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105Y1 - Necklace - Google Patents

Neck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105Y1
KR200382105Y1 KR20-2005-0001620U KR20050001620U KR200382105Y1 KR 200382105 Y1 KR200382105 Y1 KR 200382105Y1 KR 20050001620 U KR20050001620 U KR 20050001620U KR 200382105 Y1 KR200382105 Y1 KR 200382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neck
neckline
present
e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헌규
Original Assignee
서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헌규 filed Critical 서헌규
Priority to KR20-2005-0001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10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10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This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단일의 고리로 형성되어 적어도 2회이상 감긴 형태를 갖는 목줄(100);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상기 목줄(100)의 일지점을 소정 폭으로 감싼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의 목줄(100)과 소정의 마찰 상태를 유지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eckline 1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med of a single ring having a shape wound at least twice;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 a form wrapped around a point of the neckband 100 to a predetermined width to the inner neckband 100 and the band portion 2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friction state; is configured to include.

Description

목걸이 {Necklace}Necklace {Necklace}

본 고안은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목걸이 줄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취향 및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줄 길이 및 전체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lace having a string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configured to easily change the length and overall shape of a string according to a user's taste and a desired function.

목걸이는 목이나 앞가슴 등을 꾸미는 액세서리의 하나로서, 금속이나 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줄모양의 장식을 둥글게 하여 목에 걸거나 감는 형태를 갖는다. A necklace is one of the accessories for decorating a neck or a breast, and has a form of hanging or winding a neck by rounding a decorative ornament made of metal or leather.

최근에는 단순한 액세서리의 목적 외에도 핸드폰이나 MP3 플레이어 같은 소형 전자제품을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목걸이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imple accessories, various types of functional necklaces are being used to carry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and MP3 players on the user's neck.

도 1은 종래의 목걸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66287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necklace, which has been disclosed through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66287.

예시된 종래예의 목걸이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목줄(10)과, 상기 목줄(10)의 일단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일부분에는 목줄(1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공이 관통 형성된 제 1길이조절구(20)와, 상기 목줄(10)의 타단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일부분에는 목줄(1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공이 관통 형성된 제 2길이조절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e illustrated conventional necklace, a colla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10, and a sliding hol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neck 10, a part of the neck 10 is slidably coupled through a portion of the neck 10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is formed through the first length adjustment tool 20 formed through and the sliding hole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neck 10, a part of the neck 10 is slidably coupled to a part of the neck 1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phere 30.

제 1 및 제 2길이조절구(20)(30)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length adjusting holes 20 and 30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목걸이는 핸드폰이나 MP3 플레이어 같은 소형 전자제품의 휴대 기능을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구조 및 취향에 따라 목걸이 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기능성에 주안점을 둔 것이었다. 이로 인해, 목걸이 자체의 형상만으로는 액세서리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면이 있었다. 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necklace is for the portable function of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mobile phone or MP3 player, and focused on the functionality to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necklace string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tructure and taste. For this reason, the shape of the necklace itself was inadequate for use as an accessory.

또한, 탄성체로 구성된 목줄의 단부에 금속재로 구성된 길이조절구가 강제 압입이나 본딩으로 고정 결합되므로, 결합부위의 내구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adjusting tool made of a metal material is fixedly coupled to the end of the neckline made of an elastic body by force indentation or bond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coupling portion is not good.

또한, 탄성체로 구성된 목줄이 금속재로 구성된 길이조절구의 슬라이딩공을 관통하는 구조를 취하고, 설정된 길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이들 간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구조를 취하므로, 상대적으로 강도나 경도가 작은 목줄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llar made of an elastic body has a structure that penetrates the sliding hole of the length adjusting tool made of metal, and has a structure that imparts friction force therebetween to maintain a set length, wear of a collar having a relatively low strength or hardness is prevent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occurred badly.

또한, 금속재로 구성된 길이조절구로 인해 목걸이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자의 목에 부담을 주게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entire necklace is increased due to the length adjustment device made of a metal to put a burden on the user's neck.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소정의 탄성을 갖는 목걸이 줄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취향 및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줄 길이 및 전체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목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necklace having a string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configured to easily change the string length and the overall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required functions. For that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단일의 고리로 형성되어 적어도 2회이상 감긴 형태를 갖는 목줄(100);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상기 목줄(100)의 일지점을 소정 폭으로 감싼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의 목줄(100)과 소정의 마찰 상태를 유지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neckline 100 is formed of a single ring wound at least twice;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 a form wrapped around a point of the neckband 100 to a predetermined width to the inner neckband 100 and the band portion 2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friction state; is configured to includ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줄(100)과 밴드부(200)는 실리콘 고무로 이뤄진다. More preferably, the collar 100 and the band portion 200 is made of silicone rubber.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줄(100)은 자성체 분말이나 바이오세라믹 분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실리콘 고무로 이뤄진다. More preferably, the collar 100 is made of silicone rubb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magnetic powder and bioceramic powd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변형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밴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modified use state of the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and portion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단일의 고리로 형성되어 적어도 2회이상 감긴 형태를 갖는 목줄(100)이 구비된다.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of a single ring is provided with a collar 100 having a shape wound at least twice.

