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02Y1 -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 Google Patents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02Y1
KR200383202Y1 KR20-2005-0003265U KR20050003265U KR200383202Y1 KR 200383202 Y1 KR200383202 Y1 KR 200383202Y1 KR 20050003265 U KR20050003265 U KR 20050003265U KR 200383202 Y1 KR200383202 Y1 KR 200383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hest
length
dog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숙
Original Assignee
정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숙 filed Critical 정화숙
Priority to KR20-2005-0003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견의 체형에 대한 특징적인 치수인 가슴둘레 등에 대한 일정 비율로 각 구성부분이 재단되어 형성됨으로써 애견의 활동과 생리적 특성에 적합하면서도 외관이 아름다운 애견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애견의 실측치인 가슴둘레와, 등중심길이와, 등허리중심길이의 3가지 적용치수로 결정된 외형을 가지고, 상기 가슴둘레에 대한 일정비율로 모든 부위가 재단된 몸판과 소매가 이음되어 형성된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Clothes of a pet dog}
본 고안은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견의 체형에 대한 특징적인 치수인 가슴둘레 등에 대한 일정 비율로 각 구성부분이 재단되어 형성됨으로써 애견의 활동과 생리적 특성에 적합하면서도 외관이 아름다운 애견복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의학, 문화의 발전으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남과 동시에 핵가족 중심의 생활이 일반화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형성되고 있고, 결혼전 독립하는 젊은층이나 이혼, 사별 등의 이유로 독신가구와 독거노인가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인한 인간소외현상과 정을 그리워하고 사랑을 교감할 수 있는 살아있는 존재에 대한 갈망을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으로 표출되고 있다.
애완동물이란 인간이 주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사육하는 동물로써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애견이다. 사람들의 빠른 의식변화로 애견을 단순한 소유물이 아니라 행복과 기쁨을 안겨주는 존재로 가족의 구성원 심지어는 인생의 동반자라는 생각과 함께 애완견 시장은 급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애견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애견산업의 발전에 따라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의복의 형태가 애견에게까지 착장의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애견복의 경우 소재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이전의 개의 털 손질 후 방한용이나 털날림 방지의 차원에서 벗어나 하나의 패션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애견복은 심미적인 목적에서 입혀지고 있으며 애견의 활동 및 생리적인 특성을 고려한 애견복에 대한 체계화 및 학문적 연구는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즉, 업체별 사이즈 스팩에 있어서 차이가 많이 나타나 사이즈 표준화가 전혀 되어있지 않고, 실제 사용된 동일한 패턴의 같은 사이즈라도 항목별 차이가 많으므로, 업체간의 애견복의 사이즈 스팩의 체계적인 연구와 통일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애견복 구입시 같은 애견이라도 업체마다 다른 사이즈를 구입해야 하였고, 소비자들은 애견복을 가슴둘레의 치수를 기준으로 주로 구입하는데 이 경우 목밑둘레나 등중심길이가 맞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애견복을 구입하는 경우 회사간의 치수 차이는 반품으로 이어지는 등 애견복 구입시 소비자들이 느끼는 문제점은 심각하다.
인간뿐만 아니라 애견에게도 의복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그것을 입는 주체에게 외관상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것이다. 체형에 적합하지 않은 옷은 그것을 착용하는 주체의 활동뿐 아니라 정신적으로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의복의 가장 기본적인 편안한 착용감을 주기 위해서는 체형에 맞는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애견복은 대부분 사람옷의 패턴을 조금 변형하여 만들어지므로 애견에게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영세기업의 여건상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 패턴은 검증되거나 체계화되지 않은 채 몇몇 디자이너의 감각에만 의존하여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애견과 인간은 신체적 특성에 있어 매우 다른 것으로, 인간은 직립보행하고 애견은 네발을 딛고 걸어다니는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애견복은 사람의 옷을 변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애견복이 애견의 신체적 특성에 적합하지 않아 활동에 있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일본, 유럽 등의선진국으로부터의 부분별한 패턴 및 디자인의 모방으로 창조적이고 독자적인 연구에 따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는 실태이다.
따라서 기존의 기성 패턴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견종에 따라 보다 더 세분화된 측정과 이를 이용한 최적의 패턴을 완성함으로써 애견복 산업의 정확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들을 고려한 애견복 패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애견복 수요도 많고, 유행과 실용성에 맞춘 애견 의류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애견복 사이즈가 업체마다 달라 소비자의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제품의 고급화를 위하여 학문적이고 체계적인 측정과 이에 의한 새로운 패턴의 애견복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애견의 신체 형태를 면밀히 측정분석하여 그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치수항목들을 측정한 데이타를 토대로 하여 그 측정치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기초하여 많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가슴둘레와, 등중심길이와, 등허리중심길이 3가지의 측정항목만을 적용치수로 설정하며, 이를 기준으로 다수 부분의 치수가 그 비율로 재단되어 형성된 애견의 체형 및 동작특성이 반영된 애견복을 제공함에 있다.
