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347Y1 -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347Y1
KR200385347Y1 KR20-2005-0007391U KR20050007391U KR200385347Y1 KR 200385347 Y1 KR200385347 Y1 KR 200385347Y1 KR 20050007391 U KR20050007391 U KR 20050007391U KR 200385347 Y1 KR200385347 Y1 KR 200385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auxiliary
holder
mai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3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Priority to KR20-2005-0007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3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347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 음료를 컵에 공급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다수의 메인컵이 소진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조컵이 적재되는 보조컵보관통이 자동으로 컵투출위치로 이송되도록 하여 지속적인 컵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cts a large number of main cups in a vending machine for supplying a liquid beverage to the cup, and automatically maintains the auxiliary cup container into which the auxiliary cups are loaded. It relates to a secondary cup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음료선택버튼 조작이 행해지면 컵낙하제공모듈에 따라 메인컵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컵 컬럼의 최하부 컵부터 컵투출구를 통해 낙하되어 컵하우징으로 공급되며, 상기 메인컵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는 컵 감지스위치가 상기 메인컵지지대 측면에 장착되는 컵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컵지지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수평프레임의 일정 개소에 상기 메인컵이 모두 소진되었을때 보조컵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컵보관통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컵보관통모듈은, 한줄로 적층된 보조컵이 내장된 보조컵보관통; 상기 보조컵보관통이 끼워지며 외주면 소정 위치에 대략 'ㄴ'형상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와 힌지결합되고 그 연결브라켓의 일단에 탄성스프링이 개재되며 하단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컵 보관통홀더; 상기 메인컵 소진 여부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걸림돌기와의 접촉을 해제시켜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상기 컵투출구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을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가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verage selection button operation is carried out from the bottom cup of the main cup column supported by the main cup support according to the cup drop providing module is supplied through the cup outlet and supplied to the cup housing, the main cup exhausted In the cup supply apparatu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cup detecting switch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cup support, supplying the auxiliary cup when the main cup is exhausted to a certain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main cup support a predetermined interval Auxiliary cup storage module is provided for; The auxiliary cup storage module,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with a built-in auxiliary cup stacked in a row; The auxiliary cup container is fitted and the connecting bracket having an approximately 'b' sha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hinged to the shaf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horizontal frame, and an elastic spring is interposed on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and a lower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is formed; When the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cup is exhausted,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is released to allow the auxiliary cup holder to be rotated to the cup outlet sid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or the auxiliary cup holder is initially initialized. An auxiliary cup storage transfer device for a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is provided, which is composed of a solenoid that remains fixed when returned to position.

Description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음료를 컵에 공급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메인컵이 소진되면 보조컵이 적재되는 보조컵보관통이 자동으로 컵투출위치로 이송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a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is automatically cup dispensing position when the main cup is exhausted in the vending machine for supplying a liquid beverage to the cup It relates to a secondary cup storage transfer device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to be transferred to.

통상, 자동판매기는 일정 금액을 입력받고 음료 및 생활 용품등을 추출시켜 판매하는 무인판매장치로서, 그중에서 커피 등의 컵음료를 판매하기 위해서는 자동판매기 내에 음료를 담을수 있는 일정 크기의 컵이 제공되어야 한다.In general, the vending machine is an unmanned vending device that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money and extracts and sells beverages and household goods. Among them, in order to sell cup beverages such as coffee, a cup having a certain size that can hold a beverage in the vending machine must be provided. do.

그리고, 일반적인 컵음료용 자동판매기는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부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도어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사용자의 음료선택버튼 조작에 의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공급통 등이 구비되는 한편, 본체 또는 도어 내측에 상기 음료를 담을수 있도록 컵을 공급하는 컵적재통 등의 형상을 갖는 컵공급장치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lthough a general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body forming the overall appearance and the fron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hinge is configured as a door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beverage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a beverage by the user's beverage selection button operation, while the cup supply device having a shape such as a cup loading container for supplying the cup to the beverage contained inside the body or door Is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자동판매기로부터 음료를 공급받기 위하여 금액 투입후에 음료선택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컵공급장치의 컵적재통으로부터 최하위의 컵이 컵하우징으로 낙하되어 안착됨과 아울러 그 안착된 컵에 음료공급통과 연계된 음료공급노즐로부터 원액 또는 물 등의 음료가 공급되고, 사용자는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컵투출구 도어를 열고 상기 컵하우징으로부터 컵을 인출하게 된다.If the user operates the beverage selection button after inputting the amount of money to receive the beverage from the vending machin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wermost cup is dropped into the cup housing from the cup loading container of the cup supplying device, and the beverage is placed in the seated cup. Drinks such as stock solution or water are supplied from a beverage supply nozzle associated with a supply container, and a user opens a cup outlet door rotatably installed at the door and withdraws the cup from the cup housing.

