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465Y1 -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 Google Patents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465Y1
KR200381465Y1 KR20-1999-0003325U KR19990003325U KR200381465Y1 KR 200381465 Y1 KR200381465 Y1 KR 200381465Y1 KR 19990003325 U KR19990003325 U KR 19990003325U KR 200381465 Y1 KR200381465 Y1 KR 200381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isplay
product
product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604U (ko
Inventor
이화경
Original Assignee
오리온스낵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스낵인터내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리온스낵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03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46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4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47B87/008Rectangular cabinets or racks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A47F3/142Display trays to be placed on the floor, e.g. by means of legs or of integrated cabinets undernea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023/0025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containers

Landscapes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상점에서 봉지에 담겨지는 스넥류와 포장되어 지는 과자류의 상품을 수납하여 진열하기 위한 진열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자를 프레임과 기둥에 의한 조립체로 하여 상기 조립체에 광고판을 탈착이 가능토록 끼워 상품의 내용에 따라 광고판을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자를 상,하또는 좌,우로 배치하거나 연결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됨이 특징인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방식은 선반으로 이루어진 진열대에 포장된 상품을 꺼내어 전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진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을 진열대 전체에 가득 채워야 하기 때문에 상품의 장시간 보관으로 인한 제품의손상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고, 상품의 진열 상태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점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투명 아크릴로 제작된 상자를 이용할수 있으나 이러한 상자는 상하좌우로 적층시킬 경우에 고정수단이 없고 또한 상품이 그대로 보이도록 한 것에 불과하여 상품의 다양성을 나타내어야 하는 광고측면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상품의 인식을 위한 광고 효과를 위하여 별도의 광고물을 준비하여야 하였고, 상품에 대한 광고물이 인쇄된 진열 상자는한 종류의 상품에만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자를 일일이 준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의 상품 진열 상자는 끼임홈이 형성된 프레임에 기둥이 끼여진 조립체에 광고판을 탈착이 가능토록 끼워 상자를 조립토록 함으로써 상품의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품의 종류에 따라 광고판을 교환하여 상품을 다양하게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의 프레임 외측면에 조립홈과 조립돌기를 형성하여 조립된 상자를 상,하, 좌,우로 연결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 상자.