사람과 달리 애견은 털이 있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측정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가능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항목들로 필요한 부위들을 구할 수 있도록 함에 있고, 측정된 자료 중에서 가슴둘레,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 목밑뒤둘레, 허리둘레,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가슴쪽),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등쪽), 가슴중심길이, 등가슴중심길이, 가슴배중심길이, 앞다리사이길이, 어깨길이의 12개 기본치수와, 상기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가슴둘레를 토대로 회귀추정식을 구하여 다른 애견복의 재단부분과, 가슴둘레,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 3개 항목의 치수만으로 재단되어 형성된 애견복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고품질의 애견의류가 다양한 아이템별로 손쉽게 제조되어 기성복화 및 브랜드화 될 수 있도록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애견복은 착의의 주체가 되는 애견의 가슴둘레,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 3가지의 적용치수로 모든 재단부분이 결정되고, 특히 가슴둘레에 대한 일정 길이의 비율을 가진 목밑뒤둘레, 허리둘레,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가슴쪽),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등쪽), 가슴중심길이, 등가슴중심길이, 가슴배중심길이, 앞다리사이길이, 어깨길이의 치수항목으로 재단된 몸판(1) 및 소매(2)로 구성된다.
상기 몸판(1)은 하나로써 전체를 구성할 수도 있고, 대칭되게 2개로 나누어 재단된 후 연접되어 구성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대칭되게 2개로 나뉜 부분의 각각을 하나의 몸판(1)으로 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의 몸판(1)에는 착의를 위한 착의수단(3)이 짝을 이루어 부착되는데, 단추나 지퍼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T셔츠와 같이 착의 수단없이 하나의 몸판(1)으로 구성되거나 두개의 대칭된 몸판(1)이 봉접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의 옷의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아이템별로 전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애견복의 구조를 도 7 내지 도 11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와 같이 애견복은 대칭된 두개의 몸판(1)이 a-C-D-T-S부분이 이음되어 구성되거나, 전체가 하나로 재단되어 봉접 또는 착의수단(3)으로 이음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I-I1-I2-E-R의 여밈부분에 착의수단(3)이 부착되는데, 암수가 한조로 구성된 경우는 몸판(1)의 각각의 부분에 암수단 또는 수수단이 부착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판(1)의 경우는 대칭된 양단부에 각각의 짝이 부착된다.
그리고 소매(2)는 도 8에서와 같이 재단된 형태를 가지고, 이는 몸판(1)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몸판(1)과 소매(2)의 상세한 구조는 애견의 가슴둘레에 대한 비율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도 7과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술하면, 등중심선(AB)의 목뒤점(A)에서 {(가슴둘레/6)+(0~3)},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6)+1}만큼 내려 온 C점에 의해 등가슴중심길이(AC)가 결정되고, 등중심선(AB)의 목뒤점(A)에서 실측치인 적용치수 중의 하나인 등허리중심길이만큼 내려 온 D점에 의해 등허리중심길이(AD)가 결정되며, 등가슴중심길이(AC)의 C점에서 수평으로 약 {(가슴둘레/2)+(1~2)}의 길이가 되는 지점의 E점에 의한 가슴둘레선(C-E)이 결정된다.
상기 가슴둘레선(C-E)이 5등분되어 C점에서부터 3/5지점에서 E점 쪽으로 1.5~2.5cm, 바람직하게는 2cm 이동한 F점에서의 수직선에 D점과 B점에서 각각 내린 수선과의 교점인 F1과 F2가 결정되고, 가슴둘레선(C-E)의 C점으로부터 {(가슴둘레/4)-0.5}~{(가슴둘레/4)+0.5},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4}가 되는 지점의 G점에서의 수직선과 A점에서 그은 수평선과의 교점인 G1이 결정되며, AG1 선분상에 A점으로부터 {(가슴둘레/6)-0.5}~{(가슴둘레/6)+0.5}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6}의 지점에 H점이 결정되고, 가슴둘레선(C-E)의 E점에서의 수직선상에 E점에서부터 위로 {(가슴둘레/4)+(2~3.5cm)},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4)+(2.5~3cm)}되는 지점에 I점이 결정되며, 선분EI가 3등분되고 {(E점에서부터 EI의 2/3)+(0.5~1.5cm)}, 바람직하게는 {(E점에서부터 EI의 2/3)+1cm} 지점이 I1으로 결정되고, {(E점에서부터 EI의 1/3)}지점이 I2점으로 결정된다.
I1에서의 수평선상에 {(가슴둘레/6)+(1~2cm)},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6)+1.5cm}되는 지점의 K점에 의해 가슴쪽어깨끝점사이길이(I1K)가 결정되고, I2에서의 수평선상에 I2에서부터 약 {가슴둘레/12}되는 지점의 L점에 의해 앞다리사이길이(I2L)가 결정되며, A점에서 AB선의 수선을 긋고, A점에서부터 {(가슴둘레/6)-0.5}~{(가슴둘레/6)+0.5},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6}의 위치의 H점에 의해 목밑뒤너비(AH)가 결정되고, H점에서 AH선의 수선을 그어 AH선의 1/2만큼의 높이에 H1점이 결정되고, H1점과 A점에서 AB선상으로 0.5~1.5cm, 바람직하게는 1cm 내린 지점(a)을 자연스럽게 호상으로 연결한 목밑뒤둘레선(H1-a)이 형성된다.
G1에서 1~2cm, 바람직하게는 1.5cm 나간 M점과 H1점이 연결되어 어깨선(M-H1)이 형성된다.
