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185Y1 -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 Google Patents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185Y1
KR200384185Y1 KR20-2005-0005420U KR20050005420U KR200384185Y1 KR 200384185 Y1 KR200384185 Y1 KR 200384185Y1 KR 20050005420 U KR20050005420 U KR 20050005420U KR 200384185 Y1 KR200384185 Y1 KR 200384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t
bottom plate
lower body
upper body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진
Original Assignee
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진 filed Critical 강태진
Priority to KR20-2005-0005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Abstract

본 고안은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바다나 강가 등의 수상이나, 산(오름, 봉) 정상 혹은 능선, 건축물 옥상 등과 같은 지상에서 탑승자가 로케트를 타고 공중으로 쏘아 올려진 다음 이 로케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상 또는 지상 구조물에 장착되어 내부에 탑재된 로케트가 발사되는 로케트 포대와, 이 로케트 포대에 장착되고 탄성력과 궤도구동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여 로케트를 쏘아 올리는 로케트 추진수단을 포함하는 로케트 발사대와; 각각 선단부가 뾰족하면서 발사 후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대칭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이들 상, 하부몸체가 상호 결합상태에서 탑승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된 몸체와, 이 몸체에 부착 설치되어 탑승자 발쪽의 후면부를 형성하고 대칭된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몸체 분리시에 열릴 수 있도록 된 밑판과, 이 밑판 내부에 탑재되어 밑판 열림시에 펼쳐지도록 구성된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을 포함하는 로케트와; 탑승자가 착용하여 낙하할 때 사용하는 탑승자용 낙하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레저용 비행놀이기구{Flying device for leisure}
본 고안은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나 강가 등의 수상이나, 산(오름, 봉) 정상 혹은 능선, 건축물 옥상 등과 같은 지상에서 탑승자가 로케트를 타고 공중으로 쏘아 올려진 다음 이 로케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수준이 더욱 향상되고 주 5일제 근무 등 여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레프팅이나 번지점프 등 레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레저활동은 숲이나 평지, 그리고 강이나 바다 등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와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나날이 새로운 레저용 기구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레저용 기구는 그들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즐기도록 되어 있으며, 스키나 스케이트, 보드 종류와 같이 개인이 기구 등 용품을 직접 구입하여 즐기거나, 레프팅이나 번지점프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기구나 시설을 빌려쓰는 형태로 즐기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존의 레저용 기구들로 이미 식상해 있는 사용자들에게 계속해서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구의 개발이 절실하며, 특히 종래의 단순한 육상이나 수상레저가 아닌 보다 독창적이면서 새로운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신규한 레저용 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바다나 강가 등의 수상이나, 산(오름, 봉) 정상 혹은 능선, 건축물 옥상 등과 같은 지상에서 탑승자가 로케트를 타고 공중으로 쏘아 올려진 다음 이 로케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공중으로 발사된 후 하늘을 비행하는 새로운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레저용 비행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는,
해상 또는 지상의 구조물에 장착되어 내부에 탑재된 로케트가 발사되는 로케트 포대와, 이 로케트 포대에 장착되고 탄성력과 궤도구동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여 로케트를 쏘아 올리는 로케트 추진수단을 포함하는 로케트 발사대와;
각각 선단부가 뾰족하면서 발사 후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대칭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이들 상, 하부몸체가 상호 결합상태에서 탑승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된 몸체와, 이 몸체에 부착 설치되어 탑승자 발쪽의 후면부를 형성하고 대칭되는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몸체 분리시에 열릴 수 있도록 된 밑판과, 이 밑판 내부에 탑재되어 밑판 열림시에 펼쳐지도록 구성된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을 포함하는 로케트와;
탑승자가 착용하여 상기 로케트로부터 분리된 후 낙하할 때 사용하는 탑승자용 낙하산;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케트 포대에는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에 걸리도록 된 로프를 이용하여 발사 후에 탑승자가 분리된 로케트를 수거하기 위한 로프전동수단과, 상기 로케트 포대의 발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프전동수단은, 상기 로프가 감겨지는 롤러와; 이 롤러를 전동식으로 구동시켜주는 전동모터와; 상기 로프가 일정한 방향으로 풀리거나 감기도록 유도해주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장착되어 로케트 포대를 따라 이동 중인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 고정바에 걸리도록 된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해상 또는 지상의 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로케트 포대의 후단부를 힌지 고정시켜주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로케트 포대의 선단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케트 추진수단은, 상기 로케트의 밑판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추진시키는 탄성력 제공수단과;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를 로케트 포대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서 관성력을 제공하여 추진시키는 궤도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력 제공수단은, 상기 로케트 포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로케트의 밑판을 지지하게 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를 탄력지지하면서 압축 후 복원시에 발휘되는 탄성력을 상기 베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베이스를 강제로 당긴 후 풀어주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 후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 및 그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궤도구동수단은, 상기 로케트 포대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구동시 로케트 포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무한궤도와; 이 무한궤도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로케트 포대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무한궤도에 의해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 고정바를 걸어 당겨주어 추진력을 전달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밑판은 상기 상부몸체에, 상기 하부밑판은 상기 하부몸체에 부착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분리시에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이 함께 분리되면서 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의 하부에 상기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의 산줄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각각 전후의 두 부분으로 분리 구성되고, 각각 전후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의 두 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한쪽 부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과 나머지 한쪽 부분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로케트 포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상기 밑판 인근 후단부 중앙과 좌우 양측에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날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날개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출입홀을 통해 상기 밑판 내부에 설치된 작동관 안쪽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어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몸체 바깥쪽으로 돌출작동하는 지지로드와; 이 지지로드 및 상부몸체 외측면에 고정되어서 지지로드 돌출작동시에 펼쳐지도록 된 삼각날개와; 상기 지지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로케트 포대 내주면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된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및 밑판에는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상호 록킹하고 하기 해제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록킹해제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록킹수단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수단들을 동시에 록킹해제 동작시키는 해제조작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록킹수단은, 상기 하부몸체 좌우 테두리의 각 위치에 형성 구비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내에 설치된 스프링 및 결합부 내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탄력적으로 돌출/삽입작동하고, 상기 해제조작수단과 연결되어 그 조작에 의해 삽입작동되면서 록킹해제 동작하는 록킹핀과; 상기 상부몸체 좌우 테두리의 각 대응위치에 형성 구비되어 돌출작동한 상태의 록킹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제조작수단은, 탑승자가 발로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밑판에 지렛대 형태로 장착된 조작대와; 이 조작대와 상기 록킹수단들의 록킹핀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대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수단들의 록킹핀을 동시에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와; 상기 조작대의 일측부를 탄력지지하면서 조작대의 누름 해제시에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당김이 해제되도록 조작대를 리턴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앞쪽 부분 중앙에 설치된 고정핀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서 고정핀에 걸어준 상태에서 탑승자가 양 손으로 당겨서 자기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신체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앞쪽 부분에 좌우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장착홈 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작동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하부몸체로부터 위로 밀어주어 분리시키는 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바다나 강가 등의 수상이나, 산(오름, 봉) 정상 혹은 능선, 건축물 옥상 등과 같은 지상에서 탑승자가 로케트를 타고 공중으로 쏘아 올려진 다음 이 로케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 발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 발사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바다나 강가 등의 수상이나, 산(오름, 봉) 정상 혹은 능선, 건축물 옥상 등과 같은 지상에서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 설명과 도 1 및 도 2는 선박과 같은 해상 구조물을 사용하여 해상에서 이용이 가능하도록 적용시킨 예이다.