본 실시예의 목줄(100)은 탄성 재질인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뤄지며, 대략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도 2a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2회 감긴 형태를 갖는다. Necklin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silicon rubber material of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has a form wound twice as illustrated in Figures 2a to 3.

또한,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목줄(100)의 일지점을 소정 폭으로 감싼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의 목줄(100)과 소정의 마찰 상태를 유지하는 밴드부(20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formed in a form wrapped around a point of the neckline 100 to a predetermined width is provided with a band portion 2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friction state with the neckline 100 inside.

본 실시예의 밴드부(200)는 탄성 재질인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뤄지며, 내측의 목줄(100)에 소정의 마찰 상태를 부여하기에 적절한 폭(예를 들어, 2~3 cm)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마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밴드부(200)의 내측면은 내측에 위치하는 목줄(100)의 외측면과 적당한 압압 상태를 유지한다. Band portion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silicon rubber material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formed with a width (for example, 2-3 cm) suitable for imparting a predetermined friction state to the inner neck 100. In order to maintain the friction state, the inner surface of the band part 200 maintains an appropriate pressing stat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neckline 100 located on the inner side.

목줄(100)과 밴드부(200)의 재질은 탄성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실리콘 고무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다른 고무 재질로 이뤄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neckline 100 and the band part 200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e rubber in consideration of elasticity and durability, it is of course possible to be made of other rubber materials having similar properties.

상기와 같이 목줄(100)의 일지점이 밴드부(200)로 감싸인 상태를 이루는 과정은, 예를 들어, 밴드부(200)의 내경과 목줄(100)의 외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목줄(100)의 감김 횟수를 산정한 후,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 목줄(100)을 산정된 감김 횟수 만큼 밴드부(200)를 통과시키고, 최종적으로 목줄(100)의 양단을 접착제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지게 된다. The process of forming a state in which one point of the neckline 100 is wrapped in the band part 20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band part 20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neckline 100 is appropriately wound around the neckline 100. After estim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neckline 100 cut to an appropriate length is passed through the band 200 as much as the calculated number of turns, and finally, both ends of the neckline 100 are bonded by an adhesive.

이 경우, 목줄(100)의 결합 부위는 실리콘 고무로 이뤄진 양단부가 접착제로 상호 접착된 상태이므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neck 100 is a state in which both ends made of silicone rubber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thereby achieving a firm coupling state.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목줄(100)의 재질은 페라이트와 같은 자성체 분말이나 바이오세라믹 분말을 포함한 실리콘 고무로 이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material of the collar 100 may be made of a silicone rubber including a magnetic powder such as ferrite or bioceramic powder.

이러한 기능성 분말이 포함되면, 목걸이가 단순히 액세서리로서 사용되는 것 뿐만이 아니라, 피로 회복이나 통증 경감, 혈액 순환 촉진과 같은 건강 증진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The inclusion of such a functional powder not only allows the necklace to be used as an accessory, but also provides health promoting effects such as fatigue recovery, pain relief, and blood circulation.

자성체 분말의 경우, 혈액 속의 철분과 같은 미량성분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바이오세라믹 분말의 경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피로 회복이나 통증 경감, 상처 회복 촉진과 같은 작용을 한다. In the case of magnetic powder, it stimulates trace components such as iron in the blood to promote blood circulation, and in the case of bioceramic powder, it emits far-infrared rays such as fatigue recovery, pain relief and wound recovery promotion.

특히, 본 고안의 목걸이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목줄(100)의 각 감김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적절한 길이 조절 상태에 따라 이러한 건강 증진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neck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length for each winding of the neck 100 as illustrated in Figure 3, it is possible to obtain such a health promoting action mo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length adjustment state.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는 주로 목이나 가슴 상측 부위에 자력이나 원적외선을 강하게 제공하게 되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상체 전체에 걸쳐 자력이나 원적외선을 골고루 제공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2a mainly provides a strong magnetic force or far-infrared to the neck or chest upper portio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3 provides even magnetic force or far-infrared throughout the upper body.

이와 별도로, 사용자는 이러한 건강 증진 작용과 관계없이, 단순히 장식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도 2a나 도 3과 같이 적절한 길이 조절 상태를 만들어서 목걸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Separately, the user may use the necklace by making an appropriate length adjustment state as shown in FIG. 2A or 3 by considering only a decorative aspect, regardless of the health promoting action.

한편, 본 실시예의 밴드부(200)는 단순히 목줄(100)을 감싸거나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 외에,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그 외측면에 적절한 도형, 기호, 문자 등을 인쇄 또는 조각, 부착하여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nd portion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mply prints or sculpts, and attaches the appropriate figures, symbols, characters, etc. to the outer surface thereof as illustrated in FIG. 4,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imply wrapping the neck 100 or providing frictional force. It can also provide the function as more effectively.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걸이의 목줄(100)은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3회이상의 감김 횟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llar 100 of the neck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three or more winding times as illustrated in FIG. 5.

