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951Y1 -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 Google Patents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951Y1
KR200380951Y1 KR20-2005-0001051U KR20050001051U KR200380951Y1 KR 200380951 Y1 KR200380951 Y1 KR 200380951Y1 KR 20050001051 U KR20050001051 U KR 20050001051U KR 200380951 Y1 KR200380951 Y1 KR 200380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lid
upper portion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0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동
김명화
Original Assignee
이기동
김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동, 김명화 filed Critical 이기동
Priority to KR20-2005-0001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9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95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이 담긴 용기를 적층하는 것이 용이한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is easy to stack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음식물을 담아 배달하는데 사용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있어서, 상부에 음식물이 놓이고 하부에 환형의 돌기가 형성된 음식물 수용기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개구의 가장자리가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가장자리와 대응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에 환형의 요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는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와 상기 뚜껑은 번갈아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delivery container used to deliver food, and includes a food container in which food is plac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annular protrus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opened downward and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An edge of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so as to cover the food container, the lid being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and having an annular groove formed thereon, and the annular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od container has a lid. The food container and the lid are alternately stacked by being seated in an annular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Description

음식물 배달용 용기{VESSEL FOR DELIVERING EATING}Food Delivery Containers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본 고안은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이 담긴 용기의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laminated to a container containing food.

통상적으로 음식물의 배달을 위해서는 음식물을 접시 등과 같은 그릇에 담아 배달한다. 그러나 음식물을 접시 등과 같은 그릇에 담아 그대로 배달하는 경우에는 위생상 좋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음식물은 접시 등과 같은 그릇에 담겨 비닐랩으로 포장되어 배달된다.In general, for food delivery, food is delivered in a bowl such as a plate. However, if the food is delivered intact in a bowl, such as a dish is not good hygiene. Therefore, most of the food is delivered in a plastic wrap in a bowl such as a plate.

그러나 종래와 같이 음식물을 접시 등과 같은 용기에 담고 이를 비닐랩으로 밀봉하는 경우에는 비닐랩을 덮어 씌우는 작업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비닐랩을 벗기기는 매우 번거롭다.However, when the food is put in a container such as a dish and sealed with a plastic wrap as in the related art, the work of covering the plastic wrap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it is very cumbersome to peel off the plastic wrap.

또한 비닐랩으로 포장된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적층시키기 매우 어렵다.It is also very difficult to stack food delivery containers packaged with plastic wrap.

또한 비닐랩으로 비교적 습기가 많고 온도가 높은 조건의 음식물을 포장한 경우에 비닐랩으로부터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 성분이 빠져 나와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음식물로부터 증발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음식물이 눅눅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packaging food in a relatively humid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 with plastic wrap, harmful ingredients such as environmental hormones escape from the plastic wrap and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 case of a loss occur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이 용이하고 용기의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food delivery is easy packaging and easy stacking of container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나오는 비닐랩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음식물이 눅눅해지지 않는 배달용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for delivery that does not use the plastic wrap tha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as well as the steam is discharged smoothly so that food is not dam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음식물을 담아 배달하는데 사용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있어서, 상부에 음식물이 놓이고 하부에 환형의 돌기가 형성된 음식물 수용기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개구의 가장자리가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가장자리와 대응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에 환형의 요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는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와 상기 뚜껑은 번갈아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delivery container used to deliver food, in which a food container is plac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annular protrus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is opened downward. And an edge of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so as to cover the food placed on the top of the food container, the lid being seated on the top of the food container and having an annular groove formed thereon, and below the food container. The formed annular projection is seated in the annular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container and the lid are alternately stacked.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뚜껑을 맞춰 덮음으로써 포장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안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음식물 배달용 용기의 적층이 용이해진다.The container for food delivery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simply packaged by covering the lid on the top of the food container. In particular, since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has a structure seat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t is easy to stack the container for food deliver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중앙에 상하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formed with a hole penetrating the top and bottom.

상기 구멍을 통하여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배출될 뿐만 아니라 뚜껑을 열 때 상기 구멍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뚜껑을 열 수 있다.The steam generated from the food is not only discharged through the hole, but the lid may be opened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hole when the lid is open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의 폭은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의 직경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의 직경은 상기 요홈의 내측 단턱 또는 외측 단턱 중 어느 하나의 단턱에 상기 돌기의 측면이 걸려 지지되는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annular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the annular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The diameter of the and the diameter of the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top of 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f the protrusion is supported by any one of the inner step or the outer step of the groove.

이에 따라 상기 요홈에는 다양한 직경의 환형의 돌기가 안착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음식물 수용기가 안착될 수 있으며, 특히 환형의 돌기가 환형의 요홈의 내측 단턱이나 외측 단턱에 걸려 상기 음식물 수용기가 뚜껑의 상부에 미끄러지지 않고 안착된다.Accordingly, since the grooves of various diameters have annular protrusions, the food receivers of various sizes and types may be seated. In particular, the annular protrusions may be caught on the inner or outer jaws of the annular grooves so that the food receivers may be Slips on top without slipping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주전자의 바닥이 안착되기 위한 요부가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for the bottom of the kettle is formed in the center.

