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208Y1 -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 Google Patents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208Y1
KR200382208Y1 KR20-2005-0001376U KR20050001376U KR200382208Y1 KR 200382208 Y1 KR200382208 Y1 KR 200382208Y1 KR 20050001376 U KR20050001376 U KR 20050001376U KR 200382208 Y1 KR200382208 Y1 KR 200382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witch
power
terminals
extension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방규
Original Assignee
오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방규 filed Critical 오방규
Priority to KR20-2005-000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2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2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길이의 코오드를 갖는 멀티탭의 플러그에 스위치를 형성함으로서 멀티탭에 공급되는 전원을 플러그에서 온/오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멀티탭의 온/오프시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으로 전원의 통전, 및 단전을 확인 할 수 있게 한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전원의 온/오프가 확실하여 낙뢰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하고, 스위치의 반복 작동으로 내부의 단자들이 접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내부에 단자들과 연결되는 연장코오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witch on a plug of a power stri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cord, thereby enabling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trip to be turned on and off from the plug, and at the same time, turning on or off the lamp when the power strip is turned on or off. It is a multi-tap that has a switch installed on the plug that can confirm the power failure, power failure, and power failure.The power supply can be surely turned on and off so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lightning strike does not occu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can be identified from a distance. In addition, by repeatedly operating the switch is configured so that the terminals inside the contact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tact with the extension cord connected to the terminals in the inside firmly to prevent the easy separ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콘센트를 갖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까지 전원을 인가하는 연장코오드와 상기 연장코오드 끝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오드의 일측에 연결되고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를 부설 한 플러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을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원형핀형태로 콘센트에 꽂을 수 있게 돌출 형성한 두개의 플러그핀과, 일측이 플러그핀의 내측과 접촉하고 타측을 돌출시켜 돌기를 형성한 두개의 가변단자와, 상기 가변단자의 돌기에 삽입하는 두개의 스프링과, 상기 가변단자의 돌기에 삽입한 스프링을 삽입하게 양측에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측방향으로 회동축을 형성한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회동으로 전기의 통전 또는 단전할 수 있게 일 방향으로 고정된 두개의 고정단자와, 상기 두개의 고정단자의 사이를 접속하고, 저항을 연결하여 온/오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램프와, 상기 부품들을 설치하는 플러그 본체와, 스위치가 노출되게 개구부를 형성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ock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an extension cord for applying power to the socke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cor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cord and the power on / Comprising a multi-tap with a switch attached to the plu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g attached to the switch for switching off, the plug is a circular pin form two plug pins protruding to be plugged into the outlet, and one side of the plug pin Two variable terminals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to form a projection, two springs to b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of the variable terminal, and inserting holes on both sides to insert the spring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of the variable terminal And an operation button having a rotation shaft formed in both directions, and fixed in one direction so that electricity can be supplied or disconnected by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Two fixed terminals, a lamp connecting between the two fixed terminals and connecting a resistor to display the on / off state so as to be identified, a plug body for installing the parts, and an opening to expose the switch.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cover.

Description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본 고안은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길이의 코오드를 갖는 멀티탭의 플러그에 스위치를 형성함으로서 멀티탭에 공급되는 전원을 플러그에서 온/오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멀티탭의 온/오프시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으로 전원의 통전, 및 단전을 확인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ap having a switch attached to the plug.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switch on a plug of a multi-ta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cord, the power supplied to the multi-tap can be turned on and off from the plug, When the power strip is turned on or off, the lamp is turned on or off to check the power supply and power failure.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수많은 가전기기 및 컴퓨터의 보급이 되었고, 이러한 많은 종류의 가전기기 및 컴퓨터 등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콘센트를 갖는 멀티탭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 number of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have been spread, and a multi-tap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simultaneously using many kinds of home appliances and computer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런데, 이러한 멀티탭은 주로 다수개의 콘센트를 형성한 소켓부의 일측에 연장 코오드를 연결 형성하고 상기 코오드의 일측 끝단에 플러그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러한 멀티탭은 주로 벽체에 시공한 매입형 콘센트에 꽂고, 소켓부는 가전기기가 밀집해 있는 곳에 위치시키거나, 가전기기가 밀집해 있는 곳에 위치시켜 사용함에 있어, 여러 종류의 가전기기의 코오드가 지저분하게 위치함으로서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위치시켜 필요할 경우만 스위치를 작동시켜 사용하였고, 이러한 이유로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의 스위치를 작동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the multi-tap is mainly formed by connecting the extension cord to one side of the socket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and forming a plug on one end of the cord, the multi-tap is mainly plugged into an embedded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the socket portion In places where home appliances are concentrated or in places where home appliances are densely located, the cords of various types of home appliances are located in an inconspicuous place because the cords of various kinds of home appliances are dirty and operate the switch only when necessary. For this reason, in order to turn on / off the power inevitably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operate the switch in an inconspicuous place.

