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66Y1 -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 Google Patents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66Y1
KR200385466Y1 KR20-2005-0005570U KR20050005570U KR200385466Y1 KR 200385466 Y1 KR200385466 Y1 KR 200385466Y1 KR 20050005570 U KR20050005570 U KR 20050005570U KR 200385466 Y1 KR200385466 Y1 KR 200385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terminal
holder
communication termina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5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훈석
Original Assignee
(주) 민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민성정밀 filed Critical (주) 민성정밀
Priority to KR20-2005-0005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6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66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 된 통신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창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시켜 수신 내용을 쉽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통신용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통신용 단말기를 착탈시킬 수 있는 흡착수단이 구비된 거치대 몸체와; 상기 거치대 몸체로부터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 닫힘 회동시 상기 거치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는 대물렌즈가 포함되어, 상기 거치대 몸체에 거치 된 통신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창에 나타난 수신 내용이나 정보가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일정 배율로 확대되어 투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erminal cradle having an objective lens that enlarges a message display window of a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a terminal cradle at a constant rate to easily and easily check received contents. The terminal cradle holds a communication terminal. A cradle body provided with adsorption means for detachable terminal; Is installed rotatably through the hinge from the cradle body, and includes an objective len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at a certain height during one-way closed rotation, the message display windo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content or information shown in the magnified by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by the objective lens.

Description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Terminal holder with objective lens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본 고안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부설된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창에 나타난 수신 내용이나 정보를 확대시켜 운전자가 멀리서도 쉽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in particular, a terminal holder having an objective lens that allows the driver to recognize easily and easily from a distance by enlarging the reception contents o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ssag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mounted on the vehic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단말기 거치대는 운전자가 휴대폰(또는 핸드폰)이나 PDA(개인휴대용 단말기), GPS(위치정보시스템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 사용된다.In general, the terminal holder is installed and used by the driver to mount a mobile phone (or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portable terminal), or a GPS (location information system terminal) on a vehicle.

이러한 목적으로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의 운전석 앞에 배치된 패널 측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단말기 거치대는 그 바닥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를 통해 패널에 부설된다. 그리고 단말기도 그 배면에 금속판이 부착되어 단말기 거치대의 상면측에 자력으로 흡착되어 거치 된다. 이때 흡착력은 단말기 거치대에 부설된 영구자석에 의해 이루어진다.For this purpose, the terminal holde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anel side dispos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terminal holder is attached to the panel through the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erminal is also attached to the metal plate on the rear side of the terminal cradle is magnetically absorbed and mounted. At this time, the attraction force is made by the permanent magnet placed on the terminal holder.

이같이 차량에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단말기 거치대는 실제로 운전자의 정면에서 일측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설치된다. 이는 운전자의 정면에 핸들과 계기판 등이 설치되므로 이를 피하여 설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As such, the terminal holder,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use in a vehicle, is actually installed at a distance away from one side of the driver. This is because the steering wheel and the instrument panel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driver, so it must be installed to avoid them.

따라서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단말기에 수신된 내용 등 관련 정보를 보려면 단말기 화면(표시창)과 운전자 간의 거리가 멀고 이로 인해 화면이 작게 나타나 그 수신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불편한 경우가 생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통신용 단말기를 가까이 보려면 아무래도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이 떨어져 안전운전에 장애가 된다.Therefore, in order to view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contents received by the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screen (display window) and the driver is far, and thus the screen is small,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that it is not easy to grasp the received contents. In order to check this, if the driver looks closely 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river's concentration of driving may be lowered, which may impede safe driv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 된 통신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창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시켜 수신 내용을 쉽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terminal holder having an objective lens to easily and easily check the received content by expanding the message display windo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to a certain ratio. Has its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통신용 단말기를 거치시키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In the terminal holder for moun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일면에 상기 통신용 단말기를 착탈시킬 수 있는 흡착수단이 구비된 거치대 몸체와;A cradle body provided with adsorption means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거치대 몸체로부터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 닫힘 회동시 상기 거치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는 대물렌즈가 포함되어,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hinge from the cradle body, and includes an objective len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at a certain height during one-way closed rotation,

상기 거치대 몸체에 거치 된 통신용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창에 나타난 수신 내용이나 정보가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일정 배율로 확대되어 투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달성된다.The reception content or information shown in the message display windo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body is enlarged by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by the objective lens and is achieved.

