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469Y1 - 골프퍼팅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퍼팅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469Y1
KR200384469Y1 KR20-2005-0004783U KR20050004783U KR200384469Y1 KR 200384469 Y1 KR200384469 Y1 KR 200384469Y1 KR 20050004783 U KR20050004783 U KR 20050004783U KR 200384469 Y1 KR200384469 Y1 KR 200384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guide member
putting
putt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행
Original Assignee
이명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행 filed Critical 이명행
Priority to KR20-2005-0004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퍼팅 연습시에 퍼팅거리, 퍼터의 직진도 유지 등과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퍼팅자세를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퍼팅 연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골프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후방 측에 볼을 올려 놓고 연습자가 퍼터로 퍼팅을 연습하는 매트와, 매트의 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충격량 감지센서와, 이 충격량 감지센서에 접속되어 퍼팅거리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와, 매트의 양측면에 직립배치되어 퍼터의 클럽 이동을 안내하도록 소정 폭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퍼팅 연습기{Golf putting training device}
본 고안은 골프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연습시에 퍼팅거리, 퍼터의 직진도 유지 등과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퍼팅자세를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퍼팅 연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골프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라 함은 골프 코스 위에 정지해 있는 골프공을 골프 클럽으로 잇달아 쳐서 정해진 홀(hole, 球孔)에 넣어 그 때까지 소요된 타수의 많고 적음으로 우열을 가리는 경기이다.
여기서, 퍼팅(putting)이라 함은 그린에서 퍼터로 볼을 홀에 넣기 위해 스트로크를 행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퍼팅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퍼팅 자세 및 퍼팅 거리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즉, 정확한 퍼팅을 구사하려면 그 퍼팅 시에 퍼터의 페이스(putter face)가 퍼터의 스트로크 방향에 대해 직각을 유지함과 동시에 호형상이 아닌 직선 상태로 움직여야지만 즉, 퍼터를 직진 이동시키면서 스트로크를 행하여야지만 볼을 원하는 방향으로 올바르게 굴려 보낼 수 있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정확한 퍼팅 자세는 반복된 연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퍼팅 시에 퍼터로 볼을 타격할 때의 충격량에 따라 퍼팅 거리가 산출되는 바, 골퍼는 그 타격하는 힘을 적당히 조절하여 정확한 퍼팅 거리를 도모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퍼팅동작을 효과적으로 연습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골프퍼팅 연습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골프퍼팅 연습기는 인조잔디 등으로 이루어진 매트의 일측단부에 홀이 형성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골퍼가 그 퍼팅 연습시에 퍼팅 자세 및 퍼팅 거리 등을 적절히 교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퍼팅 연습시에 퍼팅거리 조절, 퍼터의 직진도 유지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퍼팅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팅 연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골프퍼팅 연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방 측에 볼을 올려 놓고 연습자가 퍼터로 퍼팅을 연습하는 매트와, 매트의 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충격량 감지센서와, 이 충격량 감지센서에 접속되어 퍼팅거리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와, 매트의 양측면에 직립배치되어 퍼터의 클럽 이동을 안내하도록 소정 폭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는 그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안내로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이드부재는 매트의 일측면 상에 고정되고, 제2가이드부재는 매트의 타측면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가이드부재의 하부면에는 슬라이드판이 돌출되어 매트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슬라이드판이 매트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로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된 위치를 특정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구조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고정구조는, 매트의 후방면 상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에 대응하여 제2가이드부재의 슬라이드판에도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매트의 통공 및 슬라이드판의 통공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구가 삽입됨에 따라 제2가이드부재가 특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매트의 후방측에 볼이 안착되는 소정 영역에는, 연습자가 스트로크하는 퍼터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제3가이드부재는 그 전후단부 상에 한 쌍의 지지간이 하향 수직으로 구비되고, 제3가이드부재는 한 쌍의 지지간에 의해 매트 상부 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지지간은 그 하단부에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이 장착돌기는 매트의 후방 측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공 상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된다.