따라서, 가전기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때 멀티탭 일측에 부설한 스위치의 작동이 불편함이 있어 등록 실용신안 20-0215696 호의 멀티탭 본체 일측으로 일정길이의 스위치 선을 별도로 부착하고, 그 스위치 선의 일측 끝단으로 전원스위치를 부착한 멀티탭과, 등록실용신안 20-335092호의 콘센트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접속단자 각각에 연결되는 배선 중 일측 배선양단에 연결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두가닥의 연결선 단부에 스위치를 연결하여서 된 스위치 분리형 다중 콘센트가 제시되었다. 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of the home appliance is turned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switch placed on one side of the power strip is inconvenient. Therefore, a switch wire of a certain length is separat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ower strip body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5696, and one side of the switch wire. A switch is connected to an end of a two-wire connection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to both ends of a power strip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f the terminals connected to a power strip inside the outlet main body of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335092. A switch disconnect type multiple outlet is presented.

이는 스위치를 별도로 연장시켜 별도의 스위치를 작동이 용이한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서 편리하게 전원을 온/오프 시켰으나 이는 전선을 연장 형성하여야 함으로 미관상 청결하지 못하고, 두 전선 라인중 어느 하나에 스위치가 부착된 것이어서 전원을 완전하게 차단시키지 못하며, 차단한다 하더라도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함으로서 낙뢰로 인한 누전, 또는 감전이 발생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This is a convenient extension of the switch by placing a separate switch in an easy to operate position by turning the power on / off, but this is not aesthetically clean because of the extension of the wire, the switch is attached to either of the two wire lin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is not completely cut off, and even if the cutoff is not cut off completely, a short circuit due to a lightning strike or an electric shock occurs, thereby exposing a risk of a safety accident.

따라서, 상기한 스위치의 차단이 완전한 차단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멀티탭이 아닌 등록 실용신안 20-0343331호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가 제시되었는데, 본체 일측으로 돌출 되어 콘센트에 꽂음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과 상기 본체외부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치 버튼과, 상기 본체 내에서 일측은 각각 한 쌍의 플러그 핀과 접속되며 타측은 상기 스위치 버튼과 연결되어 스위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연동되어 가동되는 한 쌍의 가동접점과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일측은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과 접촉되어 개폐되어 타측에는 전원선이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접점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를 제시하여 2개의 전원선을 동시에 개폐시킴으로서 스위치의 온/오프상태가 확실하여 낙뢰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대비하였으나,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쉽게 확인이 되지 않아 가전제품의 온/오프 여부를 보고 전원의 온/오프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witch is not cut off completely,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3331 "Switch-type plug" is presented, not a multi-tap. A switch button mounted on one side of the plug pin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a pair of plug pin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witch button and simultaneously coup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utton. The switch is mounted i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nd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movable contacts, the other side includes a pair of fixed contacts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power line By presenting a plug and opening and closing two power lines at the same time,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is assured. But over against the risk of accidents such as lightning,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 does not easily check to see whether the on / off electrical appliances should check the power on / off status.

또한 스위치버튼의 작동시 가동접점이 플러그 핀에서 쉽게 이탈되어 전원이 단선되는 문제가 있어 자주 수리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tact is frequently disconnected from the plug pin when the switch button is operated, which causes frequent repairs.

그리고, 연장코오드를 연결하여 사용시 플러그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연장코오드를 잡고 뽑는다든지 하는 경우에는 연장코오드를 접속단자에 고정한다 하더라도 쉽게 단선이 되거나 연장코오드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If the extension cord is used, the plug can be repeatedly used or the extension cord is pulled out and the extension cord is easily disconnected or the extension cord is easily separated even if the extension cord is fix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with exposure.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전원의 온/오프가 확실하여 낙뢰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on / off of the power supply so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lightning strike does not occur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can be identified from a distance.