이에 따라 최상부에 적층된 뚜껑의 상부에 음식물의 양념소스나 음료수가 담긴 주전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착된다.Accordingly, the kettle containing the seasoning sauce or the drink of food is seated on the top of the lid stacked on the top without slipping.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ontainer for food deli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cked state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oodst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delivery container.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10)는 음식물을 담아 배달하는데 사용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음식물 수용기(11)와 뚜껑(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ood delivery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used to deliver food contain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od container 11 and the lid 15.

상기 음식물 수용기(11)는 상부에 음식물이 놓여 담기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접시에 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하부에는 상기 뚜껑(15)의 상부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착되도록 하부에 상기 뚜껑(15)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17)에 삽입 안착되기 위한 환형의 돌기(13)가 형성된다. The food container 11 is for putting food on the top, and an example of a plate i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has an annular projection 13 for being seated in an annular groove 17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so as not to sli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Is formed.

상기 뚜껑(15)은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상부를 덮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15)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개구의 가장자리(16)가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가장자리(12) 내측에서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상부에 접촉되어 안착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상기 뚜껑(15)이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상부에 안착되는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뚜껑(15)은 그 개구의 가장자리(16)가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가장자리(12)와 직접 맞닿거나 그 개구의 가장자리(16)가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가장자리(12)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lid 15 i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to cover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id 15 is opened downward to cover the food placed on top of the food container 11 so that the edge 16 of the opening is inside the edge 12 of the food container 11. It is sea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However, the relationship that the lid 15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figure. In other words, the lid 15 has an edge 16 of the opening directly contacting the edge 12 of the food container 11, or an edge 16 of the opening is more than an edge 12 of the food container 11. It can be located outside.

한편, 상기 뚜껑(15)의 상부에는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돌기가 안착되기 위한 환형의 요홈(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15)의 상부에는 중앙에 상하를 관통하는 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8)은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와 상기 뚜껑(15)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일 뿐만 아니라 상기 뚜껑(15)을 열기 위해 손가락을 상기 구멍(18)에 집어넣어 걸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is formed with an annular groove 17 for seating the projec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is formed with a hole 18 penetrating up and down in the center. The hole 18 is not only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food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ood container 11 and the lid 15 is discharged, but also a finger to open the lid 15. It is to be tucked in to 18).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최상층에 적층된 뚜껑(15)의 상부에 양념 소스나 음료수가 담긴 주전자(21)가 미끄러지지 않고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뚜껑(15)의 상부에는 상기 주전자(21)의 바닥(21a)이 안착되기 위한 요부(19)가 중앙에 형성된다. 포크와 나이프(22)는 상기 주전자(21)의 옆에 나란히 놓인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kettle 21 may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so that the kettle 21 containing the seasoning sauce or the beverage may be placed on the top of the lid 15 stacked on the uppermost layer without slipping. The recessed part 19 for seating the bottom 21a of this is formed in the center. The fork and knife 22 are placed side by side next to the kettle 21.