하지만, 상기 컵공급장치에 컵이 세로 한줄로 적층되어 있는 컵적재구조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자동판매기 이용에 따른 컵 소모가 많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컵을 빈번하게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However, when only one cup stacking structure in which the cups are stacked in a vertical line is provided in the cup supplying device, there are cumbersome points of frequent replenishment of the cups when a lot of cups are consumed due to the use of the vending machine.

상기 컵적재통내에 컵을 보충하지 않아 컵이 없는 경우가 발생되면 자동판매기의 중앙처리부는 현재 판매상태를 판매중지상태로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컵음료의 판매불가로 인한 매출감소가 발생되고, 경우에 따라서 판매중지상태로 전환되지 않게 되면 사용자는 금액을 넣더라도 음료가 그대로 컵하우징내의 바닥면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자동판매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f there is no cup because the cup is not replenished in the cup contain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vending machine automatically converts the current sales state to the stopped state, resulting in a decrease in sales due to the inability to sell the cup beverage. If the user does not switch to the stop sales state, even if the user puts the amount of drink as it is su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hous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vending machine is lowered.

이에 따라, 커피 등의 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컵을 공급하는 컵 공급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a cup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a cup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sell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has been variously proposed in various forms.

예컨대, 컵공급장치에서 컵을 수납하는 컵적재통을 원형으로 복수개 형성하여 컵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장치가 있지만, 이 경우 원형 구조로 인한 구조의 복잡함은 물론, 제조비용의 상승과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들이 돌출되었다. 그와 같이 컵적재통이 원형으로 구조되는 경우에는 컵수용능력이 증대되지만 자동판매기내부의 점유공간이 증대되어 자동판매기의 부피도 대형화됨으로써 설치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For example, there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cup by forming a plurality of cup stacking container for storing the cup in the cup supply device, in this case,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due to the circular structure, as well as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productivity Problems protruded. As such, when the cup container is constructed in a circular shape, the cup accommodating capacity is increased, but the occupied space inside the vending machine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vending machine.