또한, 스위치의 반복 작동으로 내부의 단자들이 접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내부에 단자들과 연결되는 연장코오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witch is to configure the internal terminal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ntact by the repeated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o secure the extension cord connected to the terminals therein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콘센트를 갖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까지 전원을 인가하는 연장코오드와 상기 연장코오드 끝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오드의 일측에 연결되고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를 부설 한 플러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을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원형핀형태로 콘센트에 꽂을 수 있게 돌출 형성한 두개의 플러그핀과, 일측이 플러그핀의 내측과 접촉하고 타측을 돌출시켜 돌기를 형성한 두개의 가변단자와, 상기 가변단자의 돌기에 삽입하는 두개의 스프링과, 상기 가변단자의 돌기에 삽입한 스프링을 삽입하게 양측에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측방향으로 회동축을 형성한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회동으로 전기의 통전 또는 단전할 수 있게 일 방향으로 고정된 두개의 고정단자와, 상기 두개의 고정단자의 사이를 접속하고, 저항을 연결하여 온/오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램프와, 상기 부품들을 설치하는 플러그 본체와, 스위치가 노출되게 개구부를 형성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ocke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an extension cord for applying power to the socke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cor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cord and the power on / Comprising a multi-tap with a switch attached to the plu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g attached to the switch for switching off, the plug is a circular pin form two plug pins protruding to be plugged into the outlet, and one side of the plug pin Two variable terminals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to form a projection, two springs to be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of the variable terminal, and inserting holes on both sides to insert the spring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of the variable terminal And an operation button having a rotation shaft formed in both directions, and fixed in one direction so that electricity can be supplied or disconnected by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Two fixed terminals, a lamp connecting between the two fixed terminals and connecting a resistor to display the on / off state so as to be identified, a plug body for installing the parts, and an opening to expose the switch.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one cover.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tap installed in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tap installed in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power strip provided with a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콘센트(11)를 갖는 소켓부(10)와, 상기 소켓부(10)까지 전원을 인가하는 연장코오드(20)와 상기 연장코오드(20) 끝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오드의 일측에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를 부설 한 플러그(30)로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ocket portion 10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11, the extension cord 20 for applying power to the socket portion 10 and the extension cord 20 It is connected to the end is installed, and constitutes a plug (30) provided with a switch for power on / off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cord.

상기 소켓부(10)는 두개의 플러그 공이 형성된 공지 형태의 콘센트(11)를 2 내지 6개정도로 형성하여 2~6개의 가전기기가 접속될 수 있게 형성하고, 일측에는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설치 가능하다. The socket portion 10 is formed of two to six outlets of the known type formed with two plug balls to form two to six home appliances can be connected, one side of the power switch (not shown) Can be installed.

상기 연장 코오드(20)는 통상의 공지 형태의 규격에 따른 전선을 이용하여 일측에 콘센트(11)를 구비한 소켓부(10)에 접속되고, 타측은 전원을 인가 받을 있게 후술하는 플러그(30)를 설치한다. The extension cord 20 is connected to a socket portion 10 having an outlet 11 on one side by using a wi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ly known standard, and the plug 30 to be described later to receive power. Install it.

상기 플러그(30)는 원형핀형태로 콘센트에 꽂을 수 있게 돌출 형성한 두개의 플러그핀(31)과, 일측이 플러그핀(31)의 내측과 접촉하고 타측을 돌출 시켜 돌기(32a)를 형성한 두개의 가변단자(32)와, 상기 가변단자(32)의 돌기(32a)에 삽입하는 스프링(33)과, 상기 가변단자(32)의 돌기(32a)에 삽입한 스프링(33)을 삽입하게 삽입공(34a)을 형성하고, 양측방향으로 회동축(34b)을 형성한 작동버튼(34)으로 구성한다. The plug 30 has two plug pins 31 protrudingly formed to be plugged into an outlet in a circular pin shape, and one side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plug pin 31 and protrudes the other side to form protrusions 32a. Two variable terminals 32, a spring 33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32a of the variable terminal 32, and a spring 33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32a of the variable terminal 32 The insertion hole 34a is formed, and the operation button 34 which forms the rotational shaft 34b in both directions is comprised.