이하 설명에서 해상 구조물은 수상에서의 이용시인 경우에 해당하므로 지상에 설치된 지상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탑승자가 착용하게 되는 탑승자용 낙하산(100)과,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는 로케트(200)와, 이 로케트(200)에 추진력을 제공해주는 로케트 발사대(300)로 구성된다.
우선, 로케트 발사대(300)에 대해 설명하면, 이 로케트 발사대(300)는, 선박과 같이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10) 또는 기타 지상에 설치된 구조물에 장착되어 로케트(200)가 발사될 수 있고, 상하로 발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로케트 포대(310)와; 이 로케트 포대(310)에 장착된 로케트(200)에 발사를 위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로케트 추진수단(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로케트 포대(310)는 소정의 직경, 바람직하기로는 약 70 ~ 100cm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는 발사 후 탑승자로부터 분리된 로케트(200)를 수거하기 위한 로프전동수단(313)과, 상기 로케트 포대(310)의 발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31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케트 포대(310)에는 원통 형상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관통 절개된 가이드 구멍(311)이 형성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구멍(311)의 전방 끝단부에는 후술하는 고리(314a)를 안착시켜 놓을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지지쿠션(311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케트 포대(310)에는 가이드 구멍(311)과 대향하는 위치의 하부에 소정 크기로 절개 형성된 입구(312) 및 이 입구(312)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덮개(312a)가 구비되며, 이 덮개(312a)를 연 후 입구(312)를 통해 로케트(200)를 로케트 포대(310)에 탑재하게 된다.
상기 로프전동수단(313)은 일정 길이, 바람직하기로는 약 100 ~ 200m 정도의 로프(314)가 감겨지는 롤러(315a)와, 이 롤러(315a)를 전동식으로 구동시켜주는 전동모터(315b)와, 상기 로프(314)가 일정한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해주는 가이드 롤러(316)와, 상기 로프(314)의 단부에 장착된 고리(314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리(314a)는 원터치 방식, 즉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개구된 부분에 탄성지지를 받아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 스냅 훅(snap hook) 타입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로프전동수단(313)은 로케트 포대(310)를 지지해주는 해상 구조물(10) 또는 지상 구조물상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리(314a)는 가이드 구멍(311)의 전방 끝단부에 구비된 지지쿠션(311a)에 도 2와 같이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삽입된 고리(314a)에는 로케트 포대(310) 내에서 추진력을 받아 전방 이동하는 로케트(200)(하부몸체(210b))의 고정바(211)가 걸리어 끼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314a)는 로케트(200)와 함께 로프(314) 길이 한도 내에서 로케트(200)의 비행거리만큼 날아가게 되며, 탑승자가 로케트(200)로부터 분리되면 전동모터(315b)로 로프(314)를 감아 상기 로케트(200)를 회수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즉, 로케트 포대(310)에서 발사된 로케트(200)는 탑승자가 분리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에 의해 하늘에 떠있는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동모터(315b)로 로프(314)를 감아 로케트(200)를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17)은 해상 구조물(10) 또는 지상 구조물에 장착되어 로케트 포대(310)의 후단부를 힌지 고정시켜주는 힌지연결부(318)와, 이 로케트 포대(310)의 선단부와 해상 구조물(10)의 바닥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로케트 포대(3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해주는 유압실린더(319)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각도조절수단(317)은 상기 유압실린더(319)의 길이, 즉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로케트 포대(310)를 힌지연결부(318)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수평면상에 있는 해상 구조물(10)과 로케트 포대(3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로케트(200)가 날아가는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케트 포대(310)에는 로케트(200)에 소정의 힘으로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한 로케트 추진수단(3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케트 추진수단(320)은 추진력으로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발휘되는 힘을 로케트(200)에 제공하여 추진시키는 탄성력 제공수단(321)과, 로케트(200)를 로케트 포대(310)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서 관성력을 제공하여 추진시키는 궤도구동수단(326)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력 제공수단(321)은 로케트 포대(3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베이스(322)와, 이 베이스(322)를 지지하면서 압축 후 복원시에 발휘되는 탄성력을 상기 베이스(322)에 제공하는 탄성스프링(323)과, 상기 베이스(322)를 강제로 당긴 후 풀어주어 탄성스프링(323)의 압축 후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로부터 탄성스프링(323)의 탄성력이 베이스(322)에 제공되도록 하는 와이어(324) 및 구동수단(32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325)은 와이어(324)가 감겨지고 풀리는 권취부(325a)와, 이 권취부(325a)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3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322)는 상면에 스티로폼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을 씌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베이스(322)는 상면이 바로 로케트(200)의 후단(후술하는 밑판)을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탄성력을 받아 로케트(200)를 밀어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스티로폼을 씌워 사용함으로써, 베이스(322)가 로케트(200)를 밀 때 로케트(20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궤도구동수단(326)은 탄성력 제공수단(321)과 함께 로케트(200)에 추진력을 제공해주게 된다.
