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453Y1 -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453Y1
KR200382453Y1 KR20-2004-0035764U KR20040035764U KR200382453Y1 KR 200382453 Y1 KR200382453 Y1 KR 200382453Y1 KR 20040035764 U KR20040035764 U KR 20040035764U KR 200382453 Y1 KR200382453 Y1 KR 200382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liquor
inner contain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훈 filed Critical 서정훈
Priority to KR20-2004-0035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酒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술의 종류 중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술의 음용 시 데워진 술의 온도가 주병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부용기에 외부용기보다 용적이 작은 내부용기의 몸체 중간부까지를 삽입한 후, 내·외부용기를 일체로 하여 상기 내·외부용기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므로, 데워진 술의 온도는 내부용기에 담겨 그대로 유지하고, 외부용기에는 술의 온도가 극히 일부만 전달되어 뜨거운 주병에 대한 부담 없이 음용자가 주병을 손으로 안전하게 감싸 쥐고 음주를 즐길 수 있는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주병에 있어서, 주병 입구와 주병의 목을 가지는 내부용기가 상부몸체를 구성하고, 그 내부용기의 하부는 내부용기보다 큰 용적의 외부용기내로 삽입·접합하여 이중구조의 하부몸체를 구성하며, 그 하부몸체를 이루는 내부용기의 하부와 외부용기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삽입·접합부는 외부에서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동일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화된 형태로 매끄럽게 마무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LIQUOR BOTTLE HAVING DUAL STRUCTURE}
본 고안은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酒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술의 종류 중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술의 음용 시 데워진 술의 온도가 주병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부용기에 외부용기보다 용적이 작은 내부용기의 몸체 중간부까지를 삽입한 후, 내·외부용기를 일체로 하여 상기 내·외부용기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므로, 데워진 술의 온도는 내부용기에 담겨 그대로 유지하고, 외부용기에는 술의 온도가 극히 일부만 전달되어 뜨거운 주병에 대한 부담 없이 음용자가 주병을 손으로 안전하게 감싸 쥐고 음주를 즐길 수 있는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술의 음용 온도를 보면, 맥주처럼 탄산가스가 있는 술은 4℃~8℃ 사이로 가스가 적게 날아가는 찬 온도, 전통약주는 8℃ 내외가 적당한 반면 일본전통주는 55℃~75℃ 정도로 데워 마시고 소주와 같은 술은 너무 차지 않게 하여 마시는 것이 몸을 덜 상하며, 꼬냑은 향기가 강한 술은 체온과 같은 36℃~37℃ 정도가 적당하며, 화이트와인은 차게, 레드와인은 실온과 같이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각 술의 종류에 따라 마시는 방법이나 온도 등이 무척 다양한데, 그중에서도 일본주인 사케는 쌀로 빚은 일본전통의 술로 주류판매상에서 큰 병 단위로 판매하고 는데, 이를 일반주점에서는 큰 병 채로 내지 않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작은 도자기 주병에 넣어 작은 도자기 술잔과 함께 술상을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의 전통 술은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술로, 술을 이렇게 데워 먹는 것은 세계에서도 드문 음주 법이다. 언제부터 이렇게 마시기 시작했는지에 대한 정설은 없지만 대강 헤이안 시대부터로 추정되며, 당시에는 추운 계절에만 술을 데워 마셨다. 일년 내내 술을 데워 마시게 된 것은 에도 시대 중기부터 라고 한다. 이는 주병(酒甁)이나 주잔(酒盞)으로 도자기제품이 보급되던 때와 비슷한 시기이다. 그리고, 일본전통주 중 아츠캉은 전통 일본 곡주를 따뜻하게 데운 것으로서 이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작은 도자기 주병에 담겨 나온다. 일반적으로 이 작은 도자기 주병은'도꾸리'라고 불리우는데, '도꾸리'란 따뜻한 술을 데워 담아 마시는 주둥이가 잘록한 주병을 뜻한다. 이 도꾸리를 사용해본 대부분 사람들의 느낌은 따뜻하다 못해 뜨거운 도꾸리에서 뿜어 나오는 술의 기운이 느껴진다고 한다.