대안적으로, 매트의 전방 측에는 다수의 보조매트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러한 보조매트 중에서 최전방의 보조매트에는 홀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매트의 좌우 양측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다수의 볼이 채워진 볼용기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고, 이러한 볼 용기는 그 내부의 매트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퍼팅 연습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퍼팅 연습기는 후방 측에 볼(25)을 올려 놓고 연습자가 퍼터(5)로 퍼팅을 연습하는 매트(10)와, 매트(10)의 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충격량 감지센서(11)와, 이 충격량 감지센서(11)에 접속되어 퍼팅거리를 외부에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12)와, 매트(10)의 양측면에 직립배치되어 퍼터(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 14)를 포함한다.
매트(10)는 그 표면에 인조잔디 또는 카페트 등이 표착된 연습용 퍼팅그린의 역할을 하고, 이러한 매트(10)는 선고후저형의 경사면을 가지거나 좌우 양측으로 기울임을 주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충격량 감지센서(11)는 매트(10)의 전방 소정위치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연습자에 의해 스트로크된 볼(25)의 충격량을 감지한 후에 그 충격량을 퍼팅 거리로 환산하여 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충격량 감지센서(11)의 분리가능한 장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량 감지센서(11)의 하부면에 복수의 장착돌기(11a)가 구비되고, 이러한 장착돌기(11a)들에 대응하여 매트(10)의 전방 측 상부면에 다수의 장착홈(10a)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충격량 감지센서(11)의 분리장착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표시부(12)는 충격량 감지센서(11)에서 환산된 퍼팅 거리를 디지털화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 14)가 매트(10)의 좌우 양측면 상에 직립배치됨에 따라 채널형상의 안내로(15)가 형성되고, 이 안내로(15)는 퍼터(5, putter)의 페이스(5a)가 볼(25)의 진행방향(즉, 스트로크 방향)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퍼터(5)의 헤드(5b) 직진이동을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가이드부재(13, 14)는 매트(10)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그 일측 또는 양측 모두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 14)에 의해 형성된 안내로(15)의 폭을 가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3, 14)의 이동가능한 구조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3)는 매트(10)의 일측면 상에 고정되고, 제2가이드부재(14)는 매트(10)의 타측면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2가이드부재(14)의 하부면에는 슬라이드판(14a)이 돌출되어 매트(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슬라이드판(14a)이 매트(1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 14)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로(15)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안내로(15)의 폭 가변구조는 제조사에 따라 퍼터(5)의 헤드(5b) 폭이 상이하므로, 이러한 퍼터(5)의 헤드(5b) 폭에 대응하여 그 안내로(15)의 폭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부재(13, 14)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는, 도 1 및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0)의 후방면 상에 다수의 통공(10b)이 형성되고, 이 통공(10b)에 대응하여 제2가이드부재(14)의 슬라이드판(14a)에도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4b)이 형성되며, 이러한 매트(10)의 통공(10b) 및 슬라이드판(14a)의 통공(14b)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구(17)가 삽입됨에 따라 제2가이드부재(14)는 특정위치에서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매트(10)의 후방측에 볼(25)이 안착되는 소정 영역에는, 연습자가 스트로크하는 퍼터(5)의 샤프트(5b)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재(18)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재(18)는 그 전후단부 상에 한 쌍의 지지간(19)이 하방으로 직각으로 구비되고, 제3가이드부재(18)는 한 쌍의 지지간(19)에 의해 매트(10) 상부 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지지간(19)은 그 하단부에 장착돌기(19a)가 구비되고, 이 장착돌기(19a)는 매트(10)의 후방 측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공(10d) 상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에 따라, 제3가이드부재(18)는 그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재(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터(5)의 샤프트(5c) 좌측(실선 부분) 또는 샤프트(5c)의 우측(가상선 부분)에 배치되어 퍼터(5)로 그 퍼팅 연습시에 그 샤프트(5c)의 직진 이동을 유지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매트(10)의 전방 측에는 다수의 보조매트(21, 22)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보조매트(21, 22) 중에서 최전방의 보조매트(21)에는 소정의 홀(25,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매트(21, 22)는 충격량 감지센서(11)를 매트(10)로부터 분리한 후에 매트(10)의 전방에 장착함으로써, 연습자는 볼(25)을 퍼팅하여 홀(25)에 집어 넣는 퍼팅 연습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매트(10)의 좌우 양측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다수의 볼(25)이 채워진 볼용기(28)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고, 이러한 볼 용기(28)는 그 내부의 매트(10)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28b)을 구비한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면에 다수의 장착후크(28a)가 형성되고, 각 장착후크(28a)는 