그리고, 상기 작동버튼(34)의 회동으로 전기의 통전 또는 단전할 수 있게 일 방향에 고정된 두개의 고정단자(35)와, 상기 두개의 고정단자(35)의 사이를 접속하고, 저항(36a)을 연결하여 온/오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램프(36)와, 상기 부품들을 커버하는 플러그 본체(37)와, 스위치가 노출되게 개구부(38a)를 형성한 커버(38)로 구성한다.Then, between the two fixed terminals 35 fixed in one direction and the two fixed terminals 35 so as to be electrically energized or disconnec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34, the resistance 36a ) And a lamp 36 for displaying the on / off state so as to be identified, a plug main body 37 covering the components, and a cover 38 having an opening 38a to expose the switch. .

여기서, 상기 플러그(30)에 설치하는 플러그핀(31)은 작동버튼(34)의 회동으로 가변단자(32)가 이탈되지 않게 내측 끝단에 자리홈(31a)을 형성하고, 플러그 본체(37)에 고정되게 설치하되, 플러그핀(31)을 삽입하여 본체와 일체로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도 좋다.Here, the plug pin 31 installed on the plug 30 forms a seat groove 31a at the inner end thereof so that the variable terminal 32 is not separa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34, and the plug body 37 I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it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plug pin 31, such as insert injection molding to integrally eject the body.

그리고, 상기 가변단자(32)는 일측에 형성한 돌기의 반대편에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하거나 예리하게 형성하여 플러그핀(31)의 자리홈(31a)에서 회동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variable terminal 32 may be easily rounded at the seat grooves 31a of the plug pin 31 by forming rounded corners or sharply at opposite sides of the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따라서, 상기 플러그핀(31)에 형성한 자리홈(31a)에 가변단자(32)의 하부가 삽입되게 하여 작동버튼(34)이 작동되더라도, 가변단자(32)와 작동버튼(34)의 사이에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자리홈(31a)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operation button 34 is operated by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terminal 32 into the seat groove 31a formed in the plug pin 31, between the variable terminal 32 and the operation button 34.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3 is not separated from the seat groove (31a).

상기 플러그핀(31), 가변단자(32), 고정단자(35)는 전기가 잘 통하는 구리 및 은 또는 그 합금의 전도체이고, 작동버튼(34)은 전기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이다. The plug pin 31, the variable terminal 32, and the fixed terminal 35 are electrically conductive copper and silver or an alloy thereof, and the operation button 34 is a non-conductive conductor.

상기 램프(36)는 통상의 전구 또는 LED 등의 발광 가능 한 것을 사용하여 밤에도 식별 가능하게 하고, 일측에 저항(36a)을 설치하여 과부하를 방지하고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 The lamp 36 can be identified even at night using a light bulb or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and a resistor 36a is installed at one side to prevent an overload and to supply a stable power supply.

그리고, 상기 램프(36)는 작동버튼(34)의 회동으로 전원이 온/오프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점등되도록 하되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lamp 36 is to be turned on in the case of any one of the on / off power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34, but preferably to be turned o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상기 플러그(30)는 플러그(30)에 끼워지는 전원코오드(20)의 임의의 위치를 볼트 또는 피스등으로 고정할 수 있게 양측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중앙을 요입시킨 전선고정구(39)를 형성하여서 연장코오드(20)의 임의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The plug 30 forms a screw hole on both sides to fix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power cord 20 to be inserted into the plug 30 with a bolt or a piece, and forms a wire fixing tool 39 recessed in the center thereof. It is configured to fix any position of the extension cord 20.

따라서 플러그본체(37)의 내부에도 상기 전선고정구(39)와 대응하는 위치에 중앙을 요입시키고, 양측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기 전선 고정구(39)와 본체 요입부 사이에 연장코오드(20)를 위치시키고, 양측에 나사공을 통해 볼트 또는 피스로 고정한다. Therefore, the center of the plug body 37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fasteners 39 in the inside, and the screw holes on both sides to form an extension cord 20 between the wire fixing device 39 and the main body inlet Position and secure with bolts or pieces through threaded holes on both sides.

이하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 3a 및 도 3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3a and 3b,

도 3a는 전원이 단전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작동버튼(34)을 하부로 회동시켜 작동버튼(34)의 양측에 플러그 핀(32)의 방향으로 형성한 삽입공(34b)에 삽입된 스프링(33)이 상부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33)에 끼워진 가변단자(32)가 플러그핀(31)에 형성한 자리홈(31a)을 회동기점으로 상부로 회동된다. 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wer is disconnected, and the spring 3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b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pin 32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button 34 by rotating the operation button 34 downward. ) Is rotated to the top, and the variable terminal 32 fitted to the spring 33 is rotated upwards to the pivot starting point 31a formed in the plug pin 31.