이러한 궤도구동수단(326)은 상기 로케트 포대(3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무한궤도(327)와, 이 무한궤도(327)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지지부(328)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무한궤도(327)는 구동모터(329)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구동모터(329)의 구동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로케트(200)의 추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327)는 로케트 포대(310)의 하측,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로케트 포대(3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311) 바로 아래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무한궤도(327)의 상면에는 중앙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부(328)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지지부(328)는 일종의 고리로서 상기 가이드 구멍(311)을 통해 로케트 포대(310)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지지부(328)는 로케트 포대(310) 안쪽에서 상기 무한궤도(327)의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로케트(200)의 고정바(211)를 걸어 당겨 로케트(200)에 추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로케트 발사대(300)에는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로케트(200)가 장착되고, 이 로케트(200) 내에는 탑승자가 탑승자용 낙하산(100)을 착용한 상태로 탑승하게 되며, 로케트(200)는 탑승자가 탑승한 채로 로케트 발사대(300)가 제공하는 추진력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이하, 로케트(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각각 로케트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케트(200)는,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로 구성되어 상하 대칭으로 분리 가능한 몸체(210)와; 이 몸체(210)에 뾰족한 선단부의 반대쪽, 즉 탑승자 발쪽으로 부착 설치되어 후면부를 형성하고,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몸체(210) 분리시에 열릴 수 있도록 된 밑판(220)과; 상기 밑판(220) 내부에 탑재되어 밑판(220) 열림시에 펼쳐지면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상부몸체(210a) 및 하부몸체(210b) 그리고 밑판(22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이면서 선단부가 뾰족한 로케트(200)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내부공간, 즉 탑승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밑판(220a)이 상기 상부몸체(210a)에, 상기 하부밑판(220b)이 상기 하부몸체(210b)에 부착되며, 발사된 후에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가 서로 분리되면서 그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가 로케트(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가 서로 분리되면서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 역시 서로 분리되고, 이에 그 내부에 탑재된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이 펼쳐지면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는 발사 후 서로 분리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을 통해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의 산줄(22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에 의해 공중에 뜬 상태로 천천히 낙하됨과 동시에 전술한 로프전동수단(313)에 의해 로케트 발사대(300) 지점으로 회수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210)는 전체적으로는 소정 두께의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부는 상기 밑판(220)에 의해 마감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210)는 상호 분리/결합 가능한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는 각각 그 내부에 탑승자가 서있는 상태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성인 키만큼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내부공간이 하나의 내부공간(탑승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록킹수단(230)에 의해 상호간 결합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는 각각 그 선단부가 뾰족한 형상이 되게 제작되며, 이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뾰족한 로케트(200) 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는 각각 길이 중간부분을 분리하여 전후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쪽에는 길이방향의 슬롯(212) 2개를 서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중첩되는 부위에서 상기 각 슬롯(212)에 일치될 수 있는 대응위치에 각각 체결홀(213)을 형성하여, 상기 각 슬롯(212) 및 체결홀(213)을 통해 볼트(214a)를 끼운 후 반대쪽에서 너트(214b)로 조여줌으로써, 전후 두 부분이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각각 전후 두 부분으로 분리 구성하고, 전후 분리된 두 부분이 슬롯(212) 및 체결홀(213)에 체결되는 볼트(214a) 및 너트(214b)의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성인이나 청소년 등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몸체(210)의 전체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몸체(210a) 및 하부몸체(210b)에 대하여 각각 2개씩의 슬롯(212)과, 4개씩의 체결홀(213) 및 체결점(볼트와 너트)이 구비되어 있으나, 그 수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10a)에는 개폐 가능한 투명 재질의 창(215)을 설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자가 이 창(215)을 열어 탑승자가 착용한 탑승자용 낙하산(100)의 묶음줄(120)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210b)에도 투명 재질의 창(216)을 설치하고, 이 창(216)을 통해 탑승자가 바깥 광경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 내부에는 스티로폼과 같이 물에 뜨면서 탑승자가 부딪히더라도 상처를 입지 않는 재질을 씌워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 사이에는 두 몸체(210a,210b)가 서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상호간을 잡아주는 별도 와이어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 와이어 대신 후술하는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 사이에 동일한 목적으로 별도 와이어를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케트(200)의 몸체(210)에는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상호 록킹하고 반대로 하기 해제조작수단(240)의 조작에 의해 록킹해제하도록 구성된 록킹수단(230)과, 이 록킹수단(230)의 록킹해제 조작을 위한 해제조작수단(240)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에서 서로 마주하는 좌우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상호 록킹시켜주는 복수개의 록킹수단(230)이 구비된다.
