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565Y1 -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 Google Patents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565Y1
KR200384565Y1 KR20-2005-0005429U KR20050005429U KR200384565Y1 KR 200384565 Y1 KR200384565 Y1 KR 200384565Y1 KR 20050005429 U KR20050005429 U KR 20050005429U KR 200384565 Y1 KR200384565 Y1 KR 200384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lade
base
vegetable harves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4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특수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특수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특수정밀
Priority to KR20-2005-0005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5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56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01D2023/026Devices with movable knives for topping, e.g. rotatable cutting di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레형 야채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수확기는, 하부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된 베이스와, 상기 2개의 바퀴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야채 수확기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경작지에 심어진 야채의 하부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야채를 상기 베이스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단 상부에서 외측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 절단수단 및 이송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하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경작지에 근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현수되어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현수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 전방에 고정장착되는 고정 칼날과, 상기 고정 칼날위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좌우로 연속하여 작동되는 이동 칼날, 및 상기 이동 칼날이 상기 고정 칼날위에서 연속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칼날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토지에서 생산되는 야채의 수확을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수확하므로써 야채의 생산량 증대 및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type vegetable harvester, such a harvester, the base is equipped with two wheels at the bottom, the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two wheels, the vegetable harvester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vegetable harvester planted in Cutting means for cutting the lower portion, a convey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means to the rear of the base, a handle that is formed to extend in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bas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I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o be mounted to control the drive means, cutting means and transfer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andle. In this case, the cutting means is a pair of guide frames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ase, and the pair of guide frames located in front of the pair of guide frames to approach the farmland The support bracket is suspended and mounted, a fixed blade fixed to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suspended on the guide frame, a moving blad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on the fixed blade and continuously operated left and right, and the moving blade It includes a blade operating member for continuously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fixed blad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harvesting the harvest of vegetables produced in the land without manual labo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yield of the vegetables and increasing the income of the farm is generated.

Description

수레형 야채 수확기{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본 고안은 야채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작지에서 생산되는 야채의 밑부분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절단하면서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량 증대 및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ble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harvesting while easily cutting the bottom of the vegetables produced in the farmland, and relates to a cart-type vegetable harvester tha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and increase the farm income .

현대의 농업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외부의 기후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사시사철 채소류의 재배가 가능하고 그 출하량도 대량인 반면 그 출하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게 되어 출하 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선도가 감소하게 되어 상품성이 감소된다.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agricultural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ultivate vegetables in all seasons regardless of the external climatic conditions, and the shipment volume is large, while the shipping work is performed by hand,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shipping cost but also the freshness of the product. Decreases and the merchandise decrease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야채 결속기가 제공되어 신속하게 제품을 출하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시켰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vegetable binders are provided to not only quickly ship products but also increase user convenien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야채 결속기의 제공으로 신속하게 제품을 출하시킬 수는 있었으나 야채 경작지에서 직접 야채를 수확하는데는 다수의 인원을 투입하여 수작업을 통해 행하게 된다.However, the product can be shipped quickly by providing the above-mentioned vegetable binding machine, but the harvesting of vegetables directly from the vegetable farmland is carried out by manual operation by a large number of personnel.

이에따라 출하되는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고 작업성이 저하되어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As a result, the unit price of the shipped product is increased and workability is deteriora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yield is reduc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지에서 생산되는 야채의 수확을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수확하므로써 야채의 생산량 증대 및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vegetables and increase the income of farmers by automatically harvesting the harvest of vegetables produced on land without manual labor. To provide a cart-type vegetable harvester.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수레형 야채 수확기는, 하부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된 베이스와, 상기 2개의 바퀴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야채 수확기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경작지에 심어진 야채의 하부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야채를 상기 베이스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단 상부에서 외측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 절단수단 및 이송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t-type vegetable harvester, the base is equipped with two wheels at the bottom, the 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two wheels, the tip of the vegetable harvester Cutting means for cut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getable planted in the cultivated land, the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means to the rear of the base, and is formed in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base is formed A handl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to control the driving means, the cutting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and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andle.

이때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하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경작지에 근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현수되어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현수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 전방에 고정장착되는 고정 칼날과, 상기 고정 칼날위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좌우로 연속하여 작동되는 이동 칼날, 및 상기 이동 칼날이 상기 고정 칼날위에서 연속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칼날 작동부재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utting means is a pair of guide frames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ase, and the pair of guide frames located in front of the pair of guide frames to approach the farmland The support bracket is suspended and mounted, a fixed blade fixed to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suspended on the guide frame, a moving blad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on the fixed blade and continuously operated left and right, and the moving blade It includes a blade operating member for continuously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fixed blade.