이때 상기 스프링(31)의 복권력에 의해 항상 플러그핀(31)의 자리홈(31a)에 자리잡은 가변단자(32)는 자리홈(31a)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램프(36)는 점등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variable terminal 32, which is always located in the seat groove 31a of the plug pin 31 by the lottery power of the spring 31, can be rotated in plac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 groove 31a. The lamp 36 is not lit.

도 3b는 전원이 통전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작동버튼(34)을 상부로 회동시켜 작동버튼(34)의 양측에 플러그 핀(31)의 방향으로 형성한 삽입공(34b)에 삽입된 스프링(33)이 하부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33)에 끼워진 가변단자(32)가 플러그핀(31)에 형성한 자리홈(31a)을 회동기점으로 하부로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단자(35)의 일측에 접촉되어 통전된다. 3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ower is energized, and the spring 3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4b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plug pin 31 on both sides of the operation button 34 by rotating the operation button 34 upward. ) Is rotated to the bottom and at the same time the variable terminal 32 fitted to the spring 33 rotates the seat groove 31a formed in the plug pin 31 to the lower side to the pivot starting point on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35. Contact is energized.

따라서, 상기 고정단자(35)의 일측에는 가변단자(32)의 회동으로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일정 경사를 갖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one side of the fixed terminal 35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o that the contact is made well by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terminal (32).

여기서, 상기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항상 플러그핀(31)의 자리홈(31a)에 자리잡은 가변단자(32)는 이탈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회동되게 고정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램프(36)가 점등된다. Here, the variable terminal 32, which is always located in the seat groove 31a of the plug pin 3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1, is fixed to be rotated in its place without being detached and at the same time the lamp 36 is fixed. Lights up.

이상에서 본 고안의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a power strip provided with a switch in th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such as dimensions, shapes, structures, and the lik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두개의 전선을 동시에 온/오프 시킴으로서 온/오프가 확실하여 낙뢰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고, 두개의 단자 사이를 램프와 저항으로 연결하여 부설함으로서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으로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멀리서도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 off two wires at the same time to ensure on / off and safety accidents such as lightning strikes do not occur, and the lamp is turned on or off by connecting the two terminals with a lamp and a resistor. The effect can be identified from a distance.

그리고, 플러그핀 내측 끝단에 자리홈을 형성하고 스프링의 일정한 힘 즉 복원력으로 이해 작동버튼의 반복 작동으로 내부의 가변단자가 이탈되지 않고, 연장코오드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연장 코오드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seat groove at the inner end of the plug pin and understanding the constant force of the spring, that is, the restoring force, the repetitiv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does not allow the internal variable terminal to be detached, and the extension cord is firmly fixed so that the extension cord is not easily detached. There is.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tap provided with a switch in a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wer strip attached to the pl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 단면도. Figure 3a and Figure 3b is an operating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strip attached to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소켓부 11 : 콘센트 20 : 연장코오드10 socket portion 11 outlet 20 extension cord

30 : 플러그 31 : 플러그 핀 31a : 자리홈30: plug 31: plug pin 31a: seat groove

32 : 가변단자 32a : 돌기 33 : 스프링 32: variable terminal 32a: protrusion 33: spring

34 : 작동버튼 34a : 삽입공 34b : 회동축 34: operation button 34a: insertion hole 34b: rotating shaft

35 : 고정단자 36 : 램프 36a : 저항35: fixed terminal 36: lamp 36a: resistance

37 : 플러그 본체 38 : 플러그 커버 39 : 전선고정구37 plug body 38 plug cover 39 wire fasteners

Claims (3)

