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752Y1 - 양날톱 - Google Patents

양날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752Y1
KR200382752Y1 KR20-2004-0033765U KR20040033765U KR200382752Y1 KR 200382752 Y1 KR200382752 Y1 KR 200382752Y1 KR 20040033765 U KR20040033765 U KR 20040033765U KR 200382752 Y1 KR200382752 Y1 KR 200382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ember
saw blade
fixed
bla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진
Original Assignee
박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진 filed Critical 박호진
Priority to KR20-2004-0033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4Cross-cut saws; Pad saws

Abstract

본 고안은 양날톱에 관한 것으로, 주로 가지치기용으로 사용되는 외날톱을 좌우 한 쌍의 마주보는 양날톱으로 구성하되, 이 중 한쪽 날은 고정된 상태로 구성하고 다른 한쪽 날은 외측으로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지 절단시 나뭇가지의 넘어지는 방향을 쉽게 예측 가능하고 절단하부의 표피 벗겨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가지치기 작업의 능률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날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측에는 절단부재 설치부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연결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절단부재 설치부 중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톱날부를 구비한 고정절단부재; 상기 절단부재 설치부 중 타측에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톱날부를 형성한 유동절단부재; 및 상기 유동절단부재가 상기 고정절단부재에 대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유동절단부재를 연결하는 탄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날톱{Double-bladed saw}
본 고안은 양날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가지치기용으로 사용되는 외날톱을 좌우 한 쌍의 마주보는 양날톱으로 구성하되, 이 중 한쪽 날은 고정된 상태로 구성하고 다른 한쪽 날은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지 절단시 나뭇가지의 넘어지는 방향을 쉽게 예측 가능하고 절단하부의 표피 벗겨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가지치기 작업의 능률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날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이나 벌목된 목재에서는 불필요한 잔가지를 정리하기 위해 가지치기가 이루어진다. 가지치기에는 통상 외날톱과 조경용 가위가 사용되는데, 주로 가지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외날톱을 사용하고, 이와 반대로 직경이 작은 잔가지의 경우에는 가위를 사용하여 가지치기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가지치기용 도구 중에서 외날톱은 일측에 톱니형의 톱날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손잡이가 연결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톱날부를 목재에 밀착시킨 후 반복적으로 전후 이동하여 잔가지나 목재를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외날톱은 큰 힘을 요하면서 목재의 절단이 이루어질 때,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강한 힘으로 목재를 누르면서 절단하게 되는데, 이 같은 경우에는 톱날부와 목재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여 큰 힘이 소요되더라도 단시간에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불안정한 자세에서 외날톱을 사용하여 한손으로 가지치기를 하는 경우에는 외날톱과 잔가지 사이에 마찰력이 감소하면서 톱날부와 잔가지 사이의 접촉면이 작아져 가지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됨은 물론, 잔가지의 절단도중 외날톱이 잔가지로부터 이격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가지치기의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외날톱을 사용하여 가지치기를 할 경우 잔가지에 톱날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외날톱의 전후 이동에 따라 잔가지를 절단하게 되지만, 잔가지를 어느 정도 절단한 후에는 잔가지 자체 중량에 의해 잔가지가 점차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절단면이 톱날부를 점차 조이게 되어 톱날부와 잔가지 사이에 접촉면은 줄어들고 외날톱 외면과 잔가지 사이에 접촉면은 늘어나 외날톱의 전후 이동이 곤란해지며, 더욱이 외날톱을 전후 이동하는 과정에서 잔가지로부터 쉽게 이격될 수 있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날톱의 경우에는 톱날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관 및 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톱날부의 손상 발생 우려가 있고, 부주위로 인해 사용자를 포함한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까지 상해를 입힐 우려가 있어 사용시 상당한 주위를 요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선출원 등록실용20-0332603호에 양날을 갖는 톱을 개발하여 이미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에 의한 양날톱은, 가지치기용 외날톱을 좌우 한 쌍의 마주보는 양날톱으로 구성하여 잔가지와 양날톱 사이의 접촉면을 확장시키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가지치기용 외날톱에 비해 가지치기 작업에 따른 능률은 향상되었으나, 가지 절단시 나무의 좌우 넘어지는 방향을 결정하기 곤란하고, 좌우 날이 모두 자유 탄지됨에 따라 좌우 톱날에 전달되는 힘이 균등하므로 절단작업 도중 가지가 돌발적으로 부러지거나 함으로써 가지 절단하부의 표피가 벗겨지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병충해를 발생시키고 산림보호 측면에서도 악영향을 주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 좌우 한 쌍의 외날톱을 구비한 가지치기용 양날톱에 있어서, 상기 외날톱 중 하나는 손잡이에 고정된 상태로 구성하고, 타 외날톱은 자유탄지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지 절단시 나무의 좌우 넘어지는 방향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음은 물론, 가지의 돌발적인 부러짐을 방지하여 가지 절단하부의 표피 벗겨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양날톱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날톱은, 상측에는 절단부재 설치부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연결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절단부재 설치부 중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톱날부를 구비한 고정절단부재; 상기 절단부재 설치부 중 타측에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톱날부를 형성한 유동절단부재; 및 상기 유동절단부재가 상기 고정절단부재에 대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유동절단부재를 연결하는 탄지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에 잔가지가 끼워져 절단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날톱(100)은 크게 하단에 손잡이 기능을 하도록 연결대(50)가 부착된 본체(30)(40)와, 탄지수단(20)과, 상기 본체(30)(40)에 결합되는 고정절단부재(10) 및 유동절단부재(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30)(40)는 상판(40)과 