I점에서 수평선을 긋고, 약 {목밑뒤너비(AH)-2cm}의 지점에 J점을 설정하여 목밑앞너비(IJ)가 결정되며, 어깨길이와 같은 길이의 반지름으로 K점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고 J점에서의 수직선과의 상부 교점에 J1점을 잡고, J1점과 I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목밑앞둘레선(J1-I)이 형성된다.
K점과 J1점이 연결되어 어깨선(K-J1)이 형성된다.
G점에서 G1까지를 이등분한 점을 G2로 하고, 선분 MG2의 이등분선에서 안으로 약 0.3cm 들어간 지점이 G3로 선정되고, 선분 G2F를 이등분한 점에서 안으로 약 1.2~1.4cm 들어간 지점이 G4로 선정되어, M, G3, G2, G4, F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등쪽진동둘레선(M-G3-G2-G4-F)이 형성된다.
선분 KL을 이등분한 점에서 안으로 약 0.8cm 들어간 K1점과, 선분 LF를 이등분한 점에서 안으로 약 1~1.2cm 들어간 L1점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가슴쪽진동둘레선(K-K1-L-L1-F)이 형성된다.
F1에서 F1를 지나는 수평선과 E를 지나는 수직선의 교점인 D1 쪽으로 0.3~0.7cm, 바람직하게는 0.5cm 옮겨진 N점과, F1에서 D로 1.0~2.0cm, 바람직하게는 1.5cm 옮겨진 O점을, F와 각각 연결하여 위로 4~6cm, 바람직하게는 5cm 올라간 지점이 각각 P점과 Q점으로 결정되고, 선분 ED1의 이등분 점에서 약 0.5cm 올라간 R점과 P점을 잇는 선분의 이등분점에서 약 0.8cm 올라간 R1점을 잡고, R, R1, P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전방밑단선(R-R1-P)이 형성된다.
B에서 0.3~0.7cm, 바람직하게는 0.5cm 들어간 S점과 선분 DB를 이등분한 T점에서 약 0.5cm 내린 점과 연결되고, Q에서 S까지 삼등분하여 1/3 지점에서 밖으로 약 1.5cm 나간 Q1점과 2/3 지점에서 밖으로 약 2.5cm 나간 Q2점을 찾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후방밑단선(Q-Q1-Q2-S)이 형성된다.
상기에 의해 기본선(a-C-D-T-S)과 착의분리선(I-I1-I2-E-R)이 결정된다.
그리고, FP부분과 FQ부분이 접합되고, 어깨선(J1-K)과 어깨선(H1-M)이 이음되어 하나의 몸판(1)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두개의 몸판(1)이 기본선(a-C-D-T-S) 부분이 연결이음되어 하나의 애견복이 형성되는데, 이와는 달리 애견복이 상기 몸판(1) 두개가 대칭된 구조를 하는 하나로 재단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두개의 몸판(1)이 이음되어 형성되거나 처음부터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음은 봉접이나 착의수단(3)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직선 a-T, 곡선 T-S, 곡선 S-Q2-Q1-Q, 직선 Q-F, 직선 F-P, 곡선 P-R1-R, 직선 R-E-I2-I1-I, 곡선 I-J1, 직선 J1-K, 곡선 K-K1-L-L1-F-G4-G2-G3-M, 직선 M-H1, 곡선 H1-a로서 몸판(1)의 형태가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몸판(1) 두개가 서로 대칭되게 기본선(a-C-D-T-S)부 끼리, 착의분리선(I-I1-I2-E-R)부 끼리가 연결되어 전체 몸판(1)이 구성된다. 물론 전체 몸판(1)을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8을 중심으로 소매(2)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매길이(A'B')의 양단 A'점과 B'점 및 A'점에서 소매산 높이 약 {(AH/6)+1.5cm}만큼 내려간 위치인 C'점이 결정된다. 여기서 AH는 도 7에 도시된 목밑뒤너비이다.
A'점에서 몸판(1)에서 측정한 등쪽진동둘레선(M-G3-G2-G4-F)과, 몸판(1)에서 측정한 가슴쪽진동둘레선(K-K1-L-L1-F)을 반지름으로 하여 각각 A'점에서 원을 그려, C'점에서의 수평선과의 교점을 C1'와 C2'로 결정한다.
상기 C1'와 C2'에서 수직선을 B'에서의 수평선까지 내려 그리고, B'점에서의 수평선과의 교점을 B1'점과 B2'점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A'에서 C1'까지를 3등분하여 1/3 지점에서 밖으로 약 1cm 나간 D'점이 결정되고, A'에서부터 2/3지점을 D1'으로 하여 D1'와 C1'의 이등분점을 D2'로 결정한다. 상기에서 A', D', D1', D2', C1'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등쪽진동둘레선(A'-D'-D1'-D2'-C1')이 형성된다. 그리고 A'에서 C2'까지를 삼등분하여 1/3지점에서 밖으로 약 0.8cm 나간 E'점과, 2/3 지점인 E1'점과, C2'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가슴쪽진동둘레선(A'-E'-E1'-C2')이 형성된다.
