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51Y1 -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 Google Patents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51Y1
KR200383751Y1 KR20040032566U KR20040032566U KR200383751Y1 KR 200383751 Y1 KR200383751 Y1 KR 200383751Y1 KR 20040032566 U KR20040032566 U KR 20040032566U KR 20040032566 U KR20040032566 U KR 20040032566U KR 200383751 Y1 KR200383751 Y1 KR 200383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r
port
output
input
pin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2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돈석
임주선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노돈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노돈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Priority to KR20040032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01P1/15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by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2Hybrid ring junction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식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RF 및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의 선로에 사용되어 핀다이오드의 동작에 의해 고주파 신호를 온/오프시키되, 상기 핀다이오드의 양단에 각각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와 그에 접속된 종단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핀다이오드를 대칭되도록 배치한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핀다이오드를 직렬 혹은 병렬로 접속하여 구현된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는 반사형 스위치로서 신호의 온/오프 기능은 수행하나 의도하지 않은 불요신호등이 유입될 경우 스위치뿐만 아니라 후단의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스위칭시에 저전력 소자 자체가 갖는 한계로 인해 고전력 신호는 온/오프할 수 없다고 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핀다이오드의 양단에 각각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와 그에 접속된 종단저항을 구비함으로써 오프된 단자로부터 유입되는 역방향 전력을 소멸시켜 스위칭 동작을 안정화함과 동시에 장비를 보호하고, 상기 핀다이오드를 대칭되도록 다수개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신호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Non-reflected RF switch composed of balance type}
본 고안은 각종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RF(Radio Frequency) 및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의 선로에 사용되어 핀다이오드(Pin Diode)의 동작에 의해 고주파 신호를 온/오프시키되, 상기 핀다이오드의 양단에 각각 하이브리드(Hybrid) 분배/결합기와 그에 접속된 종단저항(Termination)을 구비하고 상기 핀다이오드를 대칭되도록 배치한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및 마이크로웨이브 신호의 온/오프 기능을 위해서 사용되는 고주파 스위치는, 자화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동축 선로를 온/오프하는 고전력용의 기계식 스위치와 고주파 단일 집적회로(MMIC;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핀다이오드 등의 소자에 의해 선로를 온/오프하는 저전력용의 전자식 스위치로 구분된다.
통상 핀다이오드를 직렬 혹은 병렬로 접속하여 구현된 도 1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는 바이어스(Bias) 단자로부터 핀다이오드(D1)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핀다이오드는 저임피던스가 되어 선로는 온(ON) 상태로 되므로 입력단자(101)로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출력단자(102)로 전달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핀다이오드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핀다이오드는 고임피던스가 되고 선로가 오프(OFF) 상태로 되므로 입력단자(101)로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차단되어 출력단자(102)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도 1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식 스위치는 반사형 스위치로서 신호의 온/오프 기능은 수행하나 의도하지 않은 불요신호 등이 유입될 경우 스위치뿐만 아니라 후단의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스위칭시에 저전력 소자 자체가 갖는 한계로 인해 고전력 신호는 온/오프할 수 없다고 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핀다이오드의 양단에 각각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와 그에 접속된 종단저항을 구비함으로써 오프된 단자로부터 유입되는 역방향 전력을 소멸시켜 스위칭 동작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장비를 보호하고, 상기 핀다이오드를 대칭되도록 다수개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신호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는, 고주파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01);와 상기 입력단자(201)가 접속되는 입력포트,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1 출력포트, 18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출력포트 및 제 1 종단저항(206)이 접속되는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포트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제 1 출력포트와 제 2 출력포트에 각각 분기되어 출력되며 역방향 전력 및 불요 신호가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출력되어 소멸되도록 하는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의 제 1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의 제 1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는 제 1 핀다이오드(203);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의 제 2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의 제 2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되,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와 연동하는 제 2 핀다이오드(204);와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 접속되어 역방향 전력 및 불요신호를 소멸시키는 제 1 종단저항(206);과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의 타단이 접속되어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는 제 1 입력포트, 상기 제 2 핀다이오드(204)의 타단이 접속되어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는 제 2 입력포트, 출력단자(202)가 접속되는 출력포트 및 제 2 종단저항(208)이 접속되는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입력포트와 제 2 입력포트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어 출력되며 역방향 전력 및 불요 신호가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출력되어 소멸되도록 