본 고안에 따르면, 대물렌즈는 상기 거치대 몸체로부터 연장된 아암의 단부에 수평 힌지축 또는 수직 힌지축 중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ive lens is rotatably connected to either axis of the horizontal hinge axis or the vertical hinge axis to the end of the arm extending from the holder body.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대물렌즈는 토션스프링력에 의해 회동 복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ive lens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return by the torsion spring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와 같이 단말기 거치대(10)는 거치대 몸체(20)와 상기 거치대 몸체(20)에 부설된 대물렌즈(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holder 10 includes a holder body 20 and an objective lens 30 attached to the holder body 20.

상기 거치대 몸체(20)는 그 저면에 도 7과 같이 차량의 패널(5)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예로, 양면테이프(21)가 부착되거나 나사(screw)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몸체(20)는 그 상면에 영구자석(22)이 부설된다.The holder body 20 is a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to the panel 5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the double-sided tape 21 may be attached or mounted with a screw. In addition, the holder body 20 is a permanent magnet 2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영구자석(22)은 통신용 단말기(100)(휴대폰, PDA, GPS 등)의 배면에 부착된 금속판(101)을 흡착하기 위한 것이다.The permanent magnet 22 is for sucking the metal plate 101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bile phone, PDA, GPS, etc.).

상기 거치대 몸체(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2와 같이 상·하 2개의 몸체로 분할되어 상부몸체(20A)가 하부몸체(20B)로부터 회전 및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몸체(20A)의 회전 및 틸팅 기능의 구조는 본 고안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radle body 20 may be configured in one piece or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bodies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upper body 20A may be rotatable and tilted from the lower body 20B.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and tilting function of the upper body 20A is well known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대물렌즈(30)는 상기 거치대 몸체(20)의 상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로, 경질의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거나 투명 유리로 제작될 수 있다.The objective lens 3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20. For example, the objective lens 30 may be made of hard transparent plastic or made of transparent glass.

상기 대물렌즈(30)는 통신용 단말기(100)의 메시지 표시창(100a)을 일정한 배율로 확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볼록한 곡면부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도 6과 같이 판형으로서 표면에 직선 또는 원형으로 배열된 볼록 라인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The objective lens 30 functions to enlarge the message display window 100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 a constant magnification. The objective lens 30 is formed to have a convex curved portion as shown in FIG. It can be formed in a convex line pattern arranged in a.

이때 대물렌즈(30)는 적어도 통신용 단말기(100)의 메시지 표시창(100a)을 투시할 수 크기를 가지며, 원형 또는 타원형이나 그 밖의 사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ive lens 30 has a size that can at least see through the message display window (100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or oval or other rectangular shape.

상기 대물렌즈(30)는 거치대 몸체(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기 위해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아암(40)을 통해 입설되고, 상기 아암(40)의 단부에 힌지축(42)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objective lens 30 is inserted through the arm 40 as shown in FIGS. 2 to 6 so as to be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cradle body 20, and the hinge shaft 42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arm 40. Can be installed rotatably through.

이때 힌지축(42)에는 토션스프링(44)이 삽입되고, 상기 토션스프링(44)은 그의 일단이 대물렌즈(30)측에 지지되고 그의 타단이 아암(40)측에 지지되어 회전력을 발휘하게 된다.At this time, a torsion spring 44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42, and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44 is supported on the objective lens 30 side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arm 40 side to exert a rotational force. do.