상기와 같은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사용된다. 이 때 상기 뚜껑(15)의 상부에 놓이는 음식물 수용기(11)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13)는 상기 뚜껑(15)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17)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 때 상기 음식물 수용기(11)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환형의 돌기(13)의 측면은 상기 환형의 요홈(17)의 단턱(17a,17b)에 걸려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돌기(13)는 환형의 요홈(17)의 내측 단턱(17a) 또는 외측 단턱(17b) 중 어느 하나에 걸리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뚜껑(15)의 상부에 놓이는 음식물 수용기(11)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음식물 수용기(11)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13)의 직경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환형의 돌기(13)의 직경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15)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17)의 직경은 상기 환형의 돌기(13)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상기 뚜껑(15)은 음식물 수용기(11)의 종류 및 크기마다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의 돌기(13)는 상기 환형의 요홈(17)의 내측 단턱(17a) 또는 외측 단턱(17b) 중 어느 하나에 걸리면 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환형의 요홈(17)의 폭을 상기 환형의 돌기(13)보다 넓게 형성하고, 상기 음식물 수용기(11)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13)의 직경과 상기 뚜껑(15)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17)의 직경은 상기 요홈(17)의 내측 단턱(17a) 또는 외측 단턱(17b) 중 어느 하나의 단턱에 상기 돌기(13)의 측면이 걸려 지지되는 관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뚜껑(15)에는 적어도 2종류의 음식물 수용기(11)가 놓여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뚜껑(15)에는 요홈(17)의 내측 단턱(17a)에 돌기(13)가 걸리는 음식물 수용기와 요홈(17)의 외측 단턱(17b)에 돌기(13)가 걸리는 음식물 수용기 2개의 종류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돌기(13)가 요홈(17)의 외측 단턱(17b)에 걸려 지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Such food delivery containers are stacked and used as shown in FIGS. 4 and 5. At this time, the annular projection 1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is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17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to be sea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annular protrusion 13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s 17a and 17b of the annular groove 17 so that the food container 11 does not slip. In particular, the projection 13 is sufficient to catch either the inner step 17a or the outer step 17b of the annular groove 17. Meanwhile, the food container 11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5 may have various kinds and sizes, which means that the diameter of the annular protrusion 13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ood container 11 may vary. do. Therefore, when the diameter of the annular projection 13 is different, the diameter of the annular groove 17 formed in the lid 15 should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annular projection 13 and at the same time the lid ( 15)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type and size of food container 11.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annular projection 13 may be caught by either the inner step 17a or the outer step 17b of the annular groove 17.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der width of the annular groove 17 than the annular protrusion 13, and the diameter of the annular protrusion 13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11 and the lid 15. The diameter of the annular groove 17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17 has a relationship such that the side of the projection 13 is caught and supported by either one of the inner step 17a or the outer step 17b of the groove 17. can do. As a result, at least two kinds of food container 11 may be placed on the lid 15. That is, the lid 15 has two kinds of food containers in which the projections 13 are caught on the inner step 17a of the grooves 17 and two food containers in which the projections 13 are caught on the outer step 17b of the grooves 17.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The figure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trusion 13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outer step 17b of the groove 17.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포장이 용이하고 용기의 적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The container for food deli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easy packaging and easy stacking of the contain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나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음식물이 눅눅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ontainer for food deli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ood does not become wet as well as the components of the body does not come out harmful to the steam is smoothly discharg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음식물 배달용 용기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container for food delivery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ve been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long as it is one of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food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for food deli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for delivery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minated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배달용 용기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for delivery of fo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minated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Short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symbols>

10 음식물 배달용 용기10 Containers for food delivery

11 접시11 plates

13 돌기13 turning

15 뚜껑15 lids

17 요홈17 recess

18 구멍18 holes

19 요부19 main parts

Claims (4)

음식물을 담아 배달하는 데 사용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에 있어서,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used to deliver food, 상부에 음식물이 놓이고 하부에 환형의 돌기가 형성된 음식물 수용기와,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놓인 음식물을 덮도록 개구의 가장자리가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가장자리와 대응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부에 환형의 요홈이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고,The food container is plac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annular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 opening of the lower portion to cover the food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so as to cover the edge of the food container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A lid seated and having an annular groove formed thereon;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는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음식물 수용기와 상기 뚜껑은 번갈아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The annular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is seated in an annular groov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so that the food container and the lid are alternately stack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중앙에 상하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a container for food delivery,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penetrating the top and bottom in the cen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의 폭은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The width of the annular project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annular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상기 음식물 수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돌기의 직경과 상기 뚜껑의 상부에 형성된 환형의 요홈의 직경은 상기 요홈의 내측 단턱 또는 외측 단턱 중 어느 하나의 단턱에 상기 돌기의 측면이 걸려 지지되는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The diameter of the annular protrusion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and the diameter of the annular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have a relationship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supported by either one of the inner step or the outer step of the groove. Container for delivery of fo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뚜껑의 상부에는 주전자의 바닥이 안착되기 위한 요부가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배달용 용기.The upper portion of the lid is a container for food deliv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 is formed in the center for the bottom of the kettle is seated.
KR20-2005-0001051U 2005-01-13 2005-01-13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KR2003809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51U KR200380951Y1 (en) 2005-01-13 2005-01-13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051U KR200380951Y1 (en) 2005-01-13 2005-01-13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951Y1 true KR200380951Y1 (en) 2005-04-07

Family

ID=4368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51U KR200380951Y1 (en) 2005-01-13 2005-01-13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95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749B2 (en) Combination beverage container and storage vessel
JP2009078865A (en) Foo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JP2011046450A (en) Instant food container
KR200475771Y1 (en)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US20210002036A1 (en) Packaged food product for heating in oven
KR200380951Y1 (en) Vessel for delivering eating
KR200489571Y1 (en) Packaging container
JP4429046B2 (en) Kashiosuke lunch box case
KR20090008895U (en) Coupling structure of food vessel
KR101838195B1 (en) Convenient disposable container for instance noodles mixed with sauce
KR20090009093U (en) coupling structure of cap with separate vessel
WO2006027234A1 (en) High-functionality beverage can
KR20150048573A (en) Multi purpose packing box for food
JP3202018U (en) Food container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KR200378661Y1 (en) portable food vessel
JP3204124U (en) Food container
KR200429596Y1 (en) A container for drink
KR200493249Y1 (en) Cooking pot
TWI826143B (en) paper container structure
KR200398299Y1 (en) Packaging box of a hamburger
KR200274900Y1 (en) food vessel
KR200275368Y1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WO2023079453A1 (en) Food packaging
JP2022143891A (en) Food packaging container with inner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