이 경우, 밴드부(200)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목줄(100)의 각 감김별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적절한 길이 조절 상태에 따라 목걸이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length of each winding of the neckline 100 can be adjusted by the user's pulling around the band 200, the design of the necklace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an appropriate length adjustment state.

특히, 목줄(100)의 재질로서 자성체 분말이나 바이오세라믹 분말을 포함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김 횟수에 따라 자력이나 원적외선의 전체적인 강도를 조절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using a silicone rubber containing magnetic material powder or bioceramic powder as the material of the neck 100,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adjusting the overall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or far infrared ray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urns.

이렇게 구성되면, 피로 회복이나 통증 경감, 혈액 순환 촉진과 같은 건강 증진 기구로서의 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제공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effect as a health-promoting mechanism such as fatigue recovery, pain relief, and blood circulation promotion is better provided.

한편, 본 고안의 목걸이는 핸드폰이나 MP3 플레이어 같은 소형 전자제품을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휴대하기 위한 기능성 목걸이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얇은 목줄이 여러번 감긴 형태로 요구되는 강도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neck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functional necklace for carrying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MP3 player on the user's neck,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ive the required strength in the form of a thin neck wound several times. Do.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main features. Therefor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걸이는, 목줄의 굵기나 색채, 감김 횟수, 감김별 당김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Such a neck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variety of desig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color of the neckline, the number of times of winding, the state of each winding, etc.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functionality as an accessory.

또한, 탄성 재질로만 형성되므로 목걸이의 전체적인 무게가 가볍고, 사용자의 목에 주는 부담이 적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the elastic material is formed, the overall weight of the necklace is l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urden on the neck of the user is less.

또한, 목줄의 재질로서 자성체 분말이나 바이오세라믹 분말을 포함한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피로 회복이나 통증 경감, 혈액 순환 촉진과 같은 건강 증진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n elastic body including magnetic powder or bioceramic powder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neck, it provides a health promoting effect such as fatigue recovery, pain relief, and blood circulation.

특히, 이러한 기능성 분말이 첨가되면, 목줄의 굵기나 감김 횟수, 감김별 당김 상태 등에 따라 자력이나 원적외선의 방사 효과를 다양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건강 증진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such a functional powder is add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variety of radiation effects of magnetic force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eck, the number of times of winding, the state of each winding, etc.,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obtain such a health promoting action.

도 1은 종래의 목걸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necklace,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사시도,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분해 사시도,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변형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use state of the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밴드부의 확대 사시도,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nd portion of the neck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목걸이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목줄 200: 밴드부100: collar 200: band portion

Claims (3)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단일의 고리로 형성되어 적어도 2회이상 감긴 형태를 갖는 목줄(100);Neckline 1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med of a single ring having a shape wound at least twice; 탄성 재질로 이뤄지며, 상기 목줄(100)의 일지점을 소정 폭으로 감싼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의 목줄(100)과 소정의 마찰 상태를 유지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목걸이.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in a shape wrapped around a point of the neckband 100 to a predetermined width, the neck portion 1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friction state with the inner neckband 100; neckla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줄(100)과 밴드부(200)는 실리콘 고무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The collar 100 and the band portion 200 is a neckla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ilicone rub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목줄(100)은 자성체 분말이나 바이오세라믹 분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실리콘 고무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The collar 100 is a neckla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ilicone rubb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magnetic powder or bioceramic powder.
KR20-2005-0001620U 2005-01-19 2005-01-19 Necklace KR2003821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20U KR200382105Y1 (en) 2005-01-19 2005-01-19 Neck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20U KR200382105Y1 (en) 2005-01-19 2005-01-19 Neckl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105Y1 true KR200382105Y1 (en) 2005-04-18

Family

ID=4368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20U KR200382105Y1 (en) 2005-01-19 2005-01-19 Neck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10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0216A1 (en) Phone sock method
KR200382105Y1 (en) Necklace
CN205624805U (en) Fixed cyclic annular ornament of magnetism
KR200322802Y1 (en) Fancy goods, length of which can be controlled
KR100813810B1 (en) Multiple purpose functional healthcare belt
CN202425730U (en) Contraction bracelet
CN202603820U (en) Health-care wrist strap
JP3058861U (en) Rotating ring
KR20120002193U (en) A bracelet
KR100994361B1 (en) Functional health bracelet
US20070061945A1 (en) Phone sock; a carrying devise worn on the forearm or ankle for cellular telephones
CN202722731U (en) Universal watchband
CN220308574U (en) Silica gel ring magnetic bracelet
KR200426967Y1 (en) Combined hair band and bracelet
JP3174570U (en) Magnetic eyeglass chains
JP3228698U (en) Jewelery
KR200341575Y1 (en) Magnetic Necklace
KR101851500B1 (en) Rareearth Metal Ornament
CN205125280U (en) Jewelry
CN205923165U (en) Bracelet structure
US20100024479A1 (en) Fastener for securing jewelry item
KR200348880Y1 (en) Accessory of being adjustable in length
CN201252883Y (en) Taillure fastener
JP3077677U (en) Cell phone strap
CN206403328U (en) A kind of good fortune of bracelet hundred is buck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