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408Y1 -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408Y1
KR200384408Y1 KR20-2005-0005518U KR20050005518U KR200384408Y1 KR 200384408 Y1 KR200384408 Y1 KR 200384408Y1 KR 20050005518 U KR20050005518 U KR 20050005518U KR 200384408 Y1 KR200384408 Y1 KR 200384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lamp
reflector
embedded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섭
Original Assignee
박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섭 filed Critical 박경섭
Priority to KR20-2005-0005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2Composite shades, i.e. shades being made of distinc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5Optical desig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 및 세로의 면적이 규격품으로 이루어진 석고보드들이 시공된 천장에 매립되어 장착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매립되되, 횡단면 면적이 상기 석고보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면적에 형상맞춤되는 천장매립부와; 상기 천장매립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외곽플랜지부와;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피엘(PL) 램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천장매립부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석고보드의 현행 규격에 맞추어 반사갓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크기 및 구조에 맞게 적절한 램프를 채용함으로써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를 줄여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Metallic Reflector For Fluorescent Lamp}
본 고안은,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고보드의 현행 규격에 맞추어 반사갓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크기 및 구조에 맞게 적절한 램프를 채용함으로써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를 줄여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관한 것이다.
빛을 내는 전기기구로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에 형광등이 존재한다. 형광등이란 저압의 수은방전으로 방사된 자외선을 형광체에 의해서 가시광선으로 변환시켜 빛을 내는 방전 램프의 일종이다. 최근에는 베이스를 포함한 발광부분만을 형광램프라 하고, 기타 부속물로서의 안정기, 조명기구를 포함한 것을 형광등이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광원 색에 의한 구분에 따라 주광색, 주백색, 백색, 온백색 및 전구색 등의 종류가 있다.
이러한 형광등은 통상의 백열전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수명이 길고 전력소비가 낮기 때문에 가정집을 포함하여 학교나 일반 빌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지 형광등만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그 광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참고로, 광효율이란 빛의 효율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빛을 내는 전기기구가 수명을 다했을 때 새 제품에 비해 얼마만큼 빛을 발산할 수 있는지를 가리키는 척도이다.
따라서 형광등을 사용함에 있어 이왕이면 더 밝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둥근형 형광등에 비해 일자형 형광등이 효율이나 수명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현행 한국공업규격 기준에 따르면 둥근형 형광등은 수명이 대략 4000 시간 정도이지만 일자형 형광등은 대략 8000 시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2000 시간 후의 밝기도 일자형 형광등은 대략 90 %인데 반해 둥근형 형광등은 75 % 이상으로 그만큼 쉽게 어두워져 광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켜놓아야 하는 학교나 빌딩 등에서는 일자형의 형광등을 주로 애용하게 된다. 특히, 형광등을 별도의 천장 매립형 반사갓에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일자형 형광등이 가지는 효율 대비 광효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키고 있다. 만일, 고조도형 반사갓을 이용할 경우, 반사갓이 없는 제품의 절반으로도 원하는 조명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학교나 빌딩 등에서는 분위기 보다는 원하는 조도를 얻고자 하는 목적이 뚜렷하다. 따라서 별도의 커버가 없는 천장 매립형 반사갓을 이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일예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39093호에 천장 매립형 형광등 반사갓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갓(110)의 각 부분을 형성하는 수평 플랜지부(114), 매립판부(112) 및 수직 플랜지부(미도시)를 다일 판재 판금 가공의 방법으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반사갓(110)을 천장에 매립하고 형광등을 매립하여 등기구로써 사용하고 있는 것이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학교나 빌딩 등의 천장에는 단열을 유지하면서도 불연재의 외장 마감재로써 소위, 석고보드(1)를 주로 사용한다. 석고보드(1)는 건축 시방서의 규정에 의거 보통, 가로(P) 및 세로(Q)의 길이가 600 X 300 mm의 규격품으로 제조되며, 천장에 시공될 경우에는 벽돌쌓기 방식으로 판면방향으로 상호 교차배치된다.
이러한 석고보드(1)들이 천장에 마감재로서 시공된 상태에서 전술한 문헌의 반사갓(110)을 장착하려 한다면, 시공된 석고보드(1)들을 떼어내고 반사갓(110)을 장착해야 한다. 이 때, 일자형 형광등 중, 그 크기가 큰 대형 형광등(118)의 경우에는 그 길이(L)가 1200 mm의 규격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실제로 이러한 1200 mm의 대형 형광등(118)이 장착되는 상기 문헌의 반사갓(110)에서 매립판부(112)의 길이방향 길이(M)는 1200 mm를 넘는다.