제2가이드부재(14)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홈(10e)에 걸림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매트(10)의 후방 측에 볼(25)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연습자가 퍼터(5)로 볼(25)을 퍼팅하게 되면,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3, 14)에 의해 퍼터(5)의 페이스(5a)가 그 스트로크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안내되고, 또한 퍼터(5)의 샤프트(5c)는 제3가이드부재(18)에 의해 그 직진이동이 안내됨에 따라, 연습자는 그 퍼팅 연습 시의 퍼팅 얼라인먼트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퍼팅 연습시에 퍼팅거리 조절, 퍼터의 직진도 유지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퍼팅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팅 연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퍼팅 연습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 : 퍼터 10 : 매트
11 : 충격량 감지센서 12 : 표시부
13, 14 :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

Claims (7)

  1. 후방 측에 볼을 올려 놓고 연습자가 퍼터로 퍼팅을 연습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전방 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충격량 감지센서와,
    상기 충격량 감지센서에 접속되어 퍼팅거리를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와,
    상기 매트의 양측면에 직립배치되어 퍼터의 클럽 이동을 안내하도록 소정 폭의 안내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는 그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안내로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매트의 일측면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매트의 타측면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하부면에는 슬라이드판이 돌출되어 매트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드판이 매트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로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이동된 위치를 특정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구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조는, 매트의 후방면 상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에 대응하여 제2가이드부재의 슬라이드판에도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매트의 통공 및 슬라이드판의 통공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구가 삽입됨에 따라 제2가이드부재가 특정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후방측에 볼이 안착되는 소정 영역에는, 연습자가 스트로크하는 퍼터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가이드부재는 그 전후단부 상에 한 쌍의 지지간이 하향 수직으로 구비되고, 제3가이드부재는 한 쌍의 지지간에 의해 매트 상부 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지지간은 그 하단부에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이 장착돌기는 매트의 후방 측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공 상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전방 측에는 다수의 보조매트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보조매트들 중에서 최전방의 보조매트에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좌우 양측면 중에서 어느 일측면에 다수의 볼이 채워진 볼용기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 볼 용기는 그 내부의 매트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팅 연습기.
KR20-2005-0004783U 2005-02-23 2005-02-23 골프퍼팅 연습기 KR200384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83U KR200384469Y1 (ko) 2005-02-23 2005-02-23 골프퍼팅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783U KR200384469Y1 (ko) 2005-02-23 2005-02-23 골프퍼팅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469Y1 true KR200384469Y1 (ko) 2005-05-16

Family

ID=436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783U KR200384469Y1 (ko) 2005-02-23 2005-02-23 골프퍼팅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4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0201B2 (en) Golf putting trainer
AU2003206288A1 (en) Golf putting trainer
KR200384469Y1 (ko) 골프퍼팅 연습기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KR20170080003A (ko) 스윙 교정용 골프 매트
KR101144352B1 (ko) 골프용 퍼터
KR101864784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259309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334079Y1 (ko) 골프퍼팅훈련장치
KR100831080B1 (ko) 골프공의 퍼팅 타격 위치로 빔을 조사하기 위한 레이저빔이장착된 버클
KR102430587B1 (ko) 퍼터 페이스의 스퀘어 만들기 및 퍼팅 강도의 조절 훈련을 위한 퍼팅 연습장치
KR20090000194U (ko) 골프 퍼터 자세교정기
KR102588730B1 (ko) 퍼팅 연습기
KR200328278Y1 (ko) 퍼팅 연습기
KR20180061669A (ko) 골프용 퍼팅자세 연습장치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KR20180040259A (ko) 골프게임용 퍼팅연습장치
KR102229757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골프퍼팅 연습기
KR200469230Y1 (ko) 골프연습용 매트
KR20110009593U (ko) 골프퍼팅과 쇼트스윙 연습장치
US7686703B2 (en) Practice device for corrected golf swing
KR200328279Y1 (ko) 퍼팅 연습기
KR200233178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70064698A (ko) 골프 퍼팅 거리별 표준 연습 매트
KR20010113575A (ko) 퍼팅연습용 퍼터 및 이를 구비한 퍼팅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