하는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와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 접속되어 역방향 전력 및 불요 신호를 소멸시키는 제 2 종단저항(208); 및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출력단자(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01);와 상기 입력단자(201)가 접속되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분기되어 출력되는 제 1 출력포트와 제 2 출력포트로 구성된 제 1 분배/결합기(205-1);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 분배/결합기(205-1)의 제 1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분배/결합기(207-1)의 제 1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는 제 1 핀다이오드(203);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 분배/결합기(205-1)의 제 2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분배/결합기(207-1)의 제 2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되,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와 연동하는 제 2 핀다이오드(204);와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1 입력포트, 상기 제 2 핀다이오드(204)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2 입력포트 및 출력단자(202)가 접속되는 출력포트로 구성된 제 2 분배/결합기(207-1); 및 상기 제 2 분배/결합기(207-1)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출력단자(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01);와 상기 입력단자(201)가 접속되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분기되어 출력되는 제 1 출력포트와 제 2 출력포트로 구성된 제 1 T-분배/결합기(205-2);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 T-분배/결합기(205-2)의 제 1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T-분배/결합기(207-2)의 제 1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는 제 1 핀다이오드(203);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 T-분배/결합기(205-2)의 제 2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T-분배/결합기(207-2)의 제 2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되,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와 연동하는 제 2 핀다이오드(204);와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1 입력포트, 상기 제 2 핀다이오드(204)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2 입력포트 및 출력단자(202)가 접속되는 출력포트로 구성된 제 2 T-분배/결합기(207-1); 및 상기 제 2 T-분배/결합기(207-1)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출력단자(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하는 제 1 분배수단과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 제 2 분배수단과 제 1 분배/결합기(205-1), 제 3 분배수단과 제 1 T-분배/결합기(205-2), 제 1 결합수단과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 제 2 결합수단과 제 2 분배/결합기(207-1), 제 3 결합수단과 제 2 T-분배/결합기(207-2)는 각각 동일한 부재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는,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01)와, 상기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와,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및 제 2 출력포트에 각각 일단이 접속되되 연동하여 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와, 상기 제 1 및 제 2 핀 다이오드의 타단에 각각 제 1 및 제 2 입력포트가 접속되는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와,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출력단자(202)와,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종단저항(206, 20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IN, n1),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1 출력포트(-90, n2), 18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출력포트(-180, n3) 및 제 1 종단저항(206)이 접속되는 아이솔레이션 포트(ISO, n4)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포트들은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포트간의 전기적 길이는 λ/4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입력포트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분기되어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제 1 출력포트로 출력되고, 18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제 2 출력포트로 출력되며, 역방향 전력 또는 불요 신호는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출력되어 그에 접속된 제 1 종단저항(206)에 의해 소멸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는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그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고주파 신호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핀다이오드를 밸런스형으로 배치하고 이들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전력 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는, 제 1 핀다이오드(203)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1 입력포트(-180, n3), 제 2 핀다이오드(204)의 타단이 접속되는 제 2 입력포트(-90, n2),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포트(OUT, n1) 및 제 2 종단저항(208)이 접속되는 아이솔레이션 포트(ISO, n4)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포트들은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포트간의 전기적 길이는 λ/4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포트에 입력된 신호는 각각 180°와 90°의 위상차를 갖고 합성되어 출력포트로 출력되며, 역방향 전력 또는 불요 신호는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출력되어 그에 접속된 제 2 종단저항(208)에 의해 소멸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렬 접속 핀다이오드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병렬 접속 핀다이오드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도 3과 도 4는 제 1 핀다이오드(203)만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으나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 2 핀다이오드(204)의 경로도 상기 제 1 핀다이오드와 연동하여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서 제 1 내지 제 3 분배수단, 즉 상기 도 2의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 후술하는 도 7의 제 1 분배/결합기(205-1) 및 도 8의 제 1 T-분배/결합기(205-2)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바이어스 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핀다이오드(D1)가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결합수단, 