이처럼 매립판부(112)의 길이방향 길이(M)가 1200 mm를 넘기 때문에 반사갓(110) 하나를 천장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2장의 석고보드(1)를 떼어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도시된 것처럼 2장의 석고보드(1) 외에 그 주변에 위치한 석고보드(1a,1b)의 일부분(A,B)을 더 절단해야만 비로소 하나의 반사갓(110)을 매립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많은 수의 반사갓(110)을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시공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로스(Loss)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만, 상기의 문헌에는 2장의 석고보드(1)를 떼어내고 반사갓(110)을 설치한다고 하고 있지만, 대형 형광등(118)의 길이(L)가 1200 mm로 규정되어 있는 이상, 상기의 문헌대로 매립판부(112)의 길이방향 길이(M)를 1200 mm로 맞출 수는 없다. 결국, 상기의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실제로 사용하기가 불가한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현행 규격품으로 제조되는 석고보드(1)의 규격에 맞추어 반사갓(10, 이하에서 설명할 도면부호임)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크기 및 구조에 맞게 적절한 램프를 채용하여 하나의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10)을 제조함으로써 반사갓(10)을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를 줄여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석고보드의 현행 규격에 맞추어 반사갓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크기 및 구조에 맞게 적절한 램프를 채용함으로써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를 줄여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가로 및 세로의 면적이 규격품으로 이루어진 석고보드들이 시공된 천장에 매립되어 장착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매립되되, 횡단면 면적이 상기 석고보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면적에 형상맞춤되는 천장매립부와; 상기 천장매립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외곽플랜지부와;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피엘(PL) 램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천장매립부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천장매립부의 횡단면 면적은 2개의 석고보드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엘(PL) 램프의 전장 치수는 실질적으로 200mm, 315mm, 407mm, 530mm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켓은 상기 천장매립부 내에 일자형으로 배치되거나 적어도 사각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엘(PL) 램프가 배치되는 상기 천장매립부의 판면에 마련되어 반사효율을 배가시키는 반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사지는, 일반 반사지, 고휘도 반사지 및 초고휘도 반사지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사갓이 천장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에서 반사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10)은 학교나 빌딩 등의 천장에 매립 시공된다. 이 때, 천장에는 단열을 유지하는 외장 마감재로서 소위, 석고보드(1)가 시공되어 있다.
참고로, 석고보드(1)란 소석고에 톱밥이나 펄라이트 등의 혼화재를 섞어 적당량의 물을 가해 잘 반죽한 것을 심으로 하여 표면을 두꺼운 종이로 피복하여 판모양으로 성형한 것을 가리킨다.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두꺼운 것은 불연재이고 얇은 것은 준불연재로서, 못을 박거나 칼로 절단이 가능하고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1)는 그 두께 차이는 있지만 건축 시방서의 규정에 의거 보통, 가로(P) 및 세로(Q)의 길이가 600 X 300 mm의 규격품으로 제조된다(도 1 참조).
천장에 시공된 석고보드(1)가 절단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반사갓(10)의 매립 설치를 위해 석고보드(1a,1b, 도 6 참조)를 부분적으로 절단 및 절개(A,B, 도 6 참조)하는 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석고보드(1)를 불필요하게 절단하지 않고, 필요한 수만큼의 석고보드(1)를 천장으로부터 떼어낸(분리한) 다음, 그 빈 자리에 그대로 반사갓(10)을 매립 설치함으로써 로스(Loss)를 최대로 줄이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10)은 크게, 천장매립부(12)와, 외곽플랜지부(14)를 갖는다. 여기서, 천장매립부(12)와 외곽플랜지부(14)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혹은 별도로 분리 제조되어 용접이나 볼트, 리벳 결합, 혹은 후크 결합될 수도 있다.
천장매립부(12)는 일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을 가지며, 석고보드(1)가 분리된 천장의 개구부(3)에 매립된다. 이러한 천장매립부(12)의 횡단면 면적은 석고보드(1)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면적에 형상맞춤되는 크기를 갖는다. 효율을 고려할 때, 천장매립부(12)의 횡단면 면적은 석고보드(1) 2개의 면적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즉, 천장매립부(12)의 횡단면 면적의 가로(2P) 및 세로(Q)의 길이가 1200 X 300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천장으로부터 2개의 석고보드(1)를 분리하면, 천장에는 2개의 석고보드(1)가 분리된 가로(2P) 및 세로(Q)의 길이가 1200 X 300 mm의 개구부(3)가 형성되는데, 천장매립부(12)의 횡단면 면적이나 2개의 석고보드(1)가 분리된 가로(2P) 및 세로(Q)의 길이가 동일하기 때문에 천장매립부(12)를 개구부(3)에 그대로 매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의 석고보드(1)를 일부분 절개하거나 절단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우수해진다. 다만, 천장매립부(12)를 형성함에 있어, 그 가로(2P)의 길이는 적어도 1200 mm를 넘지 않도록 가공해야 하지만 세로(Q)의 길이는 300 mm에 미치지 않더라도 외곽플랜지부(14)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관계없다.
