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104Y1 - A mannequin - Google Patents

A mannequ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104Y1
KR200381104Y1 KR20-2005-0001554U KR20050001554U KR200381104Y1 KR 200381104 Y1 KR200381104 Y1 KR 200381104Y1 KR 20050001554 U KR20050001554 U KR 20050001554U KR 200381104 Y1 KR200381104 Y1 KR 200381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space
directly
mannequins
sepa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5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공영활
Original Assignee
사공영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공영활 filed Critical 사공영활
Priority to KR20-2005-0001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10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10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3/00Shop or like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고안은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마네킹이 사용될 경우에 그 상품의 표시등을 마네킹에 직접 교환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홍보가 우수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nequin, and when the mannequin is used, the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can be exchanged directly to the mannequin, thereby promoting excellent promotion.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상반신 등 신체의 일부분만을 표현하는 마네킹은 단지 얼굴모형이나 신체의 모형을 본뜬 것에 불과하여 이러한 마네킹에 사용된 제품의 명칭이나 특징등을 설명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품에 직접하거나 또는 제품에 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별도의 표시대를 사용하여야 했던 것이어서 이러한 것들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In general, a mannequin that expresses only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ace or upper body is merely a model of a face model or a body, and in order to explain the names and features of the products used in these mannequins, it is necessary to directly or directly If you can not do that was to use a separate display was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se things.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The gist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마네킹의 상반신의 하단에 별도의 공간부를 구비하여 상기 공간부에 인쇄띠를 장착함으로서 별도의 표시부를 사용치 아니토록 한 것이다.A separate spac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half of the mannequin, and the printing strip is attached to the space so that a separate display unit is not used.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홍보마네킹.Promotional mannequins.

Description

표시수단을 갖는 마네킹{A mannequin}Mannequins with marking means {A mannequin}

본 고안은 신체의 일부분만을 나타내는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마네킹에 가발이나 안경 등이 사용될 경우에 그 상품의 특성 등을 가장 시인성이 우수한 부분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홍보효과가 우수하면서 표시수단이 편리하면서 저렴하게 하는 것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nequin representing only a part of the body, and when a wig or glasses are used for the mannequ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can be displayed in the most visible part, so that the display effect is excellent and the display means are convenient and inexpensive. To make it possible.

일반적으로 안경이나 가발 또는 스타킹 등을 전시판매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마네킹은 신체의 일부분 즉 얼굴이나 상반신만 또는 발만을 표현하게 되고 이러한 것들은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여지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저부는 넓게 퍼진 형태의 모양을 갖추게 되는 것이거나 삼바리를 이용하여 별도의 연결축으로 연결토록 한 후 마네킹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mannequins used in exhibitions, such as glasses, wigs or stockings, represent parts of the body, such as only the face, the upper body, or the feet. It is to be equipped with or to connect to a separate connecting shaft using a samba is to fix the mannequin.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단지 얼굴모형이나 신체의 모형을 본뜬 것에 불과하여 이러한 마네킹에 사용된 제품의 특징을 문자 등으로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텍을 매달아 사용하게 됨으로 이러한 텍의 매달음을 위하여 제품에 매달음 작업을 하게되는 것이어서 제품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고, 이러한 단점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표시대를 사용하여야 했던 것이다.However, these are only models of face models or body models, and if you want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used in these mannequins with letters, you will use a separate tex to hang the product for hang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work will be damaged because it will damage the product, and to prevent such a disadvantage would have to use a separate display.

따라서 텍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품의 손상방지를 위한 주의가 요구되어지고 이러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결국 텍의 사용은 제품의 손상을 가져오게 됨으로 고가의 제품일수록 이러한 표시등을 하게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tex, attention is required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and in spite of such caution, the use of the tex causes damage to the product.

따라서 이러한 고가의 제품들은 별도의 표시대(POP물)을 사용하여 광고 등을 하기 위한 각종 표시등을 함으로서 이러한 별도의 POP이 사용됨으로 전시의 곤란성은 물론 제품홍보에 따른 비용의 추가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분리되어진 것들의 취급이나 보관에 상당히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se expensive products use various indicators to advertise by using a separate display stand (POP material), so that such a separate POP is us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hibit and adds costs due to product promotion. There is considerable inconvenience in handling or storing these separated ones.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마네킹의 하단에 별도의 공간부를 구비토록 함으로서 이러한 공간부에 다양한 표시등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separate space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mannequin made of a part of the body to enable a variety of indicators in this spa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describing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마네킹은 내공간이 빈 상태이거나 채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신체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상단부(10)와 그 상단부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하단부(20)에 어느 정도로 길게 공간부(30)를 형성토록 한 구성이다.The mannequ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ariety of forms consisting of an empty or filled state of the interior space to the upper portion 10 made of a part of the body and the lower portion 20 for a stable fix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 30) to form.

