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403Y1 -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403Y1
KR200382403Y1 KR20-2005-0001908U KR20050001908U KR200382403Y1 KR 200382403 Y1 KR200382403 Y1 KR 200382403Y1 KR 20050001908 U KR20050001908 U KR 20050001908U KR 200382403 Y1 KR200382403 Y1 KR 200382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cover
exciter
synchronous mo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20-2005-0001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젤엔진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서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플라이휠과 연결되는 브러시레스 교류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플라이휠에 제 1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1지지대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역L자형의 제 2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제 2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1커버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발전기와; 상기 제 1발전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 1여자기와; 상기 제 1커버의 제 2지지대 내측에서 회전되고, 회전축을 구비하는 동기 전동기와; 상기 제 1커버와 제 3커플링에 의해 결합되고, 일단이 개구되고, 내측 및 타단에 상기 동기 전동기 회전축의 관통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형성된 격벽이 형성되어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발전기; 및 상기 제 2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여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크기를 축소하여 단품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Frequency conversion alternating current generating system by the engine driving}
본 고안은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성 및 크기를 축소시켜 제작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브러시레스 발전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젤엔진(1)과 상기 디젤엔진(1)의 플라이휠(3)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하우징(2)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전기(7) 및 여자기(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젤엔진(1)이 구동하는 회전력은 디젤엔진(1)의 플라이휠(3)에 커플링(4)을 통하여 연결되는 회전축(9)상의 발전기 계자(6) 및 이와 대응되는 발전기(7)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킨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0은 발전기(7)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컨트롤 하는 전압조정기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9)의 일측에 팬(5)과 여자기(8)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은 회전축(9)을 베어링(11)에 의해 지지하는 프레임(15)이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구조를 갖는 브러시레스 발전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여자기(8)에서 발생하는 전원은 정류기(33)를 거쳐 계자 자극(34)으로 공급되고, 상기 계자 자극(34)에 의해 발전기의 고정자 권선(36)에 전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브러시레스 교류발전기에서 발생 전원 주파수 60Hz의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첫 번째 방법으로는, 디젤엔진의 속도를 1800rpm으로 운전할 시에 발전기 계자의 극수를 4극으로 구성하는 방법과 두 번째 방법으로는 디젤엔진의 속도를 3600rpm으로 운전할 시에 발전기의 계자 극수를 2극으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디젤엔진의 최대효율 운전점인 2000∼2600rpm범위 밖에서 운전함으로서 에너지 효율이 낮은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젤엔진의 효율을 최대로 증대시키면서 서로다른 두개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엔진의 최대 효율 운전점인 2000rpm과 2600rpm에서 디젤엔진을 구동하도록 하고,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는 제1발전기에는 100Hz혹은 120Hz, 제2발전기에서는 50Hz 혹은 60Hz를 얻을 수 있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등록실용신안 0357615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2)에 설치되는 회전축(9)상에 2대의 발전기(7, 14)와, 여자기(8) 및 동기 전동기(1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 1발전기(7)와 여자기(8)는 회전축(9)상에 일체로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제 2발전기(14)와 동기 전동기(12)는 이격 설치되면서 회전축(9)상에 베어링(11)을 통하여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동기 전동기(12)는 자동전압조정기(31)를 통하여 제 1발전기(7) 및 여자기(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 2발전기(14)는 외부의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 1발전기(7) 및 여자기(8)와 동기 전동기(12) 및 제 2발전기(14)가 동일 회전축에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디젤엔진(1)이 구동하는 회전력은 먼저 커플링(4)에 연결된 회전축(9)을 통하여 제 1발전기(7)와 여자기(8)에 전달되며, 이때, 상기 여자기(8)에서 발생하는 전원은 정류기(33)를 거쳐 계자 자극(6)에 공급되고, 상기 계자 자극(6)에 의해 제 1발전기(7)의 고정자 권선(36)에 전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발전기(7)에서 발생되는 전압은 동일 축 상에 장착된 동기 전동기(12)에 공급되며, 상기 동기 전동기(12)는 제 1발전기(7)의 발생 주파수와 동기 전동기(12)의 극수에 의해 상당하는 회전력을 발생하고, 상기 동기 전동기(12)의 회전력은 제 2발전기(14)를 구동하여 2차 전원을 발생한다.