또한, 복수개 형성된 컵적재통에서 어느 하나의 컵적재통내의 컵이 소모되어 다른 컵적재통을 컵토출위치로 이송하고자 할 때에도 일련의 구동모터 등의 구동매체가 제공되어 행해짐으로써, 만약 구동매체 등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원활한 컵공급이 진행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되었다.Also, when a plurality of cup stacking cups are consumed in the cup stacking container and the other cup stacking container is to be transferred to the cup discharging position, a series of drive media such as a drive motor is provided to perform a cup medium. In case of abnormality, another problem occurred in which smooth cup feeding could not proceed.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컵음료 자동판매기에서 메인컵 적재구조내에 공급된 컵이 모두 소모되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동작만으로 보조컵이 적재되는 보조컵보관통이 컵 투출위치로 자동 이송되도록 하여 컵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cup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a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allows the cup container to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so that the cup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또한, 종래 보조컵보관통이 있는 컵음료 공급장치에 비해 컵 수용능력을 크게하면서도 구조를 컴팩트화 시켜 자동판매기내에서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p beverage supply device having a cup storage container, while the capacity of the cup is increased while the compact structure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in the vending machin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has another purpos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는; 음료선택버튼 조작이 행해지면 컵낙하제공모듈에 따라 메인컵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컵 컬럼의 최하부 컵부터 컵투출구를 통해 낙하되어 컵하우징으로 공급되며, 상기 메인컵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는 컵 감지스위치가 상기 메인컵 지지대 측면에 장착되는 컵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컵 지지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수평프레임의 일정 개소에 상기 메인컵이 모두 소진되었을때 보조컵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컵보관통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xiliary cup storage transfer device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drink selection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cup is dropped through the cup outlet from the bottom cup of the main cup column supported by the main cup support module according to the cup drop providing module, and supplied to the cup housing, and detecting the cup being exhausted. In the cup supply apparatus, the switch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cup support, the auxiliary cup storage module for supplying the auxiliary cup when the main cup is exhausted to a certain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main cup suppo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컵보관통모듈은, 한줄로 적층된 보조컵이 내장된 보조컵보관통; 상기 보조컵보관통이 끼워지며, 외주면 소정 위치에 대략 'ㄴ'형상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와 힌지결합되고, 그 연결브라켓의 일단에 탄성스프링이 개재되며, 하단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컵 보관통홀더; 및 상기 메인컵 소진 여부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걸림돌기와의 접촉을 해제시켜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상기 컵투출구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을때 그 보조컵 보관통홀더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Preferably, the auxiliary cup storage module,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is built-in auxiliary cups stacked in a row; The auxiliary cup container is fitted, the coupling bracket having a 'b' sha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hinged to the shaft is formed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frame, the elastic spring is interposed on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Auxiliary cup holder hold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And when the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cup is exhausted, releases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so that the auxiliary cup holder is rotated to the cup outle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or the auxiliary cup holder is A solenoi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is included to fix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when it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의 하부면과 대향되는 수평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요철면을 갖는 요철부재가 장착된다.In addition, an uneven member having an uneven surface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서 보조컵보관통이 평상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보조컵적재통이 컵투출위치로 이송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in a normal position in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p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auxiliary cup loading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

본 고안의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는 본체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도어의 내측 소정위치 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Auxiliary cup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inn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or the inside of the bod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terior coupled to the body and the hinge.

그리고,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서 일반적으로 기 설치되는 메인컵 적재구조 및 그 메인컵을 하나씩 낙하시키는 구조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cup stacking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dropping the main cups one by one are generally installed in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the known art.

우선, 메인컵(101) 적재구조는 일정 두께를 갖는 수평프레임(100)상에 메인컵지지대(102)가 컵투출구(104)의 일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한줄로 적층된 다수의 메인컵(101) 컬럼을 지지하고, 상기 적층된 메인컵 컬럼의 최하부에서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컵하우징(도면 미도시)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컵낙하제공모듈이 상기 수평프레임(100)내에 구비된다.First, the main cup 101 loading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main cups stacked in a row in which the main cup support 102 is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edge of the cup outlet 104 on a horizontal frame 10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101) A cup drop providing module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100 to support the column and to be supplied into the cup housing (not shown) one by one from the bottom of the stacked main cup column.

상기 컵낙하제공모듈은, 상기 컵하우징으로 컵이 공급되는 컵투출구(104)의 내측으로 일부분만이 돌출되어 상기 메인컵(101) 컬럼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컵(101)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어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컵공급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상면에 구비된 컵드롭링모터(112)의 구동력에 의해 컵(101)의 외주면과 비접촉되어 상기 컵(101)이 컵하우징으로 낙하되도록 상호 연동되어 구성되는 컵드롭링부재(114), 상기 컵드롭링부재(114)의 일측과 연결되는 연결축(116), 상기 컵드롭링모터(112)의 회전운동을 상기 연결축(114)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컵드롭링부재(114)에게로 전달하는 드롭링캠(118)으로 구성된다.The cup drop providing modul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101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main cup 101 column by protruding only a portion of the cup discharge port 104 into which the cup is supplied to the cup housing. When the cup supply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non-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10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cup dropping motor 1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00 is the cup 101 The cup drop member 114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fall into the cup housing, the connecting shaft 116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drop member 114,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up dropping motor 112 It is composed of a dropping cam 118 is converted to the linear motion of the connecting shaft 114 and transmitted to the cup dropping member 114.