또한 이러한 공간부(30)는 가능하면 상하로 테두리단(31)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테두리단(31)의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부(30)에 표시부(40)가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공간부(30)에 장착되는 표시부(40)는 하나의 띠형태(40a)로 사용이 가능하게되는 것이다.In addition, such a space portion 30 is formed so that the display portion 40 is formed in the space portion 3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dge portion 31 by forming the edge end 31 up and down as possible. The display unit 40 mounted on the 30 may be used in one strip form 40a.

이러한 띠 형태(40a)는 보는 이의 각도에 관계없이 다양성을 시인성을 갖게 되는 것이고, 또한 교환의 용이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Such a band form 40a is to have visibility of the diversity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viewer, and also to facilitate the exchange.

또한 이러한 공간부(30)는 마네킹을 사용하기 위하여 어느 일정한 장소에 위치토록 할 경우에 좀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전시를 위한 받침대의 사용이 필요없게 된다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uch a space part 30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pedestal for a separate exhibition by allowing the mannequin to be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in order to use it at a certain place.

또한 마네킹의 내공간에 발광을 위한 수단이 사용될 경우에 이러한 발광에 의하여 공간부(30)에 형성된 표시부(40)의 형태가 확연하게 눈에 띄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다양한 표시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means for emitting light is u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nnequin,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40 formed in the space part 30 may be remarkably noticeable by such light emission, and may have various display forms.

따라서 제품의 변화되어지는 형태에 따라 공간부에 별도로 인쇄되어지는 표시부를 접착이나 걸이수단에 의하여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display portion to be printed separately in the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is to be mounted by the adhesive or hook mean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마네킹은 마네킹에 사용되어지는 제품의 특성을 마네킹에 직접표현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nnequ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publicity effect by enabling the direct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used in the mannequin to the mannequin.

도 1은 본 고안의 표시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 마네킹의 표시부의 사용상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display portion of the conventional mannequi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상단부 20: 하단부10: upper part 20: lower part

30: 공간부 31: 테두리단30: space 31: edge

40: 표시부 40a: 띠 형태40: display portion 40a: strip shape

Claims (3)

본체의 내공간이 빈 상태이거나 채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신체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상단부와 그 하단부에 어느 정도로 길게 공간부를 일체로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Mannequi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made empty or filled to form a space portion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to a certain ex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하로 테두리단을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The mannequ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 portion is formed to form an edge end up and dow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티형태의 표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The mannequi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p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tee-shaped display portion.
KR20-2005-0001554U 2005-01-18 2005-01-18 A mannequin KR2003811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54U KR200381104Y1 (en) 2005-01-18 2005-01-18 A mannequ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554U KR200381104Y1 (en) 2005-01-18 2005-01-18 A mannequ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104Y1 true KR200381104Y1 (en) 2005-04-08

Family

ID=4368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554U KR200381104Y1 (en) 2005-01-18 2005-01-18 A mannequ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10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4593B2 (en) Electronic shelf label with attachment means for a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such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2733279C (en) Signag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merchandise on shelves
US20040195192A1 (en) Display assembly
US7584561B2 (en) Light box display
US20030208938A1 (en) Ceiling tile display
KR200381104Y1 (en) A mannequin
KR20160044188A (en) Banner advertised board
KR200448113Y1 (en) Display stand for cosmetic advertisement board
JP2001178599A (en) Pop inscription tool for shelf plate
KR200490565Y1 (en) Goods display unit for display stand
JP2005208210A (en) Advertisement outfit
KR200435272Y1 (en) Advertisement stand set up shelf
JP3133820U (en) Desktop display
KR200371337Y1 (en) Bands for fixing advertisements
KR101518392B1 (en) Mosaic sign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44194B1 (en) Pop-up advertising device with lights
JP6522267B1 (en) Stand-alone display support stand
KR200452617Y1 (en) Display stand for cosmetic advertisement board
RU46376U1 (en) LIGHT SCREEN
KR200385583Y1 (en) Frame attachable in wall or ceiling for supporting point of purchase advertisement typed board
JP3214681U (en) Display goods decoration
JP3211283U (en) Semi-solid lantern pop
JP3086304U (en) Display boards such as hand lamps
KR200336153Y1 (en) variable notice board
JP3154779U (en) Desktop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