연장코오드를 갖는 멀티탭에 있어서, In a power strip having an extension code, 다수개의 콘센트(11)를 갖는 소켓부(10)와, 상기 소켓부(10)까지 전원을 인가하는 연장코오드(20)와 상기 연장코오드(20) 끝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장코오드의 일측에 연결되고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를 부설한 플러그(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The socket 10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11), the extension cord 20 for applying power to the socket portion 10 and the extension cord 20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end, one side of the extension cord Multi-tap with a switch attached to the plu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g 30 connected to the power on / off switch.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러그(30)는 원형핀형태로 콘센트에 꽂을 수 있게 돌출 형성한 두개의 플러그핀(31)과, 일측이 플러그핀(31)의 내측과 접촉하고 타측을 돌출시켜 돌기(32a)를 형성한 두개의 가변단자(32)와, 상기 가변단자(32)의 돌기(32a)에 삽입하는 두개의 스프링(33)과, 상기 가변단자(32)의 돌기(32a)에 삽입한 스프링(33)을 삽입하게 삽입공(34a)을 형성하고, 양측방향으로 회동축(34b)을 형성한 작동버튼(34)과, 상기 작동버튼(34)의 회동으로 전기의 통전 또는 단전할 수 있게 일방향으로 고정된 두개의 고정단자(35)와, 상기 두개의 고정단자(35)의 사이를 접속하고, 저항(36a)을 연결하여 온/오프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램프(36)와, 상기 부품들을 설치하는 플러그 본체(37)와, 스위치가 노출되게 개구부(38a)를 형성한 커버(3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The plug 30 has two plug pins 31 protruding to be plugged into an outlet in the form of a circular pin, and one side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plug pin 31 and protrudes the other to form the protrusion 32a. Two variable terminals 32, two springs 33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32a of the variable terminals 32, and a spring 33 inserted into the projections 32a of the variable terminals 32; The insertion hole 34a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the operation button 34 having the rotation shaft 34b formed in both directions and the operation button 34 fixed in one direction so that electricity can be supplied or disconnec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34. A lamp 36 which connects between the two fixed terminals 35 and the two fixed terminals 35 and connects the resistor 36a so as to be able to check the on / off state, and the components are installed. A plug main body 37 and a cover 38 formed with an opening 38a to expose the switch. A multi-tap attached.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러그(30)에 설치하는 플러그핀(31)은 작동버튼(34)의 회동으로 가변단자가 이탈되지 않게 내측끝단에 자리홈(31a)을 형성하고, 플러그(30)에 끼워지는 연장코오드(20)의 임의의 위치를 나사 또는 피스등으로 고정할 수 있게 중앙을 요입시켜 양측에 나사공을 형성한 전선고정구(39)를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스위치를 부설한 멀티탭.The plug pin 31 installed on the plug 30 forms a seat groove 31a at the inner end thereof so that the variable terminal is not separa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34, and an extension cord fitted to the plug 30 ( A multi-tap having a switch attached to a plu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orming a wire fixing tool (39) formed with screw holes on both sides by inserting a center to fix an arbitrary position of 20) with a screw or a piece.
KR20-2005-0001376U 2005-01-17 2005-01-17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KR2003822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76U KR200382208Y1 (en) 2005-01-17 2005-01-17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76U KR200382208Y1 (en) 2005-01-17 2005-01-17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208Y1 true KR200382208Y1 (en) 2005-04-18

Family

ID=4368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76U KR200382208Y1 (en) 2005-01-17 2005-01-17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20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73B1 (en) 2006-10-26 2008-09-03 채종철 Bolt of lightning circuit bre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01794U (en) * 2014-11-18 2016-05-26 안종섭 Plug having swi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73B1 (en) 2006-10-26 2008-09-03 채종철 Bolt of lightning circuit bre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01794U (en) * 2014-11-18 2016-05-26 안종섭 Plug having switch
KR200484271Y1 (en) 2014-11-18 2017-08-21 안종섭 Plug having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8028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US6692284B1 (en) Electrical socket and plug
US20060039136A1 (en) Lighted plug apparatus
US6036536A (en) Different features in the structure of an electrical outlet
US3509356A (en) Selective circuit connector
US4520243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device
KR20090037737A (en) Safety concent
KR200382208Y1 (en) Multi-tap having plug with surge protecting switch
KR100977381B1 (en) Electric power adapter have a locking device
KR200236840Y1 (en) Concents for use both 110 and 220volts
CN215527505U (en) LED indicating lamp assembly for switch and switch
WO2007093967A1 (en) Safety electrical connector
KR100669914B1 (en) Safety wall outlet for building
KR19980061006U (en) Safety outlet
KR200235471Y1 (en) Safety Electric Outlet
CN220041629U (en) Switch with error touch prevention protection function
US20070121322A1 (en) Lamp string
KR19980064540U (en) Safety plug socket
CN211376472U (en) Single-break button switch with lamp
CN219458091U (en) Electric connector for vehicle
TWI426668B (en) An electrical connector that corrects conductive polarity
KR200373504Y1 (en) A socket with safety switch
KR200420772Y1 (en) Electric power supply display device
CN107394532B (en) Table-board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