그리고, 상기 메인컵지지대(102) 측면에는 상기 메인컵(101) 컬럼의 컵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컵감지스위치(120)가 장착된다. And, the cup detecting switch 12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cup in the main cup 101 column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cup support (102).

한편, 상기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는 수평프레임(100)상의 상기 메인컵 지지대(102)와 이격된 개소에 한줄로 적층된 보조컵(200)이 내장된 보조컵보관통(202)이 보조컵 보관통홀더(204)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보조컵 보관통홀더(204)의 일단이 수평프레임상에 돌출 형성된 샤프트(21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10) 축을 중심으로 대기상태에서 상기 컵투출구(104)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cup container transfer device is an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2 is built in the auxiliary cup 200 is stacked in a line spaced apart from the main cup support 102 on the horizontal frame 100,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One end of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n the state fitted in the (204) is hinged to the shaft 210 formed on the horizontal frame protruding on the direction of the cup outlet 104 in the standby state around the shaft 210 axis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는 상기 샤프트(210) 축과 결합되어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략 'ㄴ'형상의 연결브라켓(20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06)의 끝단부에는 수평프레임(100)상의 소정 이격된 개소와 탄성스프링(220)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220)은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의 끝단부와 상기 샤프트(210) 축을 비틀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도 상관없다.The auxiliary cup holder 204 is coupled to the shaft 210 shaf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 shaped connection bracket 206 so that the rotation can be made smoothly, the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206 The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d portion on the horizontal frame 100 and the elastic spring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elastic spring 220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204 and the shaft 210 shaft by a torsion spring.

그리고,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의 하단면에는 걸림돌기(20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메인컵(101)의 소진 신호를 인가받고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상기 탄성스프링(220)의 장력에 의하여 컵 투출구(104)측으로 회동되도록 솔레노이드축(232)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208)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230)가 상기 걸림돌기(208)의 하부방향에 장착된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208 is formed to protrud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204, and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204 receives the exhaust spr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e solenoid 230 which controls the locking projection 208 by the solenoid shaft 232 is moun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cking projection 208 so as to be rotated toward the cup outlet 104 by the tension of 220.

또한,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의 하단면과 마주보는 수평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이송될 때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이송이 되도록 요철면을 갖는 요철부재(24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00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holder 204 when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holder 204 is transporte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hen the uneven surface having an uneven surface Member 240 is mounted.

이어,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한줄로 적층되어 있는 메인컵(101)이 메인컵지지대(10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메인컵(101)은 컵드롭링부재(114)에 의해 컵투출구(104)에 걸쳐져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ain cup 101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main cup 101 stacked in a vertical row supported by the main cup support 102 is a cup dropping member. By 114, it spreads over the cup discharge port 104, and remains fixed.

이때, 메인컵(101)이 하나 이상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컵감지스위치(120)는 메인컵(101) 컬럼의 하부에 위치되어 메인컵(101)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이며, 상기 접촉된 상태의 신호는 상기 제어부가 지속적으로 인지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at least one main cup 101 exists, the cup detecting switch 120 is positioned below the main cup 101 column an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up 101. The state signal is continuously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는 돌출된 솔레노이드축(232)이 걸림돌기(208)에 걸려있는 상태로서 상기 요철부재(240)의 상면에 위치되는 초기상태이다. 이때, 탄성스프링(220)은 팽창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up holder 204 is the initial state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convex member 240 as the protruding solenoid shaft 232 is caught on the engaging projection 208. At this time, the elastic spring 220 is inflated.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료를 공급받기 위하여 금액 투입후에 음료선택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가 컵드롭링모터(112)에게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컵드롭링모터(112)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드롭링캠(118)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상기 연결축(116)이 이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컵드롭링부재(114)에게로 전달시킨다.In such a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beverage selection button after inputting the amount of money to receive the beverage, the control unit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cup dropping motor 112 and the The connecting shaft 116, which has receive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opping cam 118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converts it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up dropping member 114.

그러면, 상기 컵드롭링부재(114)는 상기 컵투출구(104)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현재 상기 컵드롭링부재(114)에 의해 외주면이 지지되어 고정되는 메인컵(101)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하나의 메인컵(101)이 상기 컵하우징으로 낙하된다. Then, the cup dropping member 114 is moved to the inner side of the cup outlet 104 so that the main cup 101, which is currently supported and fix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the cup dropping member 114, is opened, and the opening One main cup 101 is dropped into the cup housing.