상기와 같이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술의 음용 시 데워진 술의 온도가 55℃~75℃이므로 데워진 술의 온도가 주병에 전도되어 음용자가 주병을 감싸 쥐고 주잔에 따라야 하는데, 그 온도가 손으로 쥐기에는 뜨거운 정도이므로 이 뜨거움을 감수하고 주병을 잡아 술을 따르거나, 주병(1)의 상부에 오목한 주병의 목(13)을 위태롭게 잡고 술을 따르거나 또는 일부러 시간을 두고 약간 주병의 온도가 내린 다음 주병(1)의 몸체(15)를 잡아 술을 따라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주병(1)의 오목한 주병의 목(13)를 위태롭게 잡고 작은 주잔에 술을 따르다보면 도자기 주병(1)과 내부에 술의 무게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힘들고 어느 정도 취한 상태에서는 엎지르는 실수를 하기도 한다. 또한, 주병의 온도가 내린 다음에야 편안하게 음용자가 술을 따라 마신다는 것은 술을 일부러 데워서 제대로 술맛을 즐기려는 본질이 흐려져 술맛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고 다시 술을 데워 마셔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술의 종류 중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술의 음용 시 데워진 술의 온도가 주병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부용기에 외부용기보다 용적이 작은 내부용기의 몸체 중간부 까지를 삽입한 후 일체가 되도록 접합하여 상기 내·외부용기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므로, 데워진 술의 온도는 내부용기에 담겨 그대로 유지하고, 외부용기에는 술의 온도가 극히 일부만 전달되지 않아 뜨거운 주병에 대한 부담 없이 음용자가 주병을 손으로 안전하게 감싸 쥐고 음주를 즐길 수 있는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병(30)에 있어서, 주병 입구(22)와 주병의 목(24)을 가지는 내부용기(20)가 상부몸체(26)를 구성하고, 그 내부용기(20)의 하부는 내부용기(20)보다 큰 용적의 외부용기(21)내로 삽입·접합(27)하여 이중구조의 하부몸체(28)를 구성하며, 그 하부몸체(28)를 이루는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외부용기(21) 사이에는 공간부(25)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삽입·접합부(27)는 외부에서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가 동일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화된 형태로 매끄럽게 마무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20) 중간부의 외주 직경이 외부용기(21) 상단부의 내주직경 보다 큰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21)에 삽입하여 접합하는 것이 제작 시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외부용기(21) 사이의 공간부(25)는 3.0mm~10.0mm의 간격을 갖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용기(21)에는 측면에 다수의 통공(23)을 형성하여, 상기의 공간부(25)를 둠으로써 갖는 본 고안 구성에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용기(21)의 바닥면에도 1개~5개의 통공(23)을 형성하면 그 효과를 더더욱 증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21) 측면에 다수의 통공(23)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얼마든지 변형하여 제작 가능하며, 상기 외부용기(21)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을 일부 구성요소로 하는 그림 또는 문양이 도안된다면 미적 효과와 더불어 주병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병은 도자기, 토기, 유리, 주석 및 구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의 제작 시 바이오세라믹, 맥반석, 황토 및 숯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실시예)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의 상세구조를 알 수 있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을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병 입구(22)와 주병의 목(24)을 가지는 내부용기(20)가 상부몸체(26)를 구성하고, 그 내부용기(20)의 하부는 내부용기(20)보다 큰 용적의 외부용기(21)내로 삽입·접합(27)하여 이중구조의 하부몸체(28)를 구성하며, 그 하부몸체(28)를 이루는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외부용기(21) 사이에는 공간부(25)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삽입·접합부(27)는 외부에서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가 동일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화된 형태로 매끄럽게 마무리하였다.
물론,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주병(30)의 제작이 가능하지만,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 중간부의 외주 직경이 외부용기(21) 상단부의 내주직경 보다 큰 내부용기(20)를 외부용기(21)에 삽입하여 접합한 것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의 금형을 각각 따로 하며, 내부용기(20) 중간부의 외주 직경이 외부용기(21) 상단부의 내주직경 보다 크고 상기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21)에 삽입·접합하는 것이 제작 시 가장 용이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의 삽입·접합부(27)는 외부에서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가 동일 곡면을 이루도록 일체화된 형태로 매끄럽게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 용적이 다른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의 삽입·접합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상기 외부용기(21) 사이 공간부(25)는 3.0mm~10.0mm의 간격을 가져야 좋다. 왜냐하면,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상기 외부용기(21) 사이 공간부(25)가 3.0mm 미만일 경우는 내부용기(20)에 55℃~75℃로 데워져 담긴 술(29)의 온도가 외부용기(2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지고, 10.0mm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공정상 불편을 초래하고, 음용자가 한 손으로 쥐고 술을 따르기에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부용기(21)에는 측면에 다수의 통공(23)을 형성하여, 상기의 공간부(25)를 둠으로써 갖는 본 고안 구성에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용기(21)의 바닥면에도 1개~5개의 통공(23)을 형성하면 그 효과를 더더욱 증진 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2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의 역할은 데워진 술(29)이 담긴 내부용기(20)의 열이 삽입·접합부(27)와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상기 외부용기(21) 사이 공간부(25)를 통해 간접적으로 외부용기(21)에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다수의 통공(23)으로 공기가 순환하여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전달된 열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용기(21)의 