하판(30)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각 판재(30)(40)의 상측에는 확장된 접촉면을 갖는 절단부재 설치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32) 좌우에는 고정절단부재(10) 및 유동절단부재(11)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중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절단부재(10)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7a)(17b)이 상기 고정홈(17a)(17b)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판(30)의 절단부재 설치부(32) 상에 형성된 고정돌기(37a)(37b)에 서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3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절단부재 설치부(32) 타측에 결합되는 유동절단부재(11)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15)과 상기 힌지홈(15)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판(30)의 절단부재 설치부(32) 상에 형성된 힌지축(35)이 상기 본체(30)에 대해 좌우 유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절단부재(10)와 유동절단부재(11)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톱날부(12a)(12b)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유동절단부재(11)는 가지치기 작업시 가지(s)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선단에 외측으로 경사를 갖는 가이드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절단부재(10)는 가지(s) 절단시 그 위치 선정이 용이하도록 상기 유동절단부재(11)의 가이드부(18)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연장부(1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8) 및 연장부(19)에는 톱날부(12a)(12b)가 미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8) 및 연장부(19)는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필요에 따라 가이드부(18)가 고정절단부재(10) 선단에 형성되고, 연장부(19)가 유동절단부재(11) 선단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부재 설치부(32)에 힌지 결합되는 유동절단부재(11)는, 하판(30) 중앙 하단부에 돌설되는 스프링걸림핀(34)에 중심고정구멍(22)이 감겨진 채 그 일단의 고정구멍(21)이 유동절단부재(11)의 바깥쪽을 지지하도록 힌지홈(15) 주변에 돌설된 스프링고정돌기(16)에 설치되고 타단의 고정구멍(23)은 반대편에 위치한 고정돌기(37a)(37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비틀림 스프링(20)에 의해 비작업시 항상 고정절단부재(10)와의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40)은 하판(30)의 걸림핀(34), 힌지축(35), 고정돌기(36) 및 스프링고정축(37)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걸림핀결합공(44), 힌지축결합공(45), 돌기결합공(46) 및 고정축결합공(47)이 형성되어 상판(40)과 하판(30)이 조립된 후에 상기 고정절단부재(10) 및 유동절단부재(11)가 본체(30)(40) 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40) 중 유동절단부재(11)의 스프링고정돌기(16)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프링고정돌기(16)가 돌출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유동절단부재(11)의 유격범위를 한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40)(30)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삽입공(48)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40)(30)에 결합된 연결대(50)에는 상기 볼트삽입공(48)에 대응하도록 결합구멍(5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삽입공(48)과 결합구멍(51)에 결합볼트(49)를 삽입하면 연결대(50)가 장착된 상태로 상판(40)과 하판(3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양날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양날톱(100)을 이용하여 가지치기나 벌목된 목재에서 불필요한 잔가지(s)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양날톱(100)의 연결대(50)와 본체(30)(40)를 손으로 잡고 제거하고자 하는 잔가지(s)를 유동절단부재(11)의 가이드부(18)에 밀착시킨 후 본체(30)(40)의 전방으로 밀어 상기 잔가지(s)를 상기 고정절단부재(10)와 유동절단부재(11)의 톱날부(12a)(12b)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절단부재(10) 선단의 연장부(19) 및 유동절단부재(11)의 가이드부(18)를 통해 가지(s)의 절단 위치 선정이 용이해진다.
이 같이 잔가지(s)를 상기 고정절단부재(10)와 유동절단부재(11)의 톱날부(12a)(12b) 사이에 위치시킨 후에 본체(30)(40)를 반복적으로 밀거나 당겨 잔가지(s)를 외면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절단부재(10)는 본체(30)(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동절단부재(11)는 탄지수단(20)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며 잔가지(s)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홈(43)의 범위 내에서만 유격하게 되므로, 상기 잔가지(s)와 톱날부(12a)(12b) 사이에 마찰력이 증대되면서 상기 좌우 톱날부(12a)(12b)가 서로 밀착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조여지며 상기 잔가지(s)를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절단부재(10)와 유동절단부재(11)로부터 잔가지(s)에 전해지는 힘의 크기는 각각의 톱날부(12a)(12b)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가지의 절단 방향을 예측할 수 있음은 물론, 가지의 절단 도중 절개된 상부 하중에 의해 미절단부가 부러지면서 목재 절단하부의 표피가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절단된 가지의 정돈은 물론, 가지치기가 완료된 나무는 표피의 벗겨짐 없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날을 가진 톱의 기능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구조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치기 작업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최선의 절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절단부재(10)와 유동절단부재(11)를 곡선형으로 휘게 제작하여 이들 톱날부(12a)(12b)의 톱날면이 유연한 곡선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은 주로 가지치기용으로 사용되는 양날톱에 있어서, 마주보며 설치되는 외날톱 중 한쪽의 외날톱은 고정시키고 타쪽의 외날톱만을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잔가지와 양날톱 사이에 접촉면을 확장시켜 가지치기 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가지의 절단방향 예측 및 가지의 부러짐을 억제하여 목재 절단하부의 표피가 벗겨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목재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에 잔가지가 끼워져 절단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날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절단부재 11 ; 유동절단부재
12a, 12b ; 톱날부 15 ; 힌지홈
16 ; 스프링고정돌기 17a, 17b ; 고정홈
18 ; 가이드부 19 ; 연장부
20 ; 탄지수단 30 ; 본체 하판
32 ; 절단부재 설치부 34 ; 걸림핀
35 ; 힌지축 37a, 37b ; 스프링고정축
40 ; 본체 상판 43 ; 가이드홈
48 ; 볼트삽입공 49 ; 결합볼트
50 ; 연결대 51 ; 결합구멍
100 ; 양날톱 s ; 잔가지