이때, 상기 낙하되는 메인컵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컵 컬럼 전부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낙하되는 메인컵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직전의 다른 메인컵이 컵감지스위치(120)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메인컵(101)의 낙하가 이루어지면 곧바로 상기 컵드롭링모터(112)의 역회전 운동으로 인해 컵드롭링부재(114)가 컵투출구(104)의 중심방향, 즉 초기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컵(101) 컬럼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다른 메인컵의 외주면을 잡아 고정시키게 된다.At this time, all of the main cup columns are moved downward due to the falling main cup, and another main cup immediately before the upper main cup is dropped by the cup detecting switch 120, and the main cup Immediately after the fall of 101, the cup dropping member 114 is moved to the center direction of the cup discharge port 104, that is, to the initial position due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cup dropping motor 112. 101) It grabs and fix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other main cup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lumn.

따라서, 상기 컵하우징에는 하나의 메인컵만이 안착되고, 그 안착된 컵에 음료공급통과 연계된 음료공급노즐로부터 원액 또는 물 등의 음료가 공급되며, 상기 공급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사용자가 상기 컵하우징으로부터 음료가 공급된 상태의 메인컵을 인출할수 있게 된다.Therefore, only one main cup is seated in the cup housing, and a beverage such as stock solution or water is supplied to the seated cup from a beverage supply nozzle associated with a beverage supply container. The main cup with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housing can be withdrawn.

이후, 상기 메인컵의 계속적인 공급이 반복 진행되어 컵감지스위치(120)에 의해 컵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시점, 즉 메인컵(101)이 모두 소모되었을때 상기 컵감지스위치(102)는 메인컵(101)이 모두 소모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게로 전송한다.Subsequently, the continuous supply of the main cup is repeated so that the cup is not detected by the cup detecting switch 120, that is, when the main cup 101 is exhausted, the cup detecting switch 102 is the main. A signal informing that the cup 101 is exhauste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일련의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230)에게로 전달하여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컵투출구(104)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바, 우선적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상기 솔레노이드(230)가 솔레노이드축(232)을 이동시켜 현재 걸림돌기(208)와 밀착되어 있는 상기 솔레노이드축(232)을 걸림돌기(208)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이송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한다.The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eries of driving signals to the solenoid 230 so that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rotated to the cup discharge port 104 side, preferentially the solenoid 230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 Moves the solenoid shaft 232 to separate the solenoid shaft 232 currently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208 from the locking projection 208 and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can be transferred. to provide.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상기 솔레노이드(230)의 구동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되면, 현재 팽창상태인 탄성스프링(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06)이 상기 샤프트(21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려고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206)과 일체로 연결된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일정한 궤적을 그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컵투출구(104)쪽으로 이송된다. When the auxiliary cup holder 204 is opened by the driving of the solenoid 230, the connecting bracket 206 is the shaft 21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20, which is currently in an expanded state. To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and thus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204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connecting bracket 206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ile drawing a constant trajectory and is transferred toward the cup outlet 104.

여기서,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의 이송시에는 하단에 구비된 요철부재(240)로 인해 용이한 이송이 진행될 수 있다.Here, the transfer of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holder 204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e uneven member 240 provided at the bottom.

상기 연결브라켓(206)의 회동과 함께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이송되면,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는 상기 메인컵지지대(102)에 지지되어 컵투출구(104)에 위치되고,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초기에 위치된 장소 즉, 요철부재(240)의 상부측은 어떠한 메인컵이나 보조컵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220)은 수축된 상태이며, 상기 연결브라켓(206)은 역'ㄱ'자 형태를 나타낸다. Whe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mov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racket 206,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supported by the main cup support 102 is located in the cup outlet 104, Where the auxiliary cup holder 204 is initially located,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uneven member 240 is in a state where no main cup or auxiliary cup is presen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elastic spring 220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connection bracket 206 has an inverted 'B' shape.