도면상에는 상기 록킹수단(230)이 좌우 각 테두리에 2개씩 총 4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수와 설치위치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 몸체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각 록킹수단(230)은, 상기 하부몸체(210b) 좌우 테두리의 각 위치에 형성 구비된 복수개의 결합부(231)와; 상기 각 결합부(231) 내에 설치된 스프링(232) 및 각 결합부(231) 내에서 상기 스프링(232)에 의해 지지되어 탄력적으로 돌출/삽입작동하고, 상기 해제조작수단(240)과 연결되어 그 조작에 의해 삽입작동되면서 록킹해제 동작하는 록킹핀(233)과; 상기 상부몸체(210a) 좌우 테두리의 각 대응위치에 형성 구비되어 돌출작동한 상태의 각 록킹핀(233)이 끼워져 결합되는 핀 수용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 록킹수단(230)은 록킹핀(233)이 결합부(231)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핀 수용부(234)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상호 록킹하도록 되어 있으며, 해제조작수단(240)의 조작에 의해 록킹핀(233)이 결합부(231)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핀 수용부(234)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록킹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록킹수단(230)은 하부몸체(210b)의 록킹핀(233)과 상부몸체(210a)의 핀 수용부(234)가 결합되는 방향이 록킹수단(230)을 기준으로 할 때 상방향이 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각 록킹수단(230)은, 각 록킹핀(233)의 선단이 위를 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각 핀 수용부(234)가 아래를 향해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록킹핀(233)이 해당 핀 수용부(234) 내에 아래에서 위로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각 록킹핀이 로케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앞쪽으로 이동하여 끼워지는 것임).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231)의 일 측면에 슬롯(231a)을 형성하고, 이 슬롯(231a)을 통해 결합부(231) 내측의 록킹핀(233)에 결합된 손잡이(235)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로케트(200)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가 조작하게 되는 상기 해제조작수단(240) 외에 별도로 외부의 보조자가 상기 손잡이(235)를 하측으로 조작하여 록킹핀(233)을 록킹해제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로케트 몸체(210) 외부에서 보조자가 각 록킹수단(230)의 손잡이(235)를 하측으로 잡아 당기는 경우 록킹핀(233)이 스프링(232)을 압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부(231) 내로 삽입동작하게 되고, 이때 록킹핀(233)이 핀 수용부(234)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록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해제조작수단(240)은 탑승자의 발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을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당겨주도록 구성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해제조작수단(240)은 탑승자가 발로 조작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하부밑판(220b)에 지렛대 형태로 장착되는 조작대(241)와, 이 조작대(241)와 상기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대(241)의 누름조작에 의해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을 동시에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242)와, 상기 조작대(241)의 일측부를 탄력지지하면서 조작대(241)의 누름 해제시에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242)의 당김이 해제되도록 조작대(241)를 리턴 회동시키는 스프링(243)로 구성된다.
여기서, 탑승자의 양쪽 발에 의해 동시에 조작될 수 있도록 2개의 조작대(241)가 설치되며, 각 조작대(241)는 하부밑판(220b) 상면에 장착된 브라켓(244)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조작대(241)에서 브라켓(244)이 결합된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일측부가 탑승자가 발로 누르는 부분이 되고, 반대쪽 타측부가 와이어(242)가 연결되는 부분이 된다.
이때, 탑승자가 발로 누르는 부분인 각 조작대(241)의 일측부는 그 하측으로 밑판(220)과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243)에 의해 지지되고, 이 스프링(243)은 탑승자가 일측부를 발로 누른 상태에서 압축되는 반면 발을 들어주게 되면 일측부를 상방으로 올려주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43)은 각 조작대(24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일측부가 위로 완전히 들어올려지도록 설치되는데, 운전자가 양 발로 조작대(241)의 일측부를 누르게 되면 압축되고, 발을 일측부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면 그 탄성력으로 각 조작대(241)를 리턴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일측부가 들어올려짐).
그리고, 상기 각 조작대(241)의 타측부에는 와이어(242)의 끝단이 연결되고, 이 와이어(242)는 하부몸체(210b) 내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42)는 연결구(245)를 매개로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과 연결되는데, 상기 각 연결구(245)는 와이어(242)상에서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이 위치된 곳에 고정 설치되어 각 결합부(231)의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217)을 통해 하부몸체(210b) 내측으로 돌출된 해당 록킹핀(233)의 돌출부(246)와 결합된다.
결국, 각 조작대(24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대(241) 하측 스프링(243)의 힘에 의해 일측부가 들어올려지면서 와이어(242)가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있게 되고, 이때 록킹핀(233) 또한 와이어(242)에 의해 하측(로케트 및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록킹핀(233)은 그 하측의 스프링(232)을 압축한 채 결합부(23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조작대(241)의 일측부를 하측으로 눌러주게 되면 조작대(241) 하측의 스프링(243)은 압축되고, 동시에 각 조작대(241)의 타측부가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어 조작대(241)에 의한 각 와이어(242)의 당김은 해제되며, 이에 의해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이 그 하측 스프링(232)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서 탄력적으로 돌출작동된다.
그리고, 다시 일측부의 누름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조작대 하측 스프링(243)의 탄성력에 의해 각 조작대(241)는 일측부가 위로 들어올려지는 리턴 회동을 하게 되고, 이에 각 와이어(242)가 후방으로 다시 당겨지면서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이 동시에 당겨지는 바, 각 록킹핀(233)은 그 하측의 스프링(232)을 압축하면서 모두 삽입작동을 하게 된다.
이를 탑승자의 조작상태 및 상, 하부몸체(210a,210b)간 록킹/록킹해제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탑승자가 로케트 몸체(210) 내에서 양 발로 각 조작대(241)의 일측부를 누른 상태에서는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이 모두 결합부(231) 내측의 스프링(232)에 의해 돌출된 상태가 되어 상부몸체(210a)의 해당 핀 수용부(234)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는 록킹핀(233)이 핀 수용부(234)에 걸리면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반면, 탑승자가 로케트 몸체(210) 내에서 각 조작대(241)의 일측부로부터 누르고 있던 발을 살짝 들어주거나 완전히 떼게 되면, 각 조작대(241)의 리턴 회동과 동시에 와이어(242)가 당겨지면서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핀(233)이 동시에 결합부(231) 내측으로 삽입작동하게 되고, 이때 상부몸체(210a)의 해당 핀 수용부(234)로부터 록킹핀(233)이 빠져나오면서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간 록킹이 해제되어 양측의 두 몸체(210a,210b)는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각 조작대(241)의 리턴 회동에 의해 와이어(242)가 당겨질 경우 이에 연결된 모든 록킹핀(233)이 동시에 결합부(231) 내측으로 삽입동작하여 록킹해제하게 되며,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탑승자가 양 발로 두 조작대(241)의 누름상태를 모두 해제해주어야 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도면부호 247은 와이어(242)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나타낸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수단(230)이 모두 록킹해제 동작된 상태에서 상부몸체(210a)가 하부몸체(210b)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부몸체(210b)의 앞쪽 부분에는 좌우 양측으로 밀대(251)를 설치한다.