Claims (3)

  1. 상측에는 절단부재 설치부(32)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연결대(50)가 장착된 본체(30)(40);
    상기 본체(30)(40)의 절단부재 설치부(32) 중 일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톱날부(12a)를 구비한 고정절단부재(10);
    상기 절단부재 설치부(32) 중 타측에 외측으로 펼침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톱날부(12b)를 형성한 유동절단부재(11); 및
    상기 유동절단부재(11)가 상기 고정절단부재(10)에 대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0)(40)와 유동절단부재를 연결하는 탄지수단(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절단부재(11)의 선단에 절단할 가지(s)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경사를 갖는 가이드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절단부재(10)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부(18)와 마주보도록 연장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절단부재(10)와 유동절단부재(11)는, 톱날면이 완곡선을 이루는 곡선형 톱날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날톱.
KR20-2004-0033765U 2004-11-29 2004-11-29 양날톱 KR200382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65U KR200382752Y1 (ko) 2004-11-29 2004-11-29 양날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765U KR200382752Y1 (ko) 2004-11-29 2004-11-29 양날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752Y1 true KR200382752Y1 (ko) 2005-04-22

Family

ID=4368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765U KR200382752Y1 (ko) 2004-11-29 2004-11-29 양날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69B1 (ko) 2011-08-31 2013-06-27 최연군 과수 잔가지 절단용 칼
CN107984504A (zh) * 2018-01-23 2018-05-04 马子超 一种仿生手锯锯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69B1 (ko) 2011-08-31 2013-06-27 최연군 과수 잔가지 절단용 칼
CN107984504A (zh) * 2018-01-23 2018-05-04 马子超 一种仿生手锯锯片
CN107984504B (zh) * 2018-01-23 2023-09-12 马子超 一种仿生手锯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757B1 (en) Gardening shears having energy-saving function
CN107846847B (zh) 兼备树枝悬挂及缓解冲击功能的剪枝剪
US8910386B2 (en) Multiple cut zone blade assembly for a hand operated cutting tool
CN108366534B (zh) 兼备悬挂于树枝及缓解冲击功能的剪枝剪
KR200382752Y1 (ko) 양날톱
US5544416A (en) Shears
FR2826234A3 (fr) Ustensile de jardinage et, plus particulierement, secateur pour arbres
KR20070001195U (ko) 전지가위
KR200332603Y1 (ko) 양날톱
JP2013013382A (ja) 刈込鋏
KR0156015B1 (ko) 전정가위
EP1292433A1 (en) Foldable handsaw with an optional angle between the handle and the blade
KR101711330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200361910Y1 (ko) 밀어 절단하는 형식의 전정가위
KR200421004Y1 (ko) 전정가위
JP3910599B2 (ja) 剪定鋏
KR200155081Y1 (ko) 화훼용 전정가위
CN216163623U (zh) 一种茶叶种植用茶叶修剪装置
KR960009612Y1 (ko) 원예용 가위
KR20240036885A (ko) 농업용 경량 장대 가위
KR20110008301U (ko) 원예용 양손 가위
GB2449644A (en) Combined pivoted cutting tool and shovel
KR200396667Y1 (ko) 모종삽
KR20230142283A (ko) 왼손 전지가위
JPH02401A (ja) 枝打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