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69Y1 -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 Google Patents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069Y1
KR200383069Y1 KR20-2004-0036423U KR20040036423U KR200383069Y1 KR 200383069 Y1 KR200383069 Y1 KR 200383069Y1 KR 20040036423 U KR20040036423 U KR 20040036423U KR 200383069 Y1 KR200383069 Y1 KR 200383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lid
container
separate
sh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예
Original Assignee
최성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예 filed Critical 최성예
Priority to KR20-2004-0036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0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분말입자 등을 액체와 흔들어서 혼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흔들 경우에 또는 마실 경우에 압의 변화에 의한 누설을 방지하고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통상 흔들어 혼합하는 용기의 구조는 뚜껑에 개폐되는 마개를 갖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뚜껑은 함체와 원터치로 가압에 의하여 결합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압의 결합이 마개를 막은 상태에서 원터치로 가압할 경우에는 진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과 이러한 용기가 대부분 독성이 없는 연질의 PP등을 사용하게 됨으로 잡을 경우에 가압력이 발생되면서 변형되어져 자칫 쏟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별도의 잠금수단을 제공토록 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고, 또한 흔들경우에 별도의 기구를 사용치 아니하고 혼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분말 혼합용기

Description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 혼합용기{A device for mixing drinks}
본 고안은 분말입자 등을 액체와 흔들어서 혼합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흔들기 위한 뚜껑의 결합이 견고하고 또한 흔든후에 뚜껑을 개봉할 경우에도 터짐이 없도록 하며 흔들어 혼합할 경우에 별도의 혼합수단이 사용치 아니한 것이다.
현재 통상 흔들어 혼합하는 용기의 구조는 뚜껑에 개폐되는 마개를 갖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뚜껑은 어느 정도 기다란 함체와 원터치로 가압에 의하여 결합토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함체에는 바람개비와 같은 별도의 혼합수단이 내장되어져 흔들 경우에 내용물이 이러한 혼합수단과 부딪히게 되면서 혼합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을 위하여 뚜껑과 함체를 결합할 경우에 가압의 결합이 마개를 막은 상태에서 원터치로 가압할 경우에는 함체의 진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과 이러한 용기가 대부분 독성이 없는 연질의 PP등을 사용하게 됨으로 연성에 의하여 가압력으로 기밀이 유지토록 함으로 더욱 결합의 곤란성이 발생되는 것이고 또한 강함 힘으로 잡을 경우에는 원터치로 결합되어진 것이 벗겨진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뚜껑에 별도의 잠금수단을 제공하고 패킹을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뚜껑에 혼합수단을 일체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함체(20)의 상단 테두리의 하단으로 돌출된 보강테(21)와 상기 보강테에는 단턱(22)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테의 단턱과 맞물릴 수 있도록 걸림턱(17a)을 갖는 내향돌기(17)를 갖는 잠금수단(16)이 절첩부(18)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뚜껑(10)과 상기 뚜껑(10)의 중앙에는 혼합수단(11)이 일체로 형성되며 혼합수단(11)의 외측으로는 패킹(14)이 수납되어지는 테두리홈(13)이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홈(13)에는 일정간격으로 개구부(15)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때 격벽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이거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이거나 구불구불한 형 등 다양한 형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혼합수단으로 사용된 격벽은 중앙에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음료를 혼합할 경우에 이러한 원형과 방사상의 격벽에 의한 부딪힘을 크게 함으로서 혼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뚜껑은 가능하면 투명체로 함으로서 흔들 경우에 내용물의 혼합상태를 확인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패킹이 끼워지는 테두리홈에 형성된 개구부는 잠금수단이 형성되어진 부분에 위치토록 함으로서 잠금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짐을 방지하는 것이고, 이러한 개구부는 테두리홈에 장착된 패킹의 이물질이 끼게 될 경우에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보강테의 단턱은 뚜껑의 잠금수단의 내향돌기가 결합될 경우에 단턱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7a)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걸림턱은 아무런 일치시킴이 없이 가압함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결합된 이후에는 결합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하강되어진 것이 패킹의 복원력으로 상승하면서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임의적인 잠금수단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뚜겅을 함체와 결합할 경우에 패킹에 의하여 강한 압력으로 결합되어짐으로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강한 결합도 함체의 보강테에 의하여 강한 힘을 견디게 되는 것이고, 잠금수단이 일체로 형성됨으로 성형 또한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잠금수단을이용함으로 원터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고 또한 뚜껑에 일체로 혼합수단을 형성토록 함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패킹의 청소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의 분리상태의 단면도.
도 3은 혼합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뚜껑이 함체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뚜껑의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뚜껑 11 : 혼합수단
12 : 격벽 13 : 테두리홈
14 : 패킹 15 : 개구부
16: 잠금수단 17: 결합홈
17a: 걸림턱
20: 함체 21: 보강테
22: 단턱

Claims (4)

  1. 함체(20)의 상단 테두리의 하단으로 돌출된 보강테(21)와 상기 보강테에는 단턱(22)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테(21)의 단턱과 맞물릴 수 있도록 걸림턱(17a)을 갖는 내향돌기(17)를 갖는 잠금수단(16)이 절첩부(18)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뚜껑(10)과 상기 뚜껑(10)의 중앙에는 혼합수단(11)이 일체로 형성되며 혼합수단(11)의 외측으로는 패킹(14)이 수납되어지는 테두리홈(13)이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홈(13)에는 일정간격으로 개구부(15)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 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은 격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 혼합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중앙에 원형과 방사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 혼합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직선형이거나 곡선형이거나 구불구불한 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 용기.
KR20-2004-0036423U 2004-12-22 2004-12-22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KR200383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423U KR200383069Y1 (ko) 2004-12-22 2004-12-22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423U KR200383069Y1 (ko) 2004-12-22 2004-12-22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069Y1 true KR200383069Y1 (ko) 2005-04-29

Family

ID=4368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423U KR200383069Y1 (ko) 2004-12-22 2004-12-22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0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3905B1 (en) Beverage container
US8261929B2 (en) Multiple-opening container and method
JP5607151B2 (ja) 密閉部材と、これを有する容器
JP2011500469A (ja) 容器閉鎖装置用膜突き刺し器
AU2010215460A1 (en) Lid of a container
EP1712480A1 (en) Cap element for a beverage can
KR20200000153U (ko) 유아용 빨대 컵
TW200540077A (en) Plastic container
KR200383069Y1 (ko)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KR200379451Y1 (ko)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JP2005224261A (ja) 飲用具
JP2013508226A (ja) 瓶の栓組立体
KR101574225B1 (ko) 음료용기용 캡
KR102092360B1 (ko) 액체, 고체 분리형 용기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KR100571747B1 (ko) 이종물질을 실시간 혼합시킬 수 있는 용기의 마개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JP3929602B2 (ja) 振り混ぜ容器の蓋付き注出栓
KR101063259B1 (ko)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20090001976U (ko) 용기 마개
KR100898565B1 (ko) 믹싱밀폐용기
JP3222647U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JP2006089084A (ja) 2剤混合容器
KR101104633B1 (ko)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