상기 밀대(251)는 하부몸체(210b)의 앞쪽 부분에 장착홈(218) 내측의 스프링(252)에 의해 탄력적으로 돌출작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상부몸체(210a)를 위로 밀어주어 분리시킬 수 있도록 장착홈(218)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첨부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밀대에 의해 상부몸체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밀대(25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몸체(210a)를 하부몸체(210b)에 결합할 때는 밀대(251)가 스프링(252)을 압축하면서 장착홈(218) 내로 들어가도록 상부몸체(210a)를 눌러주어 결합하며,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이 동시에 해제될 때 밀대(251)는 스프링(252)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 이동하여 상부몸체(210a)를 위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대(251)가 설치됨으로써, 로케트(200)가 발사된 후 공중에서 탑승자가 해제조작수단(240)을 조작하여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간 록킹을 해제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251)에 의해 상부몸체(210a) 앞쪽 부분이 자동으로 들어올려지고, 이와 같이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부몸체(210a)가 기압 작용에 의해 하부몸체(210b)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몸체(210b)의 앞쪽 부분 중앙에는 후술하는 안전로프(112)를 걸어줄 수 있도록 고정핀(253)을 설치한다.
그리고, 하부몸체(210b)에는 외측으로 로케트 포대(3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54a,254b)가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뒷바퀴(254b)의 중간부분에 고정바(211)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바(211)는 로케트 추진수단(320)의 지지부(328)가 걸리는 부분으로, 로케트 추진수단(320)의 추진력을 지지부(328)를 통해 전달받는데 이용되고, 특히 로케트(200)가 로케트 포대(31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로프전동수단(313)의 고리(314a)가 끼워지게 되어 있는 바, 상기 로케트(200)가 로프(314)에 걸려진 상태로 날아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210a)에는 외측으로 밑판(220) 인근 후단부의 중앙과 좌우 양측에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날개부(255)가 설치된다.
상기 각 날개부(255)는 각 위치에서 상부몸체(210a) 바깥쪽으로 돌출작동하는 지지로드(256)와, 이 지지로드(256) 및 상부몸체(210a) 외측면에 고정되는 삼각날개(257)로 구성되며, 이 삼각날개(257)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천으로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지지로드(256)는 상부몸체(210a)의 출입홀(219)을 통해 후술하는 밑판(220) 내부에 설치된 작동관(258) 안쪽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며, 특히 작동관(258) 내부의 스프링(259)에 의해 지지되어 스프링(259)의 탄성력으로 돌출작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로드(256)의 선단에는 로케트 포대(310) 내주면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경량의 롤러(256a)가 설치된다.
결국, 로케트(200)가 로케트 포대(310) 내측으로 장착된 상태에서는 지지로드(256)가 스프링(259)을 압축한 상태로 상기 작동관(258)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삼각날개(257)가 접히게 되며, 이 삼각날개(257)는 로케트(200)가 발사되어 로케트 포대(310) 내를 이동하는 동안, 즉 지지로드(256)가 로케트 포대(310) 내에 있는 동안에는 계속 접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7b).
그리고, 로케트 포대(310) 밖에서는 각 지지로드(256)가 스프링(259)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돌출작동되는 바, 이때 각 삼각날개(257)는 모두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로케트(200)가 로케트 포대(310)를 벗어나면서 속에 있던 지지로드(256)가 튀어나와 각 삼각날개(257)가 펴지도록 함으로써, 로케트(200)가 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밑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날개부가 접혀진 상태 및 지지로드가 삽입된 상태의 상부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밑판(2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케트(200)의 후면부를 형성하여 로케트(200)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실질적으로 발을 짚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 되고, 또한 그 내부에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이 탑재되는 부분이다.
이 밑판(220)은 탄성력 제공수단(321)의 베이스(322)가 미는 부분이므로 추진력을 받더라도 그 충격이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바닥면에는 소정의 두께로 스티로폼이나 콜크로 마감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밑판(220)은 좌우 대칭으로 분리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밑판(220)만을 볼 때 좌우 대칭으로 분리되는 구성이나, 한쪽이 로케트 포대(3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몸체(210a)에 부착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이 하부몸체(210b)에 부착되어 하부에 위치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부분을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밑판(220b)은 하부몸체(210b) 후단부 내측으로 볼트(미도시됨) 및 너트(미도시됨) 등을 사용하여 완전 고정시키며, 상기 상부밑판(220a)은 상부몸체(210a) 후단부 내측으로 볼트(221)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되 볼트(221)를 쉽게 풀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이 조합된 밑판(220)의 내부에는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이 탑재되는데, 하부밑판(220b)의 상면에는 전술한 조작대(241) 및 스프링(243)이 설치되고, 상부밑판(220a)은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되어 낙하산 조정구(22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낙하산 조정구(222)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부밑판(220a)에는 양측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개폐판(22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밑판(220a)의 내부에는 세 방향으로 길게 고정된 작동관(258)이 설치되며, 각 작동관(258)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259)과, 상부몸체(210a)의 각 출입홀(219)을 관통하여 동작하는 지지로드(25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밑판(220a)에서 하부밑판(220b)과 마주하는 양측 테두리의 하면부에는 끼움홈(224a)이 형성 구비되고, 상기 하부밑판(220b)에서 양측 테두리의 하단에는 상기 끼움홈(224a)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224b)가 형성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밑판(220a)에서 상부몸체(210a) 후단부의 내주면과 마주 접하게 되는 원주면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확인창(225)이 형성 구비되며, 이 확인창(225)에는 투명 재질의 창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밑판(220) 내부에 낙하산을 탑재할 시에는, 상기 끼움홈(224a)에 돌기(224b)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상부밑판(220a)을 상기 하부몸체(210b)에 고정된 하부밑판(220b)과 결합하되, 이때 낙하산(226)이 접혀진 상태로 상기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 내부에 넣어지도록 하고, 이어 상기 개폐판(223)을 연 후 낙하산 조정구(222)를 통해 손을 넣어 밑판(220) 내 낙하산(226)의 상태 및 위치를 적절히 조정한 다음, 상기 확인창(225)을 통해 낙하산(226)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몸체(210a)를 하부몸체(210b)에 결합하면서 상부몸체(210a) 후단부의 내주면을 상부밑판(220a)의 원주면에 갖대대어 마주 접하게 한 뒤, 볼트(221)로 체결하여 상부몸체(210a)와 상부밑판(220a)을 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몸체(210a)가 하부몸체(210b)로부터 분리될 때 상부밑판(220a)은 상부몸체(210a)와 함께 하부밑판(220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내부에 탑재된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은 산줄(227)이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로케트(200) 발사 후 상, 하부몸체(210a,210b)의 분리와 동시에 상부밑판(220a)과 하부밑판(220b)이 좌우로 분리됨에 따라 펼쳐지게 되어 있는 바, 공중에서 동작시에 밑판(220)을 포함한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한꺼번에 부유시켜주게 된다.