그와 같이,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회동되어 컵투출구(104) 상면에 정위치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메인컵 컬럼의 최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메인컵(101)이 하나씩 하방향으로 낙하되어 컵하우징내에 공급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기능에 따라 상기 보조컵보관통(202)내에 적재되어 있는 보조컵(200)도 최하측부터 하나씩 공급되게 된다.As such, whe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rotated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outlet 104, the main cup 10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cup column according to the beverage selection butt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cups 200 loaded i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202 are also supplied one by one from the bottom side according to the same function as the ones falling downward one by one and supplied into the cup housing.

상기 보조컵보관통(202)내의 컵 공급은 메인컵 공급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up supply i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202 is the same as the main cup suppl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보조컵보관통(202)내의 보조컵(200)도 모두 소진되었을 때에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보조컵보관통(202)과 메인컵 지지대(202)측에 컵이 수작업으로 공급된다. 이경우,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현재 컵투출구(104)측에 위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초기 대기상태로 이송시켜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ll of the auxiliary cup 200 i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202 is exhausted, the cup is manually supplied to the auxiliary cup container 202 and the main cup support 202 by the manager. In this case, since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currently located at the cup discharge port 104 side, the administrator must manually rotate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counterclockwise to transfer it to the initial standby state. .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초기 대기상태로 이송되면, 상기 솔레노이드(23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축(232)을 이동시키고,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03)는 상기 솔레노이드축(232)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는 고정된다. 물론,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일측에 형성된 상기 연결브라켓(206)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204)의 이송시에 수축된 상태이던 상기 탄성스프링(220)은 다시 팽창되게 된다.When the auxiliary cup holder 204 is transferred to the initial standby state, the solenoid 230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move the solenoid shaft 232,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203 is the solenoid Interrupted by the shaft 232,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fixed. Of course, since the connecting bracket 206 formed on one side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when the auxiliary cup holder 204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204 is in a contracted state when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204 is transferred. The elastic spring 220 is to be expanded aga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 따르면 메인컵 지지대에 지지되는 메인컵이 모두 소진되면 이를 인지하고 자동으로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컵투출구 측으로 이동되어 지속적인 컵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컵 소진으로 인한 매출 감소 등을 예방할 수 있어 경쟁력 확보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xiliary cup storage transfer device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cup supported on the main cup support is exhausted, the auxiliary cup storage holder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cup outlet side to maintain the cup. As it can supply, it can prevent sales decline due to exhaustion of the main cup, thereby securing competitiveness.

또한, 종래 컵음료 공급장치에 비해 컵 수용능력을 크게 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자동판매기내에서의 점유공간이 최소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while increasing the cup capac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p beverage supply device, the occupied space in the vending machine can be minimiz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o improve productivity.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be variously modified. will b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에서 보조컵보관통이 평상 위치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1 is a plan view of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in the normal position in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 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보조컵적재통이 컵투출위치로 이송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up loading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수평프레임, 102 : 메인컵지지대,100: horizontal frame, 102: main cup support,

104 : 컵투출구, 112 : 컵드롭링모터,104: cup outlet, 112: cup dropping motor,

114 : 컵드롭링부재, 116 : 연결축,114: cup dropping member, 116: connecting shaft,

118 : 드롭링캡, 120 : 컵감지스위치,118: drop cap, 120: cup detection switch,

202 : 보조컵보관통, 204 : 보조컵 보관통홀더,202: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204: auxiliary cup storage holder,

206 : 연결브라켓, 208 : 걸림돌기,206: connecting bracket, 208: locking projection,

210 : 샤프트, 220 : 탄성스프링,210: shaft, 220: elastic spring,

230 : 솔레노이드, 232 : 솔레노이드축,230: solenoid, 232: solenoid shaft,

240 : 요철부재.240: uneven member.