그리고 상기 칼날 작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칼날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캠과, 상기 캠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 칼날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연결바로 구성된다.The blade actuating member includes a blade driving motor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guide frame, a cam mounted on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one end mounted on the cam, and the other end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ovable blade. Consisting of connecting bars.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중심축이 수직하게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쌍의 전방롤러와, 상기 베이스의 일정부위에서 중심축이 수평으로 장착되고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한쌍의 후방롤러와,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에 장착되는 한쌍의 탄성벨트, 및 상기 한쌍의 탄성벨트가 상기 전방롤러의 일정거리 후방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전방롤러의 일정거리 후방에 위치되어 장착되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eans, a pair of front rollers are vertically mounted on the leading end of the pair of guid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entral axis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se horizontal A pair of rear rollers mounted and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elastic belts mounted on the front rollers and the rear rollers, and the pair of elastic belts are fixed to the front rollers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front rollers. It consists of a pair of guide rollers positioned and mounted rearward of the street.

이때 상기 롤러는 중심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배럴형상이고, 상기 탄성벨트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강성의 톱니부가 중심선을 따라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연성의 스폰지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oller is a barrel shape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along the center edge, the elastic belt is formed in the inner side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rigid tooth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a flexible sponge is formed on the outside.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절단수단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에 나뭇잎형상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 하부에는 선단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경작지에 밀착되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f-shaped guide plate is formed at each of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guide frames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cutting means,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is bent toward the top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rable l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is form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레형 야채 수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측면도이며, 도 3 은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에서 이송수단인 벨트를 탈거시킨 사시도이고, 도 4 와 도 5 는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절단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 은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이송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agon-typ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removed from the belt conveying means in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ure 1 4 and 5 are views illustrating cutting means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1,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the transfer means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1.

그리고, 도 7 은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이송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 은 도 1 에 따른 야 채 수확기의 전원부를 설명하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에서 전원부의 전선 가이드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And,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port means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ain portion of the power harvester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9 is a power supply unit in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ure 1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electric wire guide axis | shaf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수레형 야채 수확기는 이용자가 경작지를 돌아다니면서 수확할 수 있도록 손잡이(12)를 갖는 수레형으로 형성되는데 하부에 2개의 바퀴(16)가 장착된 베이스(18)와, 상기 2개의 바퀴(16)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절단수단, 이송수단, 및 제어기(1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wagon-typ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100 is formed in a wagon-shaped with a handle 12 so that the user can harvest while walking around the farmland, the two wheels 16 ) Is equipped with a base 18, a driving means for operating the two wheels 16, a cutting means, a conveying means, a controller 10 and the like.

상기 야채 수확기(10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경작지에 심어진 야채의 하부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18)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하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30)과, 이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30)의 전방에 위치되어 경작지에 근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30)에 현수되어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2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에 현수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30)에 장착되는 칼날부재 등으로 이루어 진다.Cutting means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vegetable harvester 100 to cut the lower portion of the vegetables planted in the arable land, a pair of guide frame 30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8 And a support bracket 20 suspended from and mounted to the pair of guide frames 30 so as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pair of guide frames 30 and close to the arable land, and the suspension suspended from the guide frames 30. It consists of a blade member or the like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30).

상기 칼날부재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에 현수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30)의 하면 전방에 고정장착되는 고정칼날(46)과, 이 고정 칼날(46)위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좌우로 연속하여 작동되는 이동 칼날(48), 및 상기 이동 칼날(48)이 상기 고정 칼날(46)위에서 연속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칼날 작동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한 칼날(46,48)의 날은 톱니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the blade member is fixedly moun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30 suspended from the guide frame 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blade 46. And a blade operating member for continuously moving from side to side on the fixed blade 46 and the moving blade 48 to be continuously operated on the fixed blade 46.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awtooth-shaped.

이때 도 6 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고정칼날(46) 상면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칼날(48)의 상면에는 볼(64)과 스프링(62) 및 이 스프링(62)을 가압하는 볼트가 장착되는 탄성 누름판(60)이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칼날(46)에 상기 이동칼날(48)의 밀착을 도와주는 것으로 볼과 스프링 및 볼트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lade 48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ade 46, the ball 64 and the spring 62 and the elastic to which the bolt for pressing the spring 62 is mounted The pressing plate 60 is provided, which helps to adhere the moving blade 48 to the fixed blade 46, and a ball, a spring, and a bolt may be formed as one body.