다음으로, 탑승자용 낙하산(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8은 본 고안에서 탑승자가 로케트 내에 탑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상부몸체를 덮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탑승자용 낙하산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첨부한 도 9a는 본 고안에서 탑승자용 낙하산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본 고안에서 안전로프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탑승자 전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로케트(200) 내부에 탑승자가 발로 조작대(241)를 눌러준 상태로 탑승하여 각 록킹수단(230)이 록킹된 상태가 도시되었으며, 화살표는 해제시에 발의 이동방향 및 와이어(242)의 당김방향을 나타낸다.
해제시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안전로프(112)를 잡고 몸을 살짝 들어주면서 조작대(241)로부터 발을 떼게 되며, 이때 스프링(2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와이어(242)가 도면상의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각 록킹수단(230)의 록킹이 해제되어진다.
우선, 탑승자는 구명조끼 등 기본적인 안전장비를 착용하게 되며, 이와 같이 안전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어께, 가슴, 허리 등 상반신과 엉덩이 및 허벅지 등 하반신에 걸쳐 통상의 안전벨트(261)를 착용한다.
또한, 상기 탑승자용 낙하산(100)은 공중에서 로케트(200)와 분리된 후 탑승자가 안전하게 해상 또는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사용되는 낙하수단으로서, 산(傘)(110)과 다수의 산줄(111)로 이루어진 통상의 낙하산과 큰 차이는 없다.
단, 상기 탑승자용 낙하산(100)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후 일단 묶음줄(120)에 의해 묶여진 상태로 탑승자의 등쪽에 장착되며, 산줄(111)들이 탑승자가 착용한 하니스(harness)(130)의 타원형 링(131)에 연결 고정된다.
여기서, 탑승자가 어께 및 허리, 허벅지 등에 착용하게 되는 하니스(130)는 착용상태에서 등쪽으로 위치하도록 된 전후로 긴 타원형 링(131)을 가지며, 접혀진 후 묶음줄(120)에 의해 묶여진 탑승자용 낙하산(100)이 상기 타원형 링(131) 위로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탑승자용 낙하산(100)의 산줄(111)들 중 펼쳐진 상태에서 일부의 산줄들은 상기 타원형 링(131)의 전단부에 연결 고정되며, 그 나머지 산줄들은 상기 타원형 링(131)의 후단부에 연결 고정된다(도 10d 참조).
즉, 상기 탑승자용 낙하산(100)은 그 산줄(111)들이 하니스(130)에서 탑승자 등쪽에 위치하게 되는 타원형 링(131)에 연결 고정되되, 산줄 일부가 타원형 링(131)의 전단부에, 그 나머지가 후단부에 연결 고정되어 탑승자가 누운 자세로 낙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안전로프(112)가 안전벨트(261)의 가슴쪽 부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이 안전로프(112)는 일단이 안전벨트(261)의 가슴쪽 부분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탑승자 머리 위쪽을 거쳐 그 타단이 안전벨트(261)의 가슴쪽 부분 타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탑승자 머리 위쪽으로 둥글게 지나가는 안전로프(112)에는 탑승자용 낙하산(100)의 산줄(111)에 연결된 방향조정용 당김줄(113)이 연결되며, 통상의 낙하산에서와 마찬가지로 탑승자가 우측 또는 좌측의 당김줄(113)을 당겨 낙하산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로프(112)는 전술한 하부몸체(210b)의 고정핀(253)에 걸어준 상태에서 탑승자가 양 손으로 안전로프(112)를 잡게 되는데, 특히 로케트(200)가 발사 및 날아가는 동안 탑승자가 팔의 힘으로 안전로프(112)를 가슴쪽으로 당겨 자기 체중을 지탱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로케트 포대(310) 내에서 로케트(200)가 발사되는 순간에는 탄성력 제공수단(321)의 추진력이나 궤도구동수단(326)의 추진력이 로케트(200)에 가해지면서 밑판(220)에 의해 탑승자 하체 및 허리 등에는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바, 탑승자가 안전로프(112)를 가슴쪽으로 당겨 체중을 지탱시키는 경우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게 되고, 신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탄성력 제공수단(321)의 베이스(322)가 밑판(220)에 추진력을 가하면서 밑판(220)에 의해 탑승자에게는 상대적으로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나, 탑승자가 양 손으로 안전로프(112)를 잡고 당겨서 몸 전체를 가볍게 들어준 후 체중을 지탱하게 되면 밑판(220)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량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로프(112)는 로케트(200)가 발사된 후 이 로케트(200)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탑승자가 해제조작수단(240)의 조작대(241)를 발로 조작할 때 조작대(241)를 보다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탑승자가 안전로프(112)를 양 손으로 잡고 체중을 지탱시킨 후 가슴쪽으로 당겨서 신체를 위로 올려준 상태로 양 발을 들어올리게 되면 조작대(241)로부터 발을 더욱 쉽게 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안전로프(112)는 탑승자가 로케트(200)로부터 분리될 때 하부몸체(210b)의 고정핀(253)으로부터 함께 분리되어야 하므로 고정핀(253)에 끼우는 형태가 아닌 상측으로 고정핀(253)에 간단히 걸어주는 형태로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이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는 탑승자용 낙하산(100)을 등에 장착한 상태로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210b) 내에 등을 위로 하여 눕게 된다.
이후, 상부밑판(220a)을 하부밑판(220b)에 조립한 후 개폐판(223)을 열어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을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탑재하고, 확인창(225)을 통해 확인한 다음, 이상이 없으면 상부몸체(210a)를 하부몸체(210b)에 덮어 결합한다.