B1'와 B2'에서 수평선상의 내측으로 0.7~2.0cm, 바람직하게는 1.5cm 들어간 F', F1'점이 결정되고, B'에서 1.0~2.0cm, 바람직하게는 1.5cm 올라간 G'점이 결정되고, 선분G'F'의 이등분점에서 위로 약 0.3cm 올라간 점에 G1'가 결정되며, G'에서 가슴쪽 수평선상의 4cm 이동지점에 G2'가 결정되고, G2'와 F1'의 이등분점에서 약 0.3cm 올라간 점에 G3'가 결정된다. 따라서 F', G1', G', G2', G3', F1'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소매부리선(F'-G1'-G'-G2'-G3'-F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곡선 A'-D'-D1'-D2'-C1', 직선 C1'-F', 곡선 F'-G1'-G'-G2'-G3'-F1', 직선 F1'-C2', 곡선 C2'-E1'-E'-A'로 소매(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매(2)의 A'-D'-D1'-D2'-C1'부분은 몸판(1)의 M-G3-G2-G4-F부분과 연결되고, 소매의 A'-E'-E1'-C2'부분은 몸판(1)의 K-K1-L-L1-F부분에 연결되어 완전한 애견복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애견복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애견의 신체를 면밀히 분석하고, 측정항목들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항목을 중심으로 다른 부분을 그 비율로 재단하여 애견복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애견복의 제조에 있어 본 고안은 가슴둘레,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의 3가지 적용치수만 측정하면 어떠한 형태의 애견복이라도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고, 상기 적용치수 외에 가슴둘레에 의해 결정되는 목밑뒤둘레, 허리둘레,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가슴쪽),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등쪽), 가슴중심길이, 등가슴중심길이, 가슴배중심길이, 앞다리사이길이, 어깨길이의 9가지를 포함하여 총 12가지 항목으로 제조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단지 3가지의 적용치수와, 그 중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다른 재단 항목들과의 비율 등 애견의 신체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상관관계의 도출을 위해서는 기준점과 기준선을 설정하고 모든 항목을 측정하게 된다. 측정용구는 신장계, 줄자 등을 사용하고, 보조용구로 기준점 표시용 테이프와 기준선 표시를 위한 고무줄, 목걸이, 기록지 등이 사용된다.
목밑둘레, 가슴둘레,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 등과 애견복의 제조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측정 기준점과 기준선 및 원형설계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을 설정한다. 상기의 기준점과 기준선은 애견의 뼈, 근육, 체표면 등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통하여 선정되고, 도 1 내지 도 3과, 아래의 표에 나타나 있다.
항목 정의
기준점 P1 두정점 두정 부위의 정중 시상면에 있어서 최고점
P2 목뒤점(A) 제5번 경추 극돌기 끝점
P3 목앞점 제5번 경추 전하방 중심점
P4 목옆점 제5번 경추 양측 돌기점
P5 어깨끝점 견갑골 어깨 돌기 부위의 끝점
P6 앞다리겨드랑 앞접힘점 앞다리 겨드랑앞쪽에서 접힘의 가장 위쪽이 되는 점
P7 앞다리겨드랑 밑점 앞다리 겨드랑 접힘의 가장 아래가 되는 점
P8 앞다리겨드랑 뒤접힘점 앞다리 겨드랑 뒤쪽에서 접힘의 가장 위쪽이 되는 점
P9 생식기점(♂) 생식기가 있는 점
P10 뒷다리앞접힘점 뒷다리 부위와 배부위의 경계를 이루는 선과 옆선과의 교점
P11 앞다리 발목점 앞다리 발목뼈의 바깥쪽 끝점
P12 뒷다리 발목점 뒷다리 발목뼈의 바깥쪽 끝점
P13 꼬리 시작점 꼬리가 시작되는 점
기준선 L1 목밑둘레선 목앞점, 목옆점, 목뒤점, 목옆점, 목앞점을 잇는 곡선
L2 가슴둘레선(C-E) 좌우 앞다리 겨드랑 뒤접힘점을 지나는 수직 둘레선
L3 허리둘레선 좌우 뒷다리 앞접힘점을 지나는 수직 둘레선
L4 어깨솔기선 목옆점과 어깨끝점을 연결하는 선
L5 등중심선 목뒤점(A)에서 등의 체표면을 따라 꼬리시작점을 잇는 선
L6 가슴배중심선 목앞점에서 가슴, 배의 중심곡선을 따라 허리둘레선과의 교점을 잇는 선
L7 옆선 체표면을 따라 앞다리 겨드랑뒷접힘점과 뒷다리앞접힘점을 잇는 선
L8 앞다리 최대 둘레선 앞다리 겨드랑밑점을 지나는 앞다리의 수평둘레선
L9 뒷다리 최대 둘레선 뒷다리 대퇴부위의 최대 수평둘레선