한편, 제 1발전기의 계자 자극은 6극이며, 동기 전동기의 극수는 2차 발전기의 계자 자극과의 관계에서 결정되며, 동기 전동기의 극수가 8극인 경우에는 2차 발전기의 극수는 4극, 동기 전동기의 극수가 4극인 경우에는 2극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디젤엔진의 속도가 2000rpm으로 회전하는 경우 1차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는 100Hz이며, 2차 발전기는 50Hz를 발생한다. 또한, 디젤 엔진속도가 2400rpm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1차 발전기의 발생주파수는 120Hz이며, 2차 발전기의 발생주파수는 60Hz를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은 구성이 복잡하고, 크기가 길어 실제 제작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크기를 축소하여 단품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디젤엔진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서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플라이휠과 연결되는 브러시레스 교류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플라이휠에 제 1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1지지대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역L자형의 제 2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제 2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1커버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발전기와; 상기 제 1발전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 1여자기와; 상기 제 1커버의 제 2지지대 내측에서 회전되고, 회전축을 구비하는 동기 전동기와; 상기 제 1커버와 제 3커플링에 의해 결합되고, 일단이 개구되고, 내측 및 타단에 상기 동기 전동기 회전축의 관통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형성된 격벽이 형성되어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발전기; 및 상기 제 2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여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발전기는 상기 제 1지지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 1발전기 회전자와; 상기 제 1발전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1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1발전기 고정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1여자기는 상기 제 1발전기 회전자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1여자기 회전자와; 상기 제 1여자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1발전기 고정자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1여자기 고정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발전기 및 상기 제 1여자기는 4극 또는 6극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동기 전동기는 상기 제 2커버의 격벽에 형성된 베어링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일측이 개구되고, 측면이 돌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과 제 4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3지지대와; 상기 제 3지지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기 회전자; 및 상기 제 1커버의 제 2지지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기 고정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동기 전동기는 6극 또는 8극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발전기는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 내부에 수납되는 제 2발전기 회전자와; 상기 제 2발전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2발전기 고정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여자기는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서 상기 제 2발전기 회전자와 이격 설치되는 제 2여자기 회전자와; 상기 제 2여자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발전기 고정자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2여자기 고정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발전기 및 상기 제 2여자기는 4극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3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100)은, 제 1지지대(110)와, 제 1커버(120)와, 제 1발전기(130)와, 제 1여자기(140)와, 동기 전동기(150)와, 제 2커버(160)와, 제 2발전기(170)와, 제 2여자기(180)로 구성된다.
제 1지지대(110)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플라이휠(3)에 제 1커플링(111)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에서, 제 1지지대(110)는 일끝단에 제 1커플링(111)이 결합 가능하도록 단턱(113)이 형성된다.
제 1커버(120)는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데, 역L자형의 제 2지지대(121)가 형성되어 하우징(2)과 제 2커플링(123)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에서, 제 1커버(120)는 일단에 제 2커플링(123)이 결합 가능하도록 단턱(125)이 형성되고, 내측면 및 제 2지지대(121)의 외측면에 하기에서 설명할 제 1발전기(130)의 제 1발전기 고정자(133)와, 제 1여자기(140)의 제 1여자기 고정자(143) 및 제 1동기 전동기(150)의 전동기 고정자(157)가 설치되는 수납홈(127)이 각각 형성된다.
제 1발전기(130)는 제 1지지대(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납홈(127)에 설치되는 제 1발전기 회전자(131)와, 제 1발전기 회전자(131)와 대응되도록 제 1커버(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납홈(127)에 설치되는 제 1발전기 고정자(13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발전기(130)는 4극 또는 6극으로 이루어진다.
제 1여자기(140)는 제 1커버(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납홈(127)에서 제 1발전기 고정자(133)와 이격 설치되는 제 1여자기 회전자(141)와, 제 1여자기 회전자(141)와 대응되도록 제 1커버(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납홈(127)에서 제 1발전기 고정자(133)와 이격 설치되는 제 1여자기 고정자(14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여자기(140)는 4극 또는 6극으로 이루어진다.
동기 전동기(150)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 2커버(160)의 격벽(153)에 형성된 베어링(152)에 삽입되는 회전축(151)과, 일측이 개구되고, 측면이 돌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축(151)과 제 4커플링(152)에 의해 결합되는 제 3지지대(153)와, 제 3지지대(153)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기 회전자(155)와, 제 1커버(120)의 제 2지지대(1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기 고정자(15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동기 전동기(150)는 6극 또는 8극으로 이루어진다.
