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036Y1 -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 Google Patents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036Y1
KR200385036Y1 KR20-2005-0005373U KR20050005373U KR200385036Y1 KR 200385036 Y1 KR200385036 Y1 KR 200385036Y1 KR 20050005373 U KR20050005373 U KR 20050005373U KR 200385036 Y1 KR200385036 Y1 KR 200385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leg
chair leg
movement guid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낫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낫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낫소
Priority to KR20-2005-0005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0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0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하도록 장착되는 다리받침부를 구성함으로서,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며, 다리받침부의 탄성력으로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다리의 받침구조{structure for support of chair leg}
본 고안은 의자다리의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다리가 밀착되는 바닥판의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바닥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무나 철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제작되는 의자의 다리에 별도의 보호구를 장착하지 않아 의자가 위치한 실내 박닥판의 상면에 손상을 발생시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근래에는, 의자다리의 저면에 헝겁으로 만든 별도의 커버를 장착하여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였으며, 상기 커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다리(2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2)이 내측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재(11)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재(11)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의자다리(20)의 하단부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체결끈(13)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버는,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의자다리와 실내 바닥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경우, 하중을 커버에서 흡수하지 못하므로 바닥면에 충격을 가해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체결끈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하지 못해 체결끈이 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수용부재가 의자다리의 하단부에서 벗겨지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면서도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리받침부의 탄성력으로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하도록 장착되는 다리받침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의자다리(20)의 하단부에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하도록 장착되는 다리받침부(1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리받침부(100)는, 일정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10)의 외측면을 감싸 실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이동하는 이동안내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부재(120)를 탄성부재(110)의 외측면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13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부재(130)로 접착된 이동안내부재(120)의 일측에 의자다리(2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이동안내부재(120)와 탄성부재(110)를 동일 선상으로 절개하며,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공간(14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120)는, 마찰계수가 작은 합성섬유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일정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110)의 외주면에 본드와 같은 접착부재(130)를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부재(130)의 외측에서 마찰계수가 작은 합성섬유의 이동안내부재(120)를 부착하여 결합한 후, 상기 이동안내부재(120)의 외측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탄성부재(110)와 이동안내부재(120)는 열융착으로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10)에 결합된 이동안내부재(120)의 외측면 일측에서 절단공구로 의자다리(2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결합공간(140)을 절개하면 다리받침부(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다리받침부(100)의 결합공간(140)을 의자다리(20)의 하부에 동일 선상이 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합공간(140)의 양측을 동시에 가압하면, 결합공간(140)이 개방됨과 동시에 개방된 결합공간(140)을 통해 내부로 이동되는 의자다리(20)를 탄성부재(110)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다리받침부(100)를 이동시킨다.
상기 의자다리(20)의 단부가 탄성부재(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 다리받침부(100)의 이동을 정지시키면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공간(140)의 단부가 의자다리(2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나머지 3개의 의자다리(20)에 다리받침부(100)를 각각 결합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부(100)가 실내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의자를 위치시키면, 다리받침부(100)의 이동안내부재(120)가 실내의 바닥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10)의 두께만큼 의자다리(20)가 실내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상부로 이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사용자의 하중을 탄성부재(110)에서 흡수하여 사용자의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안락감을 제공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서 의자를 이동시켜도 이동안내부재(120)의 마찰력이 작아 실내 바닥면에서 원활이 이동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부(100)는, 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구기종목의 모든 공모양으로도 각각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리받침부가 의자다리의 하단부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어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탄성부재가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실내 바닥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리받침부의 외측면을 감싼 이동안내부재가 실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이동을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미관을 미려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다리를 지지하는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다리받침부 110: 탄성부재
120: 이동안내부재 130: 접착부재
140: 결합공간

Claims (6)

  1. 의자다리(20)의 하단부에 실내 바닥면과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사용자의 하중을 흡수하도록 장착되는 다리받침부(1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다리받침부(100)는,
    일정두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중을 흡수하는 탄성부재(11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외측면을 감싸 실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이동하는 이동안내부재(120)와;
    상기 이동안내부재(120)를 탄성부재(110)의 외측면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130)와;
    상기 접착부재(130)로 접착된 이동안내부재(120)의 일측에 의자다리(2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이동안내부재(120)와 탄성부재(110)를 동일 선상으로 절개하며,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결합공간(140)이 구비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안내부재(120)는,
    마찰계수가 작은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접착부재(130)는,
    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이동안내부재(120)를 열융착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리받침부(100)는,
    구기종목의 공모양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KR20-2005-0005373U 2005-02-28 2005-02-28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KR200385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373U KR200385036Y1 (ko) 2005-02-28 2005-02-28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373U KR200385036Y1 (ko) 2005-02-28 2005-02-28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036Y1 true KR200385036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373U KR200385036Y1 (ko) 2005-02-28 2005-02-28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0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05A (ko) 2017-12-08 2019-06-18 백정원 의자다리용 받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405A (ko) 2017-12-08 2019-06-18 백정원 의자다리용 받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5548B2 (ja) 振動モータを備えたマットレスファンデーションおよびその取付け
JP6027681B2 (ja) 振動モータアセンブリを備えたマットレスファンデーション
WO2006127536A3 (en) Massage table with secure lock legs
DE60333197D1 (de) Anheftbare polster für kleidungsstücke
CA2596692C (en) Pad spring device
EP1717096A3 (en) Children&#39;s safety seat with guide and tension device
WO2009004770A1 (ja) ボール
WO2008091689A3 (en) Furniture glide protective devices
WO2007059042A3 (en) Slipcovers with improved material gathering
KR20070102293A (ko) 진공 흡착기
KR200385036Y1 (ko) 의자다리의 받침구조
WO2006113279A3 (en) Garment support member with foam support layer and method of using same
MY128714A (en) Seating furniture allowing conversion into a bed.
WO2006027822A8 (ja) 着座機構及び椅子
GB0104890D0 (en) Elastic-sided absorbent pad with soft,comfortable side panels
US20170340121A1 (en) Waist support structure of seat back
MY140175A (en) Absorbent article
GB2433696B (en) Arm rest using vertical lapped fiber
USD561501S1 (en) Chair
KR200440355Y1 (ko) 의자다리 받침
KR200454585Y1 (ko) 가구손잡이
KR20090128931A (ko) 바닥보호용 가구 다리 캡
WO2007143092A3 (en) Furniture that converts into a massage device
US20070113328A1 (en) Auxiliary seat pad for an invalid
KR200456024Y1 (ko) 가구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