L10 앞다리 발목 둘레선 앞다리 발목점을 지나는 수평둘레선
L11 뒷다리 발목 둘레선 뒷다리 발목점을 지나는 수평둘레선
상기의 기준점과 기준선을 이용하여 다음의 표와 같이 측정항목 및 방법을 설정하여 측정하고, 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측정항목 측정방법
둘레 1 목밑둘레 목앞점, 목옆점, 목뒤점, 목옆점, 목앞점을 지나는 둘레
2 목밑뒤둘레 오른쪽 목옆점에서 왼쪽 옆목점을 지나는 둘레
3 목밑앞둘레 목밑둘레-목밑뒤둘레
4 가슴둘레 좌우앞다리겨드랑뒤접힘점을 지나는 가슴의 수직둘레
5 허리둘레 좌우뒷다리앞접힘점을 지나는 수직둘레
6 앞다리최대둘레 앞다리겨드랑밑점을 지나는 최대둘레
7 뒷다리최대둘레 뒷다리대퇴부위의 최대 수평둘레
8 앞다리발목둘레 앞다리발목점을 지나는 수평둘레
9 뒷다리발목둘레 뒷다리발목점을 지나는 수평둘레
길이 10 목뒤점~좌우어깨끝점사이를 잇는 선과 등중심선과의 교점(등쪽) 목뒤점에서 좌우어깨끝점을 잇는 선과 등중심선과의 교점까지 길이
11 등가슴중심길이 목뒤점에서 좌우앞다리겨드랑뒤접힘점을 잇는 선과 등중심선과의 교점까지 길이
12 등허리중심길이 목뒤점에서 허리둘레선과 등중심선과의 교점까지 길이
13 등중심길이 목뒤점에서 등의 체표면을 따라 꼬리시작점까지의 길이
14 어깨길이 목옆점에서 어깨끝점까지의 길이
15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 (등쪽) 등쪽에서 체표면을 따라 좌우어깨끝점 사이길이
16 좌우앞다리겨드랑뒤접힘점사이길이(등쪽) 등쪽에서 가슴둘레선상의 좌우앞다리겨드랑뒤접힘점 사이 길이
17 좌우뒷다리앞접힘점사이길이(등쪽) 등쪽에서 허리둘레선상의 좌우뒷다리앞접힘점 사이 길이
18 목앞점~좌우어깨끝점을 잇는 선과 가슴배중심선과의 교점(가슴쪽) 목앞점에서 좌우어깨끝점을 잇는 선과 가슴배중심선과의 교점까지 길이
19 목앞점~좌우앞다리겨드랑밑점을 잇는 선과 가슴배중심선과의 교점(가슴쪽) 목앞점으로 좌우앞다리겨드랑밑점을 잇는 선과 가슴배중심선과의 교점까지의 길이
20 가슴중심길이 목앞점에서 가슴둘레선과 가슴배중심선과의 교점까지 길이
21 가슴배중심길이 목앞점에서 가슴, 배의 곡선을 따라 허리둘레선과의 교점까지 길이
22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가슴쪽) 가슴쪽에서 체표면을 따라 좌우어깨끝점 사이길이
23 앞다리사이길이 좌우앞다리겨드랑밑점 사이를 잇는 길이
24 앞다리사이길이(벌려서) 좌우앞다리를 최대한 벌린 상태에서 앞다리 겨드랑밑점 사이를 잇는 길이
25 앞다리길이 앞다리겨드랑뒷접힘점에서 앞다리발목점까지 길이
26 뒷다리길이 뒷다리앞접힘점에서 뒷다리발목점까지 길이
기타 27 키 바닥에서부터 머리의 두정점까지 수직길이
28 몸무게 몸의 무게
계산항목 29 4-16 가슴둘레-등쪽에서 좌우앞다리겨드랑뒤접힘점 사이길이
30 5-17 허리둘레-등쪽에서 죄우뒷다리앞접힘점 사이길이
각 측정항목별로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의 기초 통계량을 구하고 측정치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애견의 전반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항목들을 측정하여 각각의 상관관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목밑둘레 1에 대한 가슴둘레는 0.72, 목밑뒤둘레 1에 대한 가슴둘레는 0.61, 가슴둘레 1에 대한 허리둘레는 0.80, 가슴둘레 1에 대한 앞다리 최대둘레는 0.50, 가슴둘레 1에 대한 앞다리발목둘레는 0.51, 가슴둘레 1에 대한 뒷다리 최대둘레는 0.58, 가슴둘레 1에 대한 뒷다리 발목둘레는 0.47, 가슴둘레 1에 대한 등중심길이는 0.70, 가슴둘레 1에 대한 가슴중심길이는 0.49, 가슴둘레 1에 대한 가슴배중심길이는 0.59, 가슴둘레 1에 대한 목뒤점(A)~등중심선과 좌우 어깨끝점 사이를 잇는 선과의 교점과의 길이는 0.45, 가슴둘레 1에 대한 등가슴중심길이(AC)는 0.38, 가슴둘레 1에 대한 등허리중심길이(AD)는 0.52, 가슴둘레 1에 대한 어깨길이는 0.65, 가슴둘레 1에 대한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는 0.69, 가슴둘레 1에 대한 좌우앞다리겨드랑뒤접힘점 사이길이는 0.71, 가슴둘레 1에 대한 좌우뒷다리 앞접힘점 사이길이는 0.76, 가슴둘레 1에 대한 앞다리 사이길이는 0.51, 가슴둘레 1에 대한 앞다리 사이길이(벌려서)는 0.59, 가슴둘레 1에 대한 앞다리 길이는 0.47, 가슴둘레 1에 대한 뒷다리 길이는 0.47, 가슴둘레 1에 대한 키는 0.63, 가슴둘레 1에 대한 몸무게는 0.74, 가슴둘레 1에 대한 {가슴둘레-(등쪽의 좌우앞다리 겨드랑 뒤접힘점 사이길이)}는 0.45라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가슴둘레는 전체 측정항목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애견복의 제조시에는 애견의 해부학적인 자세로 하여 가슴둘레와, 등중심길이와, 등허리중심길이의 3가지 적용치수만 실측하고, 애견복의 재단시 필요한 항목들은 가슴둘레에 대한 일정비율로 하여 실시하면 된다.