제 2커버(160)는 제 1커버(120)와 제 3커플링(161)에 의해 결합되고, 일단이 개구되고, 내측 및 타단에 동기 전동기(150)의 회전축(151)의 관통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152)이 형성된 격벽(153)이 형성되어 공간부(154)를 구비한다.
제 2발전기(170)는 동기 전동기(150)의 회전축(151)에 설치되고, 격벽(153) 내부에 수납되는 제 2발전기 회전자(171)와, 제 2발전기 회전자(171)와 대응되도록 제 2커버(16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2발전기 고정자(17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2발전기(170)는 4극으로 이루어진다.
제 2여자기(180)는 동기 전동기(150)의 회전축(151)에서 제 2발전기 회전자(171)와 이격 설치되는 제 2여자기 회전자(181)와, 제 2여자기 회전자(181)와 대응되도록 제 2발전기 고정자(173)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2여자기 고정자(18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2여자기(180)는 4극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젤엔진(1)의 플라이휠(3)과 연결된 제 1지지대(11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에 설치된 제 1발전기(130) 및 제 1여자기(140)가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 1여자기(140)의 제 1여자기 회전자(141)가 회전을 하여 초기 자여자 전압을 발생하고, 발생된 여자 전압이 제 1여자기 고정자(143)로 입력되어 제 1여자기 고정자(143)에서 자력이 형성된다.
제 1여자기 고정자(143)에 발생된 자력에 의해 제 1여자기 회전자(141)에서 교류 전압인 발전 전압이 발생되고, 발전 전압은 정류기(도시 생략)을 통해 직류 전원으로 가변되어 제 1발전기 회전자(131)에 공급된다.
그러면, 제 1발전기 회전자(131)에 자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력에 의해 제 1발전기 고정자(133)에서 발전 전압이 발생되는 데, 이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전압이 발생한다.
여기서, N:회전수(rpm), f:주파수(Hz), P:극수
그리고, 제 1발전기(130)의 제 1발전기 고정자(133)에서 발생하는 전원은 동기 전동기(150)의 전동기 고정자(157)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동기 전동기(150)의 전동기 회전자(155)가 일정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전동기 회전자(155)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회전축(151)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고, 회전축(151)에 설치된 제 2발전기(170)와 제 2여자기(180)가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 2여자기(180)의 제 2여자기 회전자(181)가 회전을 하여 초기 자여자 전압을 발생하고, 발생된 여자 전압이 제 2여자기 고정자(183)로 입력되어 제 2여자기 고정자(183)에서 자력이 형성된다.
제 2여자기 고정자(183)에 발생된 자력에 의해 제 2여자기 회전자(181)에서 교류 전압인 발전 전압이 발생되고, 발전 전압은 정류기(도시 생략)을 통해 직류 전원으로 가변되어 제 2발전기 회전자(171)에 공급된다.
그러면, 제 2발전기 회전자(171)에 자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력에 의해 제 2발전기 고정자(173)에서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발전 전압이 발생된다.
〈제 1실시예〉
본 고안의 제 1발전기(130)와 제 1여자기(140)의 자극을 6극으로, 동기 전동기(150)를 8극, 제 2발전기(170)와 제 2여자기(180)를 4극으로 설정하고, 플라이휠(3)을 2400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제 1발전기(130)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는 120Hz이고, 동기 전동기(150)가 1800RPM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발전기(170)는 60Hz를 발생한다.