따라서 대물렌즈(30)는 토션스프링(44)의 토션복원력에 의해 항시 화살표(1)방향의 닫힘 방향으로 회동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때 대물렌즈(30)의 회동력을 정지시키는 위치는 아암(40)측에 형성된 스톱퍼(46)에 의해 결정된다.Therefore, the objective lens 30 is always given a rotational force in the closing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 by the torsion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4.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bjective lens 30 is stopped is determined by the stopper 46 formed on the arm 40 side.

그리고 대물렌즈(30)가 수평 배치되는 높이(H)는 대물렌즈(30)와 거치대 몸체(20)의 사이로 통신용 단말기(100)가 들어가서 확대 배율이 최대일 때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height (H) of the objective lens 30 is arranged horizontally when the magnification is the maximum by enter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etween the objective lens 30 and the holder body 20.

도 4는 도 1의 변형예로서, 아암(40)이 대물렌즈(30)에 일체로 연결되고, 아암(40)이 힌지(43)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힌지(43)는 억지 끼워 맞춤으로 대물렌즈(30)의 억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4 is a modification of FIG. 1, in which the arm 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bjective lens 30, and the arm 4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43. At this time, the hinge 43 is forcing the rotation of the objective lens 30 by the interference fit.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 거치대(10)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use state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거치대 몸체(20)는 도 7과 같이 차량의 운전석 전방의 패널(5)에 적당한 위치를 선정하여 고정한다. 이때 거치대 몸체(20)의 저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21)를 통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단말기 거치대(10)에 거치 될 통신용 단말기(100)는 통상적으로 배면에 금속판(21)이 부착된다.First, the holder body 20 is selected and fixed to the panel 5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is attached through the double-sided tape 21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holder body (2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be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10 is usually attached to the metal plate 21 on the back.

도 2와 같이 대물렌즈(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화살표(1)의 반대 방향으로 대물렌즈(30)를 열어 젖히고 단말기(100)를 거치대 몸체(20)의 상면에 올려놓는다. 이렇게 되면 통신용 단말기(100)의 배면에 부착된 금속판(21)이 거치대 몸체(20)측 영구자석(22)의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objective lens 30 is closed as shown in FIG. 2, the objective lens 30 is opened and flipp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row 1, and the terminal 1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20. In this case, the metal plate 21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dsorb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22 on the holder body 20 side.

따라서 통신용 단말기(100)는 거치대 몸체(20)에 거치되고, 대물렌즈(30)는 토션스프링(44)의 토션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여 단말기(100)의 상방에 수평적으로 놓이게 된다.Therefo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holder body 20, the objective lens 30 is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torsion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4 to be placed horizontally above the terminal 100.

그리고 대물렌즈(30)는 볼록한 곡면에 의해 일정한 배율로 단말기(100)의 메시지 표시창(100a)을 확대시켜 주게 되고, 그 결과 메시지 표시창(100a)에 나타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포함된 메시지 내용이나 정보가 확대되어 나타나게 된다.The objective lens 30 enlarges the message display window 100a of the terminal 100 at a constant magnification by the convex curved surface, and as a result, a message content including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ppearing on the message display window 100a. However, the information is enlarged.

따라서 차량 운전시 통신용 단말기(100)로 내용 및 정보가 수신되면, 이는 곧 대물렌즈(30)를 통하여 일정한 배율로 확대되어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운전자는 통신용 단말기(100)의 수신 내용을 쉽게 파악하게 됨으로써 차량 운전에 지장을 주지않고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contents and information ar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is soon magnified by a constant magnification through the objective lens 30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know. In addition, th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perform safe driving without affect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한편, 본 고안의 단말기 거치대(10)는 도 5와 같이 대물렌즈(30)가 아암(40)의 말단에서 힌지축(45)이 갖는 Z축을 중심으로 수평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hold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bjective lens 30 rotates horizontally about the Z axis of the hinge axis 45 at the end of the arm 40 as shown in FIG. 5.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and the follo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대 몸체에 통신용 단말기를 거치시켜 놓으면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창에 수신된 문자 내용이나 정보가 일정한 배율로 확대되어 표시됨으로써 운전자와 차내에 배치된 통신용 단말기의 거리가 멀더라도 그 내용을 쉽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holder having the objectiv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holder body, the text content or information received on the messag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is enlarged and displayed at a constant magnification, which is arranged in the driver and the vehicle. Even if the distan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far, the contents can be easily and easily grasped, and this is a useful design to help safe driving.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ter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에 부설된 대물렌즈의 작동상태도.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objective lens attached to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변형예시도.Figure 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변형예시도.5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변형예시도.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차량내 설치상태도.7 is a state diagram installed in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거치대 몸체20: holder body