그리고 상기 칼날 작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칼날 구동모터(28)와, 이 구동모터(28)의 축에 장착되는 캠(26)과, 이 캠(26)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 칼날(48)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연결바(50)로 구성된다.The blade actuating member includes a blade drive motor 28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guide frame 30, a cam 26 mounted on a shaft of the drive motor 28, and the cam 26. One end is mounted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ar 50 moun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oving blade 48.

이때 상기 절단수단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30)의 선단부에 나뭇잎형상의 가이드 플레이트(24)가 각각 형성되어 절단된 야채가 용이하게 상기 이송수단으로 안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eaf-shaped guide plate 2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guide frames 30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cutting means, so that the cut vegetables are easily guided to the transport means.

게다가 상기 지지 브라켓(20)의 하면 하부에는 선단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경작지에 밀착되는 받침대(2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2)를 잡아 전방으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20 is bent toward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support 22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rable lan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roceed to the front to grab the handle (12).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야채를 상기 베이스(18)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30)의 선단에 중심축이 수직하게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쌍의 전방롤러(38)와, 상기 베이스(18)의 일정부위에서 중심축이 수평으로 장착되고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한쌍의 후방롤러(40)와, 상기 전방롤러(38)와 후방롤러(40)에 장착되는 한쌍의 탄성벨트(44), 및 상기 한쌍의 탄성벨트(44)가 상기 전방롤러(38)의 일정거리 후방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전방롤러(38)의 일정거리 후방에 위치되어 장착되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42)로 구성된다.The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means to the rear of the base 18, as shown in Figure 7, the central axis is mounted vertically on the tip of the pair of guide frame 3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front rollers 38 which are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 pair of rear rollers 40 which are horizontally mounted and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se 18, and the front rollers 38 and the rear A pair of elastic belts 44 mounted on the roller 40, and a pair of elastic belts 44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front roller 38 so that the pair of elastic belts 44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front roller 38. It consists of a pair of guide rollers 42 which are positioned and mounted.

이때 상기 롤러(38,40,42)는 중심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34)이 형성된 배럴형상이고, 상기 탄성벨트(44)는 상기 걸림홈(34)에 삽입되는 강성의 톱니부(36)가 중심선을 따라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연성의 스폰지가 형성되는데, 이는 야채가 상기 전방롤러(38)의 선단에서 상기 한쌍의 탄성벨트(44)사이로 진입하여 후방으로 이송될때 벨트가 야채를 가볍게 물려주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rollers 38, 40, and 42 are barrel-shaped with a locking groove 34 formed along a center edge thereof, and the elastic belt 44 has a rigid tooth portion 36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4. I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long the center line, and a soft spong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The belt gently bites the vegetable when the vegetable enters between the pair of elastic belts 44 at the tip of the front roller 38 and is transported backward. It is for.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8)의 후단 상부에서 외측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12)를 제공하므로서 사용자가 손수레를 이용하는 것 처럼 손잡이(12)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진행하기가 용이하게 된다.And,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handle 12 that is formed in the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rear end of the base 18, the user easily grips the handle 12 and proceeds to the front as if using a cart. Done.

상기 제어기(10)는 상기 베이스(18)의 상부에 장착되는 전원부(32)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 절단수단 및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손잡이(12)의 일정부위에 장착된다.The controller 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32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8 to control the driving means, the cutting means and the conveying means, and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andle 12. .

이때 상기 전원부(32)는 배터리나 외부 전선을 인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으나 본 실시예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 것으로 도 8 과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that the power supply unit 32 can be used by introducing a battery or an external wire, but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s using an externally supplied power.

즉 상기 전원부(32)는 상기 베이스(18)의 상부에 장착되는 권양기(50)(winch)와, 이 권양기(50)의 중심축(52)과 체인(5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권양기(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권양기(50)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전선 가이드축(56), 및 상기 권양기(50)의 중심축(52)과 상기 이송수단의 벨트(44)를 작동시키는 후방롤러(40)의 축에 연결된 체인을 결속 및 헤제시켜주는 클러치 레버(58)를 포함한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32 is connected to the winch 50 (winch)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8, the central shaft 52 of the winch 50 and the chain 54 and the winch 50 The wire guide shaft 56 installed at the front side of the winch 50, and the central axis 52 of the winch 50 and the belt 44 of the transfer means And a clutch lever 58 for binding and unlocking the chain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rear roller 40.