즉 상기 도 2의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 후술하는 도 7의 제 2 분배/결합기(207-1) 및 도 8의 제 2 T-분배/결합기(207-2)로 전달되거나 차단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도(Isolation)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핀다이오드(D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도 4에서 제 1 내지 제 3 분배수단(205, 205-1, 205-2)으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바이어스 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신호에 의해 핀다이오드(D1)가 온 또는 오프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결합수단(207, 207-1, 207-2)으로 전달되거나 차단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분배수단과의 접속점으로부터 핀다이오드(D1)의 단자까지 형성되는 선로의 전기적 길이는 최대 전력 조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λ/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전력을 스위칭하기 위하여 핀다이오드(D1', D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온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에 바이어스 신호가 인가되어 스위치를 온시키면 핀다이오드들이 도통되어 입력단자(201)로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소정의 경로를 거쳐 출력단자(202)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입력단자(201)를 통해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의 입력포트(IN, n1)로 입력된 신호는 분기되어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제 1 출력포트(-90, n2)로 출력되고, 18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제 2 출력포트(-180, n3)로 출력되며, 반사된 역방향 전력이나 기타 의도하지 않은 불요 신호는 아이솔레이션 포트(ISO, n4)로 출력되어 그에 접속된 제 1 종단저항(206)에 의해 소멸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를 통과하게 되면 원하는 신호만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에 전달되고 나머지 신호들은 차단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를 거친 신호들은 각각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7)의 제 1 입력포트(-180, n3)와 제 2 입력포트(-90, n2)로 입력되며, 상기 제 1 입력포트에 입력된 신호는 180°의 위상차를 갖고 제 2 입력포트에 입력된 신호는 90°의 위상차를 갖게 되는데, 이들 신호가 합성되어 출력포트(OUT, n1)로 출력되며, 반사된 역방향 전력이나 기타 의도하지 않은 불요 신호는 아이솔레이션 포트(ISO, n4)로 출력되어 그에 접속된 제 2 종단저항(208)에 의해 소멸된다.
이와함께, 도 4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 207)는 그 구조가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포트들(IN/OUT, -90, -180, ISO)은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포트간의 전기적 길이가 λ/4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핀다이오드(203)를 통과하는 제 1 신호경로(도 5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와 제 2 핀다이오드(204)를 통과하는 제 2 신호경로(도 5에서 굵은 점선으로 표시)의 전체 경로 길이는 동위상 신호가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오프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가 오프된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205, 207)가 전기적으로 완전히 차단되며 입력단이나 출력단에 각각 인가될 수 있는 반사된 역방향 전력이나 기타 의도하지 않은 불요 신호는 제 1 및 제 2 종단저항(206, 208)에 의해 모두 소멸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윌킨슨(Wilkinson) 방식의 분배/결합기를 사용한 것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T형 분배/결합기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은 입력단자(201)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제 1 및 제 2 분배수단(205-1, 205-2)으로 분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203, 204)를 거친 후 제 1 및 제 2 결합수단(207-1, 207-2)으로 결합하는 구조로서, 상기 도 2에서와 같은 제 1 및 제 2 종단저항(206, 208)은 사용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소정의 타임슬롯(time slot)을 갖고 송수신 신호를 온/오프하는 시분할 이중통신(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의 송수신부 블록도이다.
도 9(a)에서는 송신 신호가 전력 증폭기(301)에서 소정 출력으로 증폭된 후 송신필터(302)에서 필터링된 다음 스위치(303-1)를 거쳐 안테나(304)를 통해 송신되며,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스위치(303-2)를 통과한 후 수신필터(305)에서 수신 대역만 통과되어 저잡음 증폭기(306)로 증폭된다.
이와는 달리, 도 9(b)에서는 전력 증폭기(301)에서 소정 출력으로 증폭된 송신신호가 스위치(303-1)를 거쳐 서큘레이터(307)와 송수신 필터(308)에 의해 필터링되어 안테나(304)를 통해 송신되며,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수신 신호는 송수신 필터(308)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서큘레이터(307)와 스위치(303-2)를 통과한 후 저잡음 증폭기(306)로 증폭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핀다이오드의 양단에 각각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와 그에 접속된 종단저항을 구비함으로써 오프된 단자로부터 유입되는 역방향 전력을 소멸시켜 스위칭 동작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장비를 보호하고, 상기 핀다이오드를 대칭되도록 다수개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신호를 온/오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핀다이오드를 사용한 스위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직렬 접속 핀다이오드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병렬 접속 핀다이오드 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온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오프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01. 입력단자 102, 202. 출력단자
203. 제 1 핀다이오드 204. 제 2 핀다이오드
206. 제 1 종단저항 208. 제 2 종단저항
205, 205-1, 205-2. 제 1 내지 제 3 분배수단
207, 207-1, 2075-2. 제 1 내지 제 3 결합수단

Claims (10)

  1. 고주파 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가 접속되는 입력포트와, 9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1 출력포트와, 180°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는 제 2 출력포트 및 제 1 종단저항이 접속되는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포트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제 1 출력포트와 제 2 출력포트에 각각 분기되어 출력되며 역방향 전력 및 불요신호가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출력되어 소멸되도록 하는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
    그 일단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는 제 1 핀다이오드;