즉, 가슴둘레와,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와, 가슴둘레에 대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목밑뒤둘레, 허리둘레,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가슴쪽),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등쪽), 가슴중심길이, 등가슴중심길이(AC), 가슴배중심길이, 앞다리사이길이, 어깨길이의 총 12개 항목으로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애견복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의 측정된 결과인 적용치수로서의 가슴둘레와, 가슴둘레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타 항목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애견복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한 애견복은 각각 재단된 몸판(1)과 소매(2)가 이음되어 구성되는데, 몸판(1)은 대칭된 두개를 이음하여 만들거나 하나로 만들 수도 있다. 물론 이음부는 봉접되거나 착의수단(3)에 의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우선 도 7을 중심으로 몸판(1)의 제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선 긋기 단계
1) 실측값인 등중심길이를 적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중심선(AB)을 긋는다. 등중심선(AB)의 길이는 약 {등중심길이-(3~4cm)}이다. 등중심선(AB)의 길이를 등중심길이에서 3~4cm 정도 적게 하는 이유는 애견의 꼬리의 활동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고, 디자인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다.
2) 등중심선(AB)의 목뒤점(A)에서 약 {(가슴둘레/6)+1cm}만큼 내려 온 지점에 C점을 잡고, AC선을 등가슴중심길이(AC)로 설정한다. 그리고 등가슴중심길이(AC)는 여유있게 할 수도 있는데, 그 길이의 여유는 {가슴둘레/6}에서부터 {(가슴둘레/6)+3cm} 정도까지 가능하나, {(가슴둘레/6)+1cm}의 길이가 가장 적당하다.
3) 등중심길이의 목뒤점(A)에서 실측값인 등허리중심길이(AD)만큼 내려 온 지점에 D점을 잡고, AD선을 등허리중심길이(AD)로 설정한다.
4) 등가슴중심길이(AC)의 C점에서 수평으로 일정거리 되는 지점에 E점을 잡고, CE를 가슴둘레선(C-E)으로 설정한다. 이 때 가슴둘레선(C-E)은 가슴둘레의 절반보다 1~2cm정도의 여유량을 두는데, 이는 털길이에 따라 조절되는 양이고, {(가슴둘레/2)+(1~2cm)}이다.
5) 가슴둘레선(C-E)을 5등분하여 C점에서부터 3/5지점에서 E점 쪽으로 1.5~2.5cm, 바람직하게는 2cm 이동한 지점에 F점을 잡고, F점에서 수직선을 그어 D점과 B점에서의 수평선과의 교점을 F1, F2라고 정한다.
6) 가슴둘레선(C-E)의 C점으로부터 약 {가슴둘레/4}가 되는 지점에 G점을 설정하고, 이에 수직선을 그어 A점에서의 수평선과의 교점을 G1으로 설정한다.
7) AG1 선분상에 A점으로부터 약 {가슴둘레/6}의 지점에 H점을 설정한다.
8) 가슴배중심선을 긋기 위하여 가슴둘레선(C-E)의 E점에서 수직선을 긋고, E점에서부터 위로 {(가슴둘레/4)+(2~3cm)},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4)+(2.5~3cm)}되는 지점에 I점을 설정한다.
9) EI를 3등분하고, {(E점에서부터 EI의 2/3)+0.5~1.5cm}, 바람직하게는 {(E점에서부터 EI의 2/3)+1cm} 지점을 I1으로 설정하며, {(E점에서부터 EI의 1/3)}지점을 I2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I1점과 I2점에서 수평선을 긋는다.
10) I1의 수평선상에 {(가슴둘레/6)+1~2cm}, 바람직하게는 {(가슴둘레/6)+1.5cm}되는 지점에 K점을 설정하고, 가슴쪽어깨점사이길이(I1K)를 정의한다.
11) I2에서 그은 수평선상의 I2에서부터 약 {가슴둘레/12}되는 지점에 L점을 설정하고, 앞다리사이길이(I2L)를 정의한다.
12) 목밑앞너비(IJ)는 약 {목밑뒤너비(AH)-2cm}로 설정하는데, I에서의 수평선에서 약 {목밑뒤너비(AH)-2cm}의 지점에 J점을 설정하고, I-J를 목밑앞너비(IJ)로 설정한다.
2. 목밑둘레선과 어깨선 긋기
1) A점에서 AB선의 수선을 긋고, A점에서부터 약 {가슴둘레/6}의 위치에 H점을 정하고, H점에서 수직선을 그어 AH선의 1/2만큼의 높이에 H1점을 정한다. 따라서 목밑뒤둘레선은 H1점과 A점에서 AB선으로 0.5~1.5cm, 바람직하게는 1cm 내린 지점(a)을 자연스럽게 호상으로 연결한 것으로 정한다.