이때 상기 전선 가이드축(56)의 외주면에는 상기 권양기(50)에 감기는 전선이 상기 권양기(50)의 폭방향 좌우로 이동되면서 권취될 수 있도록 다이야몬드 형상이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비교적 원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더라도 인출된 전선은 용이하게 상기 권양기(50)에 평탄하게 감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guide shaft 56 is a diamond shape is formed to protrude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wire wound on the winch 50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of the winch 50 is relatively far Even if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drawn wire can be easily wound on the winch 50.

특히 상기 권양기(50)의 상부에는 전조등을 설치시킴으로써 야간에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know that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t night by installing a headlamp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nch 50.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권양기(50)에 권취된 전선을 인출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연결시킨 후 상기 제어기(10)를 작동시키면 기어박스(14)를 통해 동력이 전달된 바퀴(16)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raws the wire wound on the winch 5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n operating the controller 10 to transfer power through the gearbox 14 The wheel 16 is advanced forward.

그후 사용자는 상기 제어기(10)에 장착된 다른 하나의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칼날 구동모터(28)의 작동으로 야채는 하부 일정부위에서 잘단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벨트(44)가 작동되므로 절단된 야채는 벨트에 압입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되 상기 베이스(18)의 후방에 용기를 배치하므로써 이송되는 야채는 마련된 용기에 쉽게 저장될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operates another button mounted on the controller 10, the vegetables are cut off at a predetermined lower portion by the operation of the blade driving motor 28, and at the same time, the belt 44 is operated to cut The prepared vegetables are pressed into the belt and moved to the rear, but the vegetables conveyed by arranging the container at the rear of the base 18 can be easily stored in the prepared container.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 따라, 토지에서 생산되는 야채의 수확을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수확하므로써 야채의 생산량 증대 및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harvesting the harvest of vegetables produced on the land by h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vegetables and the income of the farmhouse is generated.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레형 야채 수확기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art-typ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1;

도 3 은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에서 이송수단인 벨트를 탈거시킨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lt removed as a transport means in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도 4 와 도 5 는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절단수단을 설명하는 도면.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utting means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도 6 은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에서 절단수단의 탄성누름판을 설명하는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astic pressing plate of the cutting means in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도 7 은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의 이송수단을 설명하는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ying means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도 8 은 도 1 에 따른 야 채 수확기의 전원부를 설명하는 요부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1;

도 9 는 도 1 에 따른 야채 수확기에서 전원부의 전선 가이드축을 설명하는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re guide shaft of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FIG.

야채 수확기의 이송수단을 설명하는 도면.The figure explaining the conveying means of a vegetable harvest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수확기, 10 : 제어기,100: harvester, 10: controller,

12 : 손잡이, 16 : 바퀴,12: handle, 16: wheels,

20 : 지지 브라켓, 22 : 받침대,20: support bracket, 22: pedestal,

26 : 캠, 28 : 칼날구동모터,26: cam, 28: blade driving motor,

30 : 가이드 프레임, 32 : 전원부,30: guide frame, 32: power supply,

38 : 전방롤러, 40 : 후방롤러, 38: front roller, 40: rear roller,

42 : 가이드 롤러, 44 : 벨트,42: guide roller, 44: belt,

50 : 권양기(winch), 56 : 전선 가이드축,50: winch, 56: wire guide shaft,

58 : 클러치 레버, 60 : 탄성 누름판 58: clutch lever, 60: elastic pressing plate

Claims (10)

