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02Y1 - 주방용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주방용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02Y1
KR200381502Y1 KR20-2005-0000220U KR20050000220U KR200381502Y1 KR 200381502 Y1 KR200381502 Y1 KR 200381502Y1 KR 20050000220 U KR20050000220 U KR 20050000220U KR 200381502 Y1 KR200381502 Y1 KR 200381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rubber gloves
kitchen
water
gl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석
Original Assignee
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석 filed Critical 서원석
Priority to KR20-2005-0000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주방용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장갑의 내면에 소돌조를 형성하여 장갑의 낌과 벗음이 용이토록 하면서 동시에 장갑을 끼고 물을 사용할 경우에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습기가 피부에 직접닿지 않토록 하면서 소돌조가 손의 혈과 밀착토록 하여 신체의 전체를 맛사지토록 하는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고무장갑은 단지 물을 사용할 경우에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토록 하는 것에 불과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는 공기가 통하지 않고 또는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로 인한 피부의 습진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얇은 실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무장갑을 겹으로 끼고 작업을 하게 됨으로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장갑의 내면에 소돌조를 형성하고 상기 소돌조는 손의 혈과 동싱한 위치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피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맛사지로 인한 신체의 전부에 맛사지가 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주방용 고무장갑.

Description

주방용 고무장갑 {A rubber gloves for kitchen}
본 고안은 주방용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장갑의 내면에 소돌조를 형성하여 장갑의 낌과 벗음이 용이토록 하면서 동시에 장갑을 끼고 물을 이용한 작업을 할 경우에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습기가 소돌조가 형성된 간격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통풍으로 인한 습기발생을 억제토록 하고, 또한 소돌조에 의하여 장갑 전체가 피부에 직접 닿지 않토록 하면서 소돌조가 손의 혈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토록 함으로서 주부들에게 가사일을 하게 되면서 신체의 전체에 대한 맛사지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고무장갑은 라텍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그 제조방법으로는 공기의 주입성형에 의하여 제조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장갑의 내면이 매끄러운 상태를 갖도록 함으로서 주부들이 가사를 위하여 물을 사용할 경우에 장갑을 착용할 경우에는 단지 물과의 손이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줌으로서 장시간 물에 손이 노출됨으로서 발생되는 부풀음 만을 방지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무장갑을 끼고 장시간 사용하거나 반복적으로 계속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장갑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피부호흡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습진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고, 물을 사용함으로서 장갑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습기로 인한 피부에 나쁜영향을 끼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고무장갑에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됨으로 끼기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벗기도 용이하지 않게 됨으로 통상 끼고 벗을 경우에 뒤집어지게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 손에 로션등을 바르거나 또는 얇은 실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고무장갑을 겹으로 끼고 작업을 하게 됨으로서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갑의 내면에 소돌조를 형성하고 상기 소돌조는 손의 혈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토록 함으로서 피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맛사지로 인하여 가사를 하면서도 신체를 맛사지하는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고무장갑의 내면에 손바닥과 손등에 위치되어 있는 혈의 위치에 맞도록 소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소돌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고무장갑을 성형하는 방식이 손모양의 금형을 액상의 원료에 침지토록 한 후 손모양의 금형에 도포되어진 원료가 고화되면 금형에서 뒤집어지게 탈리시키게 되면서 고무장갑을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손모양에 도포되어진 원료가 고화된 후에 스프레이에 의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소돌조가 형성된 얇은 시트를 손바닥과 손등에 접착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소돌조를 형성할 경우에 시트상으로 접착토록 하지 않고 연결간에 의하여 소돌조가 형성토록 하여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소돌조를 성형할 경우에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세라믹이나 옥분 또는 숫등을 함유토록 하여 성형토록 함으로서 맛사지는 물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돌조에 의하여 맛사지 효과는 물론 소돌조에 의한 공기통로가 형성됨으로 장갑의 끼고 벗음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고,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장갑의 내면이 손과 접착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됨으로 주부습진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돌조에 의하여 주부습진을 방지함은 물론 맛사지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고무장갑의 내피의 손바닥면에 형성된 소돌조의 배치도.
도 2는 소돌조가 형성된 시트가 접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소돌조가 연결간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고무장갑 2: 소돌조
3: 시트 4: 연결간

Claims (1)

  1. 고무장갑의 내면에 손바닥과 손등에 위치되어 있는 혈의 위치에 맞도록 소돌조가 형성되어있는 고무장갑.
KR20-2005-0000220U 2005-01-05 2005-01-05 주방용 고무장갑 KR200381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20U KR200381502Y1 (ko) 2005-01-05 2005-01-05 주방용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220U KR200381502Y1 (ko) 2005-01-05 2005-01-05 주방용 고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02Y1 true KR200381502Y1 (ko) 2005-04-14

Family

ID=4368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220U KR200381502Y1 (ko) 2005-01-05 2005-01-05 주방용 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12616T1 (de) Beidhändiger handschuh zur behandlung von oberflächen
GB2455475A (en) Substrate to releasably adhere to a region of apparel
KR200381502Y1 (ko) 주방용 고무장갑
KR200193808Y1 (ko) 주방용 고무장갑
CN207323419U (zh) 一种新型搓澡巾
KR20080006195U (ko) 보호장갑을 내포한 고무장갑
KR200464401Y1 (ko) 위생용 방습 고무장갑
TWM423535U (en) Palm keratin and thick callus removal device
KR20100089941A (ko) 양말 또는 버선의 기능성 코팅 방법
KR200361273Y1 (ko) 고무장갑
KR101697160B1 (ko) 물흐름 방지부가 형성되는 고무장갑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장갑 제조용 몰딩
KR200215424Y1 (ko) 망사천을 내장한 주방용 고무장갑
CN2810552Y (zh) 美肤膜裤
KR200389630Y1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TWM596534U (zh) 修護手套結構
KR200359860Y1 (ko) 목욕타올 지지구
KR20100005711U (ko) 고무장갑
CN2812883Y (zh) 美容手膜
KR200422170Y1 (ko) 일회용 수세미 장갑
KR200340881Y1 (ko) 바이오 세라믹 손가락형 목욕장갑
CN205112182U (zh) 一种乳胶手套生产过程中专用的单排刷装置
CN203709337U (zh) 保暖护肤塑胶手套
KR200386538Y1 (ko) 지압 마사지용 장갑
JP3079053U (ja) 手あれ、ケアー用穴あき使い捨て手袋
KR200389616Y1 (ko)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