Claims (5)

음료선택버튼 조작이 행해지면 컵낙하제공모듈에 따라 메인컵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메인컵 컬럼의 최하부 컵부터 컵투출구를 통해 낙하되어 컵하우징으로 공급되며, 상기 메인컵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는 컵 감지스위치가 상기 메인컵 지지대 측면에 장착되는 컵 공급장치에 있어서,When the drink selection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cup is dropped through the cup outlet from the bottom cup of the main cup column supported by the main cup support module according to the cup drop providing module, and supplied to the cup housing, and detecting the cup being exhausted. In the cup feed device that the switch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cup support, 상기 메인컵 지지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수평프레임의 일정 개소에 상기 메인컵이 모두 소진되었을때 보조컵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컵보관통모듈이 구비되며;An auxiliary cup storage module for supplying an auxiliary cup when the main cup is exhaus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horizontal frame spaced apart from the main cup sup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보조컵보관통모듈은,The auxiliary cup storage module, 한줄로 적층된 보조컵이 내장된 보조컵보관통;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with a built-in auxiliary cup stacked in a row; 상기 보조컵보관통이 끼워지며, 외주면 소정 위치에 대략 'ㄴ'형상을 갖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와 힌지결합되고, 그 연결브라켓의 일단에 탄성스프링이 개재되며, 하단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보조컵 보관통홀더; 및The auxiliary cup container is fitted, the coupling bracket having a 'b' sha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hinged to the shaft is formed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frame, the elastic spring is interposed on one end of the connecting bracket, Auxiliary cup holder hold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And 상기 메인컵 소진 여부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걸림돌기와의 접촉을 해제시켜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상기 컵투출구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을때 그 보조컵 보관통홀더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When the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ccording to whether the main cup is exhausted,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 is released to allow the auxiliary cup holder to be rotated to the cup outlet sid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or the auxiliary cup holder is initially initialized. And a solenoi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fix the auxiliary cup storage holder when it is returned to the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의 하부면과 대향되는 수평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이송될 때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이송이 되도록 요철면을 갖는 요철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The cup beve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is provided with an uneven member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hen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is transported to ensure a smooth transfer. Auxiliary cup storage conveyer of vending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초기 위치인 경우 팽창된 상태이며,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가 상기 컵투출구측으로 위치 변경하면 수축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The elastic spring is in the expanded state when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is the initial position, 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transfer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up holder holder is in a contracted state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to the cup discharge port sid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연결브라켓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상의 소정 개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 The auxiliary cup storage transfer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spring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horizontal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투출구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보조컵 보관통홀더는 상기 메인컵 지지대의 내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The auxiliary cup storage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cup container holder moved to the cup outlet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up support.
KR20-2005-0007391U 2005-03-18 2005-03-18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3853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91U KR200385347Y1 (en) 2005-03-18 2005-03-18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391U KR200385347Y1 (en) 2005-03-18 2005-03-18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347Y1 true KR200385347Y1 (en) 2005-05-27

Family

ID=4368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91U KR200385347Y1 (en) 2005-03-18 2005-03-18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34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0548A (en) * 2021-10-22 2022-01-18 万事达(杭州)咖啡机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arching position of cup storage barr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0548A (en) * 2021-10-22 2022-01-18 万事达(杭州)咖啡机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arching position of cup storage barr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7036A (en) vending machine
KR200385347Y1 (en) Assistance cup transfer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890003573Y1 (en) A vending machine
KR100764676B1 (en) Rack structure of two size pet bottle vending machine
JP5978910B2 (en) Cup type vending machine cup feeder
KR101260763B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EP2713838B1 (en) Beverage vending machine
KR20030060379A (en) Vending machine
JP2002251670A (en) Cap feeder for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624706B1 (en) Rack structure of pet bottle vending machine
KR100362755B1 (en) Cup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0129542Y1 (en) Cup delivery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0376817Y1 (en) Cup dispen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KR200176799Y1 (en) Holder device for removal of cup of vending machine
KR200282580Y1 (en) Cup dispensing device for tea vending machine
WO2022014711A1 (en) Liquid dispenser
WO2022014713A1 (en) Liquid dispenser
JP2609778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delivery device
KR960005292B1 (en) Cup dropp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JP4953836B2 (en) Cup supply device for cup beverage supply device
JPH06168377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986515B1 (en) Rack of vending machine
KR19990074019A (en) Cup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JP2000251145A (en) Cup supplying device for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JP5245446B2 (en) Cup supply device for cup beverage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