여기서,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를 결합하는 과정과 록킹하는 과정은 앞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보조자들이 로케트(200)를 로케트 포대(310) 내에 입구(312)를 통해 탑재하게 되며, 탑승자는 안에서 안전로프(112)를 고정핀(253)에 건 후 양 손으로 잡아준다.
이후, 보조자가 상부몸체(210a)의 창(215)을 열어 탑승자용 낙하산(100)을 묶고 있던 묶음줄(120)을 제거한 다음, 탄성력 제공수단(321)과 궤도구동수단(326)을 동시에 작동 개시시켜 로케트(200)를 발사하게 된다.
첨부한 도 10a ~ 도 10d는 본 고안에서 로케트가 발사된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로프전동수단(313)의 고리(314a)가 하부몸체(210b)의 고정바(211)에 걸린 상태로 로케트(200)와 로프(314)가 함께 날아가다가 탑승자가 안에서 양 손에 잡고 있는 안전로프(112)를 잡아 당김과 동시에 몸 전체를 들어주면서 각 조작대(241)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각 록킹수단(230)이 동시에 록킹해제 동작을 하게 된다.
이후,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간에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밀대(251)에 의해 상부몸체(210a)의 앞쪽 부분이 들어올려지면서 추후 공기압에 의해 상부몸체(210a)가 완전히 들어올려지게 되며, 이후 탑승자용 낙하산(100)이 펼쳐지면서 탑승자는 로케트(2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이후, 상부몸체(210a)와 하부몸체(210b)는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226)이 펼쳐져서 이를 통해 공중에서 천천히 낙하하게 되며, 이후 로케트 발사대(300)에서 로프전동수단(313)을 작동시켜 로케트(200)를 회수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로케트(200) 수거를 위한 로프전동수단(313)의 로프(314)를 보다 짧게 하여, 로케트(200)가 어느 정도 날아간 후 로프(314)가 그 길이에 의해 하부몸체(210b)의 비행을 순간 구속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상부몸체(210a)가 하부몸체(210b)로부터 앞쪽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면, 탑승자가 안에서 어떠한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상부몸체(210a)가 하부몸체(210b)에서 자동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로프(314)의 고리(314a)가 하부몸체(210b)의 고정바(211)에 걸린 상태로 로케트(200)가 로프(314)와 함께 날아가다가 로프(314)가 완전히 풀리게 되면 하부몸체(210b)가 로프(314)에 의해 순간 구속되는데, 이때 상부몸체(210a)가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슬립됨과 동시에 하부몸체(210b)의 록킹핀(233)으로부터 상부몸체(210a)의 핀 수용부(234)가 전방으로 분리되고, 또한 이들이 분리되는 순간 밀대(251)가 상부몸체(210a)를 위로 밀어주게 되므로, 이에 따라 록킹핀(233)이 동작하지 않더라도 상부몸체(210a)는 하부몸체(210b)와 자연히 분리되게 된다.
또한, 탑승자용 낙하산(100)이 펼쳐진 후 탑승자는 이를 통해 공중에서 아래를 보고 누운 상태로 천천히 낙하하게 되는데,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쪽에 있는 타원형 링(131)에 낙하산 전방에 있는 산줄들은 타원형 링(131)의 앞쪽 부분에, 후방에 있는 산줄들은 타원형 링(131)의 뒷쪽 부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행 중에 탑승자의 몸 자체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탑승자가 낙하 도중에 통상의 낙하산과 마찬가지로 좌측과 우측의 방향조정용 당김줄(113)을 적절히 당겨주어 조종하게 되면 원하는 방향 및 목적지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다나 강가 등의 수상이나 산(오름, 봉) 정상 및 능선 또는 건축물 옥상 등과 같은 지상에서 탑승자가 로케트를 타고 공중으로 쏘아 올려진 다음 이 로케트로부터 분리되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레저 스포츠로서 사용자가 공중으로 발사된 후 하늘을 날 수 있는 새로운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 발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 발사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의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각각 로케트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로케트 몸체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밀대에 의해 상부몸체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밑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비행놀이기구에서 날개부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탑승자가 로케트 내에 탑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a는 본 고안에서 탑승자용 낙하산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본 고안에서 안전로프의 연결상태를 보이기 위한 탑승자 전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a ~ 도 10d는 본 고안에서 로케트가 발사된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해상 구조물 100 : 탑승자용 낙하산
130 : 하니스 131 : 타원형 링
200 : 로케트 210 : 몸체
210a : 상부몸체 210b : 하부몸체
211 : 고정바 212 : 슬롯
213 : 체결홀 219 : 출입홀
220 : 밑판 220a : 상부밑판
220b : 하부밑판 226 :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
230 : 록킹수단 231 : 결합부
232 : 스프링 233 : 록킹핀
234 : 핀 수용부 240 : 해제조작수단
241 : 조작대 242 : 와이어
243 : 스프링 251 : 밀대
252 : 스프링 253 : 고정핀
254a, 254b : 바퀴 255 : 날개부
256 : 지지로드 257 : 삼각날개
257a : 롤러 258 : 작동관
259 : 스프링 300 : 로케트 발사대
310 : 로케트 포대 311 : 가이드 구멍
313 : 로프전동수단 314 : 로프
314a : 고리 315a : 롤러
315b : 전동모터 317 : 힌지연결부
318 : 유압실린더 318 : 각도조절수단
320 : 로케트 추진수단 321 : 탄성력 제공수단
322 : 베이스 323 : 탄성스프링
325 : 구동수단 327 : 무한궤도
328 : 지지부 326 : 궤도구동수단

Claims (16)

  1. 해상 또는 지상의 구조물에 장착되어 내부에 탑재된 로케트가 발사되는 로케트 포대와, 이 로케트 포대에 장착되고 탄성력과 궤도구동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하여 로케트를 쏘아 올리는 로케트 추진수단을 포함하는 로케트 발사대와;
    각각 선단부가 뾰족하면서 발사 후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대칭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이들 상, 하부몸체가 상호 결합상태에서 탑승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탑승자가 탑승하도록 된 몸체와, 이 몸체에 부착 설치되어 탑승자 발쪽의 후면부를 형성하고 대칭되는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기 몸체 분리시에 열릴 수 있도록 된 밑판과, 이 밑판 내부에 탑재되어 밑판 열림시에 펼쳐지도록 구성된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을 포함하는 로케트와;
    탑승자가 착용하여 상기 로케트로부터 분리된 후 낙하할 때 사용하는 탑승자용 낙하산;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케트 포대에는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에 걸리도록 된 로프를 이용하여 발사 후에 탑승자가 분리된 로케트를 수거하기 위한 로프전동수단과, 상기 로케트 포대의 발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프전동수단은,
    상기 로프가 감겨지는 롤러와;
    이 롤러를 전동식으로 구동시켜주는 전동모터와;
    상기 로프가 일정한 방향으로 풀리거나 감기도록 유도해주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장착되어 로케트 포대를 따라 이동 중인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 고정바에 걸리도록 된 고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해상 또는 지상의 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로케트 포대의 후단부를 힌지 고정시켜주는 힌지연결부와;
    상기 로케트 포대의 선단부와 상기 구조물 사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케트 추진수단은,
    상기 로케트의 밑판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추진시키는 탄성력 제공수단과;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를 로케트 포대의 길이방향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서 관성력을 제공하여 추진시키는 궤도구동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제공수단은,