수레형 야채 수확기에 있어서,In the cart-type vegetable harvester, 하부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된 베이스;A base having two wheels mounted thereon; 상기 2개의 바퀴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Drive means for operating the two wheels; 상기 야채 수확기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경작지에 심어진 야채의 하부를 절단하는 절단수단;Cutting means mounted to the front end of the vegetable harvester for cutting the lower part of the vegetables planted in the arable land;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야채를 상기 베이스의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means to the rear of the base; 상기 베이스의 후단 상부에서 외측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및A handle that is formed to extend in an oute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a rear end of the base; And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 절단수단 및 이송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손잡이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to control the driving means, the cutting means, and the transfer means, and a controller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tting means,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하향하여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A pair of guide frames extending down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top of the base and extending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경작지에 근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에 현수되어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A support bracket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pair of guide frames and suspended from the pair of guide frames so as to approach the arable land;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현수되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 전방에 고정장착되는 고정 칼날;A fixed blade fixedly mounted to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suspended from the guide frame; 상기 고정 칼날위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좌우로 연속하여 작동되는 이동 칼날; 및A moving blad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blade and continuously operated from side to side; And 상기 이동 칼날이 상기 고정 칼날위에서 연속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칼날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The blade type vegetabl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blade comprises a blade operating member for continuously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fixed bla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작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칼날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캠과, 상기 캠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 칼날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연결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The blade operating member of claim 2, wherein the blade operating member comprises: a blade driving mot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guide frame, a cam mounted on a shaft of the driving motor, one end mounted to the cam,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blade. Wheelbarrow-type vegetabl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necting bar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칼날 상면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칼날의 상면에는 볼과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는 볼트가 장착된 탄성 누름판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The wagon-typ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lad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ad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ressing plate mounted with a ball, a spring, and a bolt for pressing the spr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중심축이 수직하게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한쌍의 전방롤러와, 상기 베이스의 일정부위에서 중심축이 수평으로 장착되고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한쌍의 후방롤러와,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에 장착되는 한쌍의 탄성벨트, 및 상기 한쌍의 탄성벨트가 상기 전방롤러의 일정거리 후방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상기 전방롤러의 일정거리 후방에 위치되어 장착되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conveying means is a pair of front rollers are vertically mounted on the leading end of the pair of guide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entral axis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ase A pair of rear rollers horizontally mounted and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elastic belts mounted on the front rollers and the rear rollers, and the pair of elastic belts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front rollers; Wheelbarrow-type vegetabl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guide rollers which are mounted at a certain distance rea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중심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배럴형상이고, 상기 탄성벨트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강성의 톱니부가 중심선을 따라 내측에 형성되고 외측에는 연성의 스폰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6. The roller of claim 5, wherein the roller has a barrel shape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along a center edge thereof, and the elastic belt has a rigid tooth port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side along a center line and a flexible sponge is formed at an outer side thereof. Wheelbarrow-type vegetable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의 선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에 나뭇잎형상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The cart-shaped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leaf-shaped guide plat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tips of the pair of guide frames formed at the tips of the cutt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면 하부에는 선단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경작지에 밀착되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The wagon-type vegetable harvest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is bent toward the top to form a pedest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rml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의 중심축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권양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권양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전선 가이드축, 및 상기 권양기의 중심축과 상기 이송수단에 연결된 체인을 결속 및 헤제시켜주는 클러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The electric wire guide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a winch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is connected by a chain and a central axis of the winch an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ch. And a clutch lever for engaging and removing the shaft and the chain connected to the central shaft of the winch and the conveying mean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가이드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권양기에 감기는 전선이 상기 권양기의 폭방향 좌우로 이동되면서 권취될 수 있도록 다이야몬드 형상이 등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레형 야채 수확기.10. The wagon-type vegetab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diamond shape protrudes at equal intervals so that an electric wire wound on the hoisting machine can be wound while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of the hoisting machin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ic wire guide shaft. harvest.
KR20-2005-0005429U 2005-03-02 2005-03-02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KR2003845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29U KR200384565Y1 (en) 2005-03-02 2005-03-02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29U KR200384565Y1 (en) 2005-03-02 2005-03-02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565Y1 true KR200384565Y1 (en) 2005-05-16

Family

ID=4368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429U KR200384565Y1 (en) 2005-03-02 2005-03-02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56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92135A (en) Sweet corn harvester
CN207399875U (en) A kind of draft mulberry harvestry bundling integrated machine
KR20080097966A (en)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JP5640270B2 (en) Cut flower harvesting machine
KR20130016767A (en) Vegetables harvester
KR200384565Y1 (en)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KR100431720B1 (en) An electromotive chinese leek harvester
JP4402904B2 (en) Agricultural machine
KR101880941B1 (en) Self-Running Harvester
JP5271037B2 (en) Self-removing combine
KR200473861Y1 (en) vegetables harvester
KR101442981B1 (en) vegetables harvester
KR200424250Y1 (en) handcart-type vegetables harvester
JP4756644B2 (en) Farm work vehicle
KR101689072B1 (en) vegetable harvester
KR101707857B1 (en) Transport apparatus for vinyl house
US20210007278A1 (en) Device for harvesting asparagus growing from an asparagus field
JP2013094103A (en) Transplanter
JP3649237B2 (en) Combine harvester
CN212087063U (en) Forage grass harvester convenient to transportation
KR20100110034A (en) Vegetables harvester
KR20150004138U (en) vegetables harvester
JP3698164B2 (en) Combine harvester
KR101521589B1 (en) Farm produce reaping machine
JP2586350Y2 (en) Agricultural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