    그 일단이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2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2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신호를 온/오프하되, 상기 제 1 핀다이오드와 연동하는 제 2 핀다이오드;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 접속되어 역방향 전력 및 불요 신호를 소멸시키는 제 1 종단저항;
    상기 제 1 핀다이오드의 타단이 접속되어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는 제 1 입력포트와, 상기 제 2 핀다이오드의 타단이 접속되어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는 제 2 입력포트와, 출력단자가 접속되는 출력포트 및 제 2 종단저항이 접속되는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입력포트와 제 2 입력포트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합성되어 출력되며 역방향 전력 및 불요 신호가 아이솔레이션 포트로 출력되어 소멸되도록 하는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아이솔레이션 포트에 접속되어 역방향 전력 및 불요 신호를 소멸시키는 제 2 종단저항; 및
    상기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핀다이오드는 일단이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입력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핀다이오드는 일단이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2 출력포트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2 입력포트에 접속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가 연동하여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입력포트와,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출력포트와, 제 1 핀다이오드와,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1 입력포트와,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출력포트를 통과하는 선로의 전기적 길이와,
    상기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입력포트와, 제 1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2 출력포트와, 제 2 핀다이오드와,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제 2 입력포트와, 제 2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의 출력포트를 통과하는 선로의 전기적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4. 고주파 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
    상기 입력단자가 접속되는 입력포트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2 이상의 경로로 분배하여 출력포트들로 출력하는 분배수단;
    상기 분배수단의 출력포트들에 그 일단이 접속되는 2 이상의 핀다이오드들;
    상기 핀다이오드들의 타단과 접속되는 입력포트들에 입력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출력포트로 출력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결합수단의 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과 결합수단은 하이브리드 분배/결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과 결합수단은 윌킨슨 분배/결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과 결합수단은 T-분배/결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는,
    밸런스형으로 배치되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전력 신호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는 직렬 접속 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다이오드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핀다이오드는 병렬 접속 방식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다이오드 소자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분배수단과의 접속점으로부터 핀다이오드의 단자까지 형성되는 선로의 전기적 길이가 λ/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KR20040032566U 2004-11-17 2004-11-17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KR200383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2566U KR200383751Y1 (ko) 2004-11-17 2004-11-17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2566U KR200383751Y1 (ko) 2004-11-17 2004-11-17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51Y1 true KR200383751Y1 (ko) 2005-05-09

Family

ID=4156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2566U KR200383751Y1 (ko) 2004-11-17 2004-11-17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3726A1 (en) * 2005-10-13 2007-04-19 Kmw Inc. Radio frequency sw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3726A1 (en) * 2005-10-13 2007-04-19 Kmw Inc. Radio frequency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5940B2 (en) Multiband R. F. switching device
US6362685B1 (en) Power amplifier with multilevel power modes
US82952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DD/TMA with hybrid bypass switch of receiving amplifier
US20040095190A1 (en) Balanced power amplifier with a bypass structure
US7639102B2 (en) Reconfigurable duplexing couplers
JP4320031B2 (ja) アンテナに対して送受信器を作動させるための回路配置
US7688765B2 (en) TDD switch of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56859B2 (en) R.F. antenna switch for use with internal and external antennas
US8130874B2 (en) By-pass arrangement of a low noise amplifier
US7079815B2 (en)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transceiver
US5669068A (en) Complimentary switched amplifier transceiver system
KR100279490B1 (ko) N-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US20100026388A1 (en) Balanced Amplifying Device Having a Bypass Branch
US4985689A (en) Microwave semiconductor switch
KR200383751Y1 (ko) 밸런스형 무반사 스위치
US7800438B2 (en) Bypass device for microwave amplifier unit
US7061315B2 (en) Auxiliary amplifier network
KR100521422B1 (ko) 스위칭 가능한 전력 분배기/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할당 장치
KR100346746B1 (ko) 스위칭 가능한 2-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EP3701629B1 (en) Radio frequency front e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6856187B2 (en) High frequency switch module
WO1987000696A1 (en) Active microwave switcher
JP4367423B2 (ja) 高周波スイッチ
KR100743425B1 (ko) 시분할복신 무선통신시스템의 고주파 전단 장치
KR200397780Y1 (ko) 고전력 스위치를 이용한 시분할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