〈제 2실시예〉
본 고안의 제 1발전기(130)와 제 1여자기(140)의 자극을 4극으로, 동기 전동기(150)를 8극, 제 2발전기(170)와 제 2여자기(180)를 4극으로 설정하고, 플라이휠(3)을 2700RPM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제 1발전기(130)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는 90Hz이고, 동기 전동기(150)가 1800RPM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발전기(170)는 60Hz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한 대의 디젤엔진 기계적 구동력을 이용하여 양질의 다른 두 주파수의 전력을 얻을 수 있고, 기계적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크기를 축소하여 단품화시킬 수 있어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발전기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종래의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디젤엔진 3 : 플라이휠
110 : 제 1지지대 120 : 제 1커버
130 : 제 1발전기 140 : 제 1여자기
150 : 동기 전동기 151 : 회전축
160 : 제 2커버 170 : 제 2발전기
180 : 제 2여자기

Claims (9)

  1. 디젤엔진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서 베어링에 의해 연결되는 플라이휠과 연결되는 브러시레스 교류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플라이휠에 제 1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1지지대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에 역L자형의 제 2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제 2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1커버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외측면 및 상기 제 1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1발전기와;
    상기 제 1발전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 1여자기와;
    상기 제 1커버의 제 2지지대 내측에서 회전되고, 회전축을 구비하는 동기 전동기와;
    상기 제 1커버와 제 3커플링에 의해 결합되고, 일단이 개구되고, 내측 및 타단에 상기 동기 전동기 회전축의 관통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형성된 격벽이 형성되어 공간부를 구비하는 제 2커버와;
    상기 제 2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발전기; 및
    상기 제 2커버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2여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전기는,
    상기 제 1지지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 1발전기 회전자와;
    상기 제 1발전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1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1발전기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여자기는,
    상기 제 1발전기 회전자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1여자기 회전자와;
    상기 제 1여자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1발전기 고정자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1여자기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전기 및 상기 제 1여자기는,
    4극 또는 6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전동기는,
    상기 제 2커버의 격벽에 형성된 베어링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일측이 개구되고, 측면이 돌출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과 제 4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는 제 3지지대와;
    상기 제 3지지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기 회전자; 및
    상기 제 1커버의 제 2지지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동기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전동기는,
    6극 또는 8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발전기는,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격벽 내부에 수납되는 제 2발전기 회전자와;
    상기 제 2발전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 2발전기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여자기는,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축에서 상기 제 2발전기 회전자와 이격 설치되는 제 2여자기 회전자와;
    상기 제 2여자기 회전자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발전기 고정자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는 제 2여자기 고정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발전기 및 상기 제 2여자기는,
    4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KR20-2005-0001908U 2005-01-21 2005-01-21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KR200382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908U KR200382403Y1 (ko) 2005-01-21 2005-01-21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908U KR200382403Y1 (ko) 2005-01-21 2005-01-21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403Y1 true KR200382403Y1 (ko) 2005-04-20

Family

ID=4368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908U KR200382403Y1 (ko) 2005-01-21 2005-01-21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023B1 (ko) * 2016-10-26 2017-02-17 주식회사 대흥기전 출력전압 안정화의 신뢰도가 향상된 브러시리스 동기 발전기
KR2019007772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동기 모터의 여자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023B1 (ko) * 2016-10-26 2017-02-17 주식회사 대흥기전 출력전압 안정화의 신뢰도가 향상된 브러시리스 동기 발전기
KR20190077727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동기 모터의 여자 제어 장치
KR102043780B1 (ko) 2017-12-26 2019-12-05 주식회사 포스코 동기 모터의 여자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3436A3 (en) A compact electrical machine
US20110018383A1 (en) Permanent-magnet switched-flux machine
DE50107804D1 (de) Stromerzeugereinheit aus antriebsmotor und generator
EP1981163A3 (en) Controller of electric motor
CN101272115B (zh) 电动机系统及其控制方法和永磁同步电动机
KR200382403Y1 (ko) 엔진 구동원으로 하는 주파수 변환 교류발전 시스템
CN203859652U (zh) 一种新型轴向磁通双凸极永磁发电机
CN2884672Y (zh) 发电电动双用途无刷同步电机
KR200357615Y1 (ko) 디젤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브러시레스 교류발전 시스템
JP2011259561A (ja) フライホイールおよび発電装置
ATE323962T1 (de) Drehmotor
KR100557386B1 (ko) 디젤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브러시레스 교류발전 시스템
KR102099897B1 (ko) 마그넷 발전기
KR20020034120A (ko) 전동발전기
CN200994097Y (zh) 大功率双枢双馈无刷风力发电机
JP2010035398A (ja) 省エネ型電力・動力発生装置
KR100294944B1 (ko) 직류전원을 입력하여 교류전원을 직접 얻을 수 있고, 동시에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전기
US20240146150A1 (en) 4-Phase Motor and Generator Device
KR20230025558A (ko) 원운동식 교류발전기
KR102012552B1 (ko) 직류공급용 다중회로 브러시의 회전을 이용하는 직류발전장치
KR20220142573A (ko) 프로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KR20220142572A (ko) 프로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RU2389124C1 (ru) Синхронная электромашина
CN109391096A (zh) 一种新型直流发电机
KR100930650B1 (ko)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