    상기 로케트 포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로케트의 밑판을 지지하게 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를 탄력지지하면서 압축 후 복원시에 발휘되는 탄성력을 상기 베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베이스를 강제로 당긴 후 풀어주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압축 후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이어 및 그 구동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궤도구동수단은,
    상기 로케트 포대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구동시 로케트 포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무한궤도와;
    이 무한궤도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로케트 포대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무한궤도에 의해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로케트의 하부몸체 고정바를 걸어 당겨주어 추진력을 전달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밑판은 상기 상부몸체에, 상기 하부밑판은 상기 하부몸체에 부착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분리시에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이 함께 분리되면서 열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밑판과 하부밑판의 하부에 상기 로케트 수거용 낙하산의 산줄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각각 전후의 두 부분으로 분리 구성되고, 각각 전후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의 두 부분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한쪽 부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과 나머지 한쪽 부분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에는 상기 로케트 포대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상기 밑판 인근 후단부 중앙과 좌우 양측에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날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출입홀을 통해 상기 밑판 내부에 설치된 작동관 안쪽으로 길게 삽입 설치되어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몸체 바깥쪽으로 돌출작동하는 지지로드와;
    이 지지로드 및 상부몸체 외측면에 고정되어서 지지로드 돌출작동시에 펼쳐지도록 된 삼각날개와;
    상기 지지로드 선단에 설치되어 로케트 포대 내주면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된 롤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밑판에는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상호 록킹하고 하기 해제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 록킹해제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록킹수단과,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수단들을 동시에 록킹해제 동작시키는 해제조작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록킹수단은,
    상기 하부몸체 좌우 테두리의 각 위치에 형성 구비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내에 설치된 스프링 및 결합부 내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탄력적으로 돌출/삽입작동하고, 상기 해제조작수단과 연결되어 그 조작에 의해 삽입작동되면서 록킹해제 동작하는 록킹핀과;
    상기 상부몸체 좌우 테두리의 각 대응위치에 형성 구비되어 돌출작동한 상태의 록킹핀이 끼워져 결합되는 핀 수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해제조작수단은,
    탑승자가 발로 누름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밑판에 지렛대 형태로 장착된 조작대와;
    이 조작대와 상기 록킹수단들의 록킹핀간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대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수단들의 록킹핀을 동시에 록킹해제되는 방향으로 당겨주는 와이어와;
    상기 조작대의 일측부를 탄력지지하면서 조작대의 누름 해제시에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당김이 해제되도록 조작대를 리턴 회동시키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앞쪽 부분 중앙에 설치된 고정핀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서 고정핀에 걸어준 상태에서 탑승자가 양 손으로 당겨서 자기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신체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앞쪽 부분에 좌우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장착홈 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작동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를 하부몸체로부터 위로 밀어주어 분리시키는 밀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KR20-2005-0005420U 2005-03-02 2005-03-02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KR200384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20U KR200384185Y1 (ko) 2005-03-02 2005-03-02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20U KR200384185Y1 (ko) 2005-03-02 2005-03-02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185Y1 true KR200384185Y1 (ko) 2005-05-11

Family

ID=4368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420U KR200384185Y1 (ko) 2005-03-02 2005-03-02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1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76B1 (ko) 2007-01-05 2008-03-20 김종헌 비행체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76B1 (ko) 2007-01-05 2008-03-20 김종헌 비행체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6801B1 (en) Amusement ride
US5527223A (en) Swing type amusement ride
US6440002B1 (en) Top loading swing type amusement ride
DE202009018905U1 (de) Notauslösevorrichtung für Wintersportgeräte
US2005028811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pelling and carrying a user within a confined interior
KR20110011702A (ko) 케이블 이동 시스템
CA2419227A1 (en) Apparatus for an amusement ride and fall
US7575198B2 (en) Control handle for use with a towable airfoil
KR200384185Y1 (ko) 레저용 비행놀이기구
CA2270052C (en) Human free-flight catapult
EP0746394B1 (en) A steerable swinging device
US20230131147A1 (en)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seat for kite surfing and method thereof
US7114457B1 (en) Wakeboard jump enhancement system
KR20030037939A (ko) 레저용 로켓트 발사대 및 로켓트 구조
US20030197089A1 (en) Personal aircraft device
AU744294B2 (en) Amusement ride (Case B)
EP0998339B1 (en) Amusement device
AU744301B2 (en) Amusement ride (Case C)
KR200392906Y1 (ko) 구름판
US6210285B1 (en) Beach sling-jump amusement device
CN217041283U (zh) 一种户外游乐弹射装置
WO2020032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ove an object through space
CN103963981A (zh) 支线飞机反劫持的方法
US1106626A (en) Flying-machine.
CN116271606A (zh) 一种电力检修安全防坠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