외곽플랜지부(14)는 천장매립부(12)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천장의 석고보드(1)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반사갓(10)이 천장에 시공되면 외곽플랜지부(14)로 인해서 실제로 2개의 석고보드(1)를 합친 면적보다는 더 큰 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외곽플랜지부(14)는 본 반사갓(10)을 천장에 배치한 후, 석고보드(1)에 볼트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이므로 그 크기는 정해질 필요가 없고, 적절한 설계를 따르면 된다.
한편, 천장매립부(12)의 내부에는 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소켓(16)이 마련되어 있으며, 소켓(16)에는 소켓(16)으로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온오프(ON/OFF) 점멸되는 피엘(PL) 램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효율이 우수한 일자형 형광등 중에서 대형 형광등(118, 도 6 참조)의 경우에는 그 길이(L, 도 6 참조)가 1200 mm의 규격품으로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형광등(118, 도 6 참조)의 경우에는 본 고안의 반사갓(10)에 적용되기가 곤란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매립부(12)의 가로(2P) 길이를 석고보드(1) 2장에 해당하는 1200 mm로 하고 있는 바, 천장매립부(12)에 1200 mm의 형광등(118, 도 6 참조)을 장착하려 한다면 천장매립부(12)의 내부에 소켓(16)을 마련할 공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곤란하다. 다만, 천장매립부(12)의 가로(3P) 길이를 석고보드(1) 3장에 해당하는 1800 mm로 할 경우라면 일자형 대형 형광등(118, 도 6 참조)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천장매립부(12)의 가로 길이를 석고보드(1) 2장에 해당하는 1200 mm로 할 경우 본 반사갓(10)에 적용될 수 있는 램프는 피엘(PL) 램프(18)이다. 참고로, 피엘(PL) 램프(18)란 소켓(16)에 결합되는 결합부(18a)와, 관부(18b)로 이루어져 있다. 근자에 들어 학교나 빌딩을 포함하여 가정의 방이나 거실에 형광등의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형광등에 비해 전력 소비량이 적고 수명이 길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피엘(PL) 램프(18)는 와트(W) 수에 따라서 관부(18b)의 길이가 상이한데, 관부(18b)의 길이가 200mm, 315mm, 407mm, 530mm인 것이 시장에 규격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반사갓(10)과 같이, 천장매립부(12)의 가로(2P) 길이를 석고보드(1) 2장에 해당하는 1200 mm로 할 경우라면, 일자형 대형 형광등(118, 도 6 참조)의 장착이 곤란하기 때문에 관부(18b)의 길이가 200mm, 315mm, 407mm, 530mm 중 어느 하나인 피엘(PL) 램프(18)를 결합시키는데 특히 관부(18b)의 길이가 530mm인 피엘(PL) 램프(18)를 결합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피엘(PL) 램프(18)의 배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게 한 쌍의 소켓(16)을 설치하여 피엘(PL) 램프(18)를 일자형으로 배열하거나 혹은 제2실시예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매립부(12)의 판면 네 모서리 영역에 각각 4개의 소켓(16)을 두고 피엘(PL) 램프(18)를 사각구도 배치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다른 배치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천장에 시공된 석고보드(1) 2장을 떼어내고, 그 빈 공간의 개구부(3)로 본 반사갓(10)의 천장매립부(12)를 매립한다. 그리고는 외곽플랜지부(14)로 볼트를 삽입하여 석고보드(1)에 고정한 후, 천장매립부(12)의 소켓(16)에 피엘(PL) 램프(18)를 장착함으로써 반사갓(10) 및 피엘(PL) 램프(18)의 설치가 간단하게 마무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석고보드(1)의 현행 규격에 맞추어 반사갓(10)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크기 및 구조에 맞게 적절한 피엘(PL) 램프(18)를 채용함으로써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를 줄여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및 제4실시예로서 천장매립부에 적용될 수 있는 고휘도 및 초고휘도 반사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방법을 떠나 램프에 의한 반사효율을 좀 더 높이고자 한다면, 램프가 장착되는 천장매립부(12)의 판면에 반사효율을 배가시키는 수단으로써 별도의 반사지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반사지는 일반 반사지(미도시), 고휘도 반사지(20) 및 초고휘도 반사지(21)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일반 반사지는, 봉입렌즈형(Enclosed Lens) 구조 반사지로서, 통상적으로 옥외광고판이나 스티커 등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반사지이다.
이에 반해, 고휘도 반사지(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층을 따라 보호지(20a), 접착제층(20b), 반사막(20c) 및 유착지(20d)가 형성되고, 유착지(20d)와 특수투명플라스틱(20e) 사이에 공기층(20f)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층(20f)과 유착지(20d) 사이에는 미세한 유리구슬(20g)이 마련되어 있다. 고휘도 반사지(20)는 그 내부로 공기층(20f)을 형성, 미세한 유리구슬(20g)을 공기층(20f)에 노출시킨 캡슐렌즈용(Encapsulated Lens) 구조 반사지로서, 일반 반사지보다 3배 이상의 반사성능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반사효율을 형성한다.