2) G1에서 1~2, 바람직하게는 1.5cm 나간점을 M점으로 정하고, M점과 H1점을 연결한다. 따라서 H1M은 어깨선이 된다.
3) K점에서 어깨길이(H1~M)와 같은 길이의 반지름으로 원을 그리고, J점에서의 수직선과의 상부 교점에 J1점을 잡고, J1점과 I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목밑앞둘레선(J1-I)을 결정한다.
4) J1점과 K점을 연결하여 어깨선을 결정한다.
3. 진동둘레선
1) 선분 GG1의 이등분한 점을 G2로 하고, M과 G2의 이등분선에서 안으로 약 0.3cm 들어간 점을 G3로 결정하며, G2와 F의 이등분선에서 안으로 약 1.2~1.4cm 들어간 점을 G4로 결정하여, M, G3, G2, G4, F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등쪽진동둘레선을 결정한다.
2) 선분 KL를 이등분한 점에서 약 0.8cm 들어간 지점을 K1점으로 결정하고, 선분 LF를 이등분한 점에서 안으로 약 1~1.2cm 들어간 지점을 L1점으로 결정하여, K, K1, L, L1, F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가슴쪽진동둘레선을 결정한다.
4. 밑단선
1) F1에서 D1으로 약 0.5cm 옮겨진 N점과 F1에서 D로 약 1.5cm 옮겨준 O점을 F와 연결하여 위로 약 5cm 올라간 P점과 Q점을 설정한다.
2) 선분 ED1의 이등분 점에서 약 0.5cm 올라간 R점과 P를 잇는 선분의 이등분점에서 약 0.8cm 올라간 R1점을 잡고, R, R1, P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전방밑단선을 결정한다.
3) B에서 약 0.5cm 들어간 점(S)과 DB를 이등분한 T점에서 약 0.5cm 내려서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4) Q에서 S까지 삼등분하여 Q에서 1/3 지점에서 밖으로 약 1.5cm 나간 Q1점과 2/3 지점에서 밖으로 약 2.5cm 나간 Q2점을 찾아, Q-Q1-Q2-S점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후방밑단선을 결정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직선 a-C-D-T, 곡선 T-S, 곡선 S-Q2-Q1-Q, 직선 Q-F, 직선 F-P, 곡선 P-R1-R, 직선 R-E-I2-I1-I, 곡선 I-J1, 직선 J1-K, 곡선 K-K1-L-L1-F-G4-G2-G3-M, 직선 M-H1, 곡선 H1-a로서 몸판(1)의 형태가 구성되고, 상기와 같은 몸판(1) 두개가 서로 대칭되게 a-C-D-T-S부 끼리와, R-E-I2-I1-I 끼리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 몸판(1)이 구성된다. 물론 a-C-D-T-S부가 연결되게 전체 몸판(1)을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고, R-E-I2-I1-I 끼리의 연결은 착의수단(3)이나 봉접으로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중심으로 소매(2)의 제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점 설정
1) 소매길이(A'B')의 양단 A'점과 B'점 및 A'점에서 소매산 높이 약 {(AH/6)+1.5cm}만큼 내려간 위치인 C'점에서 각각 선분 A'B'에 대한 수선을 긋는다. 여기서 AH는 도 7에 도시된 목밑뒤너비이다. 소매길이(A'B')는 적당히 한다.
2) 몸판(1)에서 측정한 등쪽진동둘레선(M-G3-G2-G4-F)의 길이와, 몸판(1)에서 측정한 가슴쪽진동둘레선(K-K1-L-L1-F)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여 A'점에서 원을 그리고, C'에서의 수평선과의 교점을 각각 C1'와 C2'로 결정한다.
3) C1'와 C2'에서 수직선을 내려 B'에서의 수평선과의 교점을 B1'와 B2'로 결정한다.
2. 소매의 진동둘레선
1) 소매의 등쪽진동둘레선을 긋기 위하여 A'에서 C1'까지를 삼등분하여 1/3지점에서 밖으로 약 1cm 나간 D'점과, 2/3 지점인 D1'점과, D1'와 C1'의 1/2지점인 D2'점과, C1'을 자연스럽게 이어 소매의 등쪽진동둘레선을 결정한다.
2) 소매의 가슴쪽진동둘레선을 긋기 위하여 먼저 A'에서 C2'까지를 3등분하여 A'에서부터 1/3 지점에서 밖으로 약 0.8cm 나간 E'점을 결정하고, 2/3 지점을 E1'로 결정하여, A'점과 E'점과 E1'점과 C2'점을 자연스럽게 이어 소매의 가슴쪽진동둘레선을 결정한다.
3. 소매부리선
1) B1'와 B2'에서 수평선상의 내측으로 0.7~2.0cm, 바람직하게는 1.5cm 들어간 F', F1'점으로 결정하고, B'에서 1.0~2.0cm, 바람직하게는 1.5cm 올라간 지점을 G'점으로 결정하며, 선분F'G'의 이등분점에서 위로 약 0.3cm 올라간 지점을 G1'로 결정하여, F', G1', G'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등쪽 소매부리선(G'-G1'-F')을 결정한다.
