the cover support around the circular bar coupl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main body support can not only firmly coupled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can minimize the separation of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의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체를 두 개의 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이 두 개의 스프링을 4개의 고정점에 고정시키고, 이 4개의 고정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압축 및 팽창시킴으로써 탄성체의 결합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지지대와 덮개지지대가 원형바를 통해 서로 결합되고, 이 원형바를 중심으로 하여 덮개지지대가 본체지지대의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휴대폰의 덮개와 본체 사이의 이격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장률을 감소시킨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body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is formed by two springs, the two springs are fixed to four fixing points, and the four fixing points are compressed as the rotating shaft. An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elastic body by expanding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 addition, the body support and the cover suppor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ircular bar, the cover support is moved up and down about the circular bar to reduce the failure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cover and the body of th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체의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pring of an elastic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의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의 결합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coupling surfaces of a first fastener and a second fastener of a spr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swit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body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res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휴대통신단말기 2 : 본체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main body

3 : 덮개 4 : 개폐장치3: cover 4: switchgear

10 : 본체지지대 11 : 결합면10: main body support 11: engaging surface

12 : 안내홈 13a, 13b : 스프링홈12: guide groove 13a, 13b: spring groove

20 : 덮개지지대 21 : 요홈20: cover support 21: groove

22 : 원형바 23 : 삽입홈22: round bar 23: insertion groove

24 : 돌출부 25a, 25b : 스프링홈24: projection 25a, 25b: spring groove

30 : 탄성체 31a, 31b : 스프링30: elastic body 31a, 31b: spring

32a, 32b, 32c, 32d : 리벳 33 : 원심32a, 32b, 32c, 32d: Rivet 33: Centrifugal

34 : 제 1체결구 35 : 제 2체결구 34: fastener 1 35: fastener 2

Claims (5)

본체(2)와 덮개(3)로 분리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지지하여 덮개(3)가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일정 구간 이동하게 되면 나머지 구간은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Suppor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parated by the main body (2) and the cover (3) When the cover (3) is moved up and down a certain section by the external force, the remaining section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astic force In the apparatus, 본체(2)에 고정되는 본체지지대(10)와;A main body support 10 fixed to the main body 2; 덮개(2)에 고정되며 본체지지대(10)와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덮개지지대(20)와;A cover support 20 fixed to the cover 2 and coupled to the body support 10 in a slide form to move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는 사이에 삽입되는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을 형성하고, 스프링(31a, 31b)의 양측을 본체지지대(10)와 덮개지지대(20)에 리벳(32a, 32b, 32c, 32d)으로 각각 고정시켜 4개의 고정점을 형성하고, 이 고정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외력에 의해 두 개의 스프링이 양측으로 회전하면서 압축 및 팽창하는 탄성체(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Two springs 31a and 31b are form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and both sides of the springs 31a and 31b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and the cover support 20. The elastic body 30 which is fixed to the rivets 32a, 32b, 32c, and 32d, respectively, to form four fixing points, and the two springs are rotated to both sides by external force and compressed and inflated by the external forc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본체지지대(10)는 일정 두께로 양측에 형성된 결합면(11)과, 이 결합면(11)의 내측에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12)과, 탄성체(30)의 일측이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홈(13a, 13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body support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support (10) has a coupling surface (11) formed at both sides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 guide groove (12) formed concave in a semicircular shape inside the coupling surface (11), and an elastic body (30).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two spring grooves (13a, 13b) fixed to one side. 제 1항에 있어서, 덮개지지대(20)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요홈(21)과, 이 요홈(21)에 내입되어 고정되며 본체지지대(10)의 안내홈(12)에 일측면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원형바(22)와, 이 원형바(22)의 양측단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홈(23)을 상하부에 형성한 돌출부(24)와, 상기 본체지지대(10)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링홈(13)과 대칭되게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탄성체(30)의 타측이 고정되는 두 개의 스프링홈(25a, 25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cover support 20 is a semi-circular groove 21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cover support 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ove 21 and one side of the guide support 12 of the main body support 10. A circular bar 22 that is inserted and moved up and down, a protrusion 24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formed therein an insertion groove 23 into which both end portions of the circular bar 22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ain body support 10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raight line symmetrical with the two spring grooves 13 formed in the) and the two spring grooves (25a, 25b)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30 is fixed .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스프링(31a, 31b)은 중심부에 2층 이상의 다수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원심(33)과, 이 원심(33)의 일측과 단심으로 연결되어 원형의 고리를 형성한 제 1체결구(34)와, 이 제 1체결구(34)와 반대방향으로 원심(33)의 일측과 단심으로 연결되어 다단계로 절곡되어 있는 제 2체결구(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two springs (31a, 31b) is a centrifugal 33, which is stacked in multiple layers of two or more layers at the center,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entrifugal 33 in a single center to form a circular ring. The first fastener 34 and the first fastener (3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ide of the centrifugal 33 is connected to one side to form a second fastener (35) which is bent in multiple stages.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제 1체결구(34)는 본체지지대(10)의 스프링홈(13a)에 삽입되는 리벳(32a)에 고리가 연결된 다음 리벳팅 되어 본체지지대(10)에 고정되며, 제 2체결구(35)는 중심이 관통되어 있는 리벳(32c)을 덮개지지대(20)의 스프링홈(25a)에 삽입하여 리벳팅한 다음 다단계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을 중심 부분에 삽입하여 덮개지지대(20)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fastener 34 is connected to the rivet (32a) is inserted into the spring groove (13a) of the main body support 10, the ring is then rivet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support (10), 2 fasteners (35) is inserted into the rivet (32c) through the center into the spring groove (25a) of the cover support 20, and then riveted, and then insert the part bent in a multi-stage into the center of the cover support (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20).
KR20-2005-0006580U 2005-03-11 2005-03-11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KR2003854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80U KR200385498Y1 (en) 2005-03-11 2005-03-11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580U KR200385498Y1 (en) 2005-03-11 2005-03-11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378A Division KR20060098230A (en) 2005-03-11 2005-03-11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98Y1 true KR200385498Y1 (en) 2005-05-27

Family

ID=4368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580U KR200385498Y1 (en) 2005-03-11 2005-03-11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9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9459A (en)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US8265720B2 (en) Slid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100675360B1 (en) 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phone
KR100865967B1 (en)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US8520378B2 (en) Sw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mechanism thereof
KR200408500Y1 (en) Slim Sliding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991463B1 (en)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857416B1 (en) Two Way Sliding Apparatus
KR101633102B1 (en) Cradl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85498Y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KR20060098230A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handset
KR20070040136A (en) The slide device for using portable telephone
KR20100084325A (en) Mobile phone having pop-up keypad
KR100573452B1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378889Y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open and close system
KR100617656B1 (en) Slidable and rotatable mobile phone
KR100876552B1 (en) Elasticity lever mechanism for mobile phone
KR200326418Y1 (en) Sliding means of mobile phone of slide type
KR20060068521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open and close system
KR100605044B1 (en) 180 degrees rotation hinge device for use in radio telephone
KR101019679B1 (en)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KR101045338B1 (en) Elasticity link module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845222B1 (en) Flip type lid of cellular phone
KR101075647B1 (en) A display panel sliding and swing apparatus for a portable phone
KR100714230B1 (en) Sliding doubl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