Description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A SHOW BOX OF GOODS EXCHANGEABLE OF ADVERTISMENT PLATE}
본 고안은 상점에서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과 기둥에 의한 조립체에 광고판을 탈착이 가능토록 끼워 상자가 조립토록 함으로써 상품의 내용에 따라 광고판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자를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하거나 연결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됨이 특징인 것이다.
종래에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방식은 선반으로 이루어진 진열대에 포장된 상품을 꺼내어 전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진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을 진열대 전체에 가득 채워야 하기 때문에 상품의 장시간 보관으로 인한 제품의손상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고, 상품의 진열 상태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점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종이상자를 이용하여바닥에 위치되어지는 스넥상자는 매장의 물청소시에는 상자에 흡수된 수분으로 인하여 상자가 허물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위생상 불결한 느낌을 주게 되어 판매고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스넥류가 주로 직영판매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에 위치되는 상자의 자리의 선점을 위하여 상당히 치열한경쟁을 하여야 하는 고충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자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투명 아크릴로 제작된 상자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상자는 광고수단이 없고 또한 상품이 그대로 보이도록 한 것에 불과하여 상품의 다양성을 나타내어야 하는 광고측면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이러한 상품의 인식을 위한 광고 효과를 위하여 별도의 광고물을 준비하여야 하였고, 종이상자에 인쇄된 광고물은 교환이 불가능하여 제품이 다를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광고판이 탈착이 가능토록 끼임홈이 형성되고 기둥의 탈착이 가능토록 삽입홈이 형성된 프레임에 기둥이 조립토록 하여 상자체를 구성하여 벽체를 교환이 가능한 광고판으로 조립토록 함으로써 상품의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품의 종류에 따라 광고판을 교환하여 상품을 다양하게 진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의프레임 외측면에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하, 좌,우로 연결하여 진열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품 진열 상자(100)는 사각의 프레임(1)각각의 모서리에 삽입홈(13)을 형성하고 후레임(1)의 내측으로는 광고판(3)의 탈착이 가능토록 끼임홈(11)을 요설하고 끼임홈(11)의 외측으로는 일정한 폭으로 상자의 바닥판(31)이 놓여질 수 있도록 단턱(12)이 형성되고 삽입홈(13)의 외측면으로는 결합부(14)가 형성되고 삽입홈(13)에 삽입되는 기둥(2)에는 결합력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리브(22)가 형성된 삽입돌기(21)를 형성토록한 구성이다.
이때 기둥(2)은 후레임(1)의 형상에 따라 또는 후레임(1)에 형성된 삽입홈(1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것이고 광고판(3)의 고정이나 또는 광고판(1)의 모서리 연결이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2)의 측벽으로 슬라이드홈(23)을 형성하여 광고판(3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용도로의 사용을 위하여 기둥이나 후레임은 사출이나 압출의 방식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후레임과 기둥의 결합이 내부가 빈 상태인 브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후레임이나 기둥의 내부가 빈 상태이기 때문에 중량을 경량화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의 결합구성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삽입홈(13)에 기둥의 삽입돌기가 삽입토록 한후 기둥의 4면으로 슬라이드홈(23)을 형성하여 슬라이드홈에 광고판(30)이 탈착토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바닥판(31)이 임의대로 탈착이 가능토록 한 이유로는 광고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자체(100)를 상하좌우로 배열할 경우에 하단에 위치되는 상자체(100)에는 바닥판(31)이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위한 것이고 또한 타인에게 도난당할 경우에도 바닥판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사용이 불가능하여 도난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고판(3)을 사방의 측벽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광고판은 판지나 합성수지로 발포되어 합지된 판지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판지의 대용으로 각종내용물이 인쇄된 스티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스티커는 광고판의 대용으로 사용토록 하거나 광고판에 스티커를 덧대어 사용토록 할 수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과 기둥이 간단한 조립으로 되기 때문에 운반이나 보관이용이하고 또한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에 신속하게 대응하여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판의 임의 탈착으로 인하여 상자체의 다양한 배열에 의하여도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바닥판이 없기 때문에 또다른 용도로의 사용을위하여 도난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 A" 단면도.
도 4는 기둥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자를 좌우로 배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자를 상하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조립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8은 기둥과 후레임의 또다른 구성을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수납방식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프레임 2: 기둥
3: 광고판
11: 끼임홈 12: 단턱
13: 삽입홈 14: 결합부
15: 내공간
21: 삽입돌기 22: 결합리브
23: 슬라이드홈
31: 바닥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프레임(1)의 모서리에 슬라이드홈(23)을 갖는 기둥(2)이 조립되고 프레임(1)의 모서리에는 삽입홈(13)과 결합부(14)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광고판(3)의 결합을 위하여 끼임홈(11)이 형성되며 프레임(1)의 끼임홈(11)은 후레임(1)의 상면에 형성토록 되며 후레임(1)의 내측에는 바닥판(31)이 놓여질 수 있도록 단턱(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진열상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999-0003325U 1999-02-28 1999-02-28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KR200381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25U KR200381465Y1 (ko) 1999-02-28 1999-02-28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25U KR200381465Y1 (ko) 1999-02-28 1999-02-28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04U KR20000017604U (ko) 2000-09-25
KR200381465Y1 true KR200381465Y1 (ko) 2005-04-19

Family

ID=4368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325U KR200381465Y1 (ko) 1999-02-28 1999-02-28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4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81B1 (ko) 2011-05-04 2013-05-20 성훈경 조립식 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81B1 (ko) 2011-05-04 2013-05-20 성훈경 조립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04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8488B2 (ja) 棚システム
US20060118502A1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EA001301B1 (ru) Изменяемое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ок
US20230294897A1 (en) Packaging system for distribution, storing and displaying fragile items
US20140311946A1 (en) Packages for storing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packages
CA2371683C (en) Display box
US6745509B1 (en) Integrated coupon dispenser and promotional signage product
US5762203A (en) Container for shipping and displaying of product
KR200381465Y1 (ko)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상자
US4646921A (en) Packaging and display container
JP2005040334A (ja) 棚札装置及び棚札用フレーム
CA2794001C (en) Retail display package with foldable stand
US10336525B2 (en) Planogram display for vertically oriented product containing display cards
KR19990045957A (ko) 광고판의교환이가능한상품진열상자
KR200174368Y1 (ko) 광고판의 교환이 가능한 상품 진열 상자
US20060273083A1 (en) Modular bin system and bin
GB2444639A (en) Display unit with transparent base
KR200320551Y1 (ko) 상품 진열 상자
KR200374722Y1 (ko) 조립식 상품 판매 진열대
US6997335B2 (en) Integral shelf organizer and brochure dispenser
US20220330723A1 (en) Product display assembly
KR200185219Y1 (ko) 상품 진열용 상자
KR200452617Y1 (ko) 진열대용 화장품 광고대
KR200410655Y1 (ko) 전시대
JP3048658U (ja) 商品陳列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