바닥면에는 제작된 주병(30)의 크기나 디자인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유연하게 1개~5개의 통공(23)을 다양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2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얼마든지 변형하여 제작 가능하며, 상기 외부용기(2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을 일부 구성요소로 하는 그림 또는 문양이 도안된다면 미적 효과와 더불어 주병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병은 다양한 재질로 얼마든지 제작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도자기, 토기, 유리, 주석 및 구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21)의 제작 시 바이오세라믹, 맥반석, 황토 및 숯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만일, 도자기나 토기로 본 고안의 주병(30)을 제작한다면 상기 재료들을 이에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지만 금속재 즉 상기의 구리처럼 재료를 혼합하기 곤란하다면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완성된 주병(30)은 도 4와 같이 음용자가 데워진 술의 온도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손으로 감싸 쥐어 술을 따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또 다른 면으로 살펴보면, 종래에 주병(1)을 사용하였을 때 주병(1)안에 데워진 술(29)이 단일의 주병(1)안에서 술의 온도가 떨어지는 속도와, 본 고안에 따른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30)은 외부 및 테이블로부터 하나의 보온층을 더 갖는 샘이기 때문에, 데워진 술(29)의 온도가 떨어지는 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으므로 이로 인해 보다 오랫동안 따뜻한 술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용기(20)의 제작 시 보온능을 높이는 보온재를 추가하여 내부용기(20)를 제작한다면 데운 술(29)의 온도는 더욱 오랫동안 내부용기(20)안에서 보온 가능하므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데워 마시는 술을 위한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을 이용하면, 따뜻하게 데워 마시는 술의 음용시 데워진 술의 온도가 주병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음용자는 술의 온도가 극히 일부만 전달되어 주병에 대한 부담 없이 주병을 손으로 감싸 쥐고 술을 따를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음주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용기에 보온성분을 추가하여 제작한다면 더욱 좋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내부용기에 데워진 술은 외부용기라는 이중구조 덕분에 종래의 단일구조에 따라 외부온도 및 테이블에 빼앗기던 열 보다는 훨씬 적게 열을 빼앗겨 술이 식는 속도를 더디게 하고, 외관상으로도 단순한 주병보다는 이중구조에 다양한 모양으로 통공을 적용하여 미적인 효과도 함께 기대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데워 마시는 술을 담던 도자기 주병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의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의 상세구조를 알 수 있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을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 : 주병 11, 22 : 주병 입구
13, 24 : 주병의 목 15 : 몸체
20 : 내부용기 21 : 외부용기
23 : 통공 25 : 공간부
26 : 상부몸체 28 : 하부몸체
27 : 삽입·접합부 29 : 데워진 술(55℃~75℃)

Claims (9)

  1. 주병(30)에 있어서,
    외부용기(21)와;
    주병 입구(22)와 주병의 목(24)을 가지며, 상기 외부용기 내로 삽입 접합되는 내부용기(2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상기 외부용기(21) 사이에는 공간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20) 중간부의 외주 직경이 외부용기(21) 상단부의 내주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와 상기 외부용기(21) 사이의 공간부(25)는 3.0mm~10.0mm의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21)에는 측면에 다수의 통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21)의 바닥면에 1개~5개의 통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2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의 모양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21)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3)은 그 통공(23)을 일부 구성요소로 하는 그림 또는 문양이 도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20) 또는 외부용기(21)의 재료는 도자기, 토기, 유리, 주석 및 구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20) 또는 외부용기(21)의 재료에 바이오세라믹, 맥반석, 황토 및 숯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KR20-2004-0035764U 2004-12-16 2004-12-16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KR200382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64U KR200382453Y1 (ko) 2004-12-16 2004-12-16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764U KR200382453Y1 (ko) 2004-12-16 2004-12-16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453Y1 true KR200382453Y1 (ko) 2005-04-20

Family

ID=4368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764U KR200382453Y1 (ko) 2004-12-16 2004-12-16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4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6168A1 (en) Cup
KR200382453Y1 (ko) 이중구조를 갖는 주병
CN218852401U (zh) 饮茶器皿
JP2002039656A (ja) 飲食物保冷温器
CN217013499U (zh) 一种新型温酒分酒器
CN213909564U (zh) 一种陶瓷酒具组件
JP2010022784A (ja) 飲料冷却攪拌食器
CN221060300U (zh) 一种创意酒具
CN215423993U (zh) 一种隔热杯
CN215795155U (zh) 一种可加热的酒瓶
CN2582507Y (zh) 温酒瓶
KR200353832Y1 (ko) 가열공간부를 구비한 내열성 용기
CN218142837U (zh) 一种蒸汽自加热保温瓶套装
CN201422711Y (zh) 一种多功能保温杯
KR200428119Y1 (ko) 보온 술잔
KR200420728Y1 (ko) 보온 술잔
US20140110084A1 (en) Beverage cooler
JP2001252165A (ja) 竹製酒容器
CN207428872U (zh) 一种不锈钢功夫茶具及其盖碗、公道杯和茶杯
CN104970643B (zh) 一种盛装两种液体的多功能金属壶
JP2007260370A5 (ko)
KR200364945Y1 (ko) 팥빙수 용기
JP3081420U (ja) 徳利燗セット
TWM516917U (zh) 定溫多飲咖啡杯
CN2735879Y (zh) 鸡尾酒饮酒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