초고휘도 반사지(2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지(21a), 접착제층(21b)이 형성되고, 접착제층(21b)의 상부에 고휘도 반사지에 비해 층이 좁은 유착지(21c)가 마련된다. 유착지(21c)와 특수투명플라스틱(21d) 사이에는 마찬가지로 공기층(21e)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기층(21e)에는 3면각 입방체 플라스틱(21f)가 개재되고 그 하부에 삼각치형의 봉합필름(21g)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초고휘도 반사지는, 기술이 집약된 특수 입체방(Prismatic Cube Corner) 구조의 첨단 반사제품으로 특히 입사각이 큰 상황에서의 성능이 뛰어나 오랜 수명과 높은 반사성능을 요하는 곳에 주로 채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일반 반사지, 고휘도 반사지(20) 및 초고휘도 반사지(21) 중 어느 하나를 천장매립부(12)에 마련함으로써 램프의 빛이 해당 반사지에 반사되어 보다 높은 반사 효율로써 빛을 밝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반사지 외에 반사용 거울을 부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석고보드의 현행 규격에 맞추어 반사갓의 크기를 조절하고, 조절된 크기 및 구조에 맞게 적절한 램프를 채용함으로써 천장에 시공하기 위한 노력과 작업공수를 줄여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로스(Loss) 발생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반사갓이 천장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에서 반사갓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갓이 천장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및 제4실시예로서 천장매립부에 적용될 수 있는 고휘도 및 초고휘도 반사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천장 매립형 형광등 반사갓에 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석고보드 10 : 반사갓
12 : 천장매립부 14 : 외곽플랜지부
16 : 소켓 18 : 피엘(PL) 램프

Claims (6)

  1. 가로 및 세로의 면적이 규격품으로 이루어진 석고보드들이 시공된 천장에 매립되어 장착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매립되되, 횡단면 면적이 상기 석고보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면적에 형상맞춤되는 천장매립부와;
    상기 천장매립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의 판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외곽플랜지부와;
    인가된 전원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피엘(PL) 램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천장매립부의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매립부의 횡단면 면적은 2개의 석고보드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엘(PL) 램프의 전장 치수는 200mm, 315mm, 407mm, 530m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천장매립부 내에 일자형으로 배치되거나 적어도 사각구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엘(PL) 램프가 배치되는 상기 천장매립부의 판면에 마련되어 반사효율을 배가시키는 반사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지는, 일반 반사지, 고휘도 반사지 및 초고휘도 반사지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KR20-2005-0005518U 2005-03-02 2005-03-02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KR200384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18U KR200384408Y1 (ko) 2005-03-02 2005-03-02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518U KR200384408Y1 (ko) 2005-03-02 2005-03-02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408Y1 true KR200384408Y1 (ko) 2005-05-16

Family

ID=4368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518U KR200384408Y1 (ko) 2005-03-02 2005-03-02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4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0213B1 (en) Lighting device
US7052157B1 (en) Multi-function luminaire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US20160116136A1 (en) Edge lit fixture
WO2013153534A1 (en) Light source strip, lighting module and luminaire
WO2014151913A1 (en) Led luminair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KR20150027521A (ko) 천장형 엘이디 조명등
CA2662616A1 (en) Lighting fixture
GB2438636A (en) Ceiling tile with integrated LED
US10731826B2 (en) Low profile LED luminaire with low bright to dark ratio
KR200384408Y1 (ko) 천장 매립형 램프 반사갓
KR20080065951A (ko) 반사면 확대로 반사효율이 개선된 형광등 기구
KR20110132653A (ko) 엘이디바를 활용한 간접조명기구
KR20110093590A (ko) 엘이디조명장치
KR200481013Y1 (ko) 천장직착등 투광커버 형성구조
CN202144971U (zh) Led吸顶灯
KR101207355B1 (ko) 조도 개선과 인테리어적인 조명 연출이 가능한 꽃모양 형상의 입체적 반사커버
KR20150094267A (ko) 간접조사 방식을 적용한 led 등기구
KR200424007Y1 (ko) 측면 발광형 led를 이용한 비상 유도등
KR101049831B1 (ko) 엘이디조명장치
JP3156208U (ja) 照明具取付用反射シートおよび省電力化天井用照明具
KR101783173B1 (ko) 등커버의 윤곽선을 따라 다른 색상의 조명빛이 조사되는 엘이디 등기구
KR960006003Y1 (ko) 사무실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
KR200339093Y1 (ko) 천장 매립형 형광등 반사갓
TWI494526B (zh) 輕鋼架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