30: 대물렌즈30: objective lens

40: 아암40: arm

44: 토션스프링44: torsion spring

Claims (3)

통신용 단말기(100)를 거치시키는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In the terminal holder for moun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일면에 상기 통신용 단말기(100)를 착탈시킬 수 있는 흡착수단(22)이 구비된 거치대 몸체(20)와;A cradle body 20 having adsorption means 22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거치대 몸체(20)로부터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방향 닫힘 회동시 상기 거치대 몸체(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는 대물렌즈(30)가 포함되어,The objective body 30 is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holder body 20 by a hinge and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20 at a predetermined height during one-way closing rotation. 상기 거치대 몸체(20)에 거치 된 통신용 단말기(100)의 메시지 표시창에 나타난 수신 내용이나 정보가 상기 대물렌즈(30)에 의해 일정 배율로 확대되어 투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Receiving contents o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essage display window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unted on the holder body 20 is magnified by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by the objective lens 30, the terminal holder having an objective len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물렌즈(30)는 상기 거치대 몸체(20)로부터 연장된 아암(40)의 단부에 수평 힌지축 또는 수직 힌지축 중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The objective lens 30 is a terminal having an objective len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nnected around any one of a horizontal hinge axis or a vertical hinge axis to the end of the arm 40 extending from the cradle body 20 holder.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대물렌즈(30)는 토션스프링(44)력에 의해 회동 복귀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렌즈를 갖는 단말기 거치대.The objective lens 30 is a terminal holder having an objective len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turn to rotation by the torsion spring force (44).
KR20-2005-0005570U 2005-03-02 2005-03-02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KR20038546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70U KR200385466Y1 (en) 2005-03-02 2005-03-02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70U KR200385466Y1 (en) 2005-03-02 2005-03-02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66Y1 true KR200385466Y1 (en) 2005-05-27

Family

ID=4368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570U KR200385466Y1 (en) 2005-03-02 2005-03-02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6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21473A (en) Installing device for vehicle
EP2159470A2 (en) Holder
CN109561178B (en) Articulated elements, terminal equipment&#39;s folding mechanism and terminal equipment
KR20080027206A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288309B1 (en)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KR200385466Y1 (en) Terminal holding supporter attached objective lens
JP2004224127A (en) Device for setting personal computer in vehicle
KR200259933Y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supporter for car
US9315158B2 (en) Sun visor housing for sunglasses
CN215993474U (en) Display structure of mobile device
CN213152122U (en) Vehicle-mounted mobile phone support with gravity mechanical linkage
KR20130001512U (en) Smart phone Mounts
CN219514109U (en) Support, mobile phone shell and mobile phone
CN218858249U (en) Table, seat and vehicle
CN215453018U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shell
CN220586319U (en) Mobile phone protection shell back plate type bracket
KR101106145B1 (en) Automatic tilt hinge module
CN211526030U (en) Mobile terminal support
CN218085827U (en) Protective cover of mobile phone holder
CN220798329U (en) Magnetic attraction gravity bracket
CN214377369U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CN210258246U (en) Steering wheel presss from both sides cell phone stand device
CN209805904U (en) Mobile phone support
KR100313579B1 (en) Device for opening one touch of folder type handphone
JP2003234811A (en) Holder for port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