2) G'에서 가슴쪽 수평선상의 4cm 이동 지점에 G2'를 결정하고, G2'와 F1'의 이등분점에서 약 0.3cm 올라간 점을 G3'로 결정하여, G', G2', G3', F1'를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가슴쪽 소매부리선(G'-G2'-G3'-F1')을 결정한다.
3) 상기와 같이 등쪽과 가슴쪽을 연결하여 하나의 소매부리선(F'-G1'-G'-G2'-G3'-F1')을 결정한다.
4. 소매밑선
F'와 C1', F1'와 C2'를 연결하여 소매밑선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곡선 A'-D'-D1-D2'-C1', 직선 C1'-F', 곡선 F'-G1'-G', 직선 G'-G2', 곡선 G2'-G3'-F1', 직선 F1'-C2', 곡선 C2'-E1'-E'-A'로 소매(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매(2)는 몸판(1)에 봉재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완성된 애견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애견의 신체적인 형태를 측정하고, 측정치들 간에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가슴둘레를 이용하는 애견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적합한 애견복을 제작할 수 있고, 가슴둘레, 등중심길이, 등허리중심길이 3개 항목만을 측정하여 누구라도 쉽게 최적의 애견복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견종에 대한 기성복의 제조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양한 아이템의 애견복으로 간단히 제조될 수 있어, 고품질의 애견의류가 기성복화되거나 브랜드화 되는데 필수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기준점과 기준선을 나타낸 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실제 측정부위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몸판의 펼친 상태도
도 8은 소매의 펼친 상태도
도 9는 애견복의 저면도
도 10은 애견복의 평면도
도 11은 애견복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판 2 : 소매 3 : 착의수단

Claims (3)

  1. 애견의 실측치인 가슴둘레와, 등중심길이와, 등허리중심길이의 적용치수와, 상기 적용치수로 결정된 목밑뒤둘레, 허리둘레,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가슴쪽), 좌우어깨끝점사이길이(등쪽), 가슴중심길이, 등가슴중심길이, 가슴배중심길이, 앞다리사이길이, 어깨길이로 몸판(1)과 소매(2)가 결정되어 형성된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2. 제 1항에 있어서, 몸판(1)은 전체가 하나로 구성되거나, 두개가 대칭되게 이음되어 하나로 형성된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3. 제 2항에 있어서, 두개가 대칭되게 이음되는 몸판(1)의 이음부는 봉접 또는 착의수단(3)에 의해 이루어진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KR20-2005-0003265U 2005-02-03 2005-02-03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KR200383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265U KR200383202Y1 (ko) 2005-02-03 2005-02-03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265U KR200383202Y1 (ko) 2005-02-03 2005-02-03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270A Division KR100648382B1 (ko) 2004-11-23 2004-11-23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02Y1 true KR200383202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265U KR200383202Y1 (ko) 2005-02-03 2005-02-03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13B1 (ko) 2013-06-17 2015-02-06 김혜진 배변 주머니를 구비한 애완 동물용 피복
KR20160003189U (ko) 2015-03-11 2016-09-22 신갑선 애완동물용 옷
KR20170000768U (ko) 2015-08-21 2017-03-02 신갑선 애완동물용 옷
JP7398166B1 (ja) 2023-06-01 2023-12-14 株式会社ミラミラ 愛犬被服用型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513B1 (ko) 2013-06-17 2015-02-06 김혜진 배변 주머니를 구비한 애완 동물용 피복
KR20160003189U (ko) 2015-03-11 2016-09-22 신갑선 애완동물용 옷
KR20170000768U (ko) 2015-08-21 2017-03-02 신갑선 애완동물용 옷
JP7398166B1 (ja) 2023-06-01 2023-12-14 株式会社ミラミラ 愛犬被服用型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i et al. 3D skin length deformation of lower body during knee joint flexion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functional sportswear
Wang et al. Body measurements of Chinese males in dynamic postures and application
US20150026990A1 (en) Patterning system for selected body type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produced therefrom
KR200383202Y1 (ko)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
JP5704675B2 (ja) 背広原型
CN101006873B (zh) 按一种结构平面图的平面结构进行服装纸样设计制图方法
KR100648382B1 (ko) 애견의 체형과 동작 특성에 맞는 애견복의 제조방법
CN105029811B (zh) 一种基于人体体表压力的紧身衣设计方法及缓压紧身衣
WO2016199308A1 (ja) 背広原型及び背広原型用測定器
Campbell Designing patterns: A fresh approach to pattern cutting
US3201800A (en) Symmetrical garments
CN105476140B (zh) 无省服装的制作方法
CN205597215U (zh) 多功能小学生校服
RU2498748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дель верхней одежды для школьников
CN109171039A (zh) 休闲哈伦裤的制衣方法
CN205567858U (zh) 一种设有高膝围线的裤子
Roy The Tailor’s Voice: Pattern Drafting Systems and the State of the Art
CN209609890U (zh) 一种轮椅使用者西裤
CN219108791U (zh) 一种尺寸可调节的畜牧业疫苗接种防护服
CN109171042A (zh) 褶皱亮片连衣裙的制衣方法
CN220631113U (zh) 一种3d精雕分区塑形瑜伽裤
Harris 59 authentic turn-of-the-century fashion patterns
US20230292865A1 (en) Waist belt and clothing system
CN207070889U (zh) 一种多穿